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23Y1 -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 Google Patents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23Y1
KR200209623Y1 KR2020000023753U KR20000023753U KR200209623Y1 KR 200209623 Y1 KR200209623 Y1 KR 200209623Y1 KR 2020000023753 U KR2020000023753 U KR 2020000023753U KR 20000023753 U KR20000023753 U KR 20000023753U KR 200209623 Y1 KR200209623 Y1 KR 200209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ight
jack
jack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이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원 filed Critical 이세원
Priority to KR2020000023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2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잭 서포트(10)의 높이를 대략적으로 조절시켜 주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도가 강한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직육방체 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미세높이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잭 서포트(10) 자체가 현장 바닥면(8)으로 부터 소정높이 만큼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받침체(6)와; 소정두께를 갖고 상기 받침체(6)의 외주면을 감쌓는 형태로 피복되어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받침체(6) 자체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방진고무(7)로 구성하여 잭 서포트의 길이가 설치코자 하는 위치의 높이 보다 작을 경우, 해당 잭 서포트 미세높이 조절구의 저면 받침판과 현장 바닥면 사이에 한단 또는 다수단으로 설치하여 잭 서포트의 부족한 길이를 충족시킨 후, 기존의 잭 서포트와 같이 미세높이 조절구를 조임방향으로 약간만 돌려주기만 하면 해당 잭 서포트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JACK SUPPORT HEIGHT ADJUSTING SUPPORTS}
본 고안은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할시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에 군데군데 받쳐주어 건물 또는 다리 등의 천정 및 상판위에서 각종 중량체가 올려지거나 각종 건축장비등이 올라가 타설작업등을 포함한 각종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해당 건물 또는 다리 등의 천정 및 상판을 포함한 벽 또는 기둥 등에 크랙이 가거나 붕괴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용 잭 서포트를 설치할시 해당 건물 또는 다리 등의 천정 및 상판과 다닥면 사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개의 잭 서포트를 준비해야 하므로써 발생되는 운반비 및 시공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초기 설치시 미세높이 조절용 레버를 통해 넓은 범위의 높이까지 조절함에 따른 작업상의 곤란성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잭 서포트는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할시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에 군데군데 받쳐주어 건물 또는 다리 등의 천정 및 상판위에서 각종 중량체가 올려지거나 각종 건축장비등이 올라가 타설작업등을 포함한 각종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해당 건물 또는 다리 등의 천정 및 상판을 포함한 벽 또는 기둥 등에 크랙이 가거나 붕괴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소정 지름을 갖는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사각판체형 받침판을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사각판체상에 너트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판 및 받침판과, 그 중간부에 한쌍의 손잡이 돌기가 일체로 구비된 핸들형 몸체의 상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연결판 및 받침판의 너트들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볼트들을 일체로 구비한 미세높이 조절구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미세높이 조절구의 몸체 상방부에 형성된 볼트의 길이와 하방부의 볼트 길이는 약 3:1의 비를 갖도록 한 것이 통상적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잭 서포트를 제작할시에는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코자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감안하여 상기 미세높이 조절구의 핸들형 몸체부를 잡고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 연결한 및 받침판의 너트에 결합된 상하 볼트를 최대로 풀었을시의 길이를 파이프의 길이와 그 상단부의 사각판체형 받침판의 두께에 합한 것을 전체길이로 설정하여 다양한 길이의 잭 서포트들을 제작하게 된다.
즉, 종래의 잭 서포트의 전체 길이는 제작당시 이미 결정난 상태에서 여러가지의 길이를 갖도록 수가지의 잭 서포트로 다량 제작된 상태이므로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작업에 투입코자 할시에는 해당 현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정 또는 상판과의 높이를 미리 확인하고 필요한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들을 선택하여 투입시켜야만 된다.
