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58B1 -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58B1
KR101698458B1 KR1020150035768A KR20150035768A KR101698458B1 KR 101698458 B1 KR101698458 B1 KR 101698458B1 KR 1020150035768 A KR1020150035768 A KR 1020150035768A KR 20150035768 A KR20150035768 A KR 20150035768A KR 101698458 B1 KR101698458 B1 KR 10169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frame
window
opening
t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088A (ko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3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상부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을 통해 공기가 창호의 내,외측으로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방음 및 방풍성능을 향상시키고, 미닫이 창호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경우에도 연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벨트체의 장력조절 작업이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노출된 연동프레임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닫이 창호의 협소한 상부 공간에서도 미닫이 창호를 떼어내지 않고 편리하게 벨트체의 장력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 미닫이 창호 및 제2 미닫이 창호를 연동시키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에 설치되고, 위방향으로 돌출시킨 차단연결부를 구비한 고정프레임과, 개구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고정프레임의 차단연결부가 끼워지는 차단연결홈부를 형성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을 가이드프레임에 메달아 유지함과 동시에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가이드수단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 미닫이 창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창호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다른 창호도 함께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한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로서, 국내 등록특허 10-1254681호에 알려진 것이 있다.
상기 종래의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는, 제1 미닫이 창호에 가이드판을 설치하고, 제2 미닫이 창호에는 상기 가이드판과 상호 연동하는 연동판을 설치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미닫이 창호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다른 미닫이 창호도 연동시켜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미닫이 창호를 창틀 레일에 안착시킬 때, 미닫이 창호를 창들 레일 위로 들어올린 후 내려 안착시키는 것이므로,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와 가이드판 및 연동판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을 연결하는 구조는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의 길이방향 양끝 상면에 위로 돌출시킨 연결돌출부(연결핀)를 구비하여 각각의 가이드판 및 연동판 측에 구비된 연결구멍에 끼워넣어 상호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2개의 핀 형태의 연결돌출부에 의한 연결구조는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와 가이드판 및 연동판 사이에 여유 공간이 그대로 존재하게 되므로 이 여유 공간을 통해 공기가 창호의 내,외측으로 유통될 수 있고, 여유 공간에 브러시를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키고는 있지만, 단열, 방음 및 방풍성능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는 현재 실내용 미닫이 창호에만 적용하여 사용되고 건물 외벽의 미닫이 창호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의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는, 가이드판과 연동판의 연동구성이 가이드판에 설치된 회전조립체의 피니언기어와 연동판에 구비된 래크기어가 이 맞물림되어 가이드판과 연동판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연동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연동부품의 흔들림이나 상호 마찰에 의한 마모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미닫이 창호의 개폐시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취약하다는 단점과 가이드판과 연동판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는 경우, 피니언기어와 래크기어의 이맞물림 상태가 이탈되어 오동작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는, 가이드판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설치된 회전조립체의 회전체를 벨트체로 연결하고, 가이드판 양쪽에 연동판을 각각 배치하여 3개의 미닫이 창호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조립체에는 원형캠을 이용한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원형캠의 회전조작 위치가 회전조립체의 상면에서 이루어지고, 또한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캠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됨에 따라, 미닫이 창호의 매우 협소한 상부 공간에서 원심캠을 회전시켜 벨트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이 어렵고, 이를 위해 제1 미닫이 창호를 창틀에서 떼어내어 공간을 확보한 후, 원심캠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장력조절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닫이 창호의 상부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을 통해 공기가 창호의 내,외측으로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방음 및 방풍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 외벽의 미닫이 창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닫이 창호의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이를 흡수하여 미닫이 창호의 개폐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미닫이 창호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경우에도 견고한 견인구조에 의해 연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동을 위한 벨트체의 장력조절 작업이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노출된 연동프레임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닫이 창호의 협소한 상부 공간에서 미닫이 창호를 창틀로부터 떼어내지 않고도 편리하게 벨트체의 장력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 미닫이 창호 및 제2 미닫이 창호를 