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052B1 -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 Google Patents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052B1
KR101641052B1 KR1020150071103A KR20150071103A KR101641052B1 KR 101641052 B1 KR101641052 B1 KR 101641052B1 KR 1020150071103 A KR1020150071103 A KR 1020150071103A KR 20150071103 A KR20150071103 A KR 20150071103A KR 101641052 B1 KR101641052 B1 KR 10164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mounting portion
type non
releasing hand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곤
노유선
Original Assignee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노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노유선 filed Critical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7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에서,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의 철근 일체형 데크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 휨변형의 저항력을 높여 수직서포트(동바리) 없이 자체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무지보 장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널(P)을 별도의 수직서포트없이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거푸집(F)에 거치되는 단부거치부(200);
상부에 철판(D4)이 설치되고 상기 철판(D4) 하부에 상부근(D1)과 하부근(D2) 그리고 래티스(D3)로 이루어진 트러스가 결합된 철근 일체형 테크(D); 및,
상기 철근 일체형 테크(D)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단부거치부(2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단부트러스연결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부거치부(200)에는 해제용손잡이(240)가 부착되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를 움직이면 상기 단부트러스연결부(100)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단부거치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the one touch separating type non supporting form joist}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에 사용되는 것으로, 공장에서 선 제작한 철근일체형데크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 휨변형의 저항력을 높여 수직서포트 없이 자체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경화전 액체상태의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굳힘으로서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조형이 매우 뛰어난 공법이다. 그러나, 구조적인 기능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야 가능하기 때문에, 액체상태 중에는 거푸집이 구조적인 기능을 대신하여야 한다. 그러한 이유로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형태를 결정하는 거푸집널뿐만 아니라 시공시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보강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슬래브 거푸집의 경우 보강기능으로 장선멍에수직서포트(동바리) 등으로 구성되어, 액체 상태의 콘크리트를 포함한 자재 및 시공하중이 거푸집널→장선→멍에→수직서포트→바닥면(하중을 버틸 능력이 있는)으로 전달된다. 거푸집널과 장선멍에는 슬래브와 평행하게 설치되나 수직서포트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슬래브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구조적으로 기능하기 전까지는 해체가 불가능하여 슬래브 하부에서의 다른 공정에 제한을 주는 등 작업공간활용의 방해요인이 된다.
이에 부제의 휨강성을 높여 동바리가 없이 슬래브 설치가 가능한 무지보 공법이 제안되어, 거푸집널을 절곡된 철판으로 한 데크플레이트나, 트러스상태로 조립한 철근과 철판을 일체로한 철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나, 장선을 트러스형태로 한 속칭 호리빔(hory beam) 등이 적용되고 있다.
데크플레이트 계통은 철판이 거푸집널의 기능과 함께 콘크리트 경화후에는 마감재 혹은 구조재로 기능하는 장점이 있으나 누수나 철판의 부식에 대한 유지보수 문제가 있어, 콘크리트 경화후 철판 해체가 가능한 탈형 데크플레이트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호리빔의 경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누수나 부식의 문제가 없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나 기존 가설재에 비해 규모가 크고 중량이라 취급이 힘들고 해체시 낙하 등 위험 가능성이 높아 개선이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6384호 ‘거푸집 장선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2013.05.27.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843호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2013.09.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성 호리빔의 과다한 하중으로 인한 취급이 어렵고 해체시의 낙하 등 위험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량이며 원터치로 해체가능하며 낙하를 방지하여 위험성을 해소한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제품인 철근 일체형 데크를 이용함으로서 원가절감과 대량생산 및 정밀성과 품질향상이 가능한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에서,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의 철근 일체형 데크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 휨변형의 저항력을 높여 수직서포트(동바리) 없이 자체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무지보 장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널(P)을 별도의 수직서포트없이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거푸집(F)에 거치되는 단부거치부(200);
상부에 철판(D4)이 설치되고 상기 철판(D4) 하부에 상부근(D1)과 하부근(D2) 그리고 래티스(D3)로 이루어진 트러스가 결합된 철근 일체형 테크(D); 및,
상기 철근 일체형 테크(D)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단부거치부(2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단부트러스연결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부거치부(200)에는 해제용손잡이(240)가 부착되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를 움직이면 상기 단부트러스연결부(100)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단부거치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기성 호리빔의 과다한 하중으로 인한 취급이 어렵고 해체시의 낙하 등 위험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량이며 원터치로 해체가능하며 낙하를 방지하여 위험성을 해소한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을 제공한다.
