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076B1 -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076B1
KR100647076B1 KR1020050086299A KR20050086299A KR100647076B1 KR 100647076 B1 KR100647076 B1 KR 100647076B1 KR 1020050086299 A KR1020050086299 A KR 1020050086299A KR 20050086299 A KR20050086299 A KR 20050086299A KR 100647076 B1 KR100647076 B1 KR 10064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oor frame
floor
floor hing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천익
Original Assignee
황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천익 filed Critical 황천익
Priority to KR102005008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문짝의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여닫이 문짝(101)의 힌지본체(H)를 내장하고서 문틀(102)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101)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지는 덮개판(20)으로 구성되는 플로어힌지의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서 상기 문틀(102) 옆에 붙여지는 쪽의 전방벽부(11) 외면에 수평하게 부착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케이싱(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고정철편(30)을 구비시키고, 고정철편(30)의 양측 2지점에 각각 상하 절취홈(31)을 형성하여 구부림이 용이토록 한 꺾임라인(32)을 두며, 상기 꺾임라인(3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에 조립구멍(33)들을 형성하여 상기 문틀(102)에 나사(s)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폭방향 중심과 높낮이 및 수평상태를 맞추기 위한 번거로움 및 불편을 일소할 수 있고, 여닫이 문짝을 양호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여닫이문, 플로어힌지, 케이싱, 위치맞춤, 위치고정,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Apparatus for Setting-Position of Floor-Hinge Casing}
도1은 종래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재들을 분리한 상태의 전방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재들을 분리한 상태의 후방부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를 이용해 케이싱을 문틀에 설치한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일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를 이용해 케이싱을 문틀에 설치한 다른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7a는 본 발명에서 후방부에 구비되는 수평맞춤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7b는 본 발명에서 후방부에 구비되는 수평맞춤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7c는 본 발명에서 후방부에 구비되는 수평맞춤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싱 11:전방벽부 12:후방벽부
20:덮개판 30:고정철편 31:절취홈
32:꺾임라인 33:조립구멍 41:지지대
42:나사공 43:조절볼트 44:지지판
45:간격신장용 조절구 46:홀 101:문짝
102:문틀 103:콘크리트 구조체 H:힌지본체
s:나사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단부에 끼워져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높낮이 및 수평을 수월하게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문은 플로어힌지를 설치하여 문짝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플로어힌지는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의 바닥콘크리트에 금속제 케이싱을 매설하고,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본체를 고정·설치하고,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단부를 결합시켜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며, 케이싱의 상부에는 금속제 덮개판을 씌워서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닫이문은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축 끼움부가 상호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어야 원활하게 회전개폐될 수 있다. 때문에 플로어힌지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문짝의 힌지축 끼움부가 위치되는 회동중심점에 힌지본체의 힌지축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힌지본체에는 상하·전후 및 좌우 위치조절수단을 구비시키고, 바닥콘크리트에 매설된 케이싱 내에서 상기 위치조절수단들을 조작하여 힌지본체의 힌지축을 문짝의 힌지축 끼움부가 위치되는 회동중심점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바닥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케이싱의 설치오차가 상기한 상하, 전후 및 좌우 위치조절수단을 통해 조정할 수 있는 일정 한계를 넘을 경우에는, 문짝의 회동중심점에 힌지본체의 힌지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가 없게 됨으로써, 문짝의 설치상태가 불량할 수밖에 없으며, 심할 경우에는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된 케이싱을 뜯어내고 다시 새로운 케이싱을 설치해야 하는 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케이싱을 매설할 때 케이싱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규준장치가 없는 데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현상을 야기하는 종래의 예로서 