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459A -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459A
KR20170129459A KR1020160060174A KR20160060174A KR20170129459A KR 20170129459 A KR20170129459 A KR 20170129459A KR 1020160060174 A KR1020160060174 A KR 1020160060174A KR 20160060174 A KR20160060174 A KR 20160060174A KR 20170129459 A KR20170129459 A KR 2017012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elt
window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999B1 (ko
Inventor
김주안
김성만
김효은
Original Assignee
김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filed Critical 김성만
Priority to KR102016006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999B1/ko
Priority to PCT/KR2016/005270 priority patent/WO2016186451A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를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자, 특히 쾌적한 공사 환경을 보장하고, 방풍 특성이 강화되며,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고, 용이하게 수평 조절이 가능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형 고정장치가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사이에 구비되어 창틀의 수평 맞춤 및 고정을 제공하고, 슬라이딩 벨트모듈이 창틀 하부에 구비되어 창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하고, 수평조절 서포터가 건축구조체의 하부벽체와 창틀 사이에 구비되어, 창틀의 수평 조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FIXING APPARATUS, SLIDING BELT MODULE, SUPPORTER FOR HORIZONTAL CONTROL AND CONSTRUCTION SYSTEM FOR WINDOW FRAME USING THE SAMES}
본 발명은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를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쾌적한 공사 환경을 보장하고, 방풍 특성이 강화되며,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고, 용이하게 수평 조절이 가능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콘크리트)에 창틀을 설치하고, 이 창틀에 창문을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356376호(2002년09월30일)[건축물용 창틀조립체 시공방법](이하 종래기술1)이 있다.
종래기술1을 포함하는 종래의 창틀 시공 시스템은 각목이나 벽돌 조각 등 다양한 건축 부자재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추고 앵커볼트(고정수단, 고정 브라켓)를 박아 고정한 후 시멘트, 실리콘이나 발포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또는 문틀 사이의 틈새를 메운 후 최종 미장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때문에 앵커볼트 고정 작업시의 소음 및 분진 문제가 크며, 이에 대한 이웃의 민원제기가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공기가 그만큼 지연될 뿐 아니라 실내로 비바람이 들이치게 되는 문제가 상존하고, 실내 인테리어 작업 등의 쾌적한 환경 보장이 어려우며, 부가적으로 앵커볼트에 의한 창틀 천공으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장되지 않는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창틀 시공 시스템은 방풍성 확보를 통한 열손실 차단 기능을 위하여 창틀과 창문의 레일 인접 부위에 다양한 모헤어를 도입하여 해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롤러가 구비된 창문 하부는 롤러 구동 공간 확보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이격 틈새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 틈새를 통하여 외기의 침입이 이루어지므로 이중창의 설치나, 진공층을 구비한 단열 유리를 사용하여도 원하는 만큼 방풍 특성 내지 기밀성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또는 문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형 고정장치 도입을 통해 수평 맞춤 및 고정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래 창틀 고정 작업과 같이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생략함에 따라,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 또는 문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질 수 있고, 즉시 창문 또는 문짝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한 창틀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도입하고 이에 결합된 창문이 창틀을 따라 움직이는 구조를 채택하여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함에 따라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는 창틀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창틀을 콘크리트 건축구조체 설치할 때, 이 창틀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수평조절 서포터를 도입하여, 정밀하고 간편한 창틀의 수평 조절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창틀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형 고정장치는,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와, 암나사부를 구비한 구속부재 및, 일 측이 구속부재에 결합된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체와,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어 선회하고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작동체와, 상기 승강부재의 타 측에 결합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부 축공부를 구비하여 선회핀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승강패널을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모듈은, 창틀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벨트와, 창문이 결합되고, 상기 벨트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의 노출면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 서포터는,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결합되는 제1선회결합부, 이에 결합된 길이조절부 및 길이조절부에 결합된 제2선회결합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제2선회결합부에 결합되고, 설치부를 갖는 제2결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 시스템은, 상기 승강형 고정장치가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 사이에 구비되어 창틀의 수평 맞춤 및 고정을 제공하고, 상기 슬라이딩 벨트모듈이 창틀 하부에 구비되어 창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하고, 상기 수평조절 서포터가 건축구조체의 하부벽체와 창틀 사이에 구비되어, 창틀의 수평 조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 또는 문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질 수 있고, 즉시 창문 또는 문짝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하다.
