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792B1 -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792B1
KR100944792B1 KR1020090068743A KR20090068743A KR100944792B1 KR 100944792 B1 KR100944792 B1 KR 100944792B1 KR 1020090068743 A KR1020090068743 A KR 1020090068743A KR 20090068743 A KR20090068743 A KR 20090068743A KR 100944792 B1 KR100944792 B1 KR 10094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arth
prefabricated
conductive resistanc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훈
이태기
Original Assignee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훈 filed Critical 신동훈
Priority to KR102009006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토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토류판, 및 토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가해지는 토사에 의한 압력에 의해 토류판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 저항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흙막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타이로드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적치 토사의 성토 단면 폭을 효율적으로 줄임으로써 통행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조립식, 흙막이, 그레이팅, 전도 저항

Description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Assembly Type Structure of Land-slide Protection Wall}
본 발명은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로드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적치 토사의 성토 단면 폭을 효율적으로 줄임으로써 통행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가지 등 폭이 좁은 도로에서 하수관 매설공사를 하는 경우 트렌치 형태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한 흙을 굴착단면 바로 옆에 쌓아 놓았다가 하수관을 매설한 후, 옆에 쌓아 놓았던 흙으로 다시 메우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하수관을 매설하게 된다.
흙막이 등 아무런 보호시설 없이 흙을 쌓아 놓는 경우에는 우리나라 도심지 대부분의 토질의 안식각은 30도 내지 45를 이루므로, 성토 단면의 바닥 폭이 넓어져 도로의 통행로를 잠식하게 된다. 이러한 성토 방법은 좁은 도로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함은 물론, 바람에 의해 흙먼지가 대기를 오염시키기도 하고, 빗물에 의해 통행로 주변을 더욱 오염시키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로드에 의해 결합된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되메울 때 타이로드가 굴착장비의 작업을 방해함으로써 장비의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적치토사량이 적을 때에도 서로 마주 보는 양면을 형성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수단으로 운반 장비를 이용하여 굴착한 토사를 넓은 장소로 옮겨놨다가 하수관을 매설한 후 다시 운반해 와 되메움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 방법은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로드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적치 토사의 성토 단면 폭을 효율적으로 줄임으로써 통행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는,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있어서, 토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토류판; 및 상기 토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가해지는 상기 토사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토류판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 저항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류판의 하부에 상기 전도 저항판을 결합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류판과 상기 전도 저항판은 각각 그레이팅으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토류판의 하부에 구비된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전도 저항판에 구비된 크로스 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류판과 상기 전도 저항판은 각각 그레이팅으로 제작되며, 상기 토류판과 상기 전도 저항판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크로스 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도 저항판의 길이와 상기 토류판의 높이는 동일하며, 상기 전도 저항판의 폭은 상기 토류판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2열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2열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대향되도록 설치된 각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전도 저항판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흙막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타이로드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적치 토사의 성토 단면 폭을 효율적으로 줄임으로써 통행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로드에 의해 되메울 때 초래되는 장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재료가 가벼워 인력으로도 운반조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토 단면의 폭을 자연 상태 성토 단면의 폭에 비해 반으로 줄여 안정한 통행로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사용되는 그레이팅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사용되는 그레이팅(10)은 응력 주방향으로 I형의 베어링 바(11)와 베어링 바(11)에 직교하는 크로스 바(13)가 용융 압접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격자형 틀을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그레이팅(10)은 하부에 엔드 플레이트(15)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는 토류판(110), 전도 저항판(130), 고정부(150), 및 연결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토류판(110)은 