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04U -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04U
KR20200000004U KR2020180002870U KR20180002870U KR20200000004U KR 20200000004 U KR20200000004 U KR 20200000004U KR 2020180002870 U KR2020180002870 U KR 2020180002870U KR 20180002870 U KR20180002870 U KR 20180002870U KR 20200000004 U KR20200000004 U KR 202000000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support bar
fasten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358Y1 (ko
Inventor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정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진 filed Critical 정혜진
Priority to KR2020180002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5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일정 높이와 면적을 갖도록 설치된 지지구조체와, 이 지지구조체에 장착되는 방음판을 구비하는 가설방음벽에서, 지지구조체는 방음판이 장착되도록 바둑판 형태로 체결된 다수의 가로바 및 세로바와, 가로바 또는 세로바와 체결되어 지반에 매설되는 앞지주바를 구비하는 설치부;와 세로바 중 최하위 세로바에 일단이 체결되어 평면상 부채꼴 형태이면서 후방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닥지지바, 이 바닥지지바의 타단에 체결되어 지반에 매립되는 뒷지주바, 바닥지지바 또는 뒷지주바에 일단이 체결되면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타단이 체결되어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지지바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Supporting assembly for temporary soundproofing walls}
본 고안은 가설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방음판이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의 지지력이 제작 높이에 대해 설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한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건설공사 현장, 토목공사 현장, 도로, 철도 등 소음이 발생되는 장소에는 공사 지역의 외부나 주거지역으로 소음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가설방음벽이 설치된다. 또한, 가설방음벽은 건물 등의 공사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바, 이는 공사기간 중 공사현장 주변에 가설되어 사용되고 공사가 종료되면 가설방음벽을 철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설방음벽은 일례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222186호(발명의 명칭 : 방음시설)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자면, 하부가 지반에 매립되어 입상으로 설치된 메인지지대(10), 메인지지대(10)의 전면 장착된 방음판(11)과, 메인지지대(10)를 지지하기 위해 후면에 경사지게 설치된 보조지지대(12)와, 보조지지대(12)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지반에 매립된 기초지지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인지지대(10), 보조지지대(12)와 기초지지대(13)는 단관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방음벽은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하지만, 위의 가설방음벽은 낮게 설치되는 경우 주로 설치되고, 높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풍하중을 고려한 허용응력설계법에 의해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른 예의 가설방음벽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041000호(발명의 명칭 : 가설방음벽용 지주)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자면, 지반에 굴착된 천공홀에 하부가 깊게 삽입된 후 콘크리트구조물(C)로 매설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H빔인 지주(20), 지주(20)에 횡방향이면서 높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고정파이프(21)와, 고정파이프(21)에 설치된 방음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 가설방음벽은 설치 비용이 높고, 설치 작업이 어렵다. 또한, 철거시 지반 위에 노출된 지주(20)의 상부를 자르고, 지반에 매립된 지주(20)의 하부까지 완전히 제거해야 하므로, 지주(20)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설치 비용이 높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186호(2013.02.1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000호(2011.06.1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4866호(2002.05.13.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음판이 설치되는 지지구조체가 단관파이프들로 견고히 제작되고, 종래의 지주를 설치한 정도의 높이 정도로 높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는, 일정 높이와 면적을 갖도록 설치된 지지구조체와, 이 지지구조체에 장착되는 방음판을 구비하는 가설방음벽에서, 지지구조체는 방음판이 장착되도록 바둑판 형태로 체결된 다수의 가로바 및 세로바와, 가로바 또는 세로바와 체결되어 지반에 매설되는 앞지주바를 구비하는 설치부;와 세로바 중 최하위 세로바에 일단이 체결되어 평면상 부채꼴 형태이면서 후방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닥지지바, 이 바닥지지바의 타단에 체결되어 지반에 매립되는 뒷지주바, 바닥지지바 또는 뒷지주바에 일단이 체결되면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타단이 체결되어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지지바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앞지주바는 세로바 또는 가로바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적어도 1개이거나, 가로바가 연장되어 지반에 매립된 가로바의 연장부위일 수 있다. 