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318B1 -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318B1
KR100402318B1 KR10-2000-0052204A KR20000052204A KR100402318B1 KR 100402318 B1 KR100402318 B1 KR 100402318B1 KR 20000052204 A KR20000052204 A KR 20000052204A KR 100402318 B1 KR100402318 B1 KR 10040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door
spring
pi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903A (ko
Inventor
황천익
Original Assignee
황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천익 filed Critical 황천익
Priority to KR10-2000-005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3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7/101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iased by free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9Elongate hinges, e.g. piano-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126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in an axi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여닫이문의 상부문틀에 장착되어서 문짝의 회전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문틀용 피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문짝의 상부에 설치된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에 들어가 결합되는 피보트핀의 상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문짝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은 문틀상부프레임(F1)에 고정설치되어지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일측변부를 관통하여 고착되는 중공형 핀수용관(20)과,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에서 아래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보트핀(30)과,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로 그 일측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피보트핀(30)에 결합되는 작동레버(40)의 구성을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핀(30) 또는 작동레버(40) 중 어느 하나를 스프링(50)으로 지지시켜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멈춰 있도록 하며, 상기 피보트핀(30)이나 작동레버(40)에 스프링(50)의 탄지력보다 큰 인위적인 힘을 위쪽으로 작용시키면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A Pivot for Door-frame of Hinged Door}
본발명은 여닫이문의 상부문틀에 장착되어서 문짝의 회전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문틀용 피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짝의 상부에 설치된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에 들어가 결합되는 피보트핀의 상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문짝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사무실의 주 출입구에 설치되어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문은 문짝의 하부에 플로어힌지를 설치하여 문짝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고, 문틀의 상부프레임 및 문짝의 상부프레임에 상호 결합되는 피보트들을 설치하여 문짝의 회전 개폐동작을 안내하고 있다.
이러한 여닫이문의 설치구조에서 문틀용 피보트는 피보트핀이 하부로 돌출되는 수컷형으로 이루어지고, 문짝용 피보트는 하부로 파인 핀홀을 구비한 암컷형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문틀용 피보트 및 문짝용 피보트는 문틀에 문짝을 매달기 이전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그것들의 피보트핀과 핀홀을 끼워 맞추는 형식으로 조립함으로써 문짝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대부분의 문틀용 피보트는 그 피보트핀을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에 끼워 맞추기 위해서 피보트핀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1a에는 종래 여닫이문에 사용되는 문틀용 피보트의 대표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문틀용 피보트는 소정의 평면적을 갖는 판체로 된 기판(1)과, 상기 기판(1)의 일측변부를 관통하여 고착되며 그 타측벽에 상하로 길쭉한 슬로트홀(2a)을 형성하고 있는 중공형 핀수용관(2)과, 상기 기판(1)의 타측부 상면에 고착되어 있는 브래킷(3)과, 상기 핀수용관(2)의 슬로트홀(2a)에 일측단부가 끼워지고 타측 중반부가 상기 브래킷(3)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핀설되는 작동레버(4)와, 상기 핀수용관(2)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작동레버(4)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작동레버의 상하 회동에 따라 아래위로 이동하는 피보트핀(5)과, 상기 작동레버(4)의 타측단부에 결합되어서 작동레버(4)의 상하 회동을 제어하면서 붙잡고 있는 높이조절나사(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는 도1b의 도시와 같이, 문틀상부프레임(F1)의 모서리부근에 절취되어 있는 개구부상에 위치되어 기판(1)의 양측단부가 고정편(7)과 체결나사(8)를 통해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연결 고정되며, 그 피보트핀(5)을 문짝상부프레임(F2)에 장착된 문짝용 피보트(9)의 핀홀(9a)에 끼워 맞춰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과정에서 문틀용 피보트의 피보트핀(5)은 핀수용관(2)의 내부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9a)을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높이조절나사(6)를 조작하여 작동레버(4)의 일측단부를 하부로 회동시켜 줌으로써, 그 피보트핀(5)이 작동레버(4)와 함께 하강되어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9a)에 