연동시키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위방향으로 돌출시켜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차단연결부를 구비한 고정프레임; 상기 개구부의 상부 테두리에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차단연결부가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삽입되어 끼워지는 차단연결홈부를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을 가이드프레임에 메달아 유지함과 동시에 창호의 개폐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가이드수단; 및 상기 제1 연동프레임과 제2 연동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차단연결부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의 차단연결홈부 사이를 차단하는 기밀유지부재를 더 구비한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1 연동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블럭체; 상기 각 블럭체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체; 상기 양쪽 회전체를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벨트체; 및 상기 벨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연동프레임에 형성한 견인구멍에 삽입되는 견인부로 이루어진 견인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견인체의 이동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연동프레임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견인안내홈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견인체의 고정부 상하면에 견인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동프레임의 견인안내홈에는 상기 상하의 견인지지홈이 삽입되는 견인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벨트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벨트장력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하단에 구비되고 벨트체의 장력조절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을 가지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블럭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장력조절부를 벨트장력조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장력조절홈과, 상기 블럭체에 고정되어 장력조절홈을 막아 회전축 및 장력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장력조절부의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장력조절나사로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가이드수단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원주둘레방향으로 반원형 접촉홈을 형성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반원형 접촉홈과 양쪽에서 접촉하는 반원형 접촉레일로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 상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의 연결구성이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차단연결부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에 형성된 차단연결홈부에 삽입하여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차단연결부와 차단연결홈부는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므로,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을 통해 창호 내,외로 흐르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고, 이로써 미닫이 창호의 단열, 방음 및 방풍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연동장치를 실내용 미닫이 창호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미닫이 창호에도 적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를 더욱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연동프레임과 제2 연동프레임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의 견인체가, 제1 연동프레임의 견인안내홈과 견인지지홈에 의해 2중으로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견인체가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견인체의 견인부가 창호의 개폐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제2 연동프레임의 견인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창호 개폐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더라도 벨트체의 흔들림이나 휨변형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더욱이 미닫이 창호의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이를 흡수할 수 있어 미닫이 창호의 원활한 연동과 개폐동작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벨트체의 장력조절방향으로 나사구멍이 형성된 장력조절부와,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구멍과 나사맞춤된 장력조절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조절나사는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노출된 연동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것이므로, 미닫이 창호의 협소한 상부 공간에서도 벨트체의 장력 조절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2는 커버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의 측면을 커버 및 커버체로 막은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커버 및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과 연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서 연동기구의 벨트체에 고정된 견인체와 제2 연동프레임의 견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서 연동기구의 벨트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서 벨트장력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의 개폐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연동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제1 미닫이 창호(1) 및 제2 미닫이 창호(2)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미닫이 창호(1)를 중간에 두고 양쪽에 제2 미닫이 창호(2)가 배치된 구성을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변경을 통해 그 이상의 미닫이 창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장치는,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10)과 가이드프레임(20) 사이에서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구비하며, 이들 구성은 가볍고 구조적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제조된다.
