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066A - 창호 설치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창호 설치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066A
KR20090106066A KR1020080031560A KR20080031560A KR20090106066A KR 20090106066 A KR20090106066 A KR 20090106066A KR 1020080031560 A KR1020080031560 A KR 1020080031560A KR 20080031560 A KR20080031560 A KR 20080031560A KR 20090106066 A KR20090106066 A KR 2009010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upport
wall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845B1 (ko
Inventor
김명근
Original Assignee
김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근 filed Critical 김명근
Priority to KR102008003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84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2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과 창호의 창틀 사이에 각도 조절가능한 고정구를 설치하여, 수직 또는 수평이 맞지 않은 벽면에 창틀의 설치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벽면에 창틀을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 설치용 고정구{Fixing apparatus for frame of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벽면과 창호의 창틀 사이에 각도 조절가능한 고정구를 설치하여, 수직 또는 수평이 정확하게 구비되지 않은 벽면에 창틀의 설치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벽면에 창틀을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근자의 창호는 발코니 확장으로 인하여 구조상 전체적인 무게가 무겁고, 그 크기가 커지는 추세이며, 그리고 벽면에 설치된 창문이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창틀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면(1)과 창틀(3)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구(2)는 'ㄱ' 자 형성을 가지며, 일측은 벽면(1)에 설치된 앙카볼트에 끼워져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창틀(3)의 외주면에 나사 또는 피스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정구는 'ㄱ' 자로 직교되게 형성됨에 따라 건축시공 과정에서 옹벽 등의 벽면이 정확하게 수직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고정구를 제작하거나 고정구와 벽면에 사이에 고인목이나 발포수지층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다보니 별도의 작업비용이 추가되고, 시공성이 떨어짐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과 창호의 창틀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벽면에 창호의 설치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벽면에 창호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 설치용 고정구는 창틀의 저면에 설치되며,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된 창틀지지부와; 벽면에 설치된 앙카볼트에 결합되며, 관통된 지지공이 형성된 벽면고정부와; 상기 창틀지지부와 벽면고정부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창틀지지부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대와, 일측은 지지대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타측은 벽면고정부의 지지공이 걸려지는 돌출편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과 지지대를 양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유도하는 간격조절부가 포함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창호 설치용 고정구는 창틀의 하부에 설치되며,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된 창틀지지부와; 벽면에 설치된 앙카볼트에 결합되며, 관통된 지지공이 형성된 벽면고정부와; 상기 창틀지지부와 벽면고정부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양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몸체와, 일측은 몸체 의 양측 나사공에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지지부의 고정공과 벽면고정부의 지지공에 삽입되는 고정편을 갖는 지지봉이 포함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호 설치용 고정구는 벽면과 창호의 창틀 사이에 각도 조절가능한 고정구를 설치하여, 웅벽의 수직이 맞지 않는 벽면에 창틀의 설치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벽면에 창틀을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아래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설치용 고정구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설치용 고정구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설치용 고정구의 또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설치용 고정구는 창틀(100)의 저면에 창틀지지부(10)가 설치되고, 벽면(200)에 설치된 앙카볼트(80)에 벽면고정부(20)가 결합되고,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90)결합되며,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 사이에 설치 되는 지지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지지부(10)는 판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고정공(11)이 형성되고, 적소에 복수의 결합공(12)이 관통되며, 일단부가 힌지(90)결합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벽면고정부(20)는 판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지지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앙카볼트(80)에 끼워지는 체결구멍(22)이 관통되며, 일단부가 힌지(90)결합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창틀지지부(10)에 결합되는 지지대(31)와, 이 지지대(31)와 벽면고정부(20)에 설치되는 나사축(33)과, 상기 나사축(3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33)과 지지대(31)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31)의 일측은 창틀지지부(10)의 고정공(11)에 끼워지는 걸림편(3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대응되게 장공(41)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33)은 외주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벽면고정부(20)의 지지공(21)이 걸려지는 돌출편(34)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지지대(31)의 장공(41)에 끼워지는 고정핀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33)의 고정핀(42)이 지지대(31)의 장공(41)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31)에서 나사축(3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 및 작업성이 용이하다.