또한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함에 따라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정밀하고 간편한 창틀의 수평 조절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형 고정장치에 관한 실시 도면.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모듈에 관한 실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 서포터에 관한 실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를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쾌적한 공사 환경을 보장하고, 방풍 특성이 강화되며,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고, 용이하게 수평 조절이 가능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형 고정장치(이하 본 고정장치(A)), 슬라이딩 벨트모듈(이하 본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이하 본 서포터(H))를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고정장치(A)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2는 기본 제1실시예, 도 3은 제2 및 제3실시예, 도 4는 제4실시예, 도 5는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제1실시예에 따른 본 고정장치(A)는 베이스(1000), 승강체(2000), 작동체(3000) 및 지지체(4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베이스(1000)는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 둘레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창틀 설치 시 수평 맞춤 및 고정을 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승강체(2000)는 창틀 설치 시 적절한 베이스(1000)와 지지체(4000)간의 간격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작동체(3000)는 승강체(2000)를 작동시켜 승강체(2000)가 베이스(1000)와 지지체(4000)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지지체(4000)는 창틀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베이스(1000)와 더불어 창틀 설치 시 수평 맞춤 및 고정을 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정장치(A)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창틀' 시공 위주로 설명하는 바, 이는 편의상의 기재일 뿐이며, 발명의 명칭, 명세서,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본 고정장치(A)가 창틀만을 위한 것으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필요에 따라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콘크리트)와 창틀(F)과 본 고정장치(A), 특히 베이스(1000) 및 지지체(4000)의 접면에는 콘크리트와 창틀 소재와 접합성을 갖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실리콘 등이 활용되어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종래 사용하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본 고정장치(A)는 철 또는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소재, 합성수지 소재, 기타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압출, 사출, 다이캐스팅 등의 다양한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정장치(A)에 관한 제1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정장치(A)의 베이스(1000)는 작동체(3000)의 장착을 위한 결합부(1100)를 구비한다.
이러한 베이스(1000)는 작동체(3000)를 회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건축구조체의 장착 개구부 둘레는 울퉁불퉁하고 평활도가 불규칙할 수 있기 때문) 창틀(F)에 미리 접착 또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정장치(A)의 승강체(2000)는 암나사부(2130)를 구비한 구속부재(2100) 및, 일 측이 구속부재(2100)에 결합된 승강부재(2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구속부재(2100)는 베이스(1000) 상에 미리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승강부재(2300)와 구속부재(2100)간의 결합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고정공 및 고정핀(참조부호 미병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정장치(A)의 작동체(3000)는 결합부(1100)에 장착되어 선회하고 암나사부(2130)에 결합되는 수나사부(3100)를 갖는다.
이러한 작동체(3000)는 결합부(1100)에 장착될 때, 베이스(1000) 외측으로 공구결합부(3300)가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정장치(A)의 지지체(4000)는 승강부재(2300)의 타 측에 결합된다.
특징적인 것은 승강체(2000)를 구성하는 승강부재(2300)가 상부 축공부(2330)를 구비하여 선회핀(2340)에 의해 지지체(400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을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정장치(A)는 공구결합부(3300)에 공구를 결합하여 수나사부(3100)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2130)를 갖는 구속부재(2100)가 수나사부(310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구속부재(2100)에 구속된 제1승강패널(2310)과 제2승강패널(2320)이 선회핀(2340)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로 회동하여, 지지체(4000)와 베이스(1000) 간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상기 동작 과정을 통해, 수나사부(3100)를 반대로 회전시키는 경우, 지지체(4000)와 베이스(1000) 간의 간격을 넓히게 되는 것은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은 상부에 단턱홈(2321)을 구비하여, 서로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고 중첩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홈(2321)을 통한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의 중첩 배치를 통해 동일 면적의 베이스(1000) 및 지지체(4000) 상에 보다 두꺼운 승강패널의 구비가 가능하고, 이는 결국 본 고정장치(A)의 내구성과 직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한 동작 과정의 실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정장치(A)는 작동체(3000)가 중앙 비나사부(31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의 제1 및 제2수나사부(3110)(미도시)를 갖고, 구속부재(2100)가 제1수나사부(3110)와 결합하는 제1구속부재(2110) 및 제2수나사부(미도시)와 결합하는 제2구속부재(2120)로 이루어지고, 제1승강패널(2310)이 상기 제1구속부재(2110)에, 상기 제2승강패널(2320)이 상기 제2구속부재(2120)에 구속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정장치(A)의 수나사부(31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승강패널(2310)과 제2승강패널(2320)을 구속하고 있는 제1구속부재(2110)와 제2구속부재(21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승강패널(2310)과 제2승강패널(2320)이 선회핀(2340)을 중심으로 서로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지체(4000)와 베이스(1000) 간의 간격을 넓히게 된다.
또는 본 고정장치(A)의 수나사부(310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구속부재(2110)와 제2구속부재(21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승강패널(2310)과 제2승강패널(2320)이 선회핀(2340)을 중심으로 서로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지체(4000)와 베이스(1000) 간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정장치(A)는 삼각형 3축 회동 구조를 제공하고, 이에 종래의 4축, 5축 또는 그 외 다축 회동 구조에 비해 차별화된 현장 적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공현장의 바닥이 수평인 상황, 지지체(4000)가 기울어지도록 설치해야 하는 상황(창틀을 기울어지게 설치해야 되는 상황), 베이스(1000)가 기울어지도록 설치해야 하는 상황(바닥면이 불균일한 상황), 베이스(1000) 및 지지체(4000)가 모두 기울어지도록 설치해야 하는 상황 모두에서 상황에 따른 기울기의 변위가 가능하여 유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4축 및 5축 또는 그 외 다축 회동 구조는 축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어느 한 축에 힘이 집중되는 경우 축 부위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 고정장치(A)의 3축 구조는 어느 한 점에 힘이 집중되더라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5000)의 구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 [A]에서는 스토퍼(5000)가 제1승강패널(2310)과 제2승강패널(2320)의 상부 축공부(2330) 하측에 부착된 제한부재(5000B)인 실시(제2실시예)를, 도 3 [B]에서는 스토퍼(5000)가 지지체(4000)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스토핑돌기(5000A)인 실시(제3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5000)는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 선회핀(2340)을 중심으로 '∧' 형상으로 위로 꺾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제1 및 제2승강패널(2310)(2320)이 'ㅡ'또는 '??' 형상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한 작동체(3000)에 의한 승강체(2000)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토퍼(5000)의 구비를 통해 승강부재(2300)는 반드시 '∧' 형상을 유지해야 한다.
