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501A -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 Google Patents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501A
KR20040019501A KR1020020051062A KR20020051062A KR20040019501A KR 20040019501 A KR20040019501 A KR 20040019501A KR 1020020051062 A KR1020020051062 A KR 1020020051062A KR 20020051062 A KR20020051062 A KR 20020051062A KR 20040019501 A KR20040019501 A KR 2004001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placing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모
Original Assignee
홍창모
(주)디엘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모, (주)디엘에프 filed Critical 홍창모
Priority to KR102002005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9501A/ko
Publication of KR2004001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50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층고의 합벽용 거푸집을 지지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 내지 해체가 가능하고, 어떠한 현장에서도 표준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도 견고한 내압 내지 강도를 지닐 수 있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타설 작업자의 발판 내지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을 제공한다.
그 합벽타설공법은, 흙막이벽(1)을 형성하고, 철근(3)을 부설하며, 거푸집(2)을 설치하여 타설공간부(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벽타설공법에 있어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시키고 콘크리트의 압력에 따라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다수조의 트러스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고정부재(40)에 의해 서로 고정시켜 전체적으로도 트러스구조를 형성시키고,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를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로 고정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에 의해 거푸집(2)을 지지시킨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divided supporter structure for supporting a mould for forming a concrete united wall and method of forming a concrete united wall using the divided supporter structure}
본 발명은,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층고의 합벽용 거푸집을 지지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 내지 해체가 가능하고, 어떠한 현장에서도 표준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도 견고한 내압 내지 강도를 지닐 수 있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타설 작업자의 발판 내지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흙막이벽과 거푸집사이에 합벽을 타설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구조의 다수의 받침대 내지 버팀대로 거푸집을 받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수많은 받침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를 설치 내지 해체하는 데에도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고, 또한, 해체후에는 설치를 위한 고정못 등의 흔적이 남아있어 재활용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고, 보수를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완전수작업용 버팀대를 개량한 것으로는 다수의 버팀대를 회동되고신장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지만, 여전히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규격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층고의 합벽용 거푸집을 지지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 내지 해체가 가능하고, 어떠한 현장에서도 표준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도 견고한 내압 내지 강도를 지닐 수 있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타설 작업자의 발판 내지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의 설명을 위한 일부 단면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설현장의 개략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흙막이벽2: 거푸집
3: 철근5: 타설공간부
10,20,30: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1,21,31: 받침지지부재
12,22,32: 하부수평지지부재13,23,33: 외측지지부재
14,24,34: 상부수평지지부재15,25,35: 중간지지부재
40: 고정부재41: 경사부재
42: 받침판43: 앵커볼트
44: 고정너트45: 고정앵커
46: 브레이싱47: 브레이싱 설치부재
50: 난간대51: 삽입부
52: 좌우난간대53: 좌우난간대 설치부재
54: 발판55: 발판설치대
56: 발판지지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은, 흙막이벽을 형성하고, 철근을 부설하며,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벽타설공법에 있어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시키고 콘크리트의 압력에 따라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다수조의 트러스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를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시켜 전체적으로도 트러스구조를 형성시키고,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를 앵커볼트 및/또는 고정앵커로 고정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에 의해 거푸집을 지지시킨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흙막이벽과 거푸집사이의 타설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벽타설공법의 거푸집을 지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시키고 콘크리트의 압력에 따라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여 거푸집을 지지시킨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키도록 다수가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도 트러스구조를 형성하며, 하부에서 앵커볼트 및/또는 고정앵커로 콘크리트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를 제공한다.