상기 간격조절부(35)는 나사축(33)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단부와 내주면에 결합되는 삽입편(36)과 걸림턱(37)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7)의 후방에 는 외주면이 사각, 육각,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나사축(33)에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부(35)의 풀림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8)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 설치용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90)결합하고, 상기 나사축(33)의 일측에 간격조절부(35)와 고정너트(38)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벽면(200)에 설치된 앙카볼트나 칼브럭에 의해 벽면고정부(20)를 고정한 후, 상기 창틀지지부(10)를 창틀(100)의 저면에 배치하고,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 사이에 지지수단(30)을 설치한다. 이어 상기 간격조절부(35)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간격조절부(35)에 의해 나사축(33)과 지지대(31)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가 긴장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간격조절부(35)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창틀지지부(10)가 힌지(90)를 중심으로 상승되어져 상기 창틀(10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이처럼 창틀(100)의 수평작업이 마무리되면 상기 고정너트(38)를 조여서 상기 간격조절부(35)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지지부(10)의 결합공(12)을 통해 피스 또는 볼트 등이 체결되어 창틀(1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벽면(200)이 수직이나 수평으로 시공되지 않아도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창틀(100)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30)에 의해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복된 내용은 설명하지 않으며,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내측에 고정브라켓(39)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9)과 지지대(31) 및 나사축(33) 사이에 고정핀(40)이 설치되어 상기 간격조절부(35)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대(31)와 나사축(33)이 벌어지면서 상기 고정핀(40)을 중심으로 상기 창틀지지부(10)가 회동되어져 상기 창틀(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50)으로 구성된다.(상기 창틀지지부와 벽면고정부는 상기의 내용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수단(50)은 몸체(51)와, 이 몸체(51)의 양측면에는 창틀지지부(10) 와 벽면고정부(20)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봉(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51)는 사각 또는 트랙(Track)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결합가능하게 나사공(54)이 관통된다.
상기 지지봉(52)의 일측은 몸체(51)의 양측 나사공(54)에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지지부(10)의 고정공(11)과 벽면고정부(20)의 지지공(21)에 삽입되는 고정편(53)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 설치용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90)결합하고, 상기 나사축(33)의 일측에 간격조절부(35)와 고정너트(38)를 결합한다. 이어 상기 벽면(200)에 설치된 앙카볼트이나 칼브럭에 의해 벽면고정부(20)를 고정한 후, 상기 창틀지지부(10)를 창틀(100)의 저면에 배치하고,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 사이에 지지수단(50)을 설치한다. 이어 상기 지지수단(50)의 몸체(51)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봉(52)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긴장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5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창틀지지부(10)가 힌지(90)를 중심으로 상승되어져 상기 창틀(100)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상기 창틀지지부(10)의 결합공(12)에 피스 또는 볼트 등에 결합되어 창틀(100)을 고정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설계변경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견하지 못한 새로운 효과 나타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설치용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설치용 고정구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치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설치용 고정구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설치용 고정구의 또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창틀지지부 20: 벽면고정부
30: 지지수단 31: 지지대
32: 걸림턱 33: 나사축
34: 돌출편 35: 간격조절부
36: 삽입편 37: 걸림턱
38: 고정너트 39: 고정브라켓
40: 고정핀 50: 지지수단
51: 몸체 52: 지지봉
53: 고정편

Claims (4)

  1. 창틀(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고정공(11)이 형성된 창틀지지부(10)와;
    벽면(200)에 설치된 앙카볼트(80)에 결합되며, 일측에 지지공(21)이 형성된 벽면고정부(20)와;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90)가 결합되며;
    상기 창틀지지부(10)의 고정공(11)에 끼워지는 걸림편(32)이 형성된 지지대(31)와, 일측은 지지대(31)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타측은 벽면고정부(20)의 지지공(21)이 걸려지는 돌출편(34)이 형성된 나사축(33)과, 상기 나사축(3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대(31)와 나사축(33)을 양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유도하는 간격조절부(35)가 포함된 지지수단(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3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각도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창틀(100)의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33)에 결합되어 상기 간절조절부(35)의 풀림을 방지하는 고정너 트(3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대응되게 장공(4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33)에 설치되어 상기 장공(41)에 끼워져 배치되는 고정핀(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
  4. 창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고정공(11)이 형성된 창틀지지부(10)와;
    벽면(200)에 설치된 앙카볼트(80)에 결합되며, 일측에 지지공(21)이 형성된 벽면고정부(20)와;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90)가 결합되며;
    양측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공(54)이 형성된 몸체(51)와, 일측은 몸체(51)의 양측 나사공(54)에 결합되고, 타측은 창틀지지부(10)의 고정공(11)과 벽면고정부(20)의 지지공(21)에 삽입되는 고정편(53)을 갖는 지지봉(52)이 포함된 지지수단(30);으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5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면 양측 지지봉(52)이 벌어지거나 좁혀져 상기 창틀지지부(10)와 벽면고정부(20)의 각도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창틀(100)의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설치용 고정구.