또는, 앞지주바는 하나의 가로바를 사이에 두고 최하위의 제1세로바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제1앞지주바 및 제2앞지주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바는 일단 부위가 최하위의 세로바에 체결되면서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또는, 바닥지지바는 하나의 가로바를 사이에 두고 최하위의 제1세로바에 일단이 체결되어 평면상 삼각형태로 배치된 제1바닥지지바 및 제2바닥지지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닥지지바는 이웃한 바닥지지바에 대해 측면상 길이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제1바닥지지바는 제2바닥지지바에 대해 길이가 동일하거나 길거나 짧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뒷지주바는 상단 부위가 각각의 바닥지지바에 체결된 적어도 1개일 수 있다. 또는, 뒷지주바는 제1바닥지지바의 타단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제1뒷지주바와, 제2바닥지지바의 타단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제2뒷지주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사지지바는 하나의 바닥지지바에 일단이 체결되면서 타단이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체결된 적어도 1개일 수 있다. 또는, 경사지지바는 제1바닥지지바의 타단에 하단 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중하부를 지지하도록 체결된 제1-1경사지지바, 제1바닥지지바의 타단에 하단 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1-2경사지지바, 제2바닥지지바의 타단에 하단 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2-1경사지지바, 제2바닥지지바의 타단에 하단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중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2-2경사지지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바는 경사바를 지지하기 위해 경사지지바와, 가로바 또는 세로바 사이를 연결하여 체결된 적어도 1개일 수 있다. 또는, 수평지지바는 제1-2경사지지바에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를 연결하면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수평지지바와, 제2-2경사지지바에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를 연결하여 설치된 제2수평지지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경사지지바들 중 적어도 2개를 세로로 연결하여 체결된 세로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지지바가 대략 삼각형상으로 배치되고, 경사지지바가 하나의 가로바에 대해 적어도 4곳에서 지지함으로써, 낮은 간이방음벽에만 설치되었던 단관파이프로 높은 높이의 간이방음벽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렴한 단관파이프로 종래의 비싼 형강을 대신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단관파이프를 매립함으로써, 철거시 종래의 형강보다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 기간이 단축되면서 작업 비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간이방음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지구조체에 방음판이 설치된 간이방음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방음판이 제거된 지지구조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 일부위의 구조가 추출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는 낮은 높이로만 설치 가능하였던 단관파이프들을 연결하여 종래의 형강으로 제작 가능한 높은 높이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단관파이프 이외에 종래의 형강과 같이 높은 강도이면서 비용이 비싼 재료가 배제되면서 낮은 강도이면서 비용이 저렴한 파이프와 유사한 통상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구조체는 종래의 형강으로 제작하는 정도의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대략 분진망(M)이 설치되는 1m를 포함하여 6.0m + 1.0m(M)의 높이는 물론 7.5m + 1.0m(M)의 높이로도 설치 가능하다. 물론, 단관파이프의 강도에 따라 더 높은 높이로도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실시 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100)와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설치부(100)와 지지부(200)는 일례로 단관파이프들을 연결하여 제작될 수 있고, 이외에 종래의 형강과 같이 높은 강도이면서 비용이 비싼 재료가 배제되면서 낮은 강도이면서 비용이 저렴한 파이프와 유사한 통상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치부(100)와 지지부(200)는 단관파이프로 제작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는 설치부(100)와,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설치부(100)와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모든 단관파이프는 서로 클램프 또는 용접으로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설치부(10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전면에 방음판(P)이 설치되도록 제작된다. 이 설치부(100)는 최상부에 분진망(M)을 설치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부(1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지상에 배치되면서 대략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바 및 세로바와, 가로바의 하단에 체결되어 지반에 매설된 앞지주바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는 우측에서 좌측의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가로바(110), 제2가로바(111), 제3가로바(112) 및 제4가로바(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들 가로바들 사이에 더 굵고 강도가 높은 가로바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이 가로바는 일례로 제2가로바(111) 또는 제3가로바(112)일 수 있다.
세로바는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최하위의 제1세로바(120), 제2세로바(121), 제3세로바(122), 제4세로바(123), 제5세로바(124), 제6세로바(125) 및 최상위의 제7세로바(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6세로바(125) 및 제7세로바(126)에는 도 3에서와같이 분진망(M)이 설치될 수 있다.
