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066A - 시스템 동바리 - Google Patents

시스템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066A
KR20180127066A KR1020170062393A KR20170062393A KR20180127066A KR 20180127066 A KR20180127066 A KR 20180127066A KR 1020170062393 A KR1020170062393 A KR 1020170062393A KR 20170062393 A KR20170062393 A KR 20170062393A KR 20180127066 A KR20180127066 A KR 2018012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rtical
horizontal
slab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907B1 (ko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은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7006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2Shores or struts; Chocks non-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Abstract

시스템 동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는 가상의 면들을 이루는 복수의 지지유닛들을 시공현장에서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시키고, 형성된 블록들을 상호 적층시키면서 사용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블록은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재 및 한 쌍의 수직재 상, 하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평 가새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지지유닛;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재 및 한 쌍의 수평재 좌, 우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직 가새로 이루어져 제1 지지유닛의 이격된 사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유닛; 및 제1 지지유닛의 각 수직재와 제2 지지유닛의 각 수평재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스템 동바리{PREFABRICATED SHORING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slab) 및 보(beam)의 축조 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시공에는 슬라브 및 보의 축조를 위해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성을 갖기 전까지지 거푸집의 하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시키는 동바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동바리는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여 주고, 콘크리트의 양생 시, 콘크리트의 처짐이나 균열을 방지하여 안전한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바리와, 시스템 동바리로 구분된다.
특히, 시스템 동바리의 경우, 일반 동바리가 일정한 높이를 초과하면 콘크리트의 타설 시 좌굴되거나 이탈되는 위험한 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천정높이가 일반 동바리의 높이로는 작업을 할 수 없는 높은 천정을 시공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 동바리는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와,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가새(gusset)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 동바리에 의하면, 현장에 설치 시, 다수의 작업자에 의해 수직재를 복수로 설치하고, 설치된 수직재 사이를 수평재로 서로 연결시킨 후, 수직재 사이에 가새를 연결시켜 보강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시스템 동바리는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직재, 수평재, 가새, 및 클램프를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연결시키는 것으로, 설치가 완성이 되면 수직선과 수평선들이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는 개별 즉,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직재, 수평재, 및 가새를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클램프로 서로 연결하면서 설치킴에 따라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는 수직재, 수평재, 및 가새가 서로 클램프를 통해 연결되어 확장되면서 거푸집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필요 이상으로 자재 즉, 수직재, 수평재, 가새, 및 클램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는 해체작업 시, 전술한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체작업 또한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시공현장에서는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는 시스템 동바리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360호(2010.02.08)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각의 면을 이루는 지지유닛들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시키고, 사용 시, 블록을 복수로 적층시키면서 사용하도록 된 시스템 동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도록 된 시스템 동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는 가상의 면들을 이루는 복수의 지지유닛들을 시공현장에서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시키고, 형성된 상기 블록들을 상호 적층시키면서 사용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재 및 상기 한 쌍의 수직재 상, 하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평 가새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지지유닛;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재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재 좌, 우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직 가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이격된 사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지지유닛의 각 수직재와 상기 제2 지지유닛의 각 수평재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조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서로 다른 높낮이로 이루어져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새는 상기 수직재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수직 가새는 상기 수평재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재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제1 경사 가새; 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평재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 경사 가새; 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경사 가새 및 제2 경사 가새는 상기 수직재 및 수평재에 양단이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인트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수직재 상,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파형 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유닛의 수평재 양측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파형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관통하는 선단이 상기 파형 플레이트의 고정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시키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이 외측면에 지지되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소통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단이 관통되는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 및 하부 바디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파형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수평대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어댑터의 제1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제2 삽입홀 측으로 관통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부분이 상기 