둘째,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제품인 철근 일체형 데크를 이용함으로서 원가절감과 대량생산 및 정밀성과 품질향상이 가능한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거푸집의 장선으로 기능하기 위해 설치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단부트러스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단부트러스연결부 및 단부거치부의 결합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단부트러스연결부 및 단부거치부의 해체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거푸집의 장선으로 기능하기 위해 설치된 예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단부트러스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널(P)을 별도의 수직서포트없이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거푸집(F)에 거치되는 단부거치부(200);
상부에 철판(D4)이 설치되고 상기 철판(D4) 하부에 상부근(D1)과 하부근(D2) 그리고 래티스(D3)로 이루어진 트러스가 결합된 철근 일체형 테크(D); 및,
상기 철근 일체형 테크(D)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단부거치부(2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단부트러스연결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부거치부(200)에는 해제용손잡이(240)가 부착되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를 움직이면 상기 단부트러스연결부(100)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단부거치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단부트러스연결부 및 단부거치부의 결합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단부트러스연결부 및 단부거치부의 해체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상기 단부거치부(200)에는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타단이 낙하할 수 있는 단턱핀(230)이 결합된 트러스거치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단부트러스연결부(100) 타단에는 상기 트러스거치부(220)에 삽입되는 거치부결합부(160)가 설치되어 상기 단턱핀(230) 상부에 거치되어 있다가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를 위로 들면 상기 단턱핀(230)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거치부결합부(160)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부거치부(200)는,
상기 상부근(D1) 단부를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상부근결합구(140);
상기 하부근(D2) 단부를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하부근결합구(150);
일단에 상기 상부근결합구(140)가 결합하고 타단에 상기 거치부결합부(160)가 결합되는 상부수평재(110);
상기 하부근결합구(150)와 상기 상부수평재(110)를 연결하는 지주(130);
상기 상부수평재(110) 하부에 사선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하부경사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는 고정홈(24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핀(230)이 상기 고정홈(241)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결합부(160) 또는 상기 하부경사재(120)가 하강되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에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는 중단이 절골되어 하단이 상기 단부거치부(200)의 보거치구(210)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기성의 철근 일체형 데크(D), 단부트러스연결부(100), 단부거치부(200)로 구성된다.
기성의 철근 일체형 데크(D)는 상부근(D1), 하부근(D2), 래티스(D3)와 철판(D4)으로 구성되어, 물결모양으로 절곡된 래티스(D3)가 상부근(D1)과 하부근(D2) 그리고철판(D4)과 용접으로 연결되어 트러스를 형성하며 철판(D4)을 통한 하중에 대하여 휨저항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성품이 보통 3세트의 트러스로 구성된 것을 1세트씩 분리하여 사용한다.
단부트러스연결부(100)는 상부수평재(110), 하부경사재(120), 지주(130), 상부근결합구(140), 하부근결합구(150) 그리고 거치부결합구(160)로 구성된다.
상부수평재(110)와 하부경사재(120)는 지주(130)와 함께 트러스형태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철근 일체형 데크(D)와 결합하며, 타단에는 상부수평재(110)와 하부경사재(120)가 합쳐진 상태로 거치부결합부(160)를 통해서 단부거치부(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게 되어 있다.