도1의 도시와 같은 케이싱 매설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케이싱의 매설방법은, 건물의 바닥면을 마무리하기 이전 문틀(1)이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타설되어 있는 바닥콘크리트(2) 위에 고임목(3) 등을 이용해 케이싱(4)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로 올려놓고, 문틀(1)의 측벽에 케이싱(4)의 일측 플랜지부를 밀착시킨 후 문틀(1)을 기준으로 케이싱(4)의 전후 중심을 대략 눈대중으로 맞춘 다음, 상호 밀착하는 문틀(1)의 측벽과 케이싱(4)의 일측 플랜지부를 용접하고, 케이싱(4)의 타측벽이 위치된 바닥콘크리트(2)에 앵커볼트 (5)를 박고 이 앵커볼트(5)와 케이싱(4)의 타측벽을 용접하여서 케이싱(4)의 위치고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후, 건물의 바닥면 마무리 공사시 케이싱(4) 주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고 경화시키어 케이싱(4)의 매설작업을 완전히 마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케이싱의 설치방법은 케이싱(4)의 전후 중심과 높이 및 수평상태를 맞추는 작업을 작업자의 눈대중 내지는 감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용접작업 및 바닥콘크리트(2)에 앵커볼트(5)를 심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되지 않고서는 케이싱(4)의 매설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게 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문틀(1)과 케이싱(4)의 용접으로 인해 문틀재가 손상됨으로써, 문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간단하게 맞춘 후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철편을 케이싱의 전방벽부에 구비시킴으로써, 플로어힌지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추어 문틀의 손상없이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의 중심을 유지하면서 케이싱의 후방부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볼트를 케이싱의 후방벽부에 구비시킴으로써, 케이싱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낮이 및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확보하고, 위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는
여닫이 문짝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를 내장하고서 문틀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씌워져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플로어힌지의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문틀 옆에 붙여지는 쪽의 전방벽부 외면에 수평하게 부착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 의 고정철편을 구비시키고, 상기 고정철편의 양측 2지점에 각각 상하 절취홈을 형성하여 구부림이 용이토록 한 꺾임라인을 두며, 상기 꺾임라인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철편의 양측 단부에 조립구멍들을 형성하여 상기 문틀에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의 전방벽부와 대향하는 케이싱의 후방벽부에 수평판을 갖는 지지대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의 수평판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나사공에 높낮이 조절볼트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후방부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장치는 케이싱을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매설하고자 고정시킬 때, 고정철편의 꺾임라인을 중심으로 고정철편의 양측 단부를 꺾어 문틀의 측면에 밀착시킨 후 나사로 체결하기만 하면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의 후방벽부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나사를 이용해 케이싱의 후방부 높이를 적절히 조절해 케이싱의 수평을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설치작업 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히 작동되는 여닫이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재들을 분리한 상태의 전방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재들을 분리한 상태의 후방부 사시도이며,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를 이용해 케이싱을 문틀에 설치한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일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를 이용해 케이싱을 문틀에 설치한 다른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에서 후방부에 구비되는 수평맞춤수단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장치는, 여닫이 문짝(101)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H)를 내장하고서 문틀(102)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101)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20)으로 구성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10)에서 상기 문틀(102) 옆에 붙여지는 쪽의 전방벽부(11) 외면에 수평하게 부착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케이싱(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고정철편(3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철편(30)은 케이싱(10)의 전방벽부(11) 외면에 용접 또는 볼트접합 등으로 부착되며, 양측 2지점(문틀(102)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지점)에 각각 상하 절취홈(31)이 형성되어 이들 상하 절취홈(31) 사이에 구부림이 용이토록 한 꺾임라인(32)을 갖는다.