어댑터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1 삽입홀을 통해 관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관통방지 헤드; 및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제1 삽입홀을 통해 상기 작동부의 인출 시 상기 어댑터의 상부 바디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수직재 상단에 설치되어 슬라브 또는 보의 거푸집 하중을 상기 수직재를 통해 하측으로 전달시키는 트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는 상기 슬라브의 거푸집과 연결되는 슬라브 연결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재의 상단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의 거푸집과 연결되는 보 연결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서브 연결부의 이격된 사이를 수평 및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트러스 가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연결대는 상기 슬라브 거푸집과 제1 연결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키는 제1 간격 조정수단; 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간격 조정수단은 상기 슬라브 연결대가 상기 제1 연결부와 서로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된 상기 슬라브 연결대를 회전에 따라 승강작동시키는 제1 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보 연결대는 상기 보 거푸집과 제2 연결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키는 제2 간격 조정수단; 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간격 조정수단은 상기 보 연결대가 상기 제2 연결부와 서로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된 상기 보 연결대를 회전에 따라 승강작동시키는 제2 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전에 제작된 전면, 후면, 및 양 측면을 이루는 제1 지지유닛 및 제2 지지유닛을 시공현장에서 면과 면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설치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라브 및 보 거푸집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설치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에 작업자 또는 다양한 장비들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시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 해체작업 또한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체작업 시에도 설치작업과 동일하게 전체적인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설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제1 지지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제2 지지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연결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트러스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제1 지지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제2 지지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10)는 가상의 전후, 좌우측면을 이루는 지지유닛들을 사전에 제작한 후, 시공현장에서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블록(B)으로 형성시키고, 사면으로 형성된 블록(B)을 상호 적층시키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상의 면은 한 쌍의 제1 지지유닛(20a,20b) 및 한 쌍의 제2 지지유닛(30a,30b)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지지유닛(20a,20b)이 블록(B)의 전, 후면을 형성시키고, 제2 지지유닛(30a,30b)이 블록(B)의 좌, 우측면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상의 면은 제1 지지유닛(20a,20b)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직재, 수평 가새, 및 경사 가새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10)에 있어서, 상기 블록(B)은 전후, 좌우 사면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지지유닛(20a,20b), 한 쌍의 제2 지지유닛(30a,30b), 및 연결 조인트(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유닛(20a,20b)은 전,후로 각각 이격배치되어 블록(B)의 전면과 후면을 이루는 것으로, 수직재(21a,21b) 및 수평 가새(22a,22b)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재(21a,21b)는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며, 상기 수평 가새(22a,22b)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수직재(21a,21b)의 상,하부를 각각 수평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 가새(22a,22b)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재(21a,21b)에 작용되는 다양한 하중에 의해 수직재(21a,21b)가 좌굴 또는 휨 등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상기 제1 지지유닛(20a,20b)은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수직재(21a,21b)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제1 경사 가새(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 가새(23)는 수평 가새(22a,22b)와 함께 수직재(21a,21b)에 작용되는 다양한 하중에 의해 좌굴 또는 휨 등과 같은 변형에 대한 변형 저항성(anti-intrusion)을 확보시킨다.
특히, 상기 수평 가새(22a,22b) 및 제1 경사 가새(23)는 변형 저항성이 확대되도록 수직재(21a,21b)의 외주면에 양단이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지유닛(20a,20b)은 한 쌍의 수직재(21a,21b)를 서로 연결시키는 수평 가새(22a,22b) 및 제1 경사 가새(23)가 용접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별도의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에 비해 향상된 변형 저항성(anti-intrusion)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유닛(30a,30b)은 제1 지지유닛(20a,20b)의 이격된 사이 양측에 배치되어 양 측면, 즉, 블록(B)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수평재(31a,31b) 및 수직 가새(32a,32b)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재(31a,31b)는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수평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수직 가새(32a,32b)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수평으로 이격배치된 수평재(31a,31b)의 좌,우측을 수직하게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 가새(32a,32b)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평재(31a,31b)에 작용되는 다양한 하중에 의해 수평재(31a,31b)가 좌굴 또는 휨 등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상기 제2 지지유닛(30a,30b)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수평재(31a,31b)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제2 경사 가새(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 가새(33)는 수직 가새(32a,32b)와 함께 수평재(31a,31b)에 작용되는 다양한 하중에 의해 좌굴 또는 휨 등과 같은 변형에 대한 변형 저항성(anti-intrusion)을 확보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 가새(32a,32b) 및 제2 경사 가새(33)는 하중에 대한 강성이 확보되도록 수평재(31a,31b)의 외주면에 양단이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지지유닛(30a,30b)은 한 쌍의 수평재(31a,31b)를 서로 연결시키는 수직 가새(32a,32b) 및 제2 경사 가새(33)가 용접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별도의 조인트 통해 연결되는 것에 비해 향상된 변형 저항성(anti-intrusion)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조인트(40)는 시스템 동바리(10)의 설치가 요구되는 시공현장에서 사용되는 블록(B)의 형성 시 사용되는 것으로, 제1 지지유닛(20a,20b)의 수직재(21a,21b)와 제2 지지유닛(30a,30b)의 수평재(31a,31b)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연결 조인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연결 조인트(40)는 파형 플레이트(41), 어댑터(42), 및 고정핀(47)을 포함한다.