상기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는, 각각,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거푸집과 접촉하는 받침지지부재와, 그 받침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와, 그 받침지지부재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와, 그 상부수평지지부재 및 하부수평지지부재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외측지지부재와, 상기 받침지지부재, 상부수평지지부재, 하부수평지지부재 및 외측지지부재사이에 중간지지부재가 연결되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앵커볼트는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받침지지부재 부근에서 미리 콘크리트바닥에 매설된 후,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에 고정되는 경사부재를 개재하여 약간 거푸집방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앵커볼트가 체결되고, 그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외측지지부재 부근에는 고정앵커가 설치되어 적어도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조립체의 후방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지지부재들에 브레이싱 설치부재를 개재하여 브레이싱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외측지지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로 난간대를 삽입시키고 좌우난간대 설치부재를 개재하여 좌우난간대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상부수평지지부재에 발판설치대 및 발판지지대를 개재하여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의 설명을 위한 일부 단면 개략 측면도 및 개략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흙막이벽(1)과 거푸집(2)사이의 타설공간부(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벽타설공법에서의 거푸집(2)을 지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다단(도면에서는 3단)으로 구성된다. 즉, 3단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각각 일측압에 대한 강도면에서 바람직한 트러스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대응되는 단수(도면에서 3단)로 조합되고, 통상 볼트너트와 같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도 트러스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각각 높이와 폭을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층고에 대응하여 전체가 트러스구조로 되도록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체가 트러스구조를 취함으로써 일측압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강도를 지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다단으로 결합된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그 하부에서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로 콘크리트바닥에 고정된다. 그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를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거푸집(2)과 접촉하는 받침지지부재(11,21,31)와, 그 받침지지부재(11,21,3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와, 그 받침지지부재(11,21,31)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와, 그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 및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외측지지부재(13,23,33)와, 상기 받침지지부재(11,21,31),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 및 외측지지부재(13,23,33)사이에 중간지지부재(15,25,35)가 연결되어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바닥에 대한 상기 앵커볼트(43)의 고정체결력이,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받침지지부재(31) 부근에서 거푸집(2)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앵커볼트(43)가 체결되는 부분에 경사지게 경사부재(41)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단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조가 전 거푸집(2)을 받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이 설치된 때에 그 다수조의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지지부재(13,23,33)들에 브레이싱 설치부재(47)를 개재하여 브레이싱(46)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중간부분에서도 각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들사이에 더욱 틀어짐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외측지지부재(13)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51)로 난간대(50)를 삽입하고, 그 난간대(50)에 좌우난간대 설치부재(53)를 개재하여 좌우난간대(52)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난간대(50) 및 좌우난간대(52)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상부수평지지부재(14)에 길이방향의 발판지지대(56)와 횡단의 발판설치대(55)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용 발판(54)을 쉽게 또한, 견고하게 부설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의 작용효과는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리 표준화된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층고에 따라 선정하고, 두께, 높이 등에 따른 내압강도에 따라 지지대의 강도를 고려하여 각 조를 설치할 폭을 정하며, 그 폭에 따라 바닥콘크리트시에 필요한 위치에 앵커볼트(43)를 매설시킨다.
그 뒤, 층고에 따라 선정한 단수로 1조를 이루는 각 단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고정부재(40)로 고정시키고, 다단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다수 소정의 간격으로 거푸집(2)을 지지하도록 배치하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를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로 고정시켜 설치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매설된 앵커볼트(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에 고정되는 경사부재(41)를 개재하여 약간 거푸집(2) 방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앵커볼트(43)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앵커볼트(43)도 경사지게 매설됨으로써 더욱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가 밀림이 없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여 거푸집(2)을 더욱 강하게 지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그 경사부재(41)위에서 균일하게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받침판(42)을 개재하여 앵커볼트(43)에 고정너트(44)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정앵커(45)는,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외측지지부재(33) 부근에 설치되어 적어도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 조립체의 후방이 뒤틀림없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지지부재(13,23,33)들에 브레이싱 설치부재(47)를 개재하여 브레이싱(46)을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브레이싱(46)을 연결시켜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중간부분에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물 형상으로 되게 되고, 나아가, 콘크리트타설에 따른 압력에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부에서 작업자들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발판(54)과 난간대(50) 및 좌우난간대(52)가 설치되는 바, 본 고안에 따라서는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이러한 발판(54) 및 난간대(50) 등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다수조의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상부수평지지부재(14) 각각에 걸처 한쌍의 발판지지대(56)를 간격을 두고 고정시키고, 그 한쌍의 발판지지대(56)에 걸처 다수의 발판설치대(55)를 소정의 간격(분리된 발판(54)의 길이에 해당)으로 설치하고, 그 다수의 발판설치대(55) 중 한쌍에 순차로 발판(54)을 연속,설치함으로써 발판(54) 전체가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 난간대(50)는,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외측지지부재(13)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51)에 삽입시킴으로써 설치되고, 좌우난간대 설치부재(53)를 개재하여 좌우난간대(52)를 설치함으로써 견고하고도 안전한 난간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삽입부(51)는, 외측지지부재(13,23,33)로는 통상 원형 내지 사각형상의 관 또는 중공강재가 채용될 것이므로, 이 경우,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전 난간대(50) 및 발판(54)과 함께 다수조의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설치하여 거푸집(2)을 지지시킨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합벽이 형성되면, 상술한 설치작업과는 반대로 해체하여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하부의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를 제거하고, 상기 고정부재(40) 및/또는 브레이싱(46)로 고정된 구조의 1조 또는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일시에 크레인 등으로 운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트러스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채용한 합벽타설공법을 실시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2)의 설치/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거푸집(2)의 설치시 종래와 달리 거푸집(2)에 하등의 못이나 볼트 등을 위한 구멍이 없어 해체후에도 거푸집(2)의 보수가 별로 불필요하고 재활용도가 높게 된다.