도 3 [A]의 스토퍼(5000), 즉 제한부재(5000B)의 경우, 제1승강패널(2310)이 회동할 때 제한부재(5000B)가 제2승강패널(2320)에 걸리도록 하여 제1승강패널(2310)의 회동을 제한하고, 이에 제2승강패널(2320)의 회동 역시 제한된다.
또는 도 3 [B]의 스토퍼(5000), 즉 스토핑돌기(5000A)의 경우, 지지체(4000)가 하강할 때, 스토핑돌기(5000A)가 지지체(4000)보다 앞서 수나사부(3100) 또는 구속부재(2100)와 접촉함으로써 지지체(4000)의 하강을 제한하고, 이에 제1승강패널(2310) 및 제2승강패널(2320)의 회동 역시 제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정장치(A)는 베이스(1000) 하부에 구비된 간격조절부재(6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격조절부재(6000)는 승강체(2000) 및 작동체(3000)를 통한 베이스(1000) 및 지지체(4000) 간의 간격 조절과는 별개로, 본 고정장치(A)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간격조절부재(6000)는 본 고정장치(A)가 창틀 시공 외, 인테리어 시공 관련하여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선반에 봉을 설치할 때 봉이 짧은 경우에 그 길이를 보정하거나 또는 바닥면의 비 평탄성에 의해 장롱이 벽면에서 뜨는 현상을 방지하는 경우 등 다양한 고정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재(6000)는 베이스(1000) 하부에 결합된 제1나사부(6100), 제1나사부(6100)에 결합된 제2나사부(6200) 및 제2나사부(6200)에 고정 결합된 버팀패널(6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의 실시에서는 제1나사부(6100)를 수나사로, 제2나사부(6200)를 암나사로 구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반대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실시예에 따른 본 고정장치(A)는 시공 위치의 일 측에 지지체(4000) 또는 버팀패널(6300)을 밀착시키고, 제1 및 제2나사부(6100)(6200)의 간격 조절을 통해 버팀패널(6300)과 지지체(4000) 간의 적절한 간격을 확보하여 시공 위치의 틈새를 메울 수 있다.
또한 이 때 본 고정장치(A)는 승강체(2000) 및 작동체(3000)를 통한 베이스(1000) 및 지지체(4000)의 간격 조절을 통해 세부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지지체(4000)에 형성된 기능제 주입용 통공(4100)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제 주입용 통공(4100)을 통해 콘크리트, 시멘트,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어,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벨트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벨트모듈(V)은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할 수 있도록 하여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벨트모듈(V)에 관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기준)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를 나누고,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7실시예(도 6 내지 도 14)에 따른 본 벨트모듈(V)의 설명에서, 본 벨트모듈(V)은 각 실시예에 따라 V1, V2, V3으로 표기하나, 첨부된 도면의 도면참조부호에서는 동일하게 S, V로 표시하기로 한다. 또한 제6 및 제7실시예(도 9 내지 도 14)의 설명에서, 제5실시예(도 6 내지 도 8)와 동일한 구성인 경우에도 구분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도면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벨트모듈(V)에 대해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벨트모듈(V)은 창틀(F)과 창문(W)을 시공하기 위한 창틀 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6(및 타 도면)은 집합건물, 즉 아파트(APT) 거실의 창문을 도시한 것이나, 본 벨트모듈(V)은 다양한 미닫이 창문을 비롯하여, 출입문, 폴딩 도어 등 다양한 미닫이 창호에 적용될 수 있다.
창틀(F)은 하부, 상부, 좌측 및 우측의 일부 또는 모두에 장착부(F1)를 갖는 구성으로, 이 장착부(F1)에 본 벨트모듈(V1)이 구비된다. 즉 도 6(및 타 도면)에는 본 벨트모듈(V1)이 창틀(F)의 하부 장착부(F1)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은 필요에 따라 창틀(F)의 상부를 비롯한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하좌우 모두에 장착부(F1)를 구성하여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창틀(F)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창틀(F)을 따라 움직이는 창문(W)이 곡선형으로 슬라이딩 되는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W)은 창틀(F)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미닫이 창문(W)으로, 창틀(F)에 장착된 창문(W)은 약 1/2~2/3 정도를 차지하는 고정형 창문(W2)과, 슬라이딩 벨트모듈(V1)과 연계되어 움직이는 이동형 창문(W1)으로 구성된다.