이 꺾임라인(32)은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를 직각으로 구부려서 문틀(102)의 양측 외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때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꺾이는 부분을 정확히 유도하여 문틀(102)과 양측 단부가 밀착되는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문틀의 모서리가 대어지는 부분의 절취홈(31) 형상을 수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꺾임라인(32)을 직선날로 펀칭하여서 구부리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구부러지는 부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꺾임라인(3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에는 조립구멍(33)들을 형성된다. 이 조립구멍(33)들은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를 구부려 문틀(102)에 밀착시킨 후 나사(s)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좌우 1쌍씩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철편(30)은 통상 문틀(102)의 단면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꺾임라인(32)들의 간격을 100㎜를 두고 형성하였을 경우, 단면폭이 100㎜로 된 문틀(102)에 설치할 때에는 도4 및 도5의 도시와 같이 상기 꺾임라인(32)을 중심으로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를 직각으로 구부려 문틀(102)의 측면에 밀착시킨 후 나사(s)로 고정할 수 있으며, 단면폭이 200㎜로 된 문틀(102)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6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 그대로 문틀(102)의 전방면에 밀착시킨 후 나사(s)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10)의 전방벽부(11)와 대향하는 케이싱(10)의 후방벽부(12)에는 케이싱(10)의 전방부분을 고정한 후, 케이싱(10) 후방부 높이를 조절하여 케이싱(10)의 수평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수평맞춤수단이 구비된다.
도7a에는 상기 수평맞춤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케이싱(10)의 후방벽부(12)에 수평판을 갖는 지지대(41)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41)의 수평판에 나사공(4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나사공(42)에 높낮이 조절볼트(43)가 나사결합되는 구성이 제시된다.
그리고, 도7b에는 상기한 도7a의 수평맞춤수단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볼트(43)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판(44)이 조절볼트(43)의 하부에 더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조절볼트(43)의 하면이 콘크리트면에 직접 접지될 경우 조절볼트(43)가 콘크리트 구조체(103)의 살을 파고 들어가 내려앉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10)의 수평맞춤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7c에는 상기한 도7b의 수평맞춤수단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볼트(43)와 지지판(44)의 사이에 간격신장용 조절구(45)가 더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신장용 조절구(45)는 케이싱(10)을 설치할 높이가 콘크리트 구조체(103)의 상면과 많이 떨어진 경우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조절볼트(43)가 끼워지는 홀(46)이 파여지는 구성을 가지며, 높낮이 조절볼트(43)를 최대한 내려도 콘크리트 구조체(103) 상면에 못미칠 경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는 상기 간격신장용 조절구(45)의 홀 (46)을 나사홀로 형성하여 높낮이 조절볼트(43)와 나사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간격신장용 조절구(45)와 지지판(44)을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구성으로 실시되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싱(10)의 상면이 위치할 설치높이를 맞춰 문틀(102)에 라인을 표시를 한다.
다음, 문틀(102)의 표시 라인에 케이싱(10)의 전방부 상단면을 대어 맞추고, 고정철편(30)의 조립구멍(33)을 통해 나사(s)를 문틀(102)에 관통시켜 체결한다
이때, 꺾임라인(32)들의 간격과 문틀(102)의 단면폭이 같은 경우에는 꺾임라인(32)을 중심으로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를 구부려 문틀(102)의 측면에 나사(s)로 체결하며, 꺾임라인(32)들의 간격 보다 문틀(102)의 단면폭이 큰 경우에는 고정철편(30)을 문틀(102)의 전방면에 대고 나사(s)로 체결한다.
다음으로, 케이싱(10)의 상면에 수준기를 올려 높고 케이싱(10)의 후방부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볼트(43)를 상하로 이동시켜 가면서 케이싱(10)의 상면 수평을 정확히 맞춰 케이싱(10)의 위치고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높낮이 조절볼트(43)의 하면에 지지판(44)을 대어놓고 지지시킬 수도 있고, 높낮이 조절볼트(43)를 최대한 내려도 콘크리트 구조체(103) 상면에 못미칠 경우에는 간격신장용 조절구(45)를 사용해 조절볼트(43)를 지지시킬 수도 있다.
