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670Y1 -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670Y1
KR200355670Y1 KR20-2004-0008687U KR20040008687U KR200355670Y1 KR 200355670 Y1 KR200355670 Y1 KR 200355670Y1 KR 20040008687 U KR20040008687 U KR 20040008687U KR 200355670 Y1 KR200355670 Y1 KR 200355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height
frame
window fram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유
Original Assignee
김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유 filed Critical 김근유
Priority to KR20-2004-0008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 조절장치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또는 창틀) 시공시 문틀의 양측 저면에 안착시켜 문틀의 높이 및 수평을 보다 신속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함으로서 문틀시공에 따른 시간절감과 인력절감, 그리고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전후양측 부분에 높이가 낮은 벽체(11)(11')를 형성하되, 양측 벽체(11') 중앙부에 U형 홈(12)을 형성하고, 전후벽체(11) 중앙부에 서로 대응하는 개방홈(13)을 형성하여서 된 베이스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 위에 안착되어 임의의 높이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승강체(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체(2)는, 저면 전후부에 베이스프레임(1)의 개방홈(13)과 일치하는 절곡지지부(21')를 가진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절곡지지부(21')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연결 설치되는 길이가 동일한 4개의 링크(22)와, 상기 4개의 링크(22) 끝단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 암나사구멍(23)이 형성되거나 또는 너트 등의 암나사부재(23')가 삽입 설치된 두개의 이송블럭(24)(24')과, 상기 이송블럭(24)(24')에 관통설치되며 양단부에 베이스프레임(1)의 U형홈(12)에 안정적으로 끼워지게 한 걸림요부(25a)와, 일단에 렌치 또는 스패너의 사용이 용이하게 한 원형 또는 육각의 헤드부(25b) 및, 상기 두개의 이송블럭(24)(24')에 결합되어 각각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오른나사부(25c) 및 왼나사부(25c')가 일체로 형성된 나사봉(2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문틀(또는 창틀)을 시공할 때 문틀 양측 저면부에 각각 받쳐 준 상태에서 나사봉(25)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두개의 이송블럭(24)와(24')가 상기 나사봉(25)의 오른나사부(25c)와 왼나사부(25c')에 의해 이송되면서 서로 가까워 질 때는 링크(22)에 의해 승강판(21)을 상승시켜 문틀의 높이를 상승시키게 되고, 멀어질 때는 링크(22)가 승강판(21)을 끌어내려 하강시킴에 따라 문틀의 높이를 낮추게 됨으로서 두개의 조절장치로서 문틀의 높이 및 수평을 매우 신속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어 문틀의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a height and level regulator of a door frame and window frame}
본 고안은 문틀 또는 창문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 또는 창문틀을 시공설치할 때 문틀 또는 창문틀의 양측 저면에 받쳐놓고 간편하게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문틀이나 창문틀의 시공설치를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문틀 또는 창문틀을 시공 설치할 때는 설치할 위치의 바닥부분 양측에 나무조각 또는 벽돌이나 자갈 등을 비롯한 각종 자재 등을 받침부재로 활용하여 문틀 또는 창문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문틀 또는 창문틀의 높이및 수평을 맞추려면, 인력과 시간이 과다소요되게 된다.