그런데, 작업현장의 바닥은 항성 평탄한 것이 아니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 많은 잭 서포트 중 원하는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를 찾아 적정위치에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만큼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잭 서포트의 설치작업을 하다보면 필요한 길이를 갖는 준비된 잭 서포트가 바닥날 경우가 있는데, 종래 잭 서포트의 길이는 미세높이 조절구의 볼트길이 가변을 통해서만 가능하므로 한정된 높이 조절량으로 인해 실제 많은 량의 잭 서포트들이 준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재 설치코자 하는 위치의 높이 보다 최대길이가 짧거나 최소길이가 클 경우 해당 장소에 나머지의 잭 서포트들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다시말해서, 종래 잭 서포트의 길이 조절은 미세높이 조절구만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비록 많은 량의 잭 서포트들이 작업현장에 준비되어 있다하더라도 설치코자하는 장소의 높이 보다 그 길이가 크거나 작을 경우 이들을 그 장소에 설치할 수 없어 별도로 해당 높이에 맞는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들을 다시 준비하여 설치해야만 되므로 불필요하게 또 다른 운반비가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치코자 하는 위치의 높이 보다 그 길이가 작은 잭 서포트일 경우 해당 잭 서포트 미세높이 조절구의 저면 받침판과 현장 바닥면 사이에 소정높이를 갖는 직육방체형의 받침구를 한단 또는 다수단으로 설치하여 해당 잭 서포트가 원하는 위치에 대략 고정 설치되도록 한 다음 기존에서와 같이 미세높이 조절구의 핸들을 조임방향으로 약간만 돌려주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개의 잭 서포트를 준비해야 하므로써 발생되는 운반비 및 시공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 설치시 미세높이 조절구를 통해 넓은 범위의 높이까지 조절함에 따른 작업상의 곤란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지름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판체형 받침판과; 사각판체상에 너트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판 및 받침판과, 그 중간부에 한쌍의 손잡이 돌기가 일체로 구비된 핸들형 몸체의 상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연결판 및 받침판의 너트들과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볼트들을 일체로 구비한 미세높이 조절구로 이루어진 잭 서포트의 높이를 대략적으로 조절시켜 주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도가 강한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직육방체 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미세높이 조절구 저부의 받침판과 현장 바닥면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받침체와;
소정두께를 갖고 상기 받침체의 외주면을 감쌓는 형태로 피복되어 상기 미세 조절구 저부의 받침판과 현장 바닥면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받침체 자체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방진고무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상기 받침체의 상면에 받침판 안치홈만을 형성시키거나 상하면에 각각 받침판 및 유동방지돌기 안치홈과 유동방지돌기 자체를 부가 형성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하고자 현장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에 잭 서포트를 설치하고자 하는데 그 높이에 알맞는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가 없을 경우 그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를 선택하여 미세높이 조절구의 저면 받침판과 현장 바닥면 사이에 소정높이를 갖도록 제작된 직육방체형의 받침구 자체를 한단 또는 다수단으로 설치하여 해당 잭 서포트가 원하는 위치에 대략 고정 설치되도록 한 다음 미세높이 조절구의 핸들을 조임방향으로 약간만 돌려주기만 하면 해당 잭 서포트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개의 잭 서포트를 준비해야 하므로 인한 운반비 및 시공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초기 설치시 미세높이 조절구를 통해 넓은 범위의 높이까지 조절함에 따른 작업상의 곤란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받침구를 잭 서포트의 저면에 설치한 상태의 요부 절취 정면도.
도 2의 (a)-(f)는 본 고안 받침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및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받침구가 적용된 잭 서포트를 이용하여 건물등을 받쳐준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이프 2,4 : 받침판
3 : 연결판 5 : 미세높이 조절구
6 : 받침체 7 : 방진고무
8 : 현장 바닥면 10 : 잭 서포트
31,41 : 너트 51 : 손잡이 돌기
52 : 핸들형 몸체 53,54 : 볼트
61 : 관통공 62 : 안치홈
63 : 유동방지돌기 64 : 휴대수단
641 : 'ㄷ'자형 손잡이 642 : 손가락 걸림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받침구를 잭 서포트의 저면에 설치한 상태의 요부 절취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f)는 본 고안 받침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및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받침구가 적용된 잭 서포트를 이용하여 건물등을 받쳐준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소정 지름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1)와; 상기 파이프(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판체형 받침판(2)과; 사각판체상에 너트(31,41)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판(3) 및 받침판(4)과, 그 중간부에 한쌍의 손잡이 돌기(51)가 일체로 구비된 핸들형 몸체(52)의 상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연결판(3) 및 받침판(4)의 너트(31,41)들과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볼트(53,54)들을 일체로 구비한 미세높이 조절구(5)로 이루어진 잭 서포트(10)의 높이를 대략적으로 조절시켜 주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도가 강한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직육방체 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미세높이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잭 서포트(10) 자체가 현장 바닥면(8)으로 부터 소정높이 만큼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받침체(6)와;