삽입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틀용 피보트는 문짝의 설치 및 해체 시 높이조절나사(6) 및 작동레버(4)를 통해 피보트핀(5)을 상하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문틀용 피보트와 문짝용 피보트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문틀용 피보트는 여닫이문의 구조적인 특성상 그 피보트핀(5)을 문짝용 피보트(9)의 핀홀(9a)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대단히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문틀용 피보트와 문짝용 피보트의 조립시에는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9a)이 문틀상부프레임(F1)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핀홀(9a)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피보트핀(5)과 핀홀(9a)의 수직위치를 맞추기 마련인데, 고중량인 문짝을 들고 수직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에는 대단히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피보트핀(5)과 핀홀(9a)의 수직위치가 정확히 맞추어졌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높이조절나사(6)를 조작하여 피보트핀(5)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여러 번 시도한 다음에야 비로소 정위치를 찾을 수 있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그리고, 높이조절나사(6)를 회동시켜야 만이 피보트핀(5)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문짝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때 높이조절나사(6)를 1명의 작업자가 회동시키는 동안 문짝의 전도를 막기 위해 다른 1명이 반드시 문짝을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문짝의 설치후 보수가 요구되어 문짝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높이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피보트핀(5)을 상향 이동시켜야 하는데 높이조절나사(6)의 나사결합부에 이물질이 끼거나 녹슬어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 여닫이문의 문틀용 상부피보트는 그 기판(1)의 양측 단부가 고정편(7)과 체결나사(8)를 통해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연결 고정되는 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7)은 그 판체의 중간부가 상기 기판(1)의 측단부가 알맞게 끼워져서 수용되도록 상부로 턱이 져서 솟아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위치마다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 또는 기판(1)에 체결나사(8)를 통해 결합하도록 된 나사공(7a)이 뚫려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편(7)은 금속문틀에 설치되는 소형문에서는 요구되는 지지력을 얻을 수 있지만, 고정편(7)을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그 작은 면적 안에 소수의 체결나사(8)를 체결하여 놓은 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얻고 있기 때문에, 나무문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이나 대형 여닫이문에서는 문짝의 충격하중 또는 지지하중을 충분히 받아주기에는 부실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편(7)을 통해 설치된 피보트는 설치후 잦은 고장이 일어나게 되어 여닫이문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틀용 피보트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문짝의 상부에 설치된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에들어가 결합되는 피보트핀의 상하이동이 스프링력에 의해 원활하면서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을 문틀의 상부프레임에 고정하여 주는 고정편의 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나무문틀이나 대형의 여닫이문에서 요구되는 지지력을 확보하여 주기 위한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종래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1b는 도1a에 의한 종래 문틀용 피보트의 설치상태도
도2a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의 사시도
도2b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설치상태도
도2c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작동예시도
도3a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의 사시도
도3b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설치상태도
도3c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작동예시도
도4a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의 사시도
도4b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설치상태도
도4c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작동예시도
도5a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의 사시도
도5b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설치상태도
도5c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작동예시도
도6a는 본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의 사시도
도6b는 본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설치상태도
도6c는 본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틀용 피보트의 작동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 2:핀수용관 2a:슬로트홀
3:브래킷 4:작동레버 5:피보트핀
6:높이조절나사 7:고정편 7a:나사공
8:체결나사 9:문짝용 피보트 9a:핀홀
10:기판 11:조작구멍 12:스프링받이구
13:스프링끼움턱 20:핀수용관 21:슬로트홀
22:캡 30:피보트핀 31:스프링안치홀
40:작동레버 41:하향돌출부 50:스프링
60:고정편 61:절취부 62:절곡판부
63:반원형홈 64:나사공 70:마감판
71:관통공 80:브래킷 F1:문틀상부프레임
F2:문짝상부프레임 P:문짝용 상부피보트 h:핀홀
