KR20190000607U -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07U
KR20190000607U KR2020170004595U KR20170004595U KR20190000607U KR 20190000607 U KR20190000607 U KR 20190000607U KR 2020170004595 U KR2020170004595 U KR 2020170004595U KR 20170004595 U KR20170004595 U KR 20170004595U KR 20190000607 U KR20190000607 U KR 20190000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ounting plate
safety
vertic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민
Original Assignee
정혜경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경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혜경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607U/ko
Publication of KR20190000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 폼 공법을 통한 거푸집공정시 외부로 돌출되는 멍에에 판형상의 거치플레이트와 수직기둥부 및 수직기둥부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부로 이루어진 안전난간대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절약을 통해 작업이 효율이 확보되고, 거치플레이트가 멍에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안전난간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간 안전이 확보되며, 수직기둥부에 U형고리부를 더 형성하여 수평파이프가 수직파이프에 쉽게 체결 및 고정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Safety railing for Form Meong-yeoi}
본 고안은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멍에(10)의 상부에 거치되는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원통형기둥으로 설치되는 수직기둥부(120);와,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수직기둥부(120)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대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form)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보통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하는데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거푸집은 기둥, 바닥, 벽 등의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일정기간 양생을 하고 굳은 뒤 떼어내는데 일반층에서는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4주, 지붕이나 옥상 등은 2주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고 떼어낸 거푸집은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거푸집을 이용한 거푸집공사는 건설현장의 요건에 따라 다양한 공법을 통해 공사가 이루어지고 그 중 터널 폼 공법(Tunnel form method)는 벽체와 바닥거푸집을 장선, 멍에, 동바리와 함께 일체화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공정시간을 줄여 공사비 절감효과가 큰 것을 장점으로 한다.
이러한 터널 폼 공법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탈형이 용이한 터널폼(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7961호)”는 벽체거푸집;과, 상기 벽체거푸집과 힌지결합하는 슬래브거푸집;과, 상기 벽체거푸집과 슬래브거푸집 상호 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연결가새;와, 상기 슬래브거푸집을 지지하는 높이조절형 동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가새는, ∪자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 상단이 슬래브거푸집과 힌지결합하고 하단 하부면에 손잡이가 장착된 당김구;와, 상기 ∪자형 당김구 내부에 안착하고 일단이 ∪자형 당김구와 힌지결합하면서 타단이 벽체거푸집과 힌지결합하는 길이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연결가새의 당김구를 잡아당기면 당김구가 길이조정구에서 펼쳐지면서 슬래브거푸집이 하향 회전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터널폼을 슬래브거푸집과 벽체거푸집이 조립된 상태로 용이하게 하강 탈형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터널폼의 재설치 또한 간단해져 거푸집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탈형이 용이한 터널폼”은 낙하,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 및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거푸집 내에 가설치된 파이프서포트에 안전망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파이프를 설치한 후 안전망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불편해지고, 하중을 받은 파이프서포트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며, 설령 파이프서포트에 수평파이프 및 안전망을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파이프서포트가 작업장 하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아 안전망이 전도될 수 있어 안전확보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7961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터널 폼 공법을 통한 거푸집공정시 외부로 돌출되는 멍에에 판형상의 거치플레이트와 수직기둥부 및 수직기둥부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부로 이루어진 안전난간대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절약을 통해 작업이 효율이 확보되고, 거치플레이트가 멍에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안전난간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간 안전이 확보되며, 수직기둥부에 U형고리부를 더 형성하여 수평파이프가 수직파이프에 쉽게 체결 및 고정되는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는, 멍에(10)의 상부에 거치되는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원통형기둥으로 설치되는 수직기둥부(120);와,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수직기둥부(120)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대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부(120)에는 안전망(30)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수평파이프(20)가 상기 수직기둥부(120)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도록 U형고리부(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거치플레이트(110)가 상기 멍에(1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멍에(10)가 볼트(미도시)에 의해 볼팅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볼팅공(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터널 폼 공법을 통한 거푸집공정시 외부로 돌출되는 멍에에 판형상의 거치플레이트와 수직기둥부 및 수직기둥부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부로 이루어진 안전난간대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절약을 통해 작업이 효율이 확보되고, 거치플레이트가 멍에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안전난간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간 안전이 확보되며, 수직기둥부에 U형고리부를 더 형성하여 수평파이프가 수직파이프에 쉽게 체결 및 고정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의 측면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가 멍에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를 통해 안전망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는 크게 거치플레이트(110), 수직기둥부(120) 및 경사지지대부(130)로 이루어진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판(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이프서포트(60)에 지지되는 장선목재(50)의 하부에 상기 상부판(10)이 설치되고 남은 외부에 노출된 부분 즉, 멍에(10)에 설치되는 일종의 안전망(30)을 설치하기 위한 안전지주를 말한다.
먼저, 거치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거치플레이트(11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판(板)으로서, 상기 거치플레이트(110)는 상기 멍에(10)의 상부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팅공(111)을 통해 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멍에(10)에 고정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가 상기 멍에(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수직기둥부(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직기둥부(12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파이프로서, 상기 수직기둥부(120)에는 안전망(30)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수평파이프(20)가 상기 수직기둥부(120)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도록 U형고리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기둥부(12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U형고리부(121)는 상기 관통공(미도시)를 통해 삽입되어 너트(1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경사지지대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경사지지대부(13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기둥부(12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수직기둥부(120)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멍에 20: 수평파이프
30: 안전망 40: 상부판
50: 장선목재 60: 파이프서포트
100: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110: 거치플레이트 111: 볼팅공
120: 수직기둥부 121: U형고리부
122: 너트
130: 경사지지대부

Claims (3)

  1. 멍에(10)의 상부에 거치되는 거치플레이트(110);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기둥형상으로 설치되는 수직기둥부(120);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수직기둥부(120)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대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부(120)에는 안전망(30)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수평파이프(20)가 상기 수직기둥부(120)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도록 U형고리부(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00).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거치플레이트(110)가 상기 멍에(1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110)와 상기 멍에(10)가 볼트(미도시)에 의해 볼팅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볼팅공(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1).
KR2020170004595U 2017-08-31 2017-08-31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KR201900006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95U KR20190000607U (ko) 2017-08-31 2017-08-31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95U KR20190000607U (ko) 2017-08-31 2017-08-31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07U true KR20190000607U (ko) 2019-03-08

Family

ID=6572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95U KR20190000607U (ko) 2017-08-31 2017-08-31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6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97Y1 (ko) 2019-06-13 2019-11-20 김영삼 가변 펫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97Y1 (ko) 2019-06-13 2019-11-20 김영삼 가변 펫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8886B2 (ja) 設備用基礎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US8844224B2 (en) Utility dowel bracket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20190000607U (ko)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040019501A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KR102448993B1 (ko)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한 장수명 라멘조 공동주택 pc 공법
KR100755188B1 (ko) 스틸박스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브라켓
KR101157588B1 (ko) 슬라브 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철골조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US20200011059A1 (en) Pre-cast concrete sound barrier mechanical post connection and sound barrier usng the same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200442551Y1 (ko) 거푸집 지지장치용 브라켓
KR100785312B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NL1020123C1 (nl) Verloren randbekistingselementen en werkwijze voor het installeren van verankeringsorganen.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200276908Y1 (ko)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