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891A -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891A
KR20200124891A KR1020190048314A KR20190048314A KR20200124891A KR 20200124891 A KR20200124891 A KR 20200124891A KR 1020190048314 A KR1020190048314 A KR 1020190048314A KR 20190048314 A KR20190048314 A KR 20190048314A KR 20200124891 A KR20200124891 A KR 20200124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support
members
upright
scaf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700B1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19004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7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Abstract

본 발명은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체화되면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발판과 사다리 등을 포함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PIT층과 같은 층고가 높고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구조재; 각 제 1구조재의 하부에 둘 이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제 1구조재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직립형 서포트;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 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 1구조재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안치되는 둘 이상의 제 2구조재; 상기 둘 이상의 제 2구조재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부위의 노출을 마감하면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외부 또는 내부를 따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Truss footboard 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체화되면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발판과 사다리 등을 포함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PIT층과 같은 층고가 높고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는 바둑판처럼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과 상기 슬래브 폼의 하부에 마련되어 슬래브 폼을 지지하는 미들빔(멍에재)과, 상기 미들빔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을 지지하는 기둥(동바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 간은 볼트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밀착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구조의 슬래브 거푸집 장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미들빔을 올려놓고, 상기 미들빔과 미들빔 사이에는 복수의 슬래브 폼을 안치시킨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상기 슬래브 폼, 미들빔 그리고 기둥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처럼 종래 슬래브 거푸집 장치의 경우 그 구조는 간단하지만 바둑판 식으로 배열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많은 량의 슬래브 폼과, 슬래브 폼마다 각각 미들빔 및 기둥이 연결되어야하므로 인해 조립 과정은 물론 해체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기둥이 조밀하게 배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시공면의 하부 공간은 협소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슬래브 폼의 상단면은 그 높이를 서로 일치시켜야 슬래브 시공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둥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높이를 일치하여도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슬래브 폼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어 시공면이 불규칙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슬래브 거푸집 장치의 해체 시에는 기둥 및 미들빔을 제거한 후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슬래브 폼을 일시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해체 과정에서 현장 내 큰 소음을 발생시켜 공사 현장 내는 물론 공사 현장 주변에도 피해를 주는 등 빈번하게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슬래브 거푸집 장치의 조립 및 해체 과정에서는 많은 수의 작업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데 협소한 공간이거나 아파트의 PIT층과 같은 층고가 높은 시공 공간에서는 작업인력의 이동은 물론 작업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립 및 해체 과정에서 위험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은 물론 공간 제한으로 인한 시공의 많은 불편함이 있으므로 시공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2382호(2011.06.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체화되면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발판과 사다리 등을 포함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PIT층과 같은 층고가 높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는,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구조재; 각 제 1구조재의 하부에 둘 이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제 1구조재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직립형 서포트;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 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 1구조재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안치되는 둘 이상의 제 2구조재; 상기 둘 이상의 제 2구조재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부위의 노출을 마감하면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외부 또는 내부를 따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직립형 서포트는,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구조재의 하부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헤드부는, 좌우 및 상하로 각각 대칭되는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1개구부의 개구 부위 폭이 x이며, 상기 제 2개구부의 개구 부위 폭은 2x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직립형 서포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립형 서포트 간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의 보강트러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작업발판은, 상호 대향하는 선택된 한 쌍의 보강트러스부재 간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직립형 서포트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둘레를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직립형 서포트 외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외부작업발판은, 평면상 사각 영역을 형성하는 직립형 서포트들 중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는 각 직립형 서포트의 외면에 상기 보강트러스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 상기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된 하나의 코너받침부재와 이에 대향하여 인접한 타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코너받침부재 간에 안치되는 직선구간발판;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 간에 안치되는 코너구간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코너받침부재는 환봉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직선구간발판 및 코너구간발판은 