앞지주바는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최하위 세로바 연결되면서 지반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이 앞지주바는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고, 1개의 가로바에 1개만 설치되거나 가로바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앞지주바는 도 6에서 보듯이 상단이 제1세로바(120)에 체결되면서 제1가로바(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설치된 제1앞지주바(130)와 제2앞지주바(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앞지주바(130)와 제2앞지주바(131)는 이들 사이에 제1가로바(110), 제1바닥지지바(210) 및 제2바닥지지바(211)가 위치하도록 설치되거나, 제1가로바(110)만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앞지주바(130)와 제2앞지주바(131)는 제1가로바(110)와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앞지주바는 다른 예로, 가로바가 연장된 부위일 수 있고, 이때 가로바의 하부가 지반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00)는 설치부(100)를 지지하기 위해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설치부(100)의 후부와 지면을 연결하듯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최하위 세로바에 일단이 연결되어 후방으로 설치된 바닥지지바, 이 바닥지지바의 후방측 타단에 연결되어 지반에 매립된 뒷지주바, 바닥지지바의 타단 및 가로바를 연결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지지바와, 이 경사지지바 및 가로바 사이에 설치된 수평지지바와, 세로지지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지지바는 평면상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2개 이상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바닥지지바는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평면상 대략 삼각형으로 배치된 2개이고, 각각 최하위 세로바에 일단이 체결되면서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2개의 바닥지지바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최하위 세로바와 2개의 뒷지주바를 각각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바닥지지바는 평면상 대략 삼각형상으로 벌어지게 배치된 제1바닥지지바(210) 및 제2바닥지지바(2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제1바닥지지바(210) 및 제2바닥지지바(211)의 일단은 제1가로바(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제1세로바(120)에 체결되고, 타단은 각각 제1뒷지주바(220)와 제2뒷지주바(221)에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 제1바닥지지바(210) 및 제2바닥지지바(211)의 일단은 1개의 꼭지점을 갖도록 제1세로바(120) 또는 제1가로바(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닥지지바(210)와 제2바닥지지바(211)는 서로 측면상 길이가 다르게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바닥지지바(210)가 제2바닥지지바(211) 보다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뒷지주바는 지반에 매립된 2개이고, 평면상 대략 삼각형으로 배치된 각각의 바닥지지바의 타단에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뒷지주바는 제1바닥지지바(210)의 타단에 체결된 제1뒷지주바(220)와, 제2바닥지지바(211)의 타단에 체결된 제2뒷지주바(2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뒷지주바(210) 및 제2뒷지주바(211)의 간격은 제1앞지주바(130) 및 제2앞지주바(131) 간의 간격보다 더 멀 수 있다. 여기서, 앞지주바와 뒷지주바의 매설 깊이는 일례로 가로바가 지상 7 ~ 8.5m인 경우, 대략 1.5~ 2.0m일 수 있다.
경사지지바는 설치부(100)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과 설치부(100)의 후면을 연결하여 설치된다. 이 경사지지바는 일단이 세로바 또는 가로바와 체결되고, 타단이 바닥지지바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지지바는 1개의 바닥지지바에 1개 이상 설치되고, 2개 이상인 경우 서로 경사각도를 달리하여 설치부(100)의 중간부와 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지지바는 1개의 가로바에 2개의 바닥지지바가 설치된 경우, 각 바닥지지바에 설치된 경사지지바는 1개의 가로바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경사지지바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제1바닥지지바(210)에 체결된 제1-1경사지지바(230) 및 제1-2경사지지바(231)와, 제2바닥지지바(211)에 체결된 제2-1경사지지바(232) 및 제2-2경사지지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경사지지바(230)는 제1뒷지주바(220)측 제1바닥지지바(210)의 타단과, 제1가로바(110)와 제4세로바(124)의 교차 지점을 연결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2경사지지바(231)는 제1뒷지주바(220)측 제1바닥지지바(210)의 타단과, 제1가로바(110)와 제6세로바(125)의 교차 지점을 연결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1경사지지바(232)는 제2뒷지주바(221)측 제2바닥지지바(211)의 타단과, 제1가로바(110)와 제2세로바(121)의 교차 지점을 연결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경사지지바(233)는 제2뒷지주바(221)측 제2바닥지지바(211)의 타단과, 제1가로바(110)와 제5세로바(124)의 교차 지점을 연결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1경사지지바(230), 제1-2경사지지바(231), 제2-1경사지지바(232) 및 제2-2경사지지바(233)의 일단은 각각 제1바닥지지바(210) 및 제2바닥지지바(211)와 체결되지만, 타단은 상기된 위치 이외에 다른 가로바와 세로바의 교차 지점에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설치부(100)의 높이에 따른 허용응력의 변화에 맞춰 체결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물론, 경사지지바가 더 많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된 제1-1경사지지바(230), 제1-2경사지지바(231), 제2-1경사지지바(232) 및 제2-2경사지지바(233)는 제1가로바(110)에만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웃한 제2가로바(111) 및/또는 제3가로바(112)에도 체결될 수도 있다.