s:체결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은 문틀상부프레임의 모서리부근에 절취되어 있는 개구부상에 수평하게 눕혀져 그 양측단부가 상기 문틀상부프레임에 고정설치되어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변부를 관통하여 고착되며 그 타측벽에 상하로 길쭉한 슬로트홀을 형성하고 있는 중공형 핀수용관과, 상기 핀수용관의 내부에서 아래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보트핀과, 상기 핀수용관의 슬로트홀을 통해 핀수용관의 내부로 그 일측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피보트핀에 결합되는 작동레버의 구성을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핀 또는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를 스프링으로 지지시켜서 상기 피보트핀이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멈춰 있도록 하며, 상기 피보트핀이나 작동레버에 스프링의 탄지력보다 큰 인위적인 힘을 위쪽으로 작용시키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피보트핀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기술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발명의 기술구성을 본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2a 내지 도6c에는 본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여러 문틀용 피보트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명칭이 부여되는 각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는, 문틀상부프레임(F1)의 모서리부근에 절취되어 있는 개구부상에 수평하게 눕혀져 그 양측단부가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고정설치되어지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일측변부를 관통하여 고착되며 그 타측벽에 상하로 길쭉한 슬로트홀(21)을 형성하고 있는 중공형 핀수용관(20)과,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에서 아래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보트핀(30)과, 상기 핀수용관(20)의 슬로트홀(21)을 통해 핀수용관(20)의 내부로 그 일측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피보트핀(30)에 결합되는 작동레버(40)의 구성을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핀(30) 또는 작동레버(40) 중 어느 하나를 스프링(50)으로 지지시켜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멈춰 있도록 하며, 상기 피보트핀(30)이나 작동레버(40)에 스프링(50)의 탄지력보다 큰 인위적인 힘을 위쪽으로 작용시키면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하여서 본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에서, 기판(10)에는 상기 작동레버(40)의 직상부를 향해 적어도 1개이상의 조작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의 기술구성을 갖는 본발명의 실시예들은 문틀상부프레임(F1)의 모서리부근에 절취되어 있는 개구부상에 위치되어 기판(10)의 양측단부가 고정편(60)과 체결나사(s)를 통해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연결 고정되며, 기판(10)의 하면에는 문틀상부프레임(F1)과 동일한 재질로 되고 상기 피보트핀(30) 및 기판(10)의 조작구멍(11)과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71)이 뚫려 있는 마감판(70)이 부착되어 깨끗한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문틀상부프레임(F1)에 장착된 본발명의 피보트는 그 피보트핀(30)을 문짝상부프레임(F2)에 장착된 문짝용 피보트(P)의 핀홀(h)에 끼워 맞춰 조립함으로써 문짝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문짝의 설치작업은 문짝을 위로 들어올려 문짝용 피보트(P)의 상면으로 본발명 피보트의 피보트핀(30)을 위로 눌러서 핀수용관(20)의 내부로 상승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 문짝을 이리 저리로 이동시키게 되면 피보트핀(30)과 핀홀(h)이 동일 수직선상으로 일치될 때 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피보트핀(30)이 하강하여 자동으로 삽입되어진다.
따라서, 본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는 문짝의 설치시 부품을 별도로 동작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문짝의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혼자서도 충분히 문짝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문짝을 해체할 때에는 상기 조작구멍(11)을 통해 도구를 집어넣고 작동레버 (40)를 상부로 가압하면,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h)에서 문틀용 피보트의 피보트핀(30)이 빠져나오게 되므로 손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을 공통적으로 갖는 본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본발명의 제1실시예로 도2a, 도2b, 도2c에 도시되는 문틀용 피보트는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상기 작동레버 (40)의 타측단부에는 하향돌출부(41)를 형성하며, 브래킷(80)의 채널에 작동레버 (40)의 타측 중반부를 끼우고 핀설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놓고, 작동레버(40)의 타측단부에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50)의 상부를 작동레버(40)의 하향돌출부(41)에 결합하고 하단을 상기 기판(10)의 상면에 접지시킨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50)은 코일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작동레버(40)는 판체로 성형되며, 그 일단은 상기 피보트핀(30)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레버(40)의 하향돌출부(41)는 그 고정단부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둥글게 가공되고, 하향돌출부(41)의 외측에는 스프링받이구(12)가 끼워지며, 이 스프링받이구(12)의 외측에 상기 스프링(50)의 상부가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받이구(12)의 설치구성은 스프링(50)의 압축시 평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스프링(50)의 하단이 접지되는 상기 기판(10)의 상면에는 상향 돌출되는 스프링끼움턱(13)이 형성되어 스프링(50)의 하단부를 잡아 주고 있다.