상기 파형 플레이트(41)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41a)들이 형성되고, 제1 페이스 블록(20a,20b)의 수직재(21a,21b) 상,하부 외주면에 중심부가 끼워져 접합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형 플레이트(41)는 외주면 둘레가 파형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파형의 면들에 각각 상기 고정홀(41a)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41a)은 사방향, 즉, 동,서,남,북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홀(41a)은 시공현장의 다양한 환경 및 사정에 따라 제2 지지유닛(30a,30b)의 연결을 사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고정홀(41a)에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작업대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형 플레이트(41)는 외주면이 파형의 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운반이나 작업과정에서 돌출되는 면을 통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42)는 제2 지지유닛(30a,30b)의 수평재(31a,31b) 선단에 각가 구비되어 파형 플레이트(41)의 파형의 면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세, 이러한 어댑터(42)는 상부 바디(43), 하부 바디(44), 삽입홈(45), 및 연결 바디(4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바디(43)는 고정핀(47)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43a)이 형성되고, 고정핀(47)의 상단이 외측면에 지지된다.
상기 하부 바디(44)는 상부 바디43)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 삽입홀(43a)과 소통되는 제2 삽입홀(44a)이 형성되어 고정핀(47)의 하단이 관통된다.
상기 삽입홈(45)은 상부 바디(43) 및 하부 바디(44)의 사이에 형성되어 파형 플레이트(41)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 삽입홀(43a)과 제2 삽입홀(44a)은 파형 플레이트(41)의 고정홀(41a)과 상호 소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바디(46)는 상부 바디(43)와 하부 바디(44)의 일측을 연결하고, 제2 지지유닛(30a,30b)의 수평재(31a,31b) 선단과 용접에 의한 접합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어댑터(42)의 상부 바디(43) 및 하부 바디(44)는 운반이나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측면들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바디(43), 하부 바디(44), 및 연결 바디(46)는 전체가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47)은 어댑터(42)의 내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관통하는 선단이 파형 플레이트(41)의 고정홀(41a)을 관통하면서 수직재(21a,21b)와 수평재(31a,31b)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러한 고정핀(47)은 작동부(48), 관통방지 헤드(49a), 및 이탈방지 돌기(49b)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48)는 어댑터(42)의 내부를 관통하고, 파형 플레이트(41)의 연결 시 고정홀(41a)을 함께 관통한다.
즉, 상기 작동부(48)는 어댑터(42)의 제1 삽입홀(43a)을 통해 파형 플레이트(41)의 고정홀(41a)과 제2 삽입홀(44a)을 관통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48)는 관통하는 하단이 어댑터(42)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이고, 외측면이 고정홀(41a)을 관통하면서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양측면이 경사면(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방지 헤드(49a)는 작동부(48)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부분이 어댑터(4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작동부(48)의 상단이 어댑터(42)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즉, 상기 관통방지 헤드(49a)는 어댑터(42)의 제1 삽입홀(43a)을 이루는 외측에 배치되어 작동부(48)의 상단이 제1 삽입홀(43a)을 통해 내부로 관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통해, 어댑터(42)로부터 작동부(48)의 이탈을 방지시킨다.
상기 이탈방지 돌기(49b)는 작동부(48)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작동부(48)를 어댑터(42)의 제1 삽입홀(43a)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 시, 어댑터(42)의 상부 바디(43)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하단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러한 이탈방지 돌기(49b)는 작동부(48)의 하측 선단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를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방지 돌기(49b)는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별도의 핀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 돌기(49b)가 형성되는 고정핀(47)의 하단은 운반이나 작업과정 등에서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시키고, 고정핀(47)의 인출 시 하단부의 이탈방지 돌기(49b)가 상부 바디(43)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부츠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조인트(40)에 의하면, 어댑터(42)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핀(47)의 작동부(48)를 어댑터(42)의 외측으로 일부를 인출시킨 후, 어댑터(42)와 파형 플레이트(41)를 연결하고, 고정핀(47)을 파형 플레이트(41)의 고정홀(41a)을 관통시키는 것을 통해 수직재(21b)와 수평재(31a)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47)은 관통방지 헤드(49a) 및 이탈방지 돌기(49b)를 통해 항시 어댑터(42)와 상호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작업자가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제1 지지유닛(20a,20b)과 제2 지지유닛(30a,30b)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블록(B)은 적층 시, 제1 지지유닛(20a,20b)의 수직재(21a,21b) 상단에 구비되는 연결 파이프(24)를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 파이프(24)는 일측이 수직재(21a,21b)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적층되는 블록(B)의 수직재(21a,21b) 내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블록(B)들을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 파이프(24)는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규제홀들이 형성되고, 이 홀들은 각 수직재(21a,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핀홀과 소통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연결 파이프(24)는 수직재(21a,21b)의 외측에서 핀홀을 통해 삽입되는 핀이 규제홀을 관통하면서 설치위치가 조절 및 규제된다.
