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641A -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641A
KR20120085641A KR1020110128768A KR20110128768A KR20120085641A KR 20120085641 A KR20120085641 A KR 20120085641A KR 1020110128768 A KR1020110128768 A KR 1020110128768A KR 20110128768 A KR20110128768 A KR 20110128768A KR 20120085641 A KR20120085641 A KR 2012008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ab
horizontal plate
formwork
tru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이원호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호, 김범준 filed Critical 이원호
Publication of KR2012008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에 있어서,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판 연결부재;와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판과 함께 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판;과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축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축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판을 지지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ASSEMBLING STRUCTURE FOR 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SSTRUCTURE USING IT}
본 발명은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보 및 슬래브를 시공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 공간 확보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한 구조이다. 이때, 철근콘크리트공사는 철근배근, 거푸집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배근간격과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압에 변형되지 않도록 설치되도록 스페이서, 폼타이 등 각종 긴결철물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철물은 철근과는 별도의 부자재로서 그 설치과정은 철근배근 과정과는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아 설치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종래의 긴결철물은 직접적으로 내력을 발휘하는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거푸집을 충분히 긴결시키기 위해 그 설치 개소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한편,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보 등의 수평부재 시공에는 동바리 설치과정이 수반된다. 즉, 수평부재의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위치에 자재를 반입한 후 시공위치에서 설계에 따라 동바리로 지지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하며, 이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후 거푸집 및 동바리를 해체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바리는 거푸집 설치와는 별도로 현장에서 직접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지상태를 점검해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야 비로소 동바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동바리가 설치된 해당 층에서의 작업은 작업공간 확보에 문제가 있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아울러, 다층 건축물의 시공은 하층부에 사용한 가설자재를 상층부로 운반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때 동바리는 부재 사이즈가 큰 자재를 운반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즉, 다수의 동바리 설치과정은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작업 전반에 걸쳐 시공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동바리를 이용한 수평부재 시공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수평부재에 매입되는 철근을 미리 조립한 형태의 철근조립거푸집이 제안되어 동바리 없이도 그 자체가 콘크리트 자중과 타설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슬래브의 경우 철판 위에 철근을 조립한 트러스데크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철근조립거푸집에서 수평부재에 매입되는 철근은 실제 구체에서 요구되는 내력보다 콘크리트 타설시의 콘크리트 자중과 타설압을 더 크게 고려하여 설계되는데, 이에 래티스철근을 필수적으로 배근하는 등 구체에 매입되는 철근의 배근설계가 실제 구체에서 요구되는 내력보다 과다설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래티스철근 배근을 위한 제작상 불편함으로 이어지고 아울러 불필요한 자재 사용으로 이어진다. 또한, 슬래브시공을 위한 트러스데크의 경우에는 철판을 제거하지 않고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철판이 노출되기 때문에 방청처리와 내화피복이 요구되며 철판거푸집의 재활용이 곤란하여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들(예를 들어, 동바리 등)과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트러스들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 부재들이 실내에 혼재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될 수 있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 거푸집 유닛 하부에 지지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보 거푸집 하부에 다수의 동바리 설치를 배제시켜 작업 공간을 좀더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 거푸집 구성 요소인 동일 수평판 및 수직판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다양한 크기의 보를 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양생 후 신속히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를 시공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에 슬라브용 거푸집의 하중을 전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에 있어서,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판 연결부재;와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판과 함께 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판;과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축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축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판을 지지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에 있어서,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판 연결부재;와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판과 함께 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판;과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축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과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슬래브용 트러스; 및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와 상기 수직판이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하중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가 받는 하중이 상기 하중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직판으로 전달되되, 상기 하중전달수단으로는, 체결 수단에 의해 슬래브용 트러스와 함께 체결되는 하중전달용 트러스 또는 슬래브용 트러스와 상기 수직판에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는 'ㄷ'형 앵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모두를 사용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의 단부에는 절곡 부재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판 연결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 부재에 선택적인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핀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홈을 