또한 장착부(F1)는 방풍, 그리고 노출된 레일의 차폐를 필요로 하는 창틀(F) 하부에 도입되는데, 이 장착부(F1)에는 보다 완벽한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필요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조립성까지 제공하도록 하우징(100)(40)에 구성요소가 내장된 슬라이딩 벨트모듈(V)이 설치된다.
이는 실제로 기존 창호 시스템에서 외기가 많이 유입되고 이동형 창문(W)의 하중 지탱과 슬라이딩 이동 원활성 보장을 위한 구조물(롤러 등)이 도입되는 부분이 창틀(F) 하부이기 때문이다.
본 벨트모듈(V)은 창틀(F)의 장착부(F1)에 결합되는 하우징(100)(40)과, 하우징(100)(40)에 구비된 벨트(200)(10)와, 창문(W)이 결합되고, 벨트를(200)(10) 따라 안내되어 하우징(100)(40)의 노출면(110)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300)(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8,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에 대해 설명하면, 본 벨트모듈(V1)은 장착부(F1)에 결합된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노출면(110)에 형성된 안착홈(120)에 안착되는 벨트(200) 및, 창문(W)이 결합되고 벨트(200)를 따라 안내되어 노출면(110)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구성요소를 내장하는 구성으로, 특히 대차(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00)이 하우징(100) 내에 내장되기 때문에 이동수단(4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감 저하 및 고장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새하지 않는다.
또한 본 벨트모듈(V1)이 창틀(F) 하부에 구비되는 점을 감안할 때, 하우징(100)의 노출면(110)은 상부에 구비되는 것임은 자연스럽게 유추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상부 노출면(110)에는 안착홈(120)이 형성되는데, 안착홈(120)은 벨트(200)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본 벨트모듈(V1)은 창틀(F)로부터 돌출된 구성이 없고, 창틀(F)과 대차(300) 간의 틈이 없는 구조, 즉 외기가 벨트(200), 특히 대차(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파고들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고, 또 벨트(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줄이고 차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여, 보다 완벽한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필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대차(300)는 노출면(110)을 따라 이동하되, 내부에 중공부(340)를 구비하여 벨트(200)를 수용하고 이에 벨트(200)를 따라 안내되어 노출면(110)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1)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00)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벨트(200)를 가압하는 누름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우측 원 영역 내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10)는 대차(300)의 어느 한 위치에 구비되는데, 보다 명확하게 일단은 대차(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대차(300)와 인접한 벨트(200) 접촉한다.
여기에서 '대차(300)와 인접한'이라는 표현은 대차(300)의 이동에 의해 대차(300)와 인접한 벨트(200)가 대차(300)의 중공부(340) 내부로 수용되기 직전 안착홈(120)에서 이탈하여 유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정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누름부재(310)의 도입을 통해 벨트(200)와 안착홈(120)(또는 노출면(110))간의 유격에 의해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피요성 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 8 우측 원 영역과 도 8 상부 도시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벨트(200)의 관통 경로 확보를 위해 누름부재(310)는 내부에 통로부(3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통로부(311)는 대차(300) 내부 중공부(340)에 벨트(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누름부재(310)는 하우징(100)의 안착홈(120)과 대차(300)의 중공부(340)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벨트(2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에 결합된 처짐방지판(31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처짐방지판(3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10)의 밑면과 동일한 정도로 노출되어 편평한 면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하우징(100)이 노출면(110) 위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1)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안착홈(120)에는 삽입부(121)가 구비되고, 벨트(200)는 삽입부(121)에 삽입되는 돌기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좌측 상부 원 영역에서는 이러한 삽입부(121) 및 돌기부(21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1)는 하우징(100)의 안착홈(120)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돌기부(210)는 벨트(200) 하면(도 8 기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벨트(200)가 안착부(F2)에 안착될 때 안착홈(120)에 삽입된다.