각각 양단에 둘 이상의 걸림고리가 구성되어 상기 환봉 형태의 코너받침부재에 걸림 결합으로 탈부착 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보강트러스부재와 내부작업발판 또는 상기 보강트러스부재와 외부작업발판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선택된 하나의 보강트러스부재 또는 인접한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구성되는 보강트러스부재 간에 연결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구조재의 상부면에서 제 2구조재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장선각재; 및 상기 복수의 장선각재의 상부면에 안치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는, 종래 거푸집 장치를 구성하는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체화되어 조립 및 해체 시 소요되던 시간을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그에 따른 공기 단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테이블 장치 자체에 작업발판과 사다리 등이 구비됨으로써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아파트의 PIT층과 같은 층고가 높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립 및 해체 과정에 대한 용이성과 함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 장치의 이동과 높이 조절만으로 시공 준비를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잡자재의 최소화로 인해 현장 내 설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고공작업 및 낙하 위험성을 최소화, 안전한 작업으로 인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바둑판 식 거푸집 폼 구조와 대비하여 넓은 동바리 간격을 제공하면서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면 하부에 대하여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하부 동바리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층고 변화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립형 서포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작업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작업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립형 서포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작업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작업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이하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라 칭함)은, 한 쌍의 제 1구조재(100)와 직립형 서포트(200)와 제 2구조재(300)와 지지부(400) 및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100)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100)는 기초, 기둥, 벽, 바닥 등을 형성하기 위한 통상의 구조재로 목재 또는 금속재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는 각 제 1구조재(100)의 하부에 둘 이상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제 1구조재(1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100)에 각각 연결되는 직립형 서포트(20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칭되게 연결됨으로써 하중이 어느 하나의 직립형 서포트(200)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립형 서포트(200)는 그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구조재(100)의 하부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수용공간(211)이 구비된 헤드부(210)가 포함되어 상기 제 1구조재(100)의 안정적인 연결과 지지를 도모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헤드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로 각각 대칭되는 제 1개구부(212)와 제 2개구부(2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개구부(212)의 개구 부위 폭(a)이 x이며, 상기 제 2개구부(213)의 개구 부위 폭(b)은 2x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개구부(212) 또는 제 2개구부(213)의 배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적용 하여 헤드부(210)를 직립형 서포트(200)의 상단에 결합시킴에 따라 규격화된 구조재를 수용함에 있어 단일 제 1구조재(100) 또는 보강을 목적으로 결합된 두 개의 제 1구조재(100)를 모두 수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는 하단에 길이조절 수단(230)이 구성되어 층고 변화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의 둘레에는 복수의 체결공(221)이 형성된 플렌지부(220)가 각각 마련되어 복수의 직립형 서포트(200) 간의 수직 방향 결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5 등에서와 같이 두 개의 직립형 서포트(200)가 상호 볼트 체결되어 연장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공 대상의 층고 높이에 따라 결합 갯수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 수단(230)은 공지의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구조재(300)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100) 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 1구조재(100)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안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100)와 둘 이상의 제 2구조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격자 형태로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갖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구조재(300)의 연결은 클램프, 볼트, 못 등 공지의 결합 수단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제 2구조재(300) 간에 형성되는 개구 부위의 노출을 마감하면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언급된 '상부 구조물'은 지지 대상으로서 테이블 장치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층이거나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슬래브층일 수 있다.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외부 또는 내부를 따라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업발판은 조립 및 해체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닛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 높이는 층고를 포함하여 시공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작업발판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는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립형 서포트(200) 간을 연결 및 고정하는 보강트러스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트러스부재(600)는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에 가해지는 하중 내지 휨 모멘트를 분산하는 등 직립형 서포트(200)에 대한 보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테이블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장선각재(410)와 판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선각재(410)는 상기 제 2구조재(300)의 상부면에서 제 2구조재(3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안치되어 제 2구조재(300) 간 격자형 배치 구조를 갖도록 한다.
상기 장선각재(410)는 목재 또는 금속재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420)는 상기 복수의 장선각재(410)의 상부면에 안치 및 결합되어 장선각재(410) 간 형성되는 개구 부위를 마감하면서 실질적인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며 타설면의 이음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일 유닛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판부재(420)는 투광성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FRP)으로 구성되는 콘 판넬(con-panel)일 수 있다.