그리고 최하층에 배치되는 블록(B)은 현장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수평을 조절시키는 수평 조절유닛(2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조절유닛(25)은 승강 파이프(26) 및 작동 핸들(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 파이프(26)는 수직재(21a,21b)의 하단 내부에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이 지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핸들(27)은 승강 파이프(26)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나사결합된 승강 파이프(26)를 승강작동시킨다.
이에 의하면, 상기 수평 조절유닛(25)은 현장 바닥면의 경사도에 따라 작동 핸들(27)을 회전시켜 나사결합된 승강 파이프(26)를 수직재(21a,21b)의 내부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시키는 것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전체적인 수평을 조절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10)는 제1 지지유닛(20a,20b)의 수직재 상단(21a,21b)에 설치되어 슬라브 거푸집(S-1) 또는 보 거푸집(S-2) 하중을 수직재(21a,21b)를 통해 하측으로 전달시키는 트러스(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되는 트러스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트러스(50)는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2), 서브 연결부(53), 및 트러스 가새(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51)는 슬라브 거푸집(S-1)과 연결되는 슬라브 연결대(55)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부(52a,52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연결부(5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수직재(21a,21b)의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보 거푸집(S-2)과 연결되는 보 연결대(56)가 연결된다.
상기 서브 연결부(53a,53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연결부(52a,52b)를 사이에 두고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2a,52b), 및 서브 연결부(53a,53b)는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중을 지지시키는 위치에 따라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2a,52b), 및 서브 연결부(53a,53b)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슬라브 거푸집(S-1)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슬라브 연결대(55)를 제1 연결부(51)에 결합시켜 사용하고, 보 거푸집(S-2)의 하중을 지지할 경우, 보 연결대(56)를 제2 연결부(52a,52b)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서브 연결부(53a,53b)는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슬라브 거푸집(S-1)을 지지시키는 슬라브 연결대(55)의 좌,우 이격거리가 보다 클 경우에 슬라브 연결대(55)를 연결시켜 사용한다.
상기 트러스 가새(54)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2a,52b), 및 서브 연결부(53a,53b)의 이격된 사이를 수평 및 경사지게 연결하여 서로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복수의 트러스 가새(54)는 제1 연결부(51), 제2 연결부(52a,52b), 및 서브 연결부(53a,53b)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별도의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에 비해 향상된 변형 저항성(anti-intrusion)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브 연결대(55)는 슬라브 거푸집(S-1)과 제1 연결부(51)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키는 제1 간격 조정수단(5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 조정수단(57)은 슬라브 연결대(55)가 제1 연결부(51)와 서로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된 슬라브 연결대(55)를 회전에 따라 승강작동시키는 제1 핸들(5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1 간격 조정수단(57)은 제1 핸들(58)을 회전시키면 슬라브 연결대(55)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슬라브 거푸집(S-1)과 제1 연결부(51)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킨다.
또한, 상기 보 연결대(56)는 보 거푸집(S-2)과 제2 연결부(52a,52b)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키는 제2 간격 조정수단(59)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간격 조정수단(59)은 보 연결대(56)가 제2 연결부(52a,52b)와 서로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된 보 연결대(56)를 회전에 따라 승강작동시키는 제2 핸들(59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간격 조정수단(59)은 전술한 제1 간격 조정수단(57)과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갖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 동바리(10)의 설치를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스템 동바리(10)의 사용이 요구되는 시공현장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사전에 대량으로 제작된 면과 면을 이루는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을 공급받는다.
이후, 시공현장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사면을 이루는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블록(B)으로 형성시키고, 형성된 블록(B)을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적층시켜 슬라브 거푸집(S-1) 또는 보 거푸집(S-2)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시킨다.
