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952B1 -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952B1
KR100433952B1 KR10-2001-0073589A KR20010073589A KR100433952B1 KR 100433952 B1 KR100433952 B1 KR 100433952B1 KR 20010073589 A KR20010073589 A KR 20010073589A KR 100433952 B1 KR100433952 B1 KR 10043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oor frame
hinge
groov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805A (ko
Inventor
황천익
Original Assignee
황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천익 filed Critical 황천익
Priority to KR10-2001-007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9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문짝의 힌지본체를 수용하게 되는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높낮이 및 수평을 수월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닫이 문짝(101)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H)를 내장하고서 문틀(102)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101)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며 그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11)를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그 가장자리가 상기 플랜지부(11)에 나사로 접합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플랜지부(11)와 덮개판(20)에서 상기 문틀(102)의 옆에 붙여지는 부분에 상기 문틀(102)의 측면이 알맞게 끼워지는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폭방향 중심과 높낮이 및 수평상태를 맞추기 위한 번거로움 및 불편을 일소할 수 있고, 여닫이 문짝을 양호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준다.

Description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Apparatus for Setting-Position of Floor-Hinge Casing}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단부에 끼워져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높낮이 및 수평을 수월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문은 플로어힌지를 설치하여 문짝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플로어힌지는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의 바닥콘크리트에 금속제 케이싱을 매설하고,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본체를 고정·설치하고,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단부를 결합시켜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며, 케이싱의 상부에는 금속제 덮개판을 씌워서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닫이문은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축 끼움부가 상호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어야 원활하게 회전개폐될 수 있다. 때문에 플로어힌지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문짝의 힌지축 끼움부가 위치되는 회동중심점에 힌지본체의 힌지축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힌지본체에는 상하·전후 및 좌우 위치조절 수단을 구비시키고, 바닥콘크리트에 매설된 케이싱 내에서 상기 위치조절 수단들을 조작하여 힌지본체의 힌지축을 문짝의 힌지축 끼움부가 위치되는 회동중심점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바닥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케이싱의 설치오차가 상기한 상하, 전후 및 좌우 위치조절수단을 통해 조정할 수 있는 일정한계를 넘을 경우에는, 문짝의 회동중심점에 힌지본체의 힌지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가 없게 됨으로써, 문짝의 설치상태가 불량할 수밖에 없으며, 심할 경우에는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된 케이싱을 뜯어내고 다시 새로운 케이싱을 설치해야 하는 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케이싱을 매설할 때 케이싱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규준장치가 없는 데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현상을 야기하는 종래의 예로서 도1의 도시와 같은 케이싱 매설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케이싱의 매설방법은, 건물의 바닥면을 마무리하기 이전 문틀(1)이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타설되어 있는 바닥콘크리트(2) 위에 고임목(3) 등을 이용해 케이싱(4)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로 올려놓고, 문틀(1)의 측벽에 케이싱(4)의 일측 플랜지부를 밀착시킨 후 문틀(1)을 기준으로 케이싱(4)의 전후 중심을 대략 눈대중으로 맞춘 다음, 상호 밀착하는 문틀(1)의 측벽과 케이싱(4)의 일측 플랜지부를 용접하고, 케이싱(4)의 타측벽이 위치된 바닥콘크리트(2)에 앵커볼트 (5)를 박고 이 앵커볼트(5)와 케이싱(4)의 타측벽을 용접하여서 케이싱(4)의 위치고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후, 건물의 바닥면 마무리 공사시 케이싱(4) 주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고 경화시키어 케이싱(4)의 매설작업을 완전히 마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케이싱의 설치방법은 케이싱(4)의 전후 중심과 높이 및 수평상태를 맞추는 작업을 작업자의 눈대중 내지는 감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용접작업 및 바닥콘크리트(2)에 앵커볼트(5)를 심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되지 않고서는 케이싱(4)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게 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문틀(1)과 케이싱(4)의 용접으로 인해 문틀재가 손상됨으로써, 문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가장자리에 문틀의 측면과 끼워 맞춰지는 홈을 구비시킴으로써,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의 측벽에 문틀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을 구비시킴으로써, 케이싱을 문틀의 손상없이 간단하게 조립·고정할 수 있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싱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소이상에 높낮이 조절용 3각 쐐기편과 위치 고정용 지지철편을 구비시킴으로써, 케이싱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낮이 및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확보하고, 위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재들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싱과 힌지본체 및 덮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정중앙 맞춤용 홈이 문틀에 끼워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재들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재들이 설치된 상태의 일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 일측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지지철편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중앙 맞춤용 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싱 11:플랜지부 12:조립구멍