또, 상기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다양하게 규격화하고, 이를 선택하여 조립/해체함으로써 각각 또는 조립상태로 용이하게 크레인 등에 의해 운반될 수 있으며, 볼트 등에 의해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어떠한 현장에서도, 또, 어떠한 층고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채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다양한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조립,고정되는 분할구조와 트러스구조의 채용으로 다양한 층고의 합벽용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으며, 운반, 설치, 해체, 정리 등이 간편,용이하며, 어떠한 현장에서도 표준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도 견고한 내압 내지 강도를 지닐 수 있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타설 작업자의 발판 내지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또, 붕괴의 염려가 없는 등 설치/해체시 더욱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합판, 각재 등의 잔재인 산업폐기물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정교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흙막이벽(1)을 형성하고, 철근(3)을 부설하며, 거푸집(2)을 설치하여 타설공간부(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벽타설공법에 있어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시키고 콘크리트의 압력에 따라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다수조의 트러스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를 고정부재(40)에 의해 서로 고정시켜 전체적으로도 트러스구조를 형성시키고,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를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로 고정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에 의해 거푸집(2)을 지지시킨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각각,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거푸집(2)과 접촉하는 받침지지부재(11,21,31)와, 그 받침지지부재(11,21,3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와, 그 받침지지부재(11,21,31)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와, 그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 및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외측지지부재(13,23,33)와, 상기 받침지지부재(11,21,31),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 및외측지지부재(13,23,33)사이에 중간지지부재(15,25,35)가 연결되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며;
    앵커볼트(43)는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받침지지부재(31) 부근에서 미리 콘크리트바닥에 매설된 후,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에 고정되는 경사부재(41)를 개재하여 약간 거푸집(2)방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앵커볼트(43)가 체결되고, 그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외측지지부재(33) 부근에는 고정앵커(45)가 설치되어 적어도 트러스 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 조립체의 후방이 고정되며;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지지부재(13,23,33)들에 브레이싱 설치부재(47)를 개재하여 브레이싱(46)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외측지지부재(13)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51)로 난간대(50)를 삽입시키고 좌우난간대 설치부재(53)를 개재하여 좌우난간대(52)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상부수평지지부재(14)에 발판설치대(55) 및 발판지지대(56)를 개재하여 발판(5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를 이용한 합벽타설공법.