아울러 돌기부(210)는 벨트(200) 하면에 연속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후술하는 벨트(200) 풀리 구조를 취하기 위해서는 벨트(200)가 변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인해 본 벨트모듈(V1)은 대차(300)의 이동 안정성을 갖는데, 대차(300)의 이동 시 벨트(200)가 안착홈(12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벨트(200)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거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벨트(200) 자체 또는 벨트(200) 하부 돌기부(210)에는 자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부의 구비는 벨트(200) 또는 돌기부(210)에 자성체를 매립하거나 또는 미세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하우징(100) 또는 창틀(F)에 자석 또는 자성체를 배열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부의 구비를 통해 벨트(200)와 하우징(100)(또는 창틀(F))간의 밀착상태가 유지되어 평활도가 개선되고, 추가로 상기한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필요성이 부가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1)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개구부(130) 및, 개구부(13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배치된 안내돌기(140)를 포함하여, 안착홈(120)은 안내돌기(140) 상에 배치된다. 또한 대차(300)는 안내돌기(14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320)와, 수용홈부(320)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개구부(13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 공간부(150)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아울러 결합고정부(330)에는 대차(300)의 이동성을 부가하는 이동수단(4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벨트모듈(V1)은 안내돌기(140)와 수용홈부(320)의 구성을 통해 대차(300)의 이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안내돌기(140)는 대차(300)의 이동을 가이드 하여 대차(300)의 이동 시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5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1)은 하우징(100) 내 공간부(150)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부(330)와 이에 결합된 이동수단(400)의 구성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4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감 저하 및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동수단(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고정홈(160)에 고정된 레일부재(410), 이 레일부재(410) 외면에 결합되고 대차(300)의 결합고정부(330)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420) 및 레일부재(410)와 슬라이딩부재(420)에 개재된 베어링부재(430)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동수단(400)은 대차(300)의 하부(도 8 기준)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대차(300)의 하부 일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다양한 도면들, 도 11은 정단면도, 도 12는 측단면도, 도 12는 정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A]는 결합사시도, [B]는 분해사시도) 및 도 10([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A]는 [C]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W), 특히 이동형 창문(W)의 좌측에는 창문(W) 개방 시 창틀(F) 좌측 프레임과 충돌시의 완충을 위한 완충패드(W1b)(도 10 [A] 참조)가 구비되어 있고, 이동형 창문(W) 우측에는 창문(W) 폐쇄 시 방풍성(또는 기밀성) 및 방음성을 위하여 결합돌기(W1a)(도 9 [B] 및 도 10 [A]의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가 구비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는 창틀(F) 우측 프레임의 결합홈(F3)(도 10 [A]의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에 결합되어 중첩부를 구성한다.
도 9 및 도 11(도 2 [B]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2)은 벨트(10)와, 벨트풀리(30A,30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벨트(10)는 두 벨트풀리(30A,30B) 사이에서 유사 무한궤도를 형성하는데, '유사' 무한궤도라는 지칭은 벨트(10) 자체에 의하여 무한궤도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완벽한 제품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 특성상 상기한 대차(50) 또는 텐션조절체(20), 또는 이들 모두, 그리고 기타 기능성 구성요소를 더 개재할 필요성이 있고, 이들과 벨트(10)가 연결된 상태가 무한궤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선택한 용어이다.
나아가 '무한궤도'라는 용어도 사전적인 엄밀한 의미의 것이 아닌 것이, 창문(W)의 이동은 두 벨트풀리(30A,30B) 사이에서 벨트(10)가 완벽히 한 바퀴 또는 그 이상을 선회하는 것이 아니라 창문(W)의 개폐에 따라 창틀(F)의 좌우 거리를 최대한도로 하여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한궤도' 또는 '유사 무한궤도'라는 다소 과장된 기술에 의하여 본 발명이 불명료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벨트(10)는 두 벨트풀리(30A,30B)와 접하는 부분에서 양단 변곡부(10r)를 형성하고, 창문(W)과 이어진 연결부는 대차(50)를 통하여 구현되어 대차(50)의 양단 결합부(51)(도 13의 우측 상부 일점쇄선 원 내 확대도 참조)가 기능하게 된다.(이 양단 결합부(51)에는 벨트(10)의 상부 안내부의 양 단부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된다)
또 슬라이딩 벨트모듈(V2)에서 벨트(10)는 변곡부(10r)를 기점으로 상부 안내부(11)와 하부 안내부(13)를 구성한다.
나아가 본 벨트모듈(V2)은 벨트(10)와 벨트풀리가 내장된 하우징(40)의 도입을 통하여 각종 부품이 내장된 하우징(40) 자체를 창틀(F) 장착부(F1)에 설치하여 생산성, 시공 편리성, 그리고 유지ㅇ보수 편리성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생산성, 조립 편리성, 시공 편리성, 그리고 유지ㅇ보수 편리성의 완벽화를 위하여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의 연결부에는 창문(W)이 결합되는 대차(50)를 도입하고, 이 대차(50)에 창문(W1)이 안치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원활한 개폐 슬라이딩 동작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3, 특히 도 10 [C]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 대한 도 12 및 그 하부의 본 벨트모듈(V2) 중심의 요부 확대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창틀(F)의 하부 장착부(F1)에는 하우징(4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된 피안착부(47)가 결합되는 안착부(F2)가 구비되어 있는데, 하향 절곡된 피안착부(47)를 감싸 기밀성 내지 방풍성에 일조하고자 안착부(F2)는 내측면 돌출 제1돌기(F2a)와, 제1돌기(F2a)와 이격되어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향 돌출 제2돌기(F2b)로 구성되어, 이 두 돌기(F2a)(F2b) 사이의 공간에 하우징(40)의 상부 양측 피안착부(47)가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안착부(F2)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부(F1)에 수용된 하우징(40)은 안착부(F2) 바로 내측에 벨트(10), 특히 상부 안내부(11) 양측이 삽입되는 제1수용부(41)(도 10 하부의 본 벨트모듈(V2) 중심의 요부 단면 1차 확대도와, 이 1차 확대도에 대한 상부 좌측 2차 확대도에서 확인 가능)가 구비되어 외기가 벨트(10), 특히 상부 안내부(11)와 하우징(40) 사이의 틈새를 파고들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고, 또 벨트(10)의 상부 안내부(11)와 하우징(40) 사이의 틈새를 줄이고 차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40)의 내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고, 이에 따라 진정하게 외부에서 관찰시 보이는 레일홈이 완벽하게 차폐된 창틀 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제6실시예에 따른 본 벨트모듈(V2)의 하우징(40)은 벨트(10) 상부 안내부(11)를 위한 양 제1수용부(41) 사이의 공간에 제2 및 제3 수용부(43)(45)가 구비된다.