이후, 건물의 바닥면 마무리 공사시 케이싱(10) 주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 고 경화시키어 케이싱(10)의 매설작업을 완전히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는,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힌지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에 고정철편을 부착하고 이 고정철편을 문틀의 측면에 맞추고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케이싱을 문틀의 중심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용접을 통해 고정하였던 것과 달리 케이싱의 고정시 문틀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중심을 유지하면서 수평을 맞출 수 있는 높낮이 조절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케이싱의 설치위치에 따른 높낮이 및 수평 상태가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확보되고, 위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번거로움과 높낮이 및 수평상태를 맞추기 위한 불편을 일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닫이 문짝을 양호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여닫이 문짝(101)의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본체(H)를 내장하고서 문틀(102) 옆에 붙여져 여닫이 문짝(101)의 회동중심점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씌워져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차폐시키는 덮개판(20)으로 구성되는 플로어힌지의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서 상기 문틀(102) 옆에 붙여지는 쪽의 전방벽부(11) 외면에 수평하게 부착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케이싱(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고정철편(30)을 구비시키고, 고정철편(30)의 양측 2지점에 각각 상하 절취홈(31)을 형성하여 구부림이 용이토록 한 꺾임라인(32)을 두며, 상기 꺾임라인(3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철편(30)의 양측 단부에 조립구멍(33)들을 형성하여 상기 문틀(102)에 나사(s)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전방벽부(11)와 대향하는 케이싱(10)의 후방벽부(12)에 수평판을 갖는 지지대(41)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41)의 수평판에 나사공(4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나사공(42)에 높낮이 조절볼트(43)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후방부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볼트(43)의 하부에 조절볼트(43)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판(4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20050086299A 2005-09-15 2005-09-15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64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99A KR100647076B1 (ko) 2005-09-15 2005-09-15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99A KR100647076B1 (ko) 2005-09-15 2005-09-15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076B1 true KR100647076B1 (ko) 2006-11-23

Family

ID=3771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299A KR100647076B1 (ko) 2005-09-15 2005-09-15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9738B2 (en) 2010-12-14 2014-10-28 Samsung Display Co., Ltd.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55U (ko) * 1989-05-30 1991-01-14
KR200255655Y1 (ko) 2001-08-21 2001-12-20 삼화정공 주식회사 플로어 힌지 케이싱
KR20030042805A (ko) * 2001-11-24 2003-06-02 황천익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200331640Y1 (ko) 2003-07-31 2003-11-01 김진형 플로어 힌지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55U (ko) * 1989-05-30 1991-01-14
KR200255655Y1 (ko) 2001-08-21 2001-12-20 삼화정공 주식회사 플로어 힌지 케이싱
KR20030042805A (ko) * 2001-11-24 2003-06-02 황천익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200331640Y1 (ko) 2003-07-31 2003-11-01 김진형 플로어 힌지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9738B2 (en) 2010-12-14 2014-10-28 Samsung Display Co., Ltd.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852B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a door frame
US6609335B1 (en) Door supporting device
US10415299B2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KR100647076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433952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KR100433953B1 (ko) 플로어힌지 케이싱의 위치고정 장치
JP2007046252A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US20090173457A1 (en) Device for hanging a curtain in front of a window
JP2749792B2 (ja) 改装窓
KR200440837Y1 (ko) 도어 프레임 설치용 치공구
US20040141822A1 (en) Drill Jigs For Installing Door Closer And Door Closer Arm
KR200255655Y1 (ko) 플로어 힌지 케이싱
JP5743919B2 (ja) フロアヒンジ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100096476A (ko)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KR102602663B1 (ko) 현장 시공이 용이한 유리 프레임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200255656Y1 (ko) 플로어 힌지 케이싱
KR20022666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JP7045893B2 (ja) 横辷り出し窓の位置決め治具
JP6921661B2 (ja) 改装サッシ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S6132079Y2 (ko)
KR102465945B1 (ko) 도어의 힌지유닛 결합구조
JP3720753B2 (ja) 改修用下枠
KR200388213Y1 (ko)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장치
KR102135143B1 (ko) 도어 프레임에 매립되는 플로어 힌지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CA2989961C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