이때, 시공현장에서는 사전에 제작된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을 미리 설치된 연결 조인트(40)를 통해 면과 면을 서로 연결시키는 형태로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시스템 동바리(10)의 설치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 작업자들이 선들로 이루어지는 수직재, 수평재 등을 하나하나 연결하여 하나의 면을 형성시키는 것에 비해, 사전에 제작된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을 현장에서 바로 연결시킴에 따라 시스템 동바리(10)의 설치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에서처럼 선들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직재, 수평재, 및 가새 등이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슬라브 및 보 거푸집 전체를 지지시키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시스템 동바리(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 동바리(10)는 설치되는 사이사이에 공간(SP)이 형성되어 작업자 및 다양한 장비들이 공간(SP)을 통해 사이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 동바리(10)는 격자형태로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시스템 동바리(10)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P)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자재가 소요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스템 동바리(10)의 전체적인 제작단가 또한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시스템 동바리(10)의 해체작업은 전술한 바와는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체작업 시에도 설치작업과 동일하게 전체적인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블록(B)은 도 1에서와 같이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의 상,하 길이와, 수평 가새(22a,22b), 제1 경사 가새(23), 수직 가새(32a,32b), 및 제2 경사 가새(33)의 설치유무 등에 따라 서로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높이를 가지면서 상호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시스템 동바리(10)는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현장의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측면을 지지시키는 별도의 지지대가 다수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는 제1 지지유닛(20a,20b) 및 제2 지지유닛(30a,30b)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됨에 따라, 경사진 지면의 상태에 따라 타측이 회전되면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시스템 동바리 B: 블록
20a,20b: 제1 지지유닛 21a,21b: 수직재
22a,22b: 수평 가새 23: 제1 경사 가새
24: 연결 파이프 25: 수평 조절유닛
26: 승강 파이프 27: 작동 핸들
30a,30b: 제2 지지유닛 31a,31b: 수평재
32a,32b: 수직 가새 33: 제2 경사 가새
40: 연결 조인트 41: 파형 플레이트
41a: 고정홀 42: 어댑터
43: 상부 바디 43a: 제1 삽입홀
44: 하부 바디 44a: 제2 삽입홀
45: 삽입홈 46: 연결 바디
47: 고정핀 48: 작동부
49a: 관통방지 헤드 49b: 이탈방지 돌기
T: 경사면 50: 트러스
S-1: 슬라브 거푸집 S-2: 보 거푸집
51: 제1 연결부 52a,52b: 제2 연결부
53a,53b: 서브 연결부 54: 트러스 가새
55: 슬라브 연결대 56: 보 연결대
57: 제1 간격 조정수단 58: 제1 핸들
59: 제2 간격 조정수단 59a: 제2 핸들
SP: 공간

Claims (11)

  1. 가상의 면들을 이루는 복수의 지지유닛들을 시공현장에서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시키고, 형성된 상기 블록들을 상호 적층시키면서 사용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재 및 상기 한 쌍의 수직재 상, 하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평 가새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지지유닛;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재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재 좌, 우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수직 가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이격된 사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지지유닛의 각 수직재와 상기 제2 지지유닛의 각 수평재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조인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서로 다른 높낮이로 이루어져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새는
    상기 수직재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수직 가새는
    상기 수평재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재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제1 경사 가새; 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평재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 경사 가새; 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경사 가새 및 제2 경사 가새는
    상기 수직재 및 수평재에 양단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인트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수직재 상,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파형 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유닛의 수평재 양측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파형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관통하는 선단이 상기 파형 플레이트의 고정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시키는 고정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이 외측면에 지지되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소통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단이 관통되는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 및 하부 바디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파형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수평대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어댑터의 제1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제2 삽입홀 측으로 관통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확장된 부분이 상기 어댑터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1 삽입홀을 통해 관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관통방지 헤드; 및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제1 삽입홀을 통해 상기 작동부의 인출 시 상기 어댑터의 상부 바디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수직재 상단에 설치되어 슬라브 또는 보의 거푸집 하중을 상기 수직재를 통해 하측으로 전달시키는 트러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는
    상기 슬라브의 거푸집과 연결되는 슬라브 연결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재의 상단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의 거푸집과 연결되는 보 연결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서브 연결부의 이격된 사이를 수평 및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트러스 가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연결대는
    상기 슬라브 거푸집과 제1 연결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키는 제1 간격 조정수단; 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간격 조정수단은
    상기 슬라브 연결대가 상기 제1 연결부와 서로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된 상기 슬라브 연결대를 회전에 따라 승강작동시키는 제1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 연결대는
    상기 보 거푸집과 제2 연결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조정시키는 제2 간격 조정수단; 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간격 조정수단은
    상기 보 연결대가 상기 제2 연결부와 서로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된 상기 보 연결대를 회전에 따라 승강작동시키는 제2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동바리.