고정프레임(10)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의 설치구조는, 고정프레임(10)에 위방향으로 돌출하는 차단연결부(11)를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차단연결부(11)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차단연결홈부(31,41)를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연동프레임(30)의 차단연결홈부(31)에 끼워지는 고정프레임(10)의 차단연결부(11)는 제1 연동프레임(30)의 양끝단에 고정되는 후술의 블럭체(61)(도 7 참조)에 의해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제2 연동프레임(40)의 차단연결홈부(41)에 끼워지는 고정프레임(10)의 차단연결부(11)는 제2 연동프레임(40)의 양끝단에 고정되는 커버체(12)에 의해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0)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은 차단연결부(11)와 차단연결홈부(31,41)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와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위방향으로 돌출되어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차단연결부(11)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 사이의 여유공간(a)을 통해 공기가 창호의 내,외측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이때 차단연결부(11)와 차단연결홈부(31,41) 사이에는 기밀유지부재(11a)를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유지부재(11a)는 차단연결부(11)의 표면에 별도로 제작한 실리콘 재질의 가스킷을 끼우거나, 차단연결부(11) 표면에 기밀유지부재(11a)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0)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의 연결구조에 의해서는, 도 9의 (c)에서와 같이 창호를 닫았을 때,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의 상부에 형성되는 여유공간(a)(도 3 참조)을 개폐방향 전체에 걸쳐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과 가이드프레임(20) 사이에는 프레임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가이드프레임(20)에 메달아 고정프레임(10)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 사이를 일정 간격 유지하여 여유공간(a)을 형성함과 동시에,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동시켜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프레임가이드수단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 상면의 길이방향(창호의 개폐방향) 양끝단에 가이드롤러(51)를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고, 가이드롤러(51)의 원주 둘레방향으로 반원형 접촉홈(52)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는 가이드롤러(51)의 반원형 접촉홈(52)과 양쪽에서 접촉하는 반원형 접촉레일(5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프레임(20)의 양쪽 반원형 접촉레일(53)에 가이드롤러(51)의 반원형 접촉홈(52)을 끼움으로써 가이드프레임(20)에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메달아 유지할 수 있고, 가이드롤러(51)의 반원형 접촉홈(52)이 가이드프레임(20)의 반원형 접촉레일(53)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제1 연동프레임(30)과 제2 연동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기구(60)를 나타낸 것으로, 연동기구(60)는, 제1 연동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블럭체(61)를 구비하고, 블럭체(61)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 연동프레임(30)에 형성한 조립홈(32)에 조립돌기부(61a)를 끼운 후, 나사로 제1 연동프레임(30)에 대하여 조립돌기부(61a)를 고정함으로써 설치된다.
양쪽의 블럭체(61)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체(63)가 각각 구비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양쪽의 회전체(63)는 벨트체(64)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벨트체(64)와 회전체(63)는 타이밍기어를 가지는 벨트와 풀리를 사용하여 양쪽 회전체(63)의 상호 연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벨트체(64)에는 제1 연동프레임(30)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는 제2 연동프레임(40)을 견인하여 연동시키기 위한 견인체(65)가 구비되고, 견인체(65)는 벨트체(64)에 고정되는 고정부(66)와 상기 고정부(66)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연동프레임(40)에 형성한 견인구멍(68)에 삽입되는 견인부(67)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연동프레임(30)과 견인체(65) 사이에는 견인체(65)의 이동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지지수단은 제1 연동프레임(30)에 견인체(65)의 고정부(66)를 삽입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견인안내홈(71)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형성하고, 견인체(65)의 고정부(66) 상하면에는 견인지지홈(7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동프레임(30)의 견인안내홈(71)에는 상기 상하의 견인지지홈(72)이 삽입되는 견인지지돌기(7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견인체(65)의 고정부(66)는 견인안내홈(71)에 안내됨과 동시에, 고정부(66) 상하부에서 견인지지홈(72)과 견인지지돌기(73)에 의해 더욱 2중으로 지지되므로, 제2 연동프레임(40)의 견인시 견인체(65)에 작용하는 견인력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창호의 개폐방향으로의 이동시 견인체(65)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벨트체(64)의 흔들림이나 휨변형 등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60)는, 상기 벨트체(6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벨트장력조절수단은 도 7 및 도 8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63)의 회전축(62) 하단에 장력조절부(81)를 구비하고, 장력조절부(81)에 벨트체(64)의 장력조절방향으로 나사구멍(81a)을 형성하며, 블럭체(61)에는 상기 회전축(62)과 장력조절부(81)를 벨트장력조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장력조절홈(82)을 형성한다.