거푸집에 이용되는 불투명의 목재 판재 등은 상부의 채광 공간을 밀폐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거푸집을 시공한 후에는 하부의 작업 공간이 어두워 조명 시설을 이용하여 채광을 대신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판부재(420)를 투광성의 콘 판넬로 구성함으로써 하부가 밝은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생산선 향상과 공사 현장의 안전 관리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콘 판넬의 경우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내수성, 가공성, 내구성, 강도, 복원력이 좋고 변형성이 적음은 물론, 전용 횟수의 증가로 결과적으로는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발판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작업발판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둘레를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직립형 서포트(200) 외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작업발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외부작업발판(500)은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510)와 직선구간발판(520) 및 코너구간발판(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510)는 평면상 사각 영역을 형성하는 직립형 서포트(200)들 중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는 각 직립형 서포트(200)의 외면에 상기 보강트러스부재(60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코너받침부재(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직립형 서포트(200)의 외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들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코너받침부재(510)는 상부에 안치되는 직선구간발판(520) 또는 코너구간발판(5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너받침부재(510)는 환봉의 형태로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511, 512)과, 상기 한 쌍의 가로프레임(511, 512)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513, 514)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프레임(511, 512)에서 직립형 서포트(200)를 향하는 끝단에는 각각 직립형 서포트(200)의 외면과의 체결을 위한 파이프클램프(515)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513, 514) 중 외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세로프레임(514)는 사선방향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지지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구간발판(520)은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에 연결된 하나의 코너받침부재(510)와 이에 대향하여 인접한 타 직립형 서포트(200)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코너받침부재(510) 간에 안치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구간발판(530)은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510) 간에 안치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코너받침부재(5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봉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상기 직선구간발판(520) 및 코너구간발판(530)의 경우 각각 양단에 둘 이상의 걸림고리(521, 531)가 구성되어 상기 환봉 형태의 코너받침부재(510)에 걸림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의 조립 및 해체 과정에서 탈부착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보강트러스부재(600)를 구비함에 있어 상호 대향하는 선택된 한 쌍의 보강트러스부재(600) 간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는 내부작업발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작업발판(7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장치의 내측 공간에 대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내부작업발판(700)에 올라가 이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를 용이하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작업발판(700)은 평판 형상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보강트러스부재(600) 간에 형성되는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양 단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801)가 구비되어 환 봉 형태를 갖는 상기 보강트러스부재(60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업발판은 실시 예로서 외부작업발판(500)과 내부작업발판(700)이 각각 독립된 형태로 테이블 장치에 결합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서와 같이 작업 환경에 따라 외부작업발판(500)과 내부작업발판(700)이 함께 테이블 장치에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는 상술한 보강트러스부재(600)와 외부작업발판(500) 또는 보강트러스부재(600)와 내부작업발판(700)은 시공 대상 공간의 층고에 대응하여 직립형 서포트(200)의 높이가 결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층고가 상당히 높아질 경우, 도 1등에서와 같이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층고 변화에 유동적으로 보강트러스부재(600)와 외부작업발판(500) 또는 보강트러스부재(600)와 내부작업발판(700)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는 바, 하위 단에서 상위 단으로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800)는 복수의 발판이 마련되는 통상의 사다리 구조일 수 있으며, 양단에 각각 걸림고리(801)가 구비되어 환봉 형태를 갖는 상기 보강트러스부재(60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가 단일 단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사다리(800)는 선택된 하나의 보강트러스부재(600)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테이블 장치가 복수 단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사다리(800)는 인접한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구성되는 보강트러스부재(600) 중 선택된 상단의 일 보강트러스부재(600)와 선택된 하단의 일 보강트러스부재(600) 간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제 1구조재 200 : 직립형 서포트
300 : 제 2구조재 400 : 지지부
410 : 장선각재 420 : 판부재
500 : 외부작업발판 510 : 코너받침부재
520 : 직선구간발판 530 : 코너구간발판
600 : 보강트러스부재 700 : 내부작업발판
800 : 사다리

Claims (11)

  1.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구조재;
    각 제 1구조재의 하부에 둘 이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제 1구조재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직립형 서포트;
    상기 한 쌍의 제 1구조재 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 1구조재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안치되는 둘 이상의 제 2구조재;