기판(10)에는 상기 조작구멍(11)이 작동레버(40)의 중간부 위치에 2개, 스프링끼움턱(13)의 중앙에 1개가 형성된다. 작동레버(40)의 중간부 위치에 형성된 2개의 조작구멍(11)은 피보트핀(30)을 상부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스프링끼움턱(13)의 중앙에 설치된 1개의 조작구멍은 피보트핀(30)의 하향동작이 불량할 때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는 그 코일형 스프링(50)이 작동레버(40)의 타측단부를 상부로 치켜올려 줌에 따라 브래킷(80)의 핀설지점을 중심으로 작동레버(40)의 일측단부가 하향회동하게 되므로 그 작동레버 (40)에 연결된 피보트핀(30)이 아래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며, 피보트핀(30) 또는 작동레버(40)의 일측부에 스프링(50)의 탄발력보다 큰 힘을 상부로 작용시키면 피보트핀(3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본발명의 제2실시예로 도3a, 도3b, 도3c에 도시되는 문틀용 피보트와, 제3실시예로 도4a, 도4b, 도4c에 도시되는 문틀용 피보트는 상기 핀수용관(20)의 상단에 캡(22)을 씌워 고정하며,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50)의 상단을 상기 캡(22)의 하면에 접지시키고 하부를 상기 피보트핀 (30)에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50)은 코일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캡(22)은 핀수용관(20)의 외면에 나사결합된다. 피보트핀(30)은 그 내부에 스프링안치홀(31)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안치홀(31)에 상기 스프링(50)이 들어가 설치된다. 기판(10)에는 피보트핀(30)을 상부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조작구멍(11)이 작동레버(40)의 중간부 위치에 2개 형성된다.
제2실시예는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작동레버(40)는 판체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며, 브래킷(80)의 채널에 작동레버(40)의 타측부를 끼우고 핀설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놓으며, 작동레버(40)의 일단은 상기 피보트핀(30)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실시예는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작동레버(40)는 봉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브래킷(80)의 채널에 상기 작동레버(40)의 타측부를 끼워서 작동레버(40)가 상하 이동될 때 안내받도록 하고, 그 일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피보트핀(30)과 나사결합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는 그 코일형 스프링(50)이 피보트핀(30)을 하부로 밀어냄에 따라 피보트핀(30)이 아래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며, 피보트핀(30) 또는 작동레버(40)의 일측부에 스프링(50)의 탄발력보다 큰 힘을 상부로 작용시키면 피보트핀(30)과 작동레버(40)가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본발명의 제4실시예로 도5a, 도5b, 도5c에 도시되는 문틀용 피보트와, 제5실시예로 도6a, 도6b, 도6c에 도시되는 문틀용 피보트는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브래킷(80)의 채널에 상기 작동레버(40)의 타측부를 끼우고 핀설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놓고, 작동레버(40)와 브래킷(80) 및 기판(10)에 지지점을 형성하는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50)의 중간부를 상기 브래킷(80)에 지지시키고 일측단을 상기 작동레버(40)의 중간부에 지지시키며 타측단을 상기 기판(10)에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서 기판(10)에는 피보트핀(30)을 상부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조작구멍(11)이 작동레버(40)의 중간부 위치에 2개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레버(40)는 판체로 성형되며, 그 일단은 상기 피보트핀(30)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50)은 핀형 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50)의 중간부는 U자형으로 구부러져 브래킷(80)의 핀설지점에 위치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앵글형으로 구부러져 기판(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접지된다.
본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피보트는 그 스프링(50)의 일측단부가 꺾쇠형으로 구부러져 상기 작동레버(40)의 중간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5실시예에 의한 피보트는 그 스프링(50)의 일측단부가 채널형으로 구부러져 상기 작동레버(40)의 상면을 누르고 있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의한 문틀용 피보트는 그 핀형 스프링(50)이 작동레버(40)의 중간부를 하부로 눌러줌에 따라 브래킷(80)의 핀설지점을 중심으로 작동레버(40)의 일측단부가 하향회동하게 되므로 그 작동레버 (40)에 연결된 피보트핀(30)이 아래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며, 피보트핀(30) 또는 작동레버(40)의 일측부에 스프링(50)의 탄발력보다 큰 힘을 상부로 작용시키면 피보트핀(3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판(10)은 그 양측단부가 고정편(60)과 체결나사(s)를 통해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편(60)은 금속문틀에 설치되는 소형문에서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것을 사용하여도 요구되는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무방하다.