또한, 블럭체(61)의 장력조절홈(82)은 커버(83)로 막아 회전축(62) 및 장력조절부(81)가 장력조절홈(8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장력조절나사(84)의 나사부(84a)를 상기 커버(83)에 관통시켜 장력조절부(81)의 나사구멍(81a)에 나사맞춤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8의 (a)와 (b)에서와 같이, 장력조절나사(84)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나사부(84a)와 나사구멍(81a)이 나사맞춤된 장력조절부(81)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회전체(63)의 회전축(62)을 장력조절방향으로 이동시켜 벨트체(6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제1 또는 제2 미닫이 창호(1,2)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게 되면, 도 6 및 도 9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제1 연동프레임(30)과 제2 연동프레임(40)이 벨트체(64)에 고정된 양쪽의 견인체(65)에 의해 연결된 것이므로, 벨트체(64) 및 견인체(65)에 의해 상호 연동에 필요한 힘이 전달되어 제1 연동프레임(30)과 양쪽의 제2 연동프레임(40)이 상호 연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가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3 및 도 9의 (c)에서와 같이, 위방향으로 돌출되어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프레임(10)의 차단연결부(11)와, 이 차단연결부(11)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의 차단연결홈부(31,41)에 의해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 사이에 형성된 여유공간(a)을 창호의 개폐방향 전체에 걸쳐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상기 여유공간(a)을 통해 공기가 창호의 내,외측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미닫이 창호의 단열, 방음 및 방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단연결부(11)와 차단연결홈부(31,41) 사이에 구비된 기밀유지부재(11a)에 의해서는 단열, 방음 및 방풍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동장치는 실내용 미닫이 창호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벽용 미닫이 창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의 개폐동작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과 가이드프레임(20) 사이에 구비된 프레임가이드수단에 의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프레임(20)의 양쪽 반원형 접촉레일(53)에 가이드롤러(51)의 반원형 접촉홈(52)을 끼움으로써 가이드프레임(20)에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메달아 고정프레임(10)과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가이드롤러(51)의 반원형 접촉홈(52)이 가이드프레임(20)의 반원형 접촉레일(53)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적은 힘으로도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1,2)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 연동프레임(30)과 제2 연동프레임(40)을 연동시키기 위해 제2 연동프레임(40)을 견인하는 견인체(65)가 1차적으로 제1 연동프레임(30)의 견인안내홈(71)에 안내되고, 견인체(65)의 견인지지홈(72)과 제1 연동프레임(30)의 견인지지돌기(73)에 의해 2중으로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견인체(65)의 흔들림 없는 안정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견인체(65)의 견인부(67)가 창호의 개폐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제2 연동프레임(40)의 견인구멍(68)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창호 개폐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30,40) 사이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경우 또는 창호의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는 경우 이를 흡수할 수 있어 벨트체(64)의 흔들림이나 휨변형 없이 미닫이 창호(1,2)의 원활한 연동과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연동장치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제1 연동프레임(30)의 양끝단에 설치된 회전체(63)를 연결하는 벨트체(64)가 느슨해질 수 있고, 이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장력조절을 위한 장력조절나사(84)가 제1 연동프레임(30)의 일측면으로 노출된 것이므로, 제1 미닫이 창호(1,2)를 창틀로부터 떼어내지 않고도 장력조절나사(84)를 회전시켜 벨트체(6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서와 같이, 장력조절나사(84)가 회전체(63)의 회전축(62) 하부에 구비된 장력조절부(81)의 나사구멍(81a)와 나사맞춤된 상태에서, 장력조절나사(84)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장력조절부(81)가 블럭체(61)의 장력조절홈(82)을 따라 이동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1 연동프레임(30)의 양끝단에 설치된 회전체(63) 및 회전축(62)을 벨트체(64) 연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벨트체(64)를 당김으로써 장력을 더욱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2 : 제1 및 제2 미닫이 창호 10 : 고정프레임
11 : 차단연결부 11a : 기밀유지부재
20 : 가이드프레임 30,40 :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
31,41 : 차단연결홈부 51 : 가이드롤러
52 : 반원형 접촉홈 53 : 반원형 접촉레일
60 : 연동기구 61 : 블럭체
62 : 회전축 63 : 회전체
64 : 벨트체 65 : 견인체
66 : 고정부 67 : 견인부
68 : 견인구멍 71 : 견인안내홈
72 : 견인지지홈 73 : 견인지지돌기
81 : 장력조절부 81a : 나사구멍
82 : 장력조절홈 83 : 커버
84 : 장력조절나사 84a : 나사부

Claims (6)