  3. 흙막이벽(1)과 거푸집(2)사이의 타설공간부(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벽타설공법의 거푸집(2)을 지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타설될 콘크리트벽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시키고 콘크리트의 압력에 따라 그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여 거푸집(2)을 지지시킨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키도록 다수가 고정부재(4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전체적으로도 트러스구조를 형성하며, 하부에서 앵커볼트(43) 및/또는 고정앵커(45)로 콘크리트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는, 각각,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항하도록 거푸집(2)과 접촉하는 받침지지부재(11,21,31)와, 그 받침지지부재(11,21,3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와, 그 받침지지부재(11,21,31)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와, 그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 및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외측지지부재(13,23,33)와, 상기 받침지지부재(11,21,31), 상부수평지지부재(14,24,34), 하부수평지지부재(12,22,32) 및 외측지지부재(13,23,33)사이에 중간지지부재(15,25,35)가 연결되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며;
    콘크리트바닥에 대한 상기 앵커볼트(43)의 고정체결력이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받침지지부재(31) 부근에서 약간 거푸집(2) 방향으로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하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30)의 앵커볼트(43)가 체결되는 부분에 경사지게 경사부재(41)가 고정되며;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지지부재(13,23,33)들에 브레이싱 설치부재(47)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브레이싱(46)과, 상기 다수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20,30)의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외측지지부재(13)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51)로 삽입되는 난간대(50)와, 그 난간대(50)에 좌우난간대 설치부재(53)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좌우난간대(52)와, 상기 상부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10)의 상부수평지지부재(14)에 발판설치대(55) 및 발판지지대(56)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작업자용 발판(54)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1020020051062A 2002-08-28 2002-08-28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KR20040019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062A KR20040019501A (ko) 2002-08-28 2002-08-28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062A KR20040019501A (ko) 2002-08-28 2002-08-28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60U Division KR200298061Y1 (ko) 2002-09-04 2002-09-04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501A true KR20040019501A (ko) 2004-03-06

Family

ID=3732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062A KR20040019501A (ko) 2002-08-28 2002-08-28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950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14B1 (ko) * 2005-04-16 2007-06-22 주식회사 일호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0947880B1 (ko) * 2009-12-18 2010-03-1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 청암씨엔에스 건축용 거푸집 지지장치
CN103397777A (zh) * 2013-08-06 2013-11-20 胡彦彬 一种附着桁架式混凝土墙模板支撑
CN104806015A (zh) * 2015-02-17 2015-07-29 中交一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单侧墙体模板支架施工方法
CN105887922A (zh) * 2015-12-28 2016-08-24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一种桁架支撑装置及利用其进行内衬墙施工的方法
CN108755705A (zh) * 2018-07-12 2018-11-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免支模组合围檩及其施工方法
CN110230506A (zh) * 2019-07-01 2019-09-13 湖南五新隧道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侧墙施工的衬砌台车
CN110295622A (zh) * 2019-07-10 2019-10-0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桁排架组合结构挡土墙
KR20200000004U (ko) * 2018-06-22 2020-01-02 정혜진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CN114892959A (zh) * 2022-03-28 2022-08-12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墙体模架系统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14B1 (ko) * 2005-04-16 2007-06-22 주식회사 일호 합벽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100947880B1 (ko) * 2009-12-18 2010-03-1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 청암씨엔에스 건축용 거푸집 지지장치
CN103397777A (zh) * 2013-08-06 2013-11-20 胡彦彬 一种附着桁架式混凝土墙模板支撑
CN103397777B (zh) * 2013-08-06 2015-12-02 胡彦彬 一种附着桁架式混凝土墙模板支撑
CN104806015A (zh) * 2015-02-17 2015-07-29 中交一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单侧墙体模板支架施工方法
CN105887922B (zh) * 2015-12-28 2018-06-22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桁架支撑装置进行内衬墙施工的方法
CN105887922A (zh) * 2015-12-28 2016-08-24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一种桁架支撑装置及利用其进行内衬墙施工的方法
KR20200000004U (ko) * 2018-06-22 2020-01-02 정혜진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CN108755705A (zh) * 2018-07-12 2018-11-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免支模组合围檩及其施工方法
CN110230506A (zh) * 2019-07-01 2019-09-13 湖南五新隧道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侧墙施工的衬砌台车
CN110295622A (zh) * 2019-07-10 2019-10-0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桁排架组合结构挡土墙
CN114892959A (zh) * 2022-03-28 2022-08-12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墙体模架系统
CN114892959B (zh) * 2022-03-28 2024-01-09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墙体模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US20010037614A1 (en) Overhanging form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40019501A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KR101906120B1 (ko) 착탈 가능한 거푸집을 구비하는 비계 및 설치 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0862737B1 (ko)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US20100218452A1 (en) Adjustable Telescoping Support Mechanism for Use with Concrete Forming Systems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US8112965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monolithic tiered concrete slabs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H0972096A (ja) 仮設手摺りユニット
US20040040786A1 (en) Components for assembling scaffolding system
KR20200124891A (ko)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KR100247608B1 (ko) 건축시공용 비계
KR20190000607U (ko)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JP3287816B2 (ja) 建物内部階段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0596206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