그러나, 본발명을 설치함에 있어서, 나무문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이나 대형 여닫이문에서는 문짝의 충격하중 또는 지지하중을 충분히 받아주기 위해서 도2a의 도시와 같은 고정편(60)을 사용한다.
이 고정편(60)은 그 판체의 중앙부에 상기 기판(10)의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따낸 절취부(61)가 형성되고, 절취부(61)의 일측을 경계하는 살부분이 상기 기판 (10)의 측단부가 알맞게 끼워져서 수용되도록 상부로 턱이 져서 솟아 올라간 절곡판부(62)로 형성된다.
절곡판부(62)의 양측단부 중간에는 반원형홈(63)이 각각 형성된다. 이 반원형홈(63)은 기판(10)의 하면을 가려주는 마감판(70)을 결합하는 체결나사가 솟아오를 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절곡판부(62)의 양측에 형성하는 이유는 기판 (10)의 양측에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곡판부(62)를 포함하는 판체의 소정 위치마다 상기 문틀상부프레임 (F1) 또는 기판(10)에 체결나사(s)를 통해 결합하도록 된 나사공(64)이 뚫려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고정편(60)은 그 판체가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면서 기판(10)의 단부를 3방향면에서 지지하며, 다수의 체결나사(s)를 통해 지지력을 얻고 있기 때문에 나무문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이나 대형 여닫이문에서 문짝의 충격하중 또는 지지하중을 충분히 받아주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문틀용 피보트가 설치되는 문짝은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피보트 장착부에서 파손이 일어날 염려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발명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에 의하면, 문틀용 피보트핀의 상하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여닫이 문짝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문짝이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지지되어 고장이 잦았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문짝의 상부에 설치된 문짝용 피보트의 핀홀에 들어가 결합되는 피보트핀의 상하이동이 스프링력에 의해 원활하면서도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문짝의 설치 및 해체가 대단히 편리하고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혼자서도 여닫이 문짝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피보트핀을 상하로 작동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해짐으로써, 제작이 편리하고 제작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발명은 기판을 문틀의 상부프레임에 고정하여 주는 고정편의 평면적을 증대시켜 나무문틀이나 대형의 여닫이문에서 요구되는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여닫이문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등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9)

  1. 문틀상부프레임(F1)의 모서리부근에 절취되어 있는 개구부상에 수평하게 눕혀져 그 양측단부가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고정설치되어지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일측변부를 관통하여 고착되며 그 타측벽에 상하로 길쭉한 슬로트홀(21)을 형성하고 있는 중공형 핀수용관(20)과,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에서 아래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보트핀(30)과, 상기 핀수용관(20)의 슬로트홀(21)을 통해 핀수용관(20)의 내부로 그 일측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피보트핀 (30)에 결합되는 작동레버(40)의 구성을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핀(30) 또는 작동레버(40) 중 어느 하나를 스프링(50)으로 지지시켜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멈춰 있도록 하며, 상기 피보트핀(30)이나 작동레버(40)에 스프링(50)의 탄지력보다 큰 인위적인 힘을 위쪽으로 작용시키면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피보트핀(30)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상기 작동레버(40)의 타측단부에는 하향돌출부(41)를 형성하며, 브래킷 (80)의 채널에 작동레버(40)의 타측 중반부를 끼우고 핀설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놓고, 작동레버(40)의 타측단부에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50)의 상부를 작동레버(40)의 하향돌출부(41)에 결합하고 하단을 상기 기판 (10)의 상면에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40)의 하향돌출부(41)는 그 고정단부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둥글게 가공되고, 하향돌출부(41)의 외측에는 스프링받이구(12)가 끼워지며, 스프링받이구(12)의 외측에 상기 스프링(50)의 상부가 끼워져서 결합되는 한편, 스프링(50)의 하단이 접지되는 상기 기판(10)의 상면에는 상향 돌출되는 스프링끼움턱(13)이 형성되어 스프링(50)의 하단부를 잡아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브래킷(80)의 채널에 상기 작동레버(40)의 타측부를 끼우고 핀설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놓고, 상기 핀수용관(20)의 상단에 캡(22)을 씌워 고정하며,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50)의 상단을 상기 캡(22)의 하면에 접지시키고 하부를 상기 피보트핀(30)에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브래킷(80)의 채널에 상기 작동레버(40)의 