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63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63Y1
KR200226663Y1 KR2020010000178U KR20010000178U KR200226663Y1 KR 200226663 Y1 KR200226663 Y1 KR 200226663Y1 KR 2020010000178 U KR2020010000178 U KR 2020010000178U KR 20010000178 U KR20010000178 U KR 20010000178U KR 200226663 Y1 KR200226663 Y1 KR 200226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lide door
roller
do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00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63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납고 등에 설치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롤러를 장착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현장 시공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 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 프레임(22)에 고정되며 관통공(32)을 지닌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내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삽입된 볼트 및 나사가 체결되는 다수의 높이조정공(42)을 지니며 상단에는 상부 가이드 레일(5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롤러(44)가 베어링(4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4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HEIGHT ADJUSTABLE SLIDE DOOR ASSEMBLY}
본 고안은 슬라이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납고 등에 설치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프레임에 원통형 하우징을 설치한 다음, 이 원통형 하우징에는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된 롤러축을 삽입하여 롤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격납고의 출입문에는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의 경우에는 목재 등의 도어 프레임에 철재 프레임을 대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 다음, 상부나 하부에 롤러를 부착시킨 일체형 조립구조로 만들었다. 특히, 롤러를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브라켓의 경우에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기준으로 높이를 맞춘 다음 직접용접을 하여 고정시켜 조립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의 경우, 프레임에 롤러를 부착하기 위해 브라켓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맞추어 용접하여 고정시키기가 힘들기 때문에 현장 시공시에 작업성이 저하되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간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하여 도어를 설치하였다 해도 수축이나 팽창 및 사용 중의 무게균형의 변화로 인해서 높낮이 조절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힘들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격납고 등에 설치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의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현장 시공시에 높이 조절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중에 슬라이드 도어의 높이에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높이조절형 롤러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높이조절형 롤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도어 조립체 22:도어프레임
30:하우징 32:관통공
40:롤러축 42:높이조절공
44:롤러 46:베어링
50:상부 가이드레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는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격납고나 공장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관통공을 지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볼트 및 나사가 체결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을 지니며 상단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롤러가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높이조절형 롤러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높이조절형 롤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현장 시공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장기간 사용시에 도어 조립체의 변형으로 인해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유지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형 롤러 구조를 예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드 도어(20)의 외형 틀을 이루는 도어 프레임(22)상에는 원통형의 하우징(30)을 설치한 다음, 이 하우징(30)의 내경홀(30a)에는 상단에 롤러(4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롤러축(40)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롤러축(40)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44)는 상부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도어(20)의 미끄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원통형 하우징(30)에는 통상의 볼트(34)나 나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축(40)에는 이 관통공(32)과 대응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롤러(44)의 설치시에는 먼저, 도어(20)를 시공하고자 하는 출입문의 상부 가이드레일(50)과 하부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22)상부에 설치된 하우징(30)내에 롤러축(40)을 삽입한다. 다음에, 도어(20)의 높이를 조절해가면서 롤러축(40)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42)중 하나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34)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롤러(44)는 베어링(46)을 개재하여 롤러축(40)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도어(20)의 개폐시에는 베어링(46)에 의해서 롤러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가이드레일(50)과 구름 접촉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저감되어 슬라이드 도어(20)가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한편, 원통형 하우징(30)에 형성된 관통공(32)의 직경은 롤러축(40)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4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볼트(34)의 삽입시에 원활하게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롤러축(40)에 형성된 높이조절공(42)에는 볼트(34)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로 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하우징 및 원형의 롤러축을 구비한 높이조절형 롤러 구조에 관하여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하우징과 롤러축을 원통형 대신에 사각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격납고 등에 설치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롤러를 장착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현장 시공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격납고나 공장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22)에 고정되며 관통공(32)을 지닌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내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삽입된 볼트 및 나사가 체결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42)을 지니며 상단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5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롤러(44)가 베어링(4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축(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KR2020010000178U 2001-01-04 2001-01-04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KR200226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78U KR200226663Y1 (ko) 2001-01-04 2001-01-04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78U KR200226663Y1 (ko) 2001-01-04 2001-01-04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63Y1 true KR200226663Y1 (ko) 2001-06-15

Family

ID=7309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78U KR200226663Y1 (ko) 2001-01-04 2001-01-04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91B1 (ko) * 2007-01-31 2008-05-08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CN107351142A (zh) * 2017-08-08 2017-11-17 格林精密部件(苏州)有限公司 新型定长裁切装置
KR101849913B1 (ko) * 2017-12-20 2018-04-19 (주)퍼맥스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91B1 (ko) * 2007-01-31 2008-05-08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CN107351142A (zh) * 2017-08-08 2017-11-17 格林精密部件(苏州)有限公司 新型定长裁切装置
KR101849913B1 (ko) * 2017-12-20 2018-04-19 (주)퍼맥스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138B1 (en) Adjustable pulley assembly for a suspended door
EP2398986A1 (en) An adjustable hinge
US6684457B2 (en) Adjustable and reversible hinge assembly
WO2005124078A2 (en) Hin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20022666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US5419640A (en) Adjustable support for journals and hinge pins, especially for use with doors and gates
US6338227B1 (en) Light alloy frame profile system for doors and windows
US8656557B2 (en) Gate hinge assembly
US20050012816A1 (en) Snap-in roller
US7997324B2 (en) Moveable barrier systems
KR20160042722A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KR200464416Y1 (ko) 도어용 힌지
KR200226664Y1 (ko) 슬라이드 도어 조립체
KR200277264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20100030854A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200235937Y1 (ko) 높이조절형롤러
JP3306538B2 (ja) 吊戸における吊高さ調整装置
KR20200055225A (ko) 절곡고정편을 구비한 도어용 이지경첩
KR102456008B1 (ko)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KR200453615Y1 (ko) 여닫이 창문용 처짐방지장치
FI105711B (fi) Sarana
KR200231737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체인장력 조절장치
KR200150795Y1 (ko) 도어상단 지지장치
KR200431533Y1 (ko) 자동문용 도어 후레임과 연결바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