그 이유는 문틀이나 창문틀의 양측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가 높이나 크기 폭 등을 특정할 수 없는 나무조각, 벽돌조각, 자갈 등의 자재이기 때문에 문틀의 높이 및 수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야 할 때 일일히 받침부재를 절단하거나 가공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소요될 경우가 많고, 또, 미세조절이 사실상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 혼자서 문틀이나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을 하기가거의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조절방식은 인력과 더불어 시간이 과다소요되는 폐단이 따르게 되며, 작업후에도 바람이나 진동 등의 외부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높이나 수평이 틀어지거나 변형되기 쉬운 등의 폐단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문틀 또는 창문틀을 시공설치하는 과정에서 높이 및 수평을 맞출 때 매우 신속간편하게 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제공하여 합리적이고도 정확한 시공과, 시간 및 인력절감으로 인한 시공비절감을 유도할 수 있게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승강판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문틀(3) 또는 창틀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도록 된 본 고안의 조절장치(100)는,
전후양측부분에 높이가 낮은 벽체(11)(11')를 형성하되, 양측 벽체(11') 중앙부에 U형 홈(12)을 형성하고, 전후벽체(11) 중앙부에 서로 대응하는 개방홈(13)을 형성하여서 된 베이스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 위에 안착되어 임의의 높이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승강체(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체(2)는, 저면 전후부에 베이스프레임(1)의 개방홈(13)과 일치하는 절곡지지부(21')를 가진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절곡지지부(21')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연결 설치되는 길이가 동일한 4개의 링크(22);와,
상기 4개의 링크(22) 끝단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 암나사구멍(23)이 형성되거나 또는 너트 등의 암나사부재(23')가 삽입 설치된 두개의 이송블럭(24)(24');과,
양단부에 베이스프레임(1)의 U형홈(12)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요부(25a)를 구비하고, 일단에 렌치 또는 스패너의 사용이 용이하게 한 원형 또는 사각이나 육각의 헤드부(25b)가 구비되며, 상기 두개의 이송블럭(24)와 (24')에 관통설치되어 각각을 동시에 이송시키는 오른나사부(25c) 및 왼나사부(25c')가 일체로 형성된 나사봉(2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문틀 또는 창틀 시공시, 문틀 또는 창틀이 설치될 곳의 양측 적정위치에 두개의 조절장치(100)를 안착시킨 뒤, 이 위에 문틀 또는 창틀을 올려놓고, 각각의 조절장치(100)를 조절하여 문틀 또는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을 하면 된다.
즉, 본 고안의 조절장치(100)위에 문틀 또는 창틀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조절장치(10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사봉(25)의 헤드부(25b)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나사봉(25)의 회전에 의해 오른나사부(25c) 및 왼나사부(25c')에 체결된 이송블럭(24)(24')이 동시에 중심방향으로 이송되거나 벌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이송블럭(24)(24')의 양측부에 연결된 링크(22)의 타단이 승강판(21)의 절곡지지부(21)와 연결설치 된 상태이므로 자연적으로 이송블럭(24)(24')의 이송량에 비례하여 링크(22)가 점차 눕거나 점차 세워지면서 승강판(21)을 승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문틀 또는 창틀의 높이 조절 및 수평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은 나사봉(25)의 회전이 승강판(21)의 승강조절로 이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원활하게 승강판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나사봉(25)의 회전수와 승강판의 높이조절량이 비례하는 구성이기에 승강판(21)의 미세높이 조절도 가능해 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매우 신속간편하면서도 원활하게 문틀 또는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품 중에서 이송블럭(24)(24')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나사봉(25)에 형성된 왼나사부(25c')와 오른나사부(25)에 바로 체결되도록 이송블럭(24)(24')에 암나사구멍(23)을 바로 형성하면 되고, 합성수지 또는 비금속이나 연질의 비철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암나사부재(23')를 인서트 몰딩하거나 박아 설치하여도 되며, 따라서 이러한 체결구멍의 변화 또는 변형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하겠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1)을 뒤집어서 상측에 위치시키고, 승강체(2)또한 반대로 뒤집어서 하측에 위치시켜도 문틀 또는 창틀의 수평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대 구성도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위 구성에서 베이스프레임(1)의 양측 벽체(11')에 나사봉(25)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고정되어도 되며, 이러한 구성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에 있어서 핵심구성은오른나사부(25c)와 왼나사부(25c')를 가진 나사봉(25)과 이송블럭(24)(24'), 그리고 링크(22)와 승강판(21)이 유기적으로 작용되도록 구성한 점이 핵심구성이며, 따라서 이외의 변형은 당업자간에 변형실시가 가능한 부분이어서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또는 창틀)의 시공시 문틀 또는 창틀의양측 저면부에 각각 받쳐 준 상태에서 나사봉(25)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창틀 또는 문틀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문틀 또는 창틀의 수평을 매우 신속간편하게 맞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에 따르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수 있으며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문틀(3) 또는 창틀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후양측부분에 높이가 낮은 벽체(11)(11')를 형성하되, 양측 벽체(11') 중앙부에 U형 홈(12)을 형성하고, 전후벽체(11) 중앙부에 서로 대응하는 개방홈(13)을 형성하여서 된 베이스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 위에 안착되어 임의의 높이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승강체(2)로 구성하되,
    상기 승강체(2)는,
    저면 전후부에 베이스프레임(1)의 개방홈(13)과 일치하는 절곡지지부(21')를 가진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절곡지지부(21')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연결 설치되는 길이가 동일한 4개의 링크(22);와,
    상기 4개의 링크(22) 끝단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 암나사구멍(23)이 형성된 두개의 이송블럭(24)(24');과,
    양단부에 베이스프레임(1)의 U형홈(12)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요부(25a)를 구비하고, 일단에 렌치 또는 스패너의 사용이 용이하게 한 원형 또는 육각의 헤드부(25b)가 구비되며, 상기 두개의 이송블럭(24)와 (24')에 관통설치되어 각각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오른나사부(25c) 및 왼나사부(25c')가 일체로 형성된 나사봉(2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및 창틀의 수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블럭(24)(24')에 너트 등의 암나사부재(23')를 삽입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및 창틀의 수평조절장치.