    상기 둘 이상의 제 2구조재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부위의 노출을 마감하면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외부 또는 내부를 따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는,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구조재의 하부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좌우 및 상하로 각각 대칭되는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1개구부의 개구 부위 폭이 x이며, 상기 제 2개구부의 개구 부위 폭은 2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립형 서포트 간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복수의 보강트러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상호 대향하는 선택된 한 쌍의 보강트러스부재 간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직립형 서포트들로부터 형성되는 평면상 사각 영역의 둘레를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직립형 서포트 외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작업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작업발판은,
    평면상 사각 영역을 형성하는 직립형 서포트들 중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는 각 직립형 서포트의 외면에 상기 보강트러스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
    상기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된 하나의 코너받침부재와 이에 대향하여 인접한 타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코너받침부재 간에 안치되는 직선구간발판;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받침부재 간에 안치되는 코너구간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받침부재는 환봉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직선구간발판 및 코너구간발판은 각각 양단에 둘 이상의 걸림고리가 구성되어 상기 환봉 형태의 코너받침부재에 걸림 결합으로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트러스부재와 내부작업발판 또는 상기 보강트러스부재와 외부작업발판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의 보강트러스부재 또는 인접한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구성되는 보강트러스부재 간에 연결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구조재의 상부면에서 제 2구조재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장선각재; 및
    상기 복수의 장선각재의 상부면에 안치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KR1020190048314A 2019-04-25 2019-04-25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KR10225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14A KR102255700B1 (ko) 2019-04-25 2019-04-25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14A KR102255700B1 (ko) 2019-04-25 2019-04-25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91A true KR20200124891A (ko) 2020-11-04
KR102255700B1 KR102255700B1 (ko) 2021-05-25

Family

ID=7357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314A KR102255700B1 (ko) 2019-04-25 2019-04-25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30B1 (ko) * 2022-06-24 2023-05-26 김재성 Pit층 멀티 서포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it층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5928U (ko) * 1975-04-25 1976-11-02
KR20010092471A (ko) * 2001-02-26 2001-10-26 하동영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1042382B1 (ko) 2008-01-28 2011-06-17 삼목정공주식회사 슬래브 폼 장치
KR20140008830A (ko) * 2012-07-12 2014-01-22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폼 장치
KR20180033669A (ko) * 2016-09-26 2018-04-04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5928U (ko) * 1975-04-25 1976-11-02
KR20010092471A (ko) * 2001-02-26 2001-10-26 하동영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1042382B1 (ko) 2008-01-28 2011-06-17 삼목정공주식회사 슬래브 폼 장치
KR20140008830A (ko) * 2012-07-12 2014-01-22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폼 장치
KR20180033669A (ko) * 2016-09-26 2018-04-04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30B1 (ko) * 2022-06-24 2023-05-26 김재성 Pit층 멀티 서포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it층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700B1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0002C1 (ru) Каркас здания
US6151851A (en) Stackable support colum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GB2578952A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US9045894B2 (en) Center-supported wall panel
KR101289048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JPS6348753Y2 (ko)
RU2552506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зданий и несъёмная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дульная опалуб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2255700B1 (ko)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EA025899B1 (ru) Система модульной опалубки
US8100378B1 (en) Coupling system for vertically engaging support columns for concrete multi floor construction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RU2707117C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20150092466A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200136127A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RU2197578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109900B1 (ko) 형틀 없는 콘크리트공법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
KR101216734B1 (ko) 표준규격 안전발판 설치용 서포트모듈 및 상기 모듈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포트모듈시스템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2437398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일체형 슬라브 유로폼 시스템
CN205444453U (zh) 装配式预应力双t板框架结构
KR102620613B1 (ko)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KR101854159B1 (ko) 외부 비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