KR1020170062393A 2017-05-19 2017-05-19 시스템 동바리 KR10202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93A KR102029907B1 (ko) 2017-05-19 2017-05-19 시스템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393A KR102029907B1 (ko) 2017-05-19 2017-05-19 시스템 동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66A true KR20180127066A (ko) 2018-11-28
KR102029907B1 KR102029907B1 (ko) 2019-11-15

Family

ID=6456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393A KR102029907B1 (ko) 2017-05-19 2017-05-19 시스템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990A (zh) * 2019-03-14 2019-06-07 博建建工有限公司 一种建筑用模块式支模架
CN110630037A (zh) * 2019-08-28 2019-12-31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平板式结构模板垂直支撑柱系统的液压系统
KR102420207B1 (ko) 2021-12-27 2022-07-13 주식회사 서남산업 시스템 동바리의 대각재 이탈방지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018Y1 (ko) * 2021-01-05 2022-02-15 김지훈 파이프 조인트 장치
KR102523715B1 (ko) * 2021-12-09 2023-04-19 박숙현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
KR20230126798A (ko) 2022-02-24 2023-08-31 충청시스템가설 주식회사 가설재 수직재용 조인트 파이프에 대한 자동 생산 시스템
KR20240000329U (ko) 2022-08-16 2024-02-23 박상우 건축물 슬라브 서포트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12B1 (ko) * 2007-08-24 2008-06-30 에스앤피시스템(주) 시스템 서포트
KR20100001360U (ko) 2008-07-29 2010-02-08 김용상 시스템 동바리
KR101020061B1 (ko)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20110086672A (ko) * 2011-07-04 2011-07-29 주식회사백상 사다리형 작업대
KR20120085641A (ko) * 2011-01-23 2012-08-01 이원호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60029938A (ko) *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세원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KR101691525B1 (ko) * 2016-04-22 2017-01-09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12B1 (ko) * 2007-08-24 2008-06-30 에스앤피시스템(주) 시스템 서포트
KR20100001360U (ko) 2008-07-29 2010-02-08 김용상 시스템 동바리
KR101020061B1 (ko)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20120085641A (ko) * 2011-01-23 2012-08-01 이원호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10086672A (ko) * 2011-07-04 2011-07-29 주식회사백상 사다리형 작업대
KR20160029938A (ko) *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세원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KR101691525B1 (ko) * 2016-04-22 2017-01-09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990A (zh) * 2019-03-14 2019-06-07 博建建工有限公司 一种建筑用模块式支模架
CN110630037A (zh) * 2019-08-28 2019-12-31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平板式结构模板垂直支撑柱系统的液压系统
KR102420207B1 (ko) 2021-12-27 2022-07-13 주식회사 서남산업 시스템 동바리의 대각재 이탈방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07B1 (ko)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7066A (ko) 시스템 동바리
US3921362A (en) Method of and means for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US11274432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and a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therefor
US10392818B2 (en) Climbing formwork for erecting a concrete structure
CN105569242A (zh) 一种叠合楼板的装配方法
CN107313506A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167072B (zh) 具有爬升模板和升降机系统的建筑工地设备
CN102777030A (zh) 一种电梯井道模板施工平台搭设方法
JP200907359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およびクライミング方法
KR20070005533A (ko) 갱폼
JP6474151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2063433B1 (ko) 배관설비 통합모듈 수직 인양공법
US10829927B2 (en)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JP2010242308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構造高層建物の解体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解体装置
US20070096006A1 (en) Overhead beam assembly
KR20110105489A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101725899B1 (ko)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JP6391134B2 (ja) 解体方法および解体システム
JP3220397B2 (ja) 昇降式足場
JP5773343B2 (ja) 複層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連層足場用の揚重装置
CN218714961U (zh) 一种可调节间距整体吊装平台
CN214656379U (zh) 一种高墩液压顶升整体式钢架平台翻模施工系统
CA2624702A1 (en) Overhead beam assembly
JPH0442296Y2 (ko)
KR200239554Y1 (ko) 바닥 프레임 가동지지부를 갖는 배관용 라이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