KR1020080031560A 2008-04-04 2008-04-04 창호 설치용 고정구 KR10097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60A KR100970845B1 (ko) 2008-04-04 2008-04-04 창호 설치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60A KR100970845B1 (ko) 2008-04-04 2008-04-04 창호 설치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066A true KR20090106066A (ko) 2009-10-08
KR100970845B1 KR100970845B1 (ko) 2010-07-20

Family

ID=4153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560A KR100970845B1 (ko) 2008-04-04 2008-04-04 창호 설치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8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687B1 (ko) * 2013-03-08 2013-07-24 손일준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101328907B1 (ko) * 2013-02-20 2013-11-13 손일준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KR20170129459A (ko) * 2016-05-17 2017-11-27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CN108825059A (zh) * 2018-08-09 2018-11-16 江苏世朗泰得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门窗及其干法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416A (ko) 2021-11-26 2023-06-02 이승현 플라스틱 창호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55Y1 (ko) * 1994-12-15 1999-06-15 이상순 발코니 난간 거푸집 고정 지지대 구조
KR100331172B1 (ko) * 1999-11-05 2002-04-06 대한민국(관리청:특헝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종자의 과립 성형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자의 과립제조장치
KR20040036502A (ko) * 2002-11-05 2004-04-30 박창복 탈부착지지판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436502Y1 (ko) * 2007-05-29 2007-08-30 이충원 발코니형 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07B1 (ko) * 2013-02-20 2013-11-13 손일준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KR101287687B1 (ko) * 2013-03-08 2013-07-24 손일준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20170129459A (ko) * 2016-05-17 2017-11-27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CN108825059A (zh) * 2018-08-09 2018-11-16 江苏世朗泰得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门窗及其干法安装方法
CN108825059B (zh) * 2018-08-09 2024-02-06 江苏世朗泰得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及其干法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845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845B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US20050183238A1 (en) Adjustable hinge
US5555605A (en) Door hinge alignment apparatus
GB2546072B (en)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458549B1 (ko)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KR200446319Y1 (ko) 창호설치용 브라켓 결합구조
US20060005355A1 (en) Dura T Gate adjustable hinge 003
KR101068134B1 (ko)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RU2633234C2 (ru) Петельный узел
KR200449536Y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US7735262B2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KR101175649B1 (ko) 도어의 회전지지장치
JP3483699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JP6239874B2 (ja) 吊り支持具
KR20080000243U (ko)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고정용 앙카
KR200461842Y1 (ko) 창호용 앵글
CN216689991U (zh) 一种用于建筑物外墙的幕墙
JP7443139B2 (ja) フェンス取付構造
JPS6329836Y2 (ko)
RU2010105069A (ru) Пе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ли т.п.
JP2009281576A (ja) 補助装置
FI121940B (fi) Sarana
KR200277322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JP5294679B2 (ja) 壁パネル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