갖는 수직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에 핀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홈을 갖는 수평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연결부의 위치 조절에 의해 보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수평판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수평판 상부에 앵커 구조체가 위치되며, 상기 수평판 하부에 위치되며 관통홀을 관통하여 앵커 구조체와 결합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의 트러스 하부와 브라켓 사이에 고정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단부에 설치된 판 연결부재와,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수직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보 거푸집 유닛; 및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단부에 설치된 지지축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를 포함하는 보 거푸집 지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조립 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보 거푸집 유닛이 다수개가 구비되되, 서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 거푸집 유닛들의 연결되는 부근인 상기 수평판 또는 트러스 하부에 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평판과, 한쌍의 수직판을 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시켜 일정 길이 및 공간을 갖는 보용 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지면에서 상기 수평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용 공간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및 양생 후에 상기 판 연결부재를 해체시켜 수평판 및 수직판을 분리하고 상기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수평판과, 한쌍의 수직판을 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시켜 일정 길이 및 공간을 갖는 보용 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지면에서 상기 수평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용 공간의 좌우측으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래브용 트러스에 의해 판넬을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와 상기 수직판을 연결시켜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에서 받는 하중을 상기 보 거푸집 지지 유닛으로 전달하는 하중전달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용 공간과, 슬래브용 공간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와 양생 후에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 및 하중 전달 수단을 해체하는 단계; 및 상기 판 연결부재를 해체시켜 수평판 및 수직판을 분리하고 상기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수평판의 외부에서 볼트를 관통시키고 상기 수평판의 내측에서 앵커 구조체에 상기 볼트를 체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볼트를 앵커 구조체에서 해제시켜 수평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 번째로, 철근콘트리트 보 구조물의 형상에 맞게 수평판과 수직판을 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
두 번째로, 철근콘트리트 보 구조물을 완성한 다음, 수평판과 수직판을 신속하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보 거푸집의 수평판과 수직판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현하여 동일한 보 거푸집으로 다양한 크기의 보를 시공하는데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슬래브 시공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판넬 및 트러스)이 보 거푸집에 연계되어 하중을 지지받기 때문에 슬래브용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동바리가 필요치 않고 이로 인하여 작업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 거푸집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대한 실제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판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앵커 구조체가 수평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의해 적용되는 다수의 보 거푸집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적용된 트러스에 의해 지지받는 수평판상에 앵커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이격된 두 수평판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판 연결 부재에 의해 수직판과 수평판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단위 보 거푸집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 플레이트(B)가 수평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의 하중을 보 거푸집으로 전달하기 위한 트러스 하중 전달 수단이 적용된 구조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의 하중을 보 거푸집으로 전달하기 위한 트러스 하중 전달 수단이 적용된 구조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보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보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나,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 보용 거푸집 조립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 거푸집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대한 실제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판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앵커 구조체가 수평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 의해 적용되는 다수의 보 거푸집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적용된 트러스에 의해 지지받는 수평판상에 앵커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이격된 두 수평판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판 연결 부재에 의해 수직판과 수평판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에서 단위 보 거푸집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 플레이트(B)가 수평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고하면, 보 거푸집 조립 구조는 보용 거푸집 유닛(100)과, 보용 거푸집 유닛(10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시키는 보용 거푸집 지지유닛(200)으로 구성된다.
보용 거푸집 유닛(100)은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트러스(115)에 의해 지지받는 수평판(110)과, 수평판(110)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130) 및 수평판(110)과 수직판(130)을 연결시켜주는 판 연결 부재(120)를 포함한다.
보용 거푸집 지지유닛(200)은 트러스(115)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트러스(115)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210)과, 브라켓(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축 연결부재(220)와, 지지축 연결부재(220)에 결합되는 지지축(230)을 포함한다.
수평판(110)은 양측 단부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ㄱ" 자 형태의 절곡된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절곡부재(113)를 용접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수평판(110)은 판재 형태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된다. 수평판(110)의 양측 단부는 각각 수평판(130)과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재(113)가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판(110)의 하면에는 트러스(115)가 나사 결합 또는 용접 결합으로 설치된다.
수평판(110) 양측 단부에 각각 고정된 절곡부재(113)에 판 연결부재(12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판 연결부재(120)의 상부에 각각 수직판(130)이 형성된다.