이 제2 및 제3 수용부(43)(45)는 하우징(40)의 양 제1수용부(41) 사이에 안착되는 창문(W1) 안착ㅇ지지용 대차(50) 및 벨트(10)를 위한 공간으로, 우선 제2수용부(43)는 본질적으로 본 벨트모듈(V2)의 하우징(40)에 수용된 벨트풀리(30A,30B) 사이를 움직이는 대차(5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한 메인롤러(R1)를 위한 레일을 구성하며, 제3수용부(45)는 벨트(10)의 상부 안내부(11) 저면에 배열되어 벨트(10)의 상부 안내부를 지지하는 처짐 방지 롤러(R2)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단면이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3수용부(45) 및 이에 설치되는 처짐 방지 롤러(R2)는 제2수용부(43) 및 메인롤러(R1)의 양측에 배열되어 균형된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2의 우측 최상부 일점쇄선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상기 처짐 방지 롤러(R2)는 처짐 방지 받침체(Rm)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체(Rm)는 아세탈과 같이 미끄럼 특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이 블록 타입이 아닌 브러시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처짐 방지 롤러나 처짐 방지 받침체와 같은 처짐 방지 부재는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변형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처짐 방지 받침체(Rm) 및 이를 위한 본 벨트모듈(V2)의 하우징(40)의 제3수용부(45m)는 메인롤러(R1)의 양측에 각각 1쌍씩 배열되어 보다 균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도 9 [B], 도 11,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10), 텐션조절체(20), 벨트풀리(30A,30B)가 내장되고, 상부에 대차(50)가 안착된 후, 창틀(F)의 장착부(F1)에 설치되는 본 벨트모듈(V2)은 하우징(40) 내측 양단에 장착되는 축핀(미지시됨)을 통하여 설치된 벨트풀리(30A,30B)에 벨트(10)를 걸어 설치함에 있어, 하우징(40)의 정면커버(40C)를 개방한 상태에서 벨트(10)의 상부 안내부(11)의 양단부(11t)를 대차(50)의 양단 결합부(51)에 결합 고정하고(예: 볼트 체결 방법 이용 가능), 벨트(10)의 하부 안내부(13)의 양 단부(13t)는 텐션조절체(20)의 체결부(23A)(너트부재(23)와 상호 연결되어 있다)(예: 볼트 체결 방법 이용 가능)에 고정한다.
이후 텐션조절체(20)를 구성하는 볼트부재(21)가 양측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예: 일 측은 왼나사, 타 측은 오른나사)되어 구성된 제1 및 제2나사부(21A)(21B)를 돌리면(예: 중앙에 나사산이 없는 민자 연결부를 다각형 등으로 구성하고,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양 너트부재(23)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안내부(13)를 비롯한 전체 벨트(10)의 텐션이 긴장 또는 이완된다.
이어서 하우징(40)의 정면커버(40C)를 닫고, 도 9 [B]의 분해 사시도와 같이, 본 벨트모듈(V2)을 창틀(F)의 장착부(F1)에 설치한 후, 통상의 슬라이딩 창문의 창틀 고정 시와 같이 창틀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돌출 레일에 창틀의 레일홈을 먼저 끼우고, 창문(W1)의 하부 프레임을 대차(50) 상부 양단에 구비된 스토퍼(53a,53b)(도 9 및 도 13 참조) 사이에 위치시킨 후 스토퍼(53a,53b)와 창문(W1) 하부 프레임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기타 암수 결합 방식의 스냅 후크 이용 가능) 고정한다.
이 때 창문(W1)의 하부 프레임의 삽입하돌기(W1c)는 도 13 하부의 본 벨트모듈(V2) 중심의 요부 단면 1차 확대도에 대한 상부 좌측 2차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차(50)의 창문 안착부(55)에 위치하므로 역시 기밀성 및 방풍성에 완벽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는 제7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 슬라이딩 벨트모듈(V3)이 도시되어 있는 바, 기본적으로 도 13의 우측 하부 요부 확대 측단면도와 유사한 도면에 해당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우선 조립성 개선을 위하여 좌측 상부 일점쇄선 원 내 부분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벨트모듈(V3)의 벨트(10)를 대차(50)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설치공(10H)을 가져, 설치공 둘레의 중첩부(10h)가 대차(50)의 장착슬릿(50s)에 끼워져 있다(좌측 하부상부 일점쇄선 원 내 추가 부분 확대도 참고).