20:덮개판 30:쐐기편 31:못구멍
32:못홈 40:지지철편 41:꺾임부
42:나사구멍 43:못구멍 101:문짝
102:문틀 103:바닥콘크리트 H:힌지본체
a:정중앙 맞춤용 홈 n:콘크리트못 s:나사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닫이 문짝(101)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H)를 내장하고서 문틀(102)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101)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며 그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11)를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그 가장자리가 상기 플랜지부(11)에 나사로 접합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플랜지부(11)와 덮개판(20)에서 상기 문틀(102)의 옆에 붙여지는 부분에 상기 문틀(102)의 측면이 알맞게 끼워지는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의 본 발명은 케이싱(10)을 바닥콘크리트(103)의 내부에 매설하고자 고정시킬 때, 정중앙 맞춤용 홈(a)을 문틀(102)에 끼우기만 하면 케이싱 (10)이 문틀(102)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되므로 아주 간단하게 케이싱(10)의 설치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예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2는 각 구성재들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케이싱과 힌지본체 및 덮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정중앙 맞춤용 홈이 문틀에 끼워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 및 도5는 각 구성재들이 조립되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및 일측면도이다.
그리고,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예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각 구성재들이 조립되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및 일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는 정중앙 맞춤용 홈(a)을 형성함에 있어, 케이싱(10)의 일측 플랜지부(11)와 덮개판(20)의 일측단부를 프레스 절단하여서 문틀(102)의 외면 폭과 같은 길이로 된 홈(a)을 형성하고 있는 기술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에는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쪽의 측벽에 다수의 조립구멍(12)이 형성되어서, 그 조립구멍(12)을 통해 상기 문틀(102)에 나사(s)로 체결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하측에는 높낮이 조절용 쐐기편(30)이 설치된다.
이 쐐기편(30)은 채널형 단면을 갖는 3각대 형상으로 성형되고 바닥판부에 못구멍(31)과 못홈(32)이 형성되며, 그 못구멍(31)과 못홈(32)을 통해 바닥콘크리트(103)에 콘크리트못(n)을 박아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쐐기편(30)은 상기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반대쪽에서 케이싱(10)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쐐기편(30)을 설치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양측에서 마주하는 1쌍이 배치되어서 케이싱 (10)의 중심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2실시예에서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후측 중앙부에 1개가 배치되어서 케이싱(10)의 중심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으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반대쪽에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소이상에 위치 고정용 지지철편(40)이 부착된다.
이 지지철편(40)은 길쭉한 4각띠 형상을 가지고 상하 중간의 2지점에 일정부분 절취해 낸 꺾임부(41)를 두어서 구부림을 용이케 하고 있으며, 도8의 도시와 같이 케이싱(10)의 설치높이에 따라 그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철편(40)의 위쪽 수직부에는 상기 케이싱(10)과 나사 조립할 수 있는 나사구멍(42)이 형성되고, 아래쪽 수평부에는 못구멍(43)이 형성되어서 그 못구멍(43)을 통해 바닥콘크리트(103)에 콘크리트못(n)을 박아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철편(40)을 설치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후측 중앙부에 1개가 배치되어서 케이싱(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으며, 제2실시예에서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양측에서 마주하는 1쌍이 배치되어서 케이싱(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한편,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중앙 맞춤용 홈(a)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정중앙 맞춤용 홈(a)을 형성함에 있어, 안쪽에 작은 홈을 배치하고 바깥쪽에 큰 홈을 배치하여 계단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계단식으로 형성된 정중앙 맞춤용 홈(a)은 설치되는 문틀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홈(a)을 선택하여 끼워 맞출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문틀재의 단면폭은 통상 80㎜, 100㎜, 120㎜ 등 3가지로 규격화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는 설치된 문틀(102)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떠한 경우라도 적용시킬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면 도시된 "X"폭의 홈(a)은 80㎜의 단면폭을 갖는 문틀(102)이 끼워지도록 한 부분이고, "Y"폭의 홈(a)은 100㎜, "Z"폭의 홈(a)은 120㎜의 단면폭을 갖는 문틀(102)이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술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싱(10)의 덮개판(20)을 해체하고 힌지본체(H)를 들어낸 후 케이싱 (10)의 측벽에 지지철편(40)을 나사(s)로 부착한다.