하수관 매설공사 등에서 굴착하여 쌓아놓은 토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도 저항판(130)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150)를 통해 토류판(110)의 하부와 결합되며, 상부에는 토사에 의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토류판(110)의 수평토압에 의한 전도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부(150)는 토류판(110)의 하부에 전도 저항판(130)을 결합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정부(150)는 도 3에서와 같은 클립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토류판(110)과 전도 저항판(130)은 각각 도 2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틸 그레이팅(10)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연결부(170)는 토류판(110)과 전도 저항판(130)에 각각 구비하게 되는 크로스 바(13)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토류판(110)과 전도 저항판(1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결부(170)는 도 3에서와 같은 형상의 턴 버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토류판(110)과 전도 저항판(130)을 각각 도 2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틸 그레이팅(10)으로 제작한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150)는 토류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엔드 플레이트(15)를 전도 저항판(130)에 구비되어 있는 크로스 바(13)에 클립 고정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서 복수개의 토류판(110)과 전도 저항판(130)이 현장에서 요구되는 길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토류판(110)은 도 2에서와 같은 그레이팅(10)을 뼈대로 하되, 토류판(110)과 흙이 접촉하는 전면부는 흙 속의 물을 신속히 배제시켜 토류판(110)에 작용하는 수압을 줄일 수 있는 타공판이나 그물망 구조의 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전도 저항판(130)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그레이팅(10)을 뼈대로 하되 상면부에는 수직토압을 전달받기 위하여 타공판이나 무공판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토류판(110)의 높이(h)와 전도 저항판(130)의 길이(l)는 동일한 것으로 하며, 전도 저항판(130)의 폭(Wr)은 토류판(110)의 폭(Ws)의 1/2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는 도 8에서와 같이 2열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 경우에 전도 저항판(130)이 토류판(110)의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게 된 결과, 전도 저항판(130)은 대향하는 전도 저항판(130)의 사이로 끼어 들어감으로써, 2개의 열에서의 전도 저항판(130)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게 될 수도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을 활용함으로써 시공자는 도로 여건과 적치 토사의 양에 따라 흙막이 구조체의 폭을 적응하여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직토압은 전도 저항판(130)의 중심점에 작용하고, 수평토압은 토류판(110)의 하부 1/3지점에 작용하는 결과, 전도 저항판(130)에 작용하는 수직토압의 전도 저항 모멘트는 토류판(11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의 전도 모멘트보다 크게 되므로, 토류판(110)의 높이(h)와 전도 저항판(130)의 길이(l)는 동일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는 전도되지 않고 자립하게 된다.
도 4에서 복수개의 토류판(110)을 연속적으로 결합함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토류판(110)의 마주보는 베어링 바(11)를 일반적인 웨지 핀(Wedge Pin)을 이용하는 방식이외에도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토류판(110)의 베어링 바(1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이웃하는 토류판(110)의 마주보는 베어링 바(11)에는 도 7에서와 같은 모양의 체결공(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모양의 체결공(6)에 도 6에서와 같은 형상의 링핀 체결구(9)를 끼워 체결 고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링핀 체결구(9)를 토류판(110)의 베어링 바(11)에 형성된 체결공(6)에 끼워 체결 고정을 하는데 링핀 체결구(9)는 체결공(6)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선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끼움부(7)를 형성하고 있으며, 끼움부(7)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협지부(4)에는 클립타지부(8)가 도 6에서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링핀 체결구(9)의 끼움부(7)가 토류판(110)의 베어링 바(11)에 형성된 체결공(6)에 끼워진 상태에서 클립타지부(8)는 이웃하는 두개의 토류판(110)의 마주보는 베어링 바(11)의 웹(Web)을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클립타지부(8)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아래부분으로 힘을 가하여 회동되면 클립타지부(8)에 연결된 협지부(4)에 마주보는 베어링 바(11)가 끼어져 체결되어 토사의 수평토압에도 견딜수 있는 견고함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링핀 체결구(9)는 끼임부(7)가 체결공(6)에 끼워진 상태에서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끼임부(7)의 내경이 몸체로 갈수록 점점 커져 체결공(6)의 지름에 일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인접한 토류판(110)끼리 결합함으로써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설치된 현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2에서의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열의 형태로 설치되며, 그 안에 되메우기 토사를 쌓아 넣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적치 토사량이 적은 경우에는 도 8에서처럼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를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열의 형태로 설치하지 않고, 도 4에서와 같이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를 1개의 열의 형태로만 설치함으로써, 비용을 경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로드에 의해 결합된 흙막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사용되는 그레이팅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복수개의 토류판을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설치된 현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7)