또 이 벨트(10)의 설치공(10H) 내측에 위치한 대차(50)는 방풍부재(ws)가 도입되어 있어 창틀(F) 외기가 내부로 침습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벨트(10)의 상하 안내부(11,13)는 창틀(F)에 형성된 상하 설치부(11r,13r)에 구비된 윤활부재(r1,r2)에 의하여 지지되어 원활한 활주가 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부재(r1,r2)는 아세탈, 테플론 소재 등의 윤활특성을 갖는 부재를 활용할 수 있고, 기타 금속 소재도 활용할 수 있으며, 소음특성, 마찰특성, 윤활성, 4계절의 온도편차 등의 고려나 쿠션 기능을 고려하여 속이 꽉 찬 환봉형 부재 또는 속이 빈 튜브형 부재, 그리고 합성수지나 금속 소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ㅇ채용할 수 있다.
또 원형 단면을 갖는 윤활부재(r1,r2)를 설치부(11r,13r)에 억지 끼움 식으로 결합하고 윤활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부는 윤활부재의 외주면을 55~75% 정도 감싸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변형예의 벨트모듈(V3)에서 대차(50)가 롤러는 메인롤러(R1) 하나만이 구비되어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창문(W)의 유리는 진공층을 사이에 둔 이중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슬라이딩 벨트모듈(V, V2, V3)을 창틀(F)의 상부(좌우 슬라이딩 개폐형)나, 좌우측(상하 슬라이딩 개폐형)에 설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생략하였고, 또 기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창호시스템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 서포터(본 서포터(H))에 관한 제8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서포터(H)는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제1결합체(60), 제1결합체(60)와 선회 결합하는 몸체(70) 및, 몸체(70)와 선회 결합하고 건축구조체의 하부벽체(St)에 고정되는 제2결합체(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제1결합체(60)는 창틀(F) 하부(또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 하부, 이하 창틀(F) 하부로 통일)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16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설치공(참조부호 미병기)을 구비하고 있어, 볼트 등을 통해 창틀 하부 또는 본 벨트모듈(V)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결합체(80) 역시 설치공 및 볼트를 통해 건축구조체의 하부벽체(St)에 고정시킬 수 있다.
몸체(70)는 제1결합체(60)와 결합되는 제1선회결합부(71), 이에 결합된 길이조절부(73) 및, 길이조절부(73)에 결합되고 제2결합체(80)와 결합되는 제2선회결합부(7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선회결합부(71) 및 제2선회결합부(72)는 축핀과 축설공(참조부호 미병기)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서포터(H)는 제1선회결합부(71)와 제2선회결합부(72)를 통해 창틀의 수평을 조절하고, 길이조절부(73)를 통해 보다 정확한 수평 조절을 실시한다.
도 1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수평 조절이 완료된 후 건축구조체의 하부벽체(St) 상부와 창틀 사이에 받침대를 게재하여 수평 유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길이조절부(73)는 본 서포터(H)의 핵심 특징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73)는 수나사부재(731), 수나사부재(731)와 결합하는 암나사부재(733) 및. 수나사부재(731) 타 측 암나사부재(733)에 구비된 아이들부(Idle)(735)를 포함한다.
이에 수나사부재(731) 또는 암나사부재(733)의 회전에 의해 몸체(70)의 길이가 조절되는데, 아이들부(735)의 구비에 의해 암나사부(2130)가 수나사부(3100)를 따라서 회전하지 않으므로 수나사부(3100)가 회전에 의해 암나사부(2130) 안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몸체(70)의 길이가 조절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아이들부(735)는 암나사부재(733)에 삽입 고정되고 제1나사산(s1)을 갖는 고정캡(735A), 제1나사산(s1)에 결합되는 제2나사산(s2)과 회동축(a735)과 이 회동축(a735) 단부에 형성된 환형홈(g735)을 갖는 아이들기어(735B) 및, 환혐홈에 결합되는 고정용 와셔(735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암나사부재(733)의 회동 시 아이들기어(735B)가 회동하여, 암나사부재(733)는 헛돌게 되고, 이에 수나사부재(731)만이 회전하면서 암나사부재(733) 안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된다.