즉, 수직판(130)과 수평판(110) 사이에는 판 연결부재(120)가 개재되어 서로 결합된다. 즉, 수평판(110)을 사이로 한 쌍의 수직판(120)들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 된다. 따라서, 바닥면에 수평한 수평판(110) 한 개와, 수평판(110)에 대하여 수직한 수직판(130)이 두 개가 서로 결합되어 보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보용 거푸집 유닛을 구성한다. 한편, 절곡부재(113)에는 판 연결부재(120)의 수직 연결부(121)에 대응되는 동일한 크기의 홈(도 8의 113a)이 연속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판 연결부재(120)는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 수평 연결부(123)와, 수평 연결부(12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재 모양의 수직 연결부(121)로 구성된다.
판 연결부재(120)는 수직 연결부(121)에 다수의 위치 조절홈(h1)이 형성된다. 판 연결부재(120)의 수직 연결부(121)에 형성된 이러한 위치 조절홈(h1)에 핀 결합되어, 수평판(110)과 판 연결부재(120)가 서로 결합된다. 한편, 수평판(110)의 단부에는 절곡부재(113)가 용접 등 공지의 접합 기술로 결합된다. 또한, 절곡부재(113)에는 위치 조절홈(h1)에 대응하는 다수의 관통된 홈(도 8의 113a)이 형성된다. 즉, 핀을 삽입할 때 핀은 판 연결부재(120)의 위치 조절홈(h1)과 절곡부재(113)의 관통된 홈(113a)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이때, 판 연결부재(120)의 수직 연결부(121)의 다수의 위치 조절 홈(h1)에 선택적으로 핀 결합하여, 수평판(110)을 기준으로 판 연결부재(120)를 수직 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위치 조절홈(h1)이 판 연결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데 높이가 서로 다른 홈(h1)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의 홈에 핀을 결합하면 높이가 내려가고 하부에 결합하면 높이가 올라간다. 즉, 판 연결부재(120)의 수직 방향의 위치인 높이를 조절하여, 판 연결부재(120)와 결합된 수직판(130)의 수직 위치가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변경된 보 높이에 맞는 크기를 갖는 별도의 수직판(130)을 제조할 필요 없이, 수평판(110)에 결합되는 판 연결부재(120)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여, 판 연결부재(120)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판(130)의 높이가 조절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즉, 설계상 제공된 보의 높이를 일정 범위에서 수직판(130: 실무상 유로폼 이라고도 함)을 바꾸지 않고도 가능하다.
또한, 판 연결부재(120)는 수평 연결부(123)에 다수의 홈(h2)이 설치된다. 판 연결부재(120)의 수평 연결부(123)에 형성된 홈(h2)에 핀 결합되어, 수직판(130)과 판 연결부재(120)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수직판(130)의 하측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부분(131)으로 형성되며, 이 절곡된 부분(131)이 판 연결부재(120)의 수평 연결부(123)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판 연결부재(120)의 수평 연결부(123)의 홈(h2)에 핀이 결합된다.
한편, 수평판(110)에는 관통홀(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홀(116)에 대응되는 수평판(110) 상부에 앵커 구조체(117: dove tail 형태의 너트)가 위치되며, 수평판(110) 하부에 위치되며 관통홀(116)을 관통하여 앵커 구조체(117)와 결합하는 체결부재(119)로 구성된다.
거푸집 유닛(100) 상부에서 공지의 건축공사에 이용되는 공지의 철근 및 시멘트를 타설, 양생한 다음, 상기 체결부재(119)를 분리하여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해체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체결부재(119)는 일반적으로 나사 또는 볼트로 구성된다. 앵커 구조체(117)는 상기 체결부재(119)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판(110)에 관통홀(116)이 형성되고, 관통홀(116)에 대응되는 수평판(110) 상부에 앵커 구조체(117)가 위치되며, 수평판(110) 하부에 위치되며 관통홀(116)을 관통하여 앵커 구조체(117)와 결합하는 체결부재(119)가 설치된다. 따라서, 보 거푸집 유닛(100) 내에서 철근콘트리트로 보가 완성되면, 철근콘트리트 내에 앵커구조체(117)가 설치된다. 철근콘트리트 보가 형성된 이후, 상기 앵커구조체(117)와 나사 결합된 체결부재(119)를 분리하면 완성된 철근콘트리트 보로부터 보용 거푸집 유닛(110)의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앵커 구조체(117)의 외부 형상은 상부측의 단면이 하부측 단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앵커 구조물(117)이 철근콘트리트에 단단히 결합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앵커구조체(117)는 보가 양생된 후에 시멘트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재(119) 및 수평판(110)은 양생된 시멘트 표면에서 분리된다.