수평지지바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지지바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수평지지바는 경사지지바와, 세로바 또는 가로바의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수평지지바는 세로바와 가로바의 교차지점 또는, 교차 이외의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수평지지바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제1-2경사지지바(231)와 제3세로바(122)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된 제1수평지지바(240)와, 제2-2경사지지바(233)와 제2세로바(121)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된 제2수평지지바(24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수평지지바(240)와 제2수평지지바(241)는 다른 세로바와 경사지지바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세로지지바(250)는 경사지지바들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세로지지바(250)는 경사지지바들을 연결하면서 세로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보듯이, 세로지지바(250)는 제2-2경사지지바(233)들을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세로지지바(250)는 제1-1경사지지바(230), 제1-2경사지지바(231) 및 제2-1경사지지바(232)를 연결하여 단독 또는 추가 설치될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설치부
110:제1가로바 111:제2가로바
112:제3가로바 113:제4가로바
120:제1세로바 121:제2세로바
122:제3세로바 123:제4세로바
124:제5세로바 125:제6세로바
126:제7세로바 130:제1앞지주바
131:제2앞지주바
200:지지부
210:제1바닥지지바 211:제2바닥지지바
220:제1뒷지주바 221:제2뒷지주바
230:제1-1경사지지바 231:제1-2경사지지바
232:제2-1경사지지바 233:제2-2경사지지바
240:제1수평지지바 241:제2수평지지바
250:세로지지바
P:방음판.
M:분진망.

Claims (8)

  1. 일정 높이와 면적을 갖도록 설치된 지지구조체와, 이 지지구조체에 장착되는 방음판(P)을 구비하는 가설방음벽에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방음판(P)이 장착되도록 바둑판 형태로 체결된 다수의 가로바 및 세로바를 구비하는 설치부(100);와
    상기 세로바 중 최하위 세로바에 일단이 체결되어 평면상 부채꼴 형태이면서 후방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닥지지바, 바닥지지바 또는 뒷지주바에 일단이 체결되면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타단이 체결되어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지지바를 구비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2. 제1항에서,
    상기 설치부(100)는 가로바 또는 세로바와 체결되어 지반에 매설되는 앞지주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앞지주바는 세로바 또는 가로바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적어도 1개이거나, 가로바가 연장되어 지반에 매립된 가로바의 연장부위이거나,
    하나의 가로바를 사이에 두고 최하위의 제1세로바(120)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제1앞지주바(130) 및 제2앞지주바(1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3. 제1항에서,
    상기 바닥지지바는 일단 부위가 최하위의 세로바에 체결되면서 적어도 2개이거나,
    하나의 가로바를 사이에 두고 최하위의 제1세로바(120)에 일단이 체결되어 평면상 삼각형태로 배치된 제1바닥지지바(210) 및 제2바닥지지바(2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4. 제3항에서,
    상기 바닥지지바는 이웃한 바닥지지바에 대해 측면상 길이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치되거나,
    상기 제1바닥지지바(210)는 제2바닥지지바(211)에 대해 길이가 동일하거나 길거나 짧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5. 제4항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바닥지지바 또는 경사지지바의 타단에 체결되어 지반에 매립되는 뒷지주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뒷지주바는 상단 부위가 각각의 바닥지지바에 체결된 적어도 1개이거나,
    제1바닥지지바(210)의 타단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제1뒷지주바(220)와, 제2바닥지지바(211)의 타단에 상단 부위가 체결된 제2뒷지주바(2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6. 제5항에서,
    상기 경사지지바는 하나의 바닥지지바에 일단이 체결되면서 타단이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체결된 적어도 1개이거나,
    제1바닥지지바(210)의 타단에 하단 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중하부를 지지하도록 체결된 제1-1경사지지바(230), 제1바닥지지바(210)의 타단에 하단 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상기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1-2경사지지바(231), 제2바닥지지바(211)의 타단에 하단 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상기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2-1경사지지바(232), 제2바닥지지바(211)의 타단에 하단부위가 체결되면서 상단 부위가 상기 하나의 지지바에 대해 중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2-2경사지지바(2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7. 제6항에서,