다음, 문틀(102)이 설치된 부근의 바닥콘크리트(103) 위에 케이싱(10)을 올려놓고, 지지철편(40)과 쐐기편(30)을 이용해 케이싱(1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해 임시로 맞춘다. 이때, 지지철편(40)은 꺾임부(41)를 중심으로 구부리면서 설치높이를 맞추며, 쐐기편(30)은 케이싱(10)의 바닥면과 바닥콘크리트(103)의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밀어 넣으면서 조절한다.
이어서, 케이싱(10)의 일측 플랜지부(11)에 형성된 정중앙 맞춤용 홈(a)을 문틀(102)의 측벽에 끼워서 밀착시키고 케이싱(10)의 일측 높이와 수평을 정확히 맞춘 후, 케이싱(10)의 일측벽에 형성된 조립구멍(12)을 통해 나사(s)를 문틀(102)에 관통시켜 체결한다.
다음으로, 쐐기편(30)과 지지철편(40)을 이용해 케이싱(10)의 타측 높이와 수평을 정확히 맞춘 후, 쐐기편(30)과 지지철편(40)을 그것들의 못구멍(31)(43) 또는 못홈(32)을 통해 콘크리트못(n)을 바닥콘크리트(103)에 박는다.
이어서, 케이싱(10)의 내부에 힌지본체(H)를 넣고 상부에 덮개판(20)을 조립하여 케이싱(10)의 위치고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후, 건물의 바닥면 마무리 공사시 케이싱(10) 주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고 경화시키어 케이싱(10)의 매설작업을 완전히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장치는,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가장자리에 정중앙 맞춤용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을 문틀의 측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싱의 측벽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는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이용해 케이싱을 문틀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종래 용접을 통해 고정하였던 것과 달리 케이싱의 고정시 문틀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소이상에 높낮이 조절용 3각 쐐기편과 위치 고정용 지지철편이 구비됨으로써, 케이싱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낮이 및 수평 상태가 정확하게 확보되고, 위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번거로움과 높낮이 및 수평상태를 맞추기 위한 불편을 일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닫이 문짝을 양호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여닫이 문짝(101)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H)를 내장하고서 문틀(102)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101)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며 그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11)를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그 가장자리가 상기 플랜지부(11)에 나사로 접합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2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플랜지부(11)와 덮개판(20)에서 상기 문틀(102)의 옆에 붙여지는 부분에 상기 문틀(102)의 측면이 알맞게 끼워지는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쪽의 측벽에 조립구멍(12)이 형성되어서, 그 조립구멍(12)을 통해 상기 문틀(102)에 나사 (s)로 체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하측에는 상기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 반대쪽에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소이상에 높낮이 조절용 3각 쐐기편(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상기 정중앙 맞춤용 홈(a)이 형성된반대쪽에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소이상에 위치 고정용 지지철편(40)이 부착되며, 이 지지철편(40)은 길쭉한 4각띠 형상을 가지고 상하 중간의 2지점에 일정부분 절취해 낸 꺾임부(41)를 두어서 구부림을 용이케 하는 한편, 그 지지철편 (40)의 위쪽 수직부에는 상기 케이싱(10)과 나사 조립할 수 있는 나사구멍(42)이 형성되고, 아래쪽 수평부에는 못구멍(43)이 형성되어서 그 못구멍(43)을 통해 바닥콘크리트(103)에 콘크리트못(n)을 박아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중앙 맞춤용 홈(a)은 안쪽에 작은 홈을 배치하고 바깥쪽에 큰 홈을 배치하는 계단식으로 형성하여서, 설치되는 문틀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홈(a)을 선택하여 끼워 맞출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2001-0073589A 2001-11-24 2001-11-24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433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89A KR100433952B1 (ko) 2001-11-24 2001-11-24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89A KR100433952B1 (ko) 2001-11-24 2001-11-24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05A KR20030042805A (ko) 2003-06-02