아울러 고정용 와셔(735C)는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내측에 변형 결합돌기(735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용 와셔(735C)는 개구된 측으로 환형홈(g735)에 끼울 때 변형 결합돌기(735c)가 형태 변형되면서 삽입되고, 이에 환형홈(g735) 내에서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편리하게 환형홈(g735) 내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정장치(A), 본 벨트모듈(V), 본 서포터(H)는 창틀 시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임을 앞서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S)은 승강형 고정장치(A)가 건축구조체의 설치 개구부와 창틀(F) 사이에 구비되어 창틀(F)의 수평 맞춤 및 고정을 제공하고, 슬라이딩 벨트모듈(V)이 창틀(F) 하부에 구비되어 창틀(F)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하고, 수평조절 서포터(H)가 건축구조체의 하부벽체(St)와 창틀(F) 사이에 구비되어, 창틀(F)의 수평 조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틀 시공 시스템(본 시스템)은 상기한 승강형 고정장치(A), 상기한 슬라이딩 벨트모듈(V), 상기한 수평조절 서포터(H)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상기한 본 고정장치(A), 본 벨트모듈(V), 본 서포터(H)의 기능 및 효과를 모두 가지게 되어,
신축 또는 개보수시 종래 창틀 고정 작업과 같이 건물 외부 위치에서 앵커볼트 박기 작업 등의 고정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하고 앵커볼트를 박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문제가 없어 쾌적한 공사 환경이 보장되고 이웃의 민원 소지도 없애며, 창틀에 구멍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수 및 방풍 특성이 보다 완벽해 지며, 즉시 창문을 장착할 수 있어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고 비바람이 차단되므로 공사 실내 작업 및 거주 환경 확보가 조기에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할 수 있도록 벨트 및 대차로 구성된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도입하여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창틀의 설치 시, 용이하게 또한 정밀하게 수평 조절이 가능하여, 창틀 시공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본 고정장치
1000: 베이스 2000: 승강체
3000: 작동체 4000: 지지체
5000: 스토퍼 6000: 간격조절부재
V: 본 벨트모듈(V1~V3: 제5 내지 제7실시예, V로 통일)
제5실시예
100: 하우징 200: 벨트
300: 대차
제6 및 제7실시예
10: 벨트 20: 텐션조절체
30A,30B: 벨트풀리 40: 하우징
50: 대차
H: 본 서포터
60: 제1결합체 70: 몸체
80: 제2결합체

Claims (4)

  1. 창틀 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승강형 고정장치에 있어서,
    결합부를 구비한 베이스;
    암나사부를 구비한 구속부재 및, 일 측이 구속부재에 결합된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체;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어 선회하고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작동체; 및
    상기 승강부재의 타 측에 결합된 지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부 축공부를 구비하여 선회핀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승강패널을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중앙 비나사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의 제1 및 제2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제1수나사부와 결합하는 제1구속부재 및 상기 제2수나사부와 결합하는 제2구속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승강패널은 상기 제1구속부재에, 상기 제2승강패널은 상기 제2구속부재에 구속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승강패널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승강패널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 선회핀을 중심으로 '∧' 형상으로 위로 꺾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고정장치.
  4. 창틀 시공 시스템에 이용되는 수평조절 서포터에 있어서,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제1결합체;
    상기 제1결합체와 결합되는 제1선회결합부, 이에 결합된 길이조절부 및 길이조절부에 결합된 제2선회결합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2선회결합부에 결합되고, 설치부를 갖는 제2결합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평조절 서포터.
KR1020160060174A 2015-05-18 2016-05-17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10193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74A KR101939999B1 (ko) 2016-05-17 2016-05-17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PCT/KR2016/005270 WO2016186451A1 (ko) 2015-05-18 2016-05-18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74A KR101939999B1 (ko) 2016-05-17 2016-05-17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59A true KR20170129459A (ko) 2017-11-27
KR101939999B1 KR101939999B1 (ko) 2019-01-18

Family

ID=6081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74A KR101939999B1 (ko) 2015-05-18 2016-05-17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670Y1 (ko) * 2004-03-30 2004-07-07 김근유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KR20090008920A (ko) * 2007-07-19 2009-01-22 이승득 건축용 창틀 지지구
KR20090106066A (ko) * 2008-04-04 2009-10-08 김명근 창호 설치용 고정구
KR101502470B1 (ko) * 2014-09-02 2015-03-24 김광복 문틀과 문짝 사이의 빈틈을 줄여주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670Y1 (ko) * 2004-03-30 2004-07-07 김근유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KR20090008920A (ko) * 2007-07-19 2009-01-22 이승득 건축용 창틀 지지구
KR20090106066A (ko) * 2008-04-04 2009-10-08 김명근 창호 설치용 고정구
KR101502470B1 (ko) * 2014-09-02 2015-03-24 김광복 문틀과 문짝 사이의 빈틈을 줄여주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99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16036A (ja) 分離着脱可能なセグメント構造のドアガイドフレームを含む摺動建具設置構造
KR101679286B1 (ko)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KR20160135680A (ko)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1939999B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JPH0730650B2 (ja) 引戸用取付け金具
KR101466870B1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WO2011101879A1 (en) Mechanical locking device, particularly for curtains sliding on slides and the like
WO2016186451A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100588426B1 (ko) 행거식 문용 호차
KR20150056930A (ko)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102544824B1 (ko) 슬라이딩 도어
CN110219521B (zh) 一种上悬窗自动锁闭装置
KR20100000053A (ko) 선상이동이 가능한 도어벽체 구조
KR20100008990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JP4625345B2 (ja) 吊り戸装置における密閉機構
KR101330750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수직축 높이조절장치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20140105894A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JP2010242457A (ja) ベランダの手摺り装置
KR101244032B1 (ko) 밸런스 도어
KR101034678B1 (ko) 창문용 밀폐장치
JP5330848B2 (ja) 両開き式吊り戸の開閉装置
KR100825230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KR20190070191A (ko) 기밀과 단열 및 수밀을 해결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