이하, 보용 거푸집 유닛(100)을 고정하는 보용 거푸집 지지유닛(2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보용 거푸집 지지유닛(200)은 상기 트러스(115)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210)과, 브라켓(210)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축 연결부재(220)와, 지지축 연결부재(220)에 결합된 지지축(2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수평판(110)의 트러스(115) 하부에 다수개의 브라켓(210)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즉, 브라켓(210)은 트러스(115) 하부에 트러스(115)의 길이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보용 거푸집 유닛(100)을 지지한다. 이때, 브라켓(210)과 트러스(115)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은 브라켓(210) 상부에 클립부(215)가 설치되고, 클립부(215)에 트러스(115)의 일부가 걸려 결합될 수도 있다.
클립부(215)는 일측이 브라켓(210) 상부면에 볼트결합 또는 용접등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남는다. 개방된 자유단에 트러스(115)의 하부가 끼워진다. 클립부(215)의 방향은 도면에는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부분이 마주하지 않고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작업하기 편리하다.
브라켓(210)의 양 단부에 각각 지지축 연결부재(2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축 연결부재(220)에 지지축(230)이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축 연결부재(220)는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중공 형상의 지지축(230)이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지지축 연결부재(220)는 하부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에 중실형상의 지지축(230)이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축(230)과 지지축연결부재(220)간의 결합은 공지의 나사결합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기술적 내용이다. 즉, 파이프와 파이프를 서로 여결하는 공지의 나사결합으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다수개의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설계에 맞는 보 형상에 따라 상기 보 거푸집 유닛(110)이 다수개가 구비되되, 서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보 거푸집 유닛(110a, 110b)들의 연결되는 부근인 상기 수평판(110) 또는 트러스(115) 하부에 브라켓(210)이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브라켓(210) 상부에 위치된 보 거푸집 유닛(110a, 110b)들이 보다 견고히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브라켓(210)은 클립부(215)에 의하여 트러스(115)하단에 결합 된다.
한편, 설계에 맞는 보 형상에 따라 보 거푸집 유닛이 다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도 7은 수평판이 연속시공되는 과정에서 일부 길이가 부족한 부분을 합판으로 보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판연결부재 및 브라켓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수평판에 이웃하는 수평판과 볼트로 서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를 좀더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보면, 수평판을 연속적으로 이웃하게 시공하면서, 길이가 부족한 부분을 매꾸기 위한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부족한 부분을 합판(400)으로 매꾸는데, 합판(400)의 하부는 각목(401)(402)에 의하여 지지 된다. 각각의 각목(401,402)과 합판은 못 등으로 고정된다. 철근(403)은 트러스를 가로질러서 고정된다. 철사 등으로 트러스에 고정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빗금친 부분은 수평판이 일부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에 부족한 부분을 시공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 8에는 판연결부재(120) 및 절곡부재(113)가 도시되어 있는데, 절곡부재(113)에는 도면부호 120 판연결부재의 홈에 대응하는 홈 113a 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도 9는 이웃하는 수평판(110)끼리 연결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B)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연결플레이트에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수평판(110)의 연결플레이트(B)를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 보 거푸집 조립 구조를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보 구조물 시공방법
본 발명의 철근콘트리트 보 구조물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청구항 1 내지 12의 보 거푸집 조립 구조를 설치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보 거푸집 유닛을 먼저 조립한 다음, 이어서 지지 유닛을 조립한다. 그러나,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조립한 다음, 상기 지지 유닛 상부에 보 거푸집 유닛이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보 거푸집 유닛과 지지 유닛이 동시에 병행하여 조립되어질 수도 있다.
(나)상기 보 거푸집 조립 구조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보 거푸집 유닛 내부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다)상기 보 거푸집 조립 구조를 해체하는 단계
거푸집 유닛 및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고 체결볼트를 풀어 보 구조물과 거푸집 유닛을 서로 해제한다. 이로써, 동바리의 갯수가 줄어든 상태로 시공된 콘크리트 보가 완성된다. 보 거푸집 유닛과 지지 유닛 등 해제된 자재들은 계속하여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각별한 이점이 존재한다.