  1. 토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토류판; 및 상기 토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가해지는 상기 토사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토류판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 저항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2열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대향되도록 설치된 각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전도 저항판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의 하부에 상기 전도 저항판을 결합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과 상기 전도 저항판은 각각 그레이팅으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토류판의 하부에 구비된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전도 저항판에 구비된 크로스 바에 고정하는 것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과 상기 전도 저항판은 각각 그레이팅으로 제작되며, 상기 토류판과 상기 전도 저항판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크로스 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저항판의 길이와 상기 토류판의 높이는 동일하며, 상기 전도 저항판의 폭은 상기 토류판의 1/2인 것인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6. 삭제
  7. 삭제
KR1020090068743A 2009-07-28 2009-07-28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094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43A KR100944792B1 (ko) 2009-07-28 2009-07-28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743A KR100944792B1 (ko) 2009-07-28 2009-07-28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792B1 true KR100944792B1 (ko) 2010-02-26

Family

ID=4208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743A KR100944792B1 (ko) 2009-07-28 2009-07-28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7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648B1 (ko) 2012-11-07 2014-03-27 신동훈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CN105423117A (zh) * 2015-12-30 2016-03-23 天长市飞龙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钢格板用扁钢和钢格板
CN108516228A (zh) * 2018-04-09 2018-09-11 贵州省绿筑科建住宅产业化发展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堆放、运输、翻转装置及堆放、运输、翻转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340U (ja) * 1982-10-18 1984-04-21 鹿島建設株式会社 山留め壁
KR200404657Y1 (ko) * 2005-09-23 2005-12-27 (주)서현컨스텍 응력 저감형 옹벽
KR100891299B1 (ko) * 2008-07-07 2009-04-06 허택인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340U (ja) * 1982-10-18 1984-04-21 鹿島建設株式会社 山留め壁
KR200404657Y1 (ko) * 2005-09-23 2005-12-27 (주)서현컨스텍 응력 저감형 옹벽
KR100891299B1 (ko) * 2008-07-07 2009-04-06 허택인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648B1 (ko) 2012-11-07 2014-03-27 신동훈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CN105423117A (zh) * 2015-12-30 2016-03-23 天长市飞龙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钢格板用扁钢和钢格板
CN108516228A (zh) * 2018-04-09 2018-09-11 贵州省绿筑科建住宅产业化发展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堆放、运输、翻转装置及堆放、运输、翻转的方法
CN108516228B (zh) * 2018-04-09 2019-11-22 贵州省绿筑科建住宅产业化发展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堆放、运输、翻转装置及堆放、运输、翻转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58B2 (en) Anti-ram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7997830B2 (en) Barrier wall made of sheet-pile components
KR102015564B1 (ko)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자립식 패널옹벽 구조물
KR101590032B1 (ko) 지중 매입 파일을 이용한 주열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100789210B1 (ko) 시트파일과 합성형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171040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KR100704415B1 (ko) 슬리트와 스크린이 결합된 슬리크린 사방댐
KR101599327B1 (ko)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0944792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6088133B (zh) 用于沙漠地区的输电线路复合基础
KR100802166B1 (ko) 강널말뚝 벽체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US20180371789A1 (en) Fenc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901886B1 (ko) 조립식블록 사방댐의 블록 고정 기초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KR101313868B1 (ko) 복수의 중공형 구조체를 갖는 사방댐 구조물
KR101074699B1 (ko) 흙막이파일의 십자형 버팀기구
KR100841081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KR101378648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1906198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0450733B1 (ko) 가비언 판넬 및 가비언 판넬 설치 공법
KR20120021977A (ko) 강화된 하부 지지구조를 갖는 파형강판터널
KR200459483Y1 (ko) 강관 병행 h?시트 파일을 이용한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