    상기 수평지지바는 경사바를 지지하기 위해 경사지지바와, 가로바 또는 세로바 사이를 연결하여 체결된 적어도 1개이거나,
    제1-2경사지지바(231)에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를 연결하면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수평지지바(240)와, 제2-2경사지지바(233)에서 가로바 또는 세로바를 연결하여 설치된 제2수평지지바(2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경사지지바들 중 적어도 2개를 세로로 연결하여 체결된 세로지지바(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KR2020180002870U 2018-06-22 2018-06-22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KR200492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70U KR200492358Y1 (ko) 2018-06-22 2018-06-22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70U KR200492358Y1 (ko) 2018-06-22 2018-06-22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04U true KR20200000004U (ko) 2020-01-02
KR200492358Y1 KR200492358Y1 (ko) 2020-09-23

Family

ID=6915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70U KR200492358Y1 (ko) 2018-06-22 2018-06-22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5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958B1 (ko) * 1994-02-25 1999-09-01 첸 쿠웨이 쿠앙 개선된 하중 지지부 및 구동 시스템을 구비한 수직 적재 보관용 컨베이어
KR200167204Y1 (en) * 1997-06-09 2000-03-15 Chun Su Oh Supporting means for form concrete walls
KR200274866Y1 (ko) 2002-01-26 2002-05-13 최유식 가설방음벽 구조
KR20040019501A (ko) * 2002-08-28 2004-03-06 홍창모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KR101041000B1 (ko) 2010-10-19 2011-06-16 주식회사 미호 가설방음벽용 지주
KR101222186B1 (ko) 2011-04-29 2013-02-18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방음시설
JP2015168960A (ja) * 2014-03-06 2015-09-28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工事現場用仮囲いの防音構造及び先端改良型消音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958B1 (ko) * 1994-02-25 1999-09-01 첸 쿠웨이 쿠앙 개선된 하중 지지부 및 구동 시스템을 구비한 수직 적재 보관용 컨베이어
KR200167204Y1 (en) * 1997-06-09 2000-03-15 Chun Su Oh Supporting means for form concrete walls
KR200274866Y1 (ko) 2002-01-26 2002-05-13 최유식 가설방음벽 구조
KR20040019501A (ko) * 2002-08-28 2004-03-06 홍창모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합벽타설공법
KR101041000B1 (ko) 2010-10-19 2011-06-16 주식회사 미호 가설방음벽용 지주
KR101222186B1 (ko) 2011-04-29 2013-02-18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방음시설
JP2015168960A (ja) * 2014-03-06 2015-09-28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工事現場用仮囲いの防音構造及び先端改良型消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358Y1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WO2007061541A2 (en) Shallow mounted fixed vehicle barrier device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09209591A (ja) 床版の沈下防止対策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JP5503408B2 (ja) 建物の施工方法
KR102036648B1 (ko) 흙막이 안전공사를 위한 다중 토류벽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200000004U (ko) 가설방음벽용 지지구조체
KR20060106159A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그의시공방법
KR100944792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200387013Y1 (ko) 낙석방지책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JP2004346729A (ja) 拡幅道路
JP7084798B2 (ja) 道路用防護柵の基礎部材及び道路用防護柵並びにその構築工法
KR20210000098A (ko) 보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JP6084388B2 (ja) 新設基礎の構築方法
JP6449115B2 (ja) 耐震構造および耐震化方法
KR101345397B1 (ko) 가설방음벽용 포스트 부재
KR101557462B1 (ko) 자립식 가설 흙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JP3132876U (ja) 建築物の補強基礎構造
KR200258949Y1 (ko) 흙막이벽 구축용 트러스식 지보구조체
KR102300692B1 (ko)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KR101107784B1 (ko) 파일형 방벽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371603B1 (ko) 토류판 구조물 및 토류판 결합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