*. 보 및 슬라브용 거푸집 조립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의 하중을 보 거푸집으로 전달하기 위한 트러스 하중 전달 수단이 적용된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의 하중을 보 거푸집으로 전달하기 위한 트러스 하중 전달 수단이 적용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보용 거푸집 유닛(100)과 슬래브 부분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으로서,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보에 전달하는 하중전달수단(500)을 포함하고 있다.
하중전달수단(500)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수직판(130)의 상단에 고정된다. 편의상 도 10에서는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일측에만 하중전달수단 및 슬래브용 트러스(115)가 적용되었으며,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양측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다. 따라서 슬래브용 트러스(140)와 보 거푸집의 수직판(130)을 연결시켜주도록 하중전달수단(500)이 개재된다.
하중전달수단(500)은 슬래브용 트러스(400)와 같은 형태의 트러스(500)일 수 있다. 또한, 공지의 철근(502)을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것이다. 하중전달수단(500)은 슬래브용 트러스(140)가 고정된 판넬(501)의 상부에서 소정의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503)에 의해 고정된다. 하중전달수단(500)은 슬래브부(S)에 발생하는 하중을 보 거푸집 유닛(100)으로 전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도, 하중 전달 수단(500)과 접하는 수직판(130) 및 슬래브용 트러스(140)에는 일정 간격으로 직봉(504)을 설치하여 좀더 견고히 지지력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판넬(501)의 상부에 타설 후 양생하게 되면, 하중전달수단(500)은 매립되며 체결수단(503)을 해체시켜 슬래브용 트러스(140)만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슬래브부(S)에는 콘크리트 양생까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단지 보 거푸집 부분(K)에만 동바리를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보 거푸집의 조립 구조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의 내용과 상응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보용 거푸집 유닛(100)과 슬래브 부분(S)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으로서, 하중전달수단(500)으로 'ㄷ' 형태의 앵글을 사용하고 있다. 이 앵글(500) 역시 일단은 보용 거푸집의 수직판(130)에 지지되며, 타단은 슬래브용 트러스에 고정된다. 또한, 앵글은 이 슬래브용 트러스에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0과 다른점은 판넬이 슬래브용 트러스(140)의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콘트리트 타설 후 양생되면 체결 수단을 해체시키고 슬래브용 트러스까지 제거할 수 있다.
역시, 보 거푸집의 조립 구조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의 내용과 상응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방법
(가) 보용 거푸집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용 거푸집 유닛의 상부에 슬래브 구조용 판넬과, 슬래브 구조용 판넬을 지지하는 트러스(140)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슬래브 구조용 판넬 및 트러스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보용 거푸집 유닛에 전달하는 하중전달수단(500)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보용 거푸집의 하부에만 동바리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바리는 공지의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기둥이 사용될 수 있다.
(나) 상기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내부 및 슬래브 구조용 판넬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보 거푸집 유닛 내부 및 슬래브(S)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 상기 보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슬래브용 트러스를 해체하는 단계
보용 거푸집 유닛(100)의 하부 K의 위치에 있는 하중 지지용 동바리를 제거한다. 이후, 거푸집 유닛 및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고 체결 볼트를 풀어 보 구조물과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고 체결 볼트를 풀어 보 구조물과 거푸집 유닛을 서로 해제한다. 또한, 슬래브(S) 구조물을 위하여 존재하는 판넬 및 트러스(115)도 체결 수단을 해체하여 분리한다. 이로서 트러스 및 판넬이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동바리의 갯수가 줄어든 상태로 시공된 콘크리트 보 및 슬래브가 완성된다. 보 거푸집 유닛과 슬래브 시공에 사용되고 해체된 자재들은 계속하여 신속이 다른 작업 공간에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100: 보용 거푸집 유닛 113: 절곡 부재
115: 보용 거푸집 지지 트러스 116: 관통홈
117: 앵커 구조체 119: 볼트
120: 판 연결부재 121: 수직 연결부
123: 수평연결부 140: 슬래브용 트러스
500: 하중전달수단

Claims (8)

  1.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에 있어서,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판 연결부재;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판과 함께 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판;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축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축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판을 지지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2.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에 있어서,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판 연결부재;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판과 함께 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판;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축 연결부재;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슬래브용 트러스; 및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와 상기 수직판이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하중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가 받는 하중이 상기 하중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직판으로 전달되되,
    상기 하중전달수단으로는,
    체결 수단에 의해 슬래브용 트러스와 함께 체결되는 하중전달용 트러스 또는 슬래브용 트러스와 상기 수직판에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동시에 고정되는 'ㄷ'형 앵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모두를 사용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의 단부에는 절곡 부재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판 연결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 부재에 선택적인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핀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홈을 갖는 수직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에 핀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홈을 갖는 수평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연결부의 위치 조절에 의해 보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수평판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수평판 상부에 앵커 구조체가 위치되며, 상기 수평판 하부에 위치되며 관통홀을 관통하여 앵커 구조체와 결합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의 트러스 하부와 브라켓 사이에 고정수단이 더 설치되는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4. 하면에 트러스를 구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단부에 설치된 판 연결부재와, 상기 판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수평판의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수직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보 거푸집 유닛; 및,
    상기 트러스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단부에 설치된 지지축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축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축를 포함하는 보 거푸집 지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조립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유닛이 다수개가 구비되되, 서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 거푸집 유닛들의 연결되는 부근인 상기 수평판 또는 트러스 하부에 브라켓이 위치되는 보 거푸집 조립 구조.