단부거치부(200)는 상단이 절곡되어 수직거푸집(F) 상단 및 수직거푸집(F) 상단의 멍에에 거치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보거치구(210), 트러스거치구(220), 단턱핀(230), 해제용손잡이(240) 그리고 정착구(250)로 구성되어,
일단은 단부트러스연결부(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수직거푸집(F)의 상부에 거치된다.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을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시공은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수직거푸집(F)의 상부에 조립된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의 보거치구(210)를 일정한 간격으로 거치하고, 상부에 거푸집널(P)을 판개하여 고정한다. 이 후 종래와 같이 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철근콘크리트슬래브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 4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에서 철근 일체형 데크(D)와 단부트러스연결부(100)의 결합을 설명한 분해사시도이다.
공장에서 제작된 기성의 철근 일체형 데크(D)에 대하여 공사현장에서의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 철근 일체형 데크(D)의 상부근(D1)은 상부근결합구(140)와 하부근(D2)은 하부근결합구(150)에 삽입되어 길이를 조절한 후에 결속 고정된다.
이때 표면에 돌기가 가공된 이형철근인 상부근(D1)과 하부근(D2)과의 기계적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상부근결합구(140)와 하부근결합구(150)의 내부에는 미끄럼방지용돌기(141, 151)가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의 단부트러스연결부(100)와 단부거치부(200)와의 결합 및 해체를 설명하기 위해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단부거치부(200)에는 트러스거치구(220)가 홈가공된 레일형태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단턱핀(230)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측면에는 해제용손잡이(24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있다.
그리고 해제용손잡이(240)의 측면에는 단턱핀(23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홈(241)이 가공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결합과정은,
① 단턱핀(230)을 수평으로 회전 한 후, 해제용손잡이(240)를 회전시켜 홈(241)에 단턱핀(230)이 걸치게 고정한다.
② 거치부결합구(160)를 트러스거치구(220)의 홈에 위에서부터 삽입하면 단턱핀(230)에 의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단부트러스연결부(100)와 단부거치부(200)는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해체과정은,
① 해제용손잡이(240)를 회전시키면 단턱핀(230)이 중력 또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아래로 회전한다.
② 트러스거치구(220)에서 거치부결합구(160)가 중력 등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여 거치부결합구(160)에서 분리되면, 결과적으로 단부트러스연결부(100)가 단부거치부(200)에서 해체된다. 이때 해제용손잡이(240)는 분리된 단부트러스연결부(10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절곡되어 스톱퍼(stopper) 기능도 겸한다.
하부경사재(120)에는 해제용손잡이(24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위한 거치용홈(121)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의 단부거치부(200)의 부분단면도이다.
단부거치부(200)가 보 또는 벽체에 사용되는 수직거푸집(F)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위해, 상부에는 꺽쇠형태의 보거치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거치구(210)의 하부에는 정착구(250)가 보조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구(250)는 스프링(251)이 설치되어 있어 정착구(250)가 항시 수직거푸집(F)을 누르게 되어 단부거치부(200)가 이탈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J: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D: 철근 일체형 데크
D1: 상부근
D2: 하부근
D3: 래티스
D4: 철판
100: 단부트러스연결부
110: 상부수평재
120: 하부경사재
121: 거치용홈
130: 지주
140: 상부근결합구
141, 151: 미끄럼방지용돌기
150: 하부근결합구
160: 거치부결합구
200: 단부거치부
210: 보거치구
220: 트러스거치구
230: 단턱핀
240: 해제용손잡이
241: 고정홈
250: 정착구
251: 스프링
F: 수직거푸집
P: 거푸집널

Claims (5)

  1. 삭제
  2.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널(P)을 별도의 수직서포트없이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수직거푸집(F)에 거치되는 단부거치부(200);
    상부에 철판(D4)이 설치되고 상기 철판(D4) 하부에 상부근(D1)과 하부근(D2) 그리고 래티스(D3)로 이루어진 트러스가 결합된 철근 일체형 테크(D); 및,
    상기 철근 일체형 테크(D)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단부거치부(20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단부트러스연결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부거치부(200)에는 해제용손잡이(240)가 부착되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를 움직이면 상기 단부트러스연결부(100)가 자중에 의해서 상기 단부거치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부거치부(200)에는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타단이 낙하할 수 있는 단턱핀(230)이 결합된 트러스거치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단부트러스연결부(100) 타단에는 상기 트러스거치부(220)에 삽입되는 거치부결합부(160)가 설치되어 상기 단턱핀(230) 상부에 거치되어 있다가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를 위로 들면 상기 단턱핀(230)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거치부결합부(160)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
  3. 제2항에서,
    상기 단부거치부(200)는,
    상기 상부근(D1) 단부를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상부근결합구(140);