KR100433952B1 true KR100433952B1 (ko) 2004-06-04

Family

ID=2957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589A KR100433952B1 (ko) 2001-11-24 2001-11-24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953B1 (ko) * 2001-11-24 2004-06-04 황천익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647076B1 (ko) * 2005-09-15 2006-11-23 황천익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838189B1 (ko) * 2007-09-17 2008-06-16 오세진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499A (ko) * 1985-06-08 1987-02-18 정기선 후로우 힌지의 자동 제어장치
KR890017736U (ko) * 1988-02-26 1989-09-08 문충식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 장치
JPH033455A (ja) * 1989-05-31 1991-01-09 Nec Corp マイクロ波受信装置
JPH0317618A (ja) * 1989-06-15 1991-01-25 Seiko Instr Inc 光書込型液晶ライトバルブの光書込み駆動方法
KR940000715A (ko) * 1992-06-08 1994-01-03 이문현 개량형 플로우 힌지
KR20000004324U (ko) * 1998-08-04 2000-03-06 황천익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장치
KR200255655Y1 (ko) * 2001-08-21 2001-12-20 삼화정공 주식회사 플로어 힌지 케이싱
KR20030042806A (ko) * 2001-11-24 2003-06-02 황천익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499A (ko) * 1985-06-08 1987-02-18 정기선 후로우 힌지의 자동 제어장치
KR890017736U (ko) * 1988-02-26 1989-09-08 문충식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 장치
JPH033455A (ja) * 1989-05-31 1991-01-09 Nec Corp マイクロ波受信装置
JPH0317618A (ja) * 1989-06-15 1991-01-25 Seiko Instr Inc 光書込型液晶ライトバルブの光書込み駆動方法
KR940000715A (ko) * 1992-06-08 1994-01-03 이문현 개량형 플로우 힌지
KR20000004324U (ko) * 1998-08-04 2000-03-06 황천익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장치
KR200255655Y1 (ko) * 2001-08-21 2001-12-20 삼화정공 주식회사 플로어 힌지 케이싱
KR20030042806A (ko) * 2001-11-24 2003-06-02 황천익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05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952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433953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647076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20190003065U (ko) 컴팩트 힌지 바닥 브라켓
KR20200097073A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102602663B1 (ko) 현장 시공이 용이한 유리 프레임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66959A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JPH0913797A (ja) 改装窓
JP5743919B2 (ja) フロアヒンジ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0259890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KR200277547Y1 (ko) 샤워부스용 패널의 각도 조절장치
JP2004239010A (ja) ドア開閉用グレビティヒンジ
KR20100067230A (ko) 문틀 시공용 가틀
KR200255655Y1 (ko) 플로어 힌지 케이싱
JP7474804B2 (ja) 建具装置及びこの建具装置の設置方法
JP6734495B2 (ja) 扉建込治具及び扉装置
CA1243466A (en) Device for covering a recess in a tiled wall
JP7045893B2 (ja) 横辷り出し窓の位置決め治具
JP7359900B2 (ja) 改装サッシ、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JP6976885B2 (ja) 改装サッシ
KR200163594Y1 (ko) 문틀고임용고저수평조절장치
JP2024004018A (ja) パネル体の取り付け構造
JPS6132079Y2 (ko)
KR20100128188A (ko) 힌지축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 힌지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