  6. 수평판과, 한쌍의 수직판을 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시켜 일정 길이 및 공간을 갖는 보용 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
    지면에서 상기 수평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용 공간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및
    양생 후에 상기 판 연결부재를 해체시켜 수평판 및 수직판을 분리하고 상기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7. 수평판과, 한쌍의 수직판을 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시켜 일정 길이 및 공간을 갖는 보용 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
    지면에서 상기 수평판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용 공간의 좌우측으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래브용 트러스에 의해 판넬을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와 상기 수직판을 연결시켜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에서 받는 하중을 상기 보 거푸집 지지 유닛으로 전달하는 하중전달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용 공간과, 슬래브용 공간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양생 후에 상기 슬래브용 트러스 및 하중 전달 수단을 해체하는 단계; 및
    상기 판 연결부재를 해체시켜 수평판 및 수직판을 분리하고 상기 보 거푸집 지지 유닛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수평판의 외부에서 볼트를 관통시키고 상기 수평판의 내측에서 앵커 구조체에 상기 볼트를 체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양생 후에 상기 볼트를 앵커 구조체에서 해제시켜 수평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10128768A 2011-01-23 2011-12-05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20085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6597 2011-01-23
KR1020110006597 2011-0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41A true KR20120085641A (ko) 2012-08-01

Family

ID=4687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768A KR20120085641A (ko) 2011-01-23 2011-12-05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56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8909A (zh) * 2014-10-11 2015-02-04 罗海军 带肋梁楼板模板支设方法
KR101641052B1 (ko) * 2015-05-21 2016-07-20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KR101694747B1 (ko) 2015-09-18 2017-01-23 강수일 보 거푸집 설치용 멍에
KR20180127066A (ko) * 2017-05-19 2018-11-28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CN114215345A (zh) * 2021-12-23 2022-03-22 珠海华发人居生活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库顶板后浇带单独支撑支架模板的施工方法
KR20220080889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한화건설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보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8909A (zh) * 2014-10-11 2015-02-04 罗海军 带肋梁楼板模板支设方法
KR101641052B1 (ko) * 2015-05-21 2016-07-20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KR101694747B1 (ko) 2015-09-18 2017-01-23 강수일 보 거푸집 설치용 멍에
KR20180127066A (ko) * 2017-05-19 2018-11-28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20220080889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한화건설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보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CN114215345A (zh) * 2021-12-23 2022-03-22 珠海华发人居生活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库顶板后浇带单独支撑支架模板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8817B2 (ja) Pcトラス壁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US864041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KR100875488B1 (ko) 무지주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US20100031605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331596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TWI438326B (zh) Semi - pre - cast flooring and its board construction method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176846B1 (ko)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WO2005124043A1 (en)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CN109184199B (zh) 3m预应力拱板现浇施工时圈梁抗扭抗剪加固方法
KR200450609Y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JP3938036B2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WO2012110699A1 (en) Tension reinforcement of a fastening plate in a concrete element
KR101083062B1 (ko) 복합보
JP2022037522A (ja) 梁の施工方法、及び梁型枠支持構造
KR20100022703A (ko) Gfrp 소재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