    상기 하부근(D2) 단부를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하부근결합구(150);
    일단에 상기 상부근결합구(140)가 결합하고 타단에 상기 거치부결합부(160)가 결합되는 상부수평재(110);
    상기 하부근결합구(150)와 상기 상부수평재(110)를 연결하는 지주(130);
    상기 상부수평재(110) 하부에 사선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하부경사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
  4. 제3항에서,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는 고정홈(24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핀(230)이 상기 고정홈(241)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결합부(160) 또는 상기 하부경사재(120)가 하강되면 상기 해제용손잡이(240)에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
  5. 제4항에서,
    상기 해제용손잡이(240)는 중단이 절골되어 하단이 상기 단부거치부(200)의 보거치구(210)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J).
KR1020150071103A 2015-05-21 2015-05-21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KR10164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03A KR101641052B1 (ko) 2015-05-21 2015-05-21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03A KR101641052B1 (ko) 2015-05-21 2015-05-21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052B1 true KR101641052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103A KR101641052B1 (ko) 2015-05-21 2015-05-21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0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96B1 (ko) * 2018-06-25 2019-10-24 구연진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CN112538982A (zh) * 2020-11-06 2021-03-23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桁架楼板临时支撑结构
KR20220029925A (ko) * 2020-09-02 2022-03-10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562B1 (ko) * 2011-04-22 2011-10-24 현대알루미늄(주)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20085641A (ko) * 2011-01-23 2012-08-01 이원호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66384B1 (ko) 2012-08-22 2013-05-27 (주) 정암씨엔에스 거푸집 장선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KR101310843B1 (ko) 2012-01-30 2013-09-25 (주)에이원알폼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1491074B1 (ko) *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641A (ko) * 2011-01-23 2012-08-01 이원호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076562B1 (ko) * 2011-04-22 2011-10-24 현대알루미늄(주)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310843B1 (ko) 2012-01-30 2013-09-25 (주)에이원알폼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1266384B1 (ko) 2012-08-22 2013-05-27 (주) 정암씨엔에스 거푸집 장선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KR101491074B1 (ko) *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96B1 (ko) * 2018-06-25 2019-10-24 구연진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KR20220029925A (ko) * 2020-09-02 2022-03-10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KR102432140B1 (ko) 2020-09-02 2022-08-12 삼광선재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CN112538982A (zh) * 2020-11-06 2021-03-23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桁架楼板临时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299B1 (ko) 분리형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1713862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641052B1 (ko)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KR101820871B1 (ko)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770006B1 (ko) Pc기둥 수직연결철근의 보강구조
KR1017134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2071872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KR101609837B1 (ko) 상하부힌지받침구조가 거더에 결합된 개선된 라멘교량 및 이를 이용한 개선된 라멘 교량의 시공방법
KR101483909B1 (ko) 앵글 브릿지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170044240A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170044236A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872274B1 (ko)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고정식 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58972B1 (ko) 상부기둥플레이트 및 하부기둥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상하 pc기둥 간 콘크리트 무타설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와 기둥플레이트 및 보플레이트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조인트 결합구조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02035996B1 (ko)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