KR20-2004-0008687U 2004-03-30 2004-03-30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KR200355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87U KR200355670Y1 (ko) 2004-03-30 2004-03-30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87U KR200355670Y1 (ko) 2004-03-30 2004-03-30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670Y1 true KR200355670Y1 (ko) 2004-07-07

Family

ID=4934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687U KR200355670Y1 (ko) 2004-03-30 2004-03-30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67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859A (ko) 2014-05-28 2015-12-08 심경혜 문틀 수평 발란스 조절장치
KR101679286B1 (ko) * 2014-12-23 2016-11-25 김성만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KR101694861B1 (ko) * 2016-01-27 2017-01-10 김효은 창틀 시공용 수평조절장치
KR20170129459A (ko) * 2016-05-17 2017-11-27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101810298B1 (ko) * 2015-12-16 2018-01-18 변성섭 창틀의 수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창틀 시공 방법
JP2019138075A (ja) * 2018-02-13 2019-08-22 Ykk Ap株式会社 下枠用ブラケットおよび建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859A (ko) 2014-05-28 2015-12-08 심경혜 문틀 수평 발란스 조절장치
KR101679286B1 (ko) * 2014-12-23 2016-11-25 김성만 창틀 시공용 고정장치
KR101810298B1 (ko) * 2015-12-16 2018-01-18 변성섭 창틀의 수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창틀 시공 방법
KR101694861B1 (ko) * 2016-01-27 2017-01-10 김효은 창틀 시공용 수평조절장치
KR20170129459A (ko) * 2016-05-17 2017-11-27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101939999B1 (ko) * 2016-05-17 2019-01-18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JP2019138075A (ja) * 2018-02-13 2019-08-22 Ykk Ap株式会社 下枠用ブラケットおよび建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2734B1 (en) Adjustable hinge
US9725936B2 (en) Door catch
KR200355670Y1 (ko)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200384047Y1 (ko) 창호용 수평조절장치
KR101761111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0405178B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US6966678B2 (en) Foldable ceiling lamp
JP4945230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具
CN212078410U (zh) 一种便于安装的轻钢龙骨天花吊顶
KR101526758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창틀
KR200397233Y1 (ko)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KR200346329Y1 (ko) 석재 고정용 고정구
US20060169074A1 (en) Adjustment structure to maintain horizontal of a machine
KR100417021B1 (ko)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KR20070080033A (ko) 문틀 고임구
KR200209623Y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KR100706177B1 (ko) 플로어힌지 커버 지지구조
JP2014163078A (ja) 基礎スペーサー
KR200398760Y1 (ko) 바닥 레벨러
KR200244983Y1 (ko) 평판 고정용 바이스
KR200497611Y1 (ko) 플로어 힌지의 하부 피봇 위치 조절 장치
JP2005188117A (ja) フランス落とし装置
KR200365824Y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구조
JP2009232614A (ja) 配線ボックスの固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