  1. 개구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미닫이 창호 및 제2 미닫이 창호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위방향으로 돌출시켜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차단연결부를 구비한 고정프레임; 상기 개구부의 상부 테두리에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차단연결부가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삽입되어 끼워지는 차단연결홈부를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을 가이드프레임에 메달아 유지함과 동시에 창호의 개폐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가이드수단; 및 상기 제1 연동프레임과 제2 연동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1 연동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블럭체; 상기 각 블럭체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체; 상기 양쪽 회전체를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벨트체; 상기 벨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연동프레임에 형성한 견인구멍에 삽입되는 견인부로 이루어진 견인체; 및 상기 견인체의 이동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연동프레임에 견인체의 고정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견인안내홈을 창호의 개폐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견인체의 고정부 상하면에는 견인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동프레임의 견인안내홈에는 상기 상하의 견인지지홈이 삽입되는 견인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견인체의 고정부가 견인안내홈에 안내됨과 동시에, 고정부 상하부에서 견인지지홈과 견인지지돌기에 의해 2중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벨트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장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벨트장력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하단에 구비되고 벨트체의 장력조절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을 가지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블럭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장력조절부를 벨트장력조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장력조절홈과, 상기 블럭체에 고정되어 장력조절홈을 막아 회전축 및 장력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장력조절부의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장력조절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가이드수단은, 제1 및 제2 연동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원주둘레방향으로 반원형 접촉홈을 형성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반원형 접촉홈과 양쪽에서 접촉하는 반원형 접촉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20150035768A 2015-03-16 2015-03-16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169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68A KR101698458B1 (ko) 2015-03-16 2015-03-16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68A KR101698458B1 (ko) 2015-03-16 2015-03-16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088A KR20160111088A (ko) 2016-09-26
KR101698458B1 true KR101698458B1 (ko) 2017-01-20

Family

ID=5706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768A KR101698458B1 (ko) 2015-03-16 2015-03-16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63Y1 (ko) * 2016-09-30 2018-02-20 박성범 복수개로 이루어진 여닫이 창호의 연동 개폐구조
KR102453025B1 (ko) * 2020-08-18 2022-10-11 이재숙 슬라이드 벨트연동부 조립형 및 피봇홀더 위치프리부착형 도어연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872B1 (ko) * 2010-07-30 2012-02-15 안중식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KR101254681B1 (ko) * 2011-11-28 2013-04-15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1431959B1 (ko) * 2013-01-31 2014-08-19 김영숙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366A (ja) * 1997-12-05 1999-06-22 Toyota Auto Body Co Ltd 両開きドア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872B1 (ko) * 2010-07-30 2012-02-15 안중식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KR101254681B1 (ko) * 2011-11-28 2013-04-15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1431959B1 (ko) * 2013-01-31 2014-08-19 김영숙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088A (ko)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0392A1 (en) Frame structure and sliding door
KR20160033690A (ko)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KR20110138807A (ko)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1254681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RU2581561C1 (ru)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KR101799784B1 (ko) 높이조절 호차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20130136664A (ko) 폴딩도어용 롤러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KR10108543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KR102147697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101502470B1 (ko) 문틀과 문짝 사이의 빈틈을 줄여주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JP2008248654A (ja)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20090008877U (ko) 착, 탈이 용이한 미닫이 도어
CN104929488A (zh) 门窗扇及门窗
TW201723290A (zh) 門窗
KR200445974Y1 (ko) 이탈 방지 장치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 장치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090007986U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KR200421483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구조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KR102026443B1 (ko)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