타측부를 끼워서 작동레버 (40)가 상하 이동될 때 안내받도록 하고, 상기 핀수용관(20)의 상단에 캡(22)을 씌워 고정하며, 상기 핀수용관(20)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 (50)의 상단을 상기 캡(22)의 하면에 접지시키고 하부를 상기 피보트핀(30)에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핀(30)은 그 내부에 스프링안치홀 (31)이 형성되고, 스프링안치홀(31)에 상기 스프링(50)이 들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의 타측부 상면에 채널형의 브래킷(80)을 고착시키고, 브래킷(80)의 채널에 상기 작동레버(40)의 타측부를 끼우고 핀설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놓고, 작동레버(40)와 브래킷(80) 및 기판(10)에 지지점을 형성하는 상기 스프링(50)을 설치하되 그 스프링(50)의 중간부를 상기 브래킷(80)에 지지시키고 일측단을 상기 작동레버(40)의 중간부에 지지시키며 타측단을 상기 기판(10)에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에는 상기 작동레버(40)의 직상부를 향해 적어도 1개이상의 조작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은 그 양측단부가 고정편(60)과 체결나사(s)를 통해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에 연결 고정되며, 고정편(60)은 그 판체의 중앙부에 상기 기판(10)의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따낸 절취부(61)가 형성되고, 절취부 (61)의 일측을 경계하는 살부분이 상기 기판(10)의 측단부가 알맞게 끼워져서 수용되도록 상부로 턱이 져서 솟아 올라간 절곡판부(62)로 형성되며, 절곡판부(62)의 양측단부 중간에는 반원형홈(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절곡판부(62)를 포함하는 판체의 소정 위치마다 상기 문틀상부프레임(F1) 또는 기판(10)에 체결나사(s)를 통해 결합하도록 된 나사공(64)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KR10-2000-0052204A 2000-09-04 2000-09-04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KR10040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204A KR100402318B1 (ko) 2000-09-04 2000-09-04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204A KR100402318B1 (ko) 2000-09-04 2000-09-04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135U Division KR200213275Y1 (ko) 2000-09-04 2000-09-04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03A KR20020018903A (ko) 2002-03-09
KR100402318B1 true KR100402318B1 (ko) 2003-10-23

Family

ID=196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204A KR100402318B1 (ko) 2000-09-04 2000-09-04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90B1 (ko) *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KR20180091592A (ko) 2017-02-07 2018-08-16 박형태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451B1 (ko) * 2007-05-22 2008-03-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여닫이 문 세트의 개폐반복성 시험장치
KR102557108B1 (ko) * 2023-02-02 2023-07-19 이흥만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92A (ko) 2017-02-07 2018-08-16 박형태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101878190B1 (ko) *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03A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7341B2 (en) Buffer device
US5860189A (en) Door wheel
CA3009381A1 (en) Upwardly pivoted window with biasing to retain sash open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KR20100064188A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US5553352A (en) Bifold door repair apparatus
EP3719244A1 (en) Shower door assembly
KR200213275Y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KR102440130B1 (ko) 방화문용 하부힌지
US20070101653A1 (en) Hinge assembly for casement windows
KR101849987B1 (ko)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CN203188759U (zh) 一种带滑块的门窗铰接连接装置
EP1452679B1 (en) Hinge for mobile elements or furniture wings with mechanism to adjust height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KR101244032B1 (ko) 밸런스 도어
KR200249927Y1 (ko) 도어용 경첩
KR102664810B1 (ko) 스윙도어용 피봇힌지 고정장치
KR200275801Y1 (ko) 도어용 경첩
CN220469643U (zh) 铰链调节结构
KR102551682B1 (ko) 폴딩도어용 힌지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시스템
KR100869128B1 (ko) 유압식 힌지장치가 장착된 자동 닫힘 도어를 위한회전조절수단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KR102357153B1 (ko) 중공 프레임 연결 보조구
KR200184227Y1 (ko) 도어용 경첩
KR100433952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2384844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