소정두께를 갖고 상기 받침체(6)의 외주면을 감쌓는 형태로 피복되어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받침체(6) 자체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방진고무(7)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받침체(6) 중심부에 관통공(61)을 형성시켜 받침구의 전체적인 중량이 작아지도록 하거나, 상기 받침체(6)의 상면에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이 끼워져 걸려지는 안치홈(62)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받침체(6)의 상면에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 또는 타 받침체(6) 저부의 유동방지돌기(63)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안치홈(62)을 형성시키고 그 저면에는 상기 안치홈(62)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유동방지돌기(63)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준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상기 받침체(6)의 양측면에 휴대수단(64)을 형성시켜 휴대성 및 운반성이 좋토록 하되, 상기 휴대수단(64)으로는 'ㄷ'자형 손잡이(641)를 받침체(6)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거나, 손가락 걸림홈(642)을 받침체(6) 양측면에 요입홈 형태로 형성시켜 준 것을 또 다른 부가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진고무(7)는 받침체(6) 자체를 제작한 후 인서트금형을 이용하여 그 표면에 소정두께의 방진고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피복형태로 입혀지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받침체(6)상에 관통공(61)이나, 안치홈(62) 및 유동방지돌기(63)가 형성된 경우 이들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상에도 방진고무(7)의 피복시 자연적으로 소정두께로 입혀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받침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잭 서포트(10) 자체를 건축 현장의 바닥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만큼 올려주어 실제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등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10)의 상단 받침판(2)이 상기한 천정 또는 상판의 저면에 닿토록 하기 위한 본 고안 받침구의 받침체(6)는 강한 압력이나 충격에도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도가 강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시키게 되는데, 통상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직육방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받침체(6)를 제작할시 필요에 따라 그 중심부에 도 2의 (b)와 같이 관통공(61)을 형성시키거나, 도 2의 (c)와 같이 그 상면에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 면적에 대응되는 안치홈(62)만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또 도 2의 (d)와 같이 상기와 같이 그 상면에는 안치홈(62)을 형성시키고 저면에는 상기 안치홈(62)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유동방지돌기(63)를 돌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양측면에 휴대수단(64)으로써 도 2의 (e)와 같이 'ㄷ'자형 손잡이(641)를 돌출 설치할 수도 있고, 도 2의 (f)와 같이 손가락 걸림홈(642)을 요입홈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이 소정 형상을 갖는 받침체(6)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를 인서트 금형에 넣고 용융상태에 있는 방진고무재를 인서트시키는 방식을 통해 그의 표면에 전체에 골구로 소정두께를 갖는 방진고무(7)가 피복 형태로 입혀지도록 하면 하나의 받침구의 제작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 받침체(6)상에 관통공(61)이나, 안치홈(62), 유동방지돌기(63) 및 휴대수단이 형성 또는 설치된 경우 이들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상에도 방진고무(7)가 피복형태로 입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방진고무(7)는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받침체(6) 자체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받침체(6) 중심부에 관통공(61)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받침구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휴대 및 운반시 힘이 덜 들고 운반비 자체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받침체(6)의 상면에 안치홈(62)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잭 서포트(10)의 저부에 본 고안의 받침구를 한단 또는 다수단으로 적층시킨 상태로 설치하였을시 상기 잭 서포트의 저부 받침판(4)의 상면 사이 또는 타 받침구의 상방부에 올려진 또 다른 받침구의 저부 사이에서 상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받침체(6)의 저면에 상기 안치홈(62)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유동방지돌기(63)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주는 이유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받침구끼리의 유동을 방지하여 서로 미끄러지게 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체(6)의 양측면에 휴대수단(64)으로써 'ㄷ'자형 손잡이(641)를 돌출 설치하거나, 손가락 걸림홈(642)을 형태시키는 이유는 본 고안 받침구를 손으로 잡고 운빈 및 이동시킬시 휴대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잭 서포트(10)의 저부에 설치할시 작업서 자체가 좋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받침구는 특정 현장의 시공 및 보수를 위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 잭 서포트(10)들의 운반시 그들과 함께 원하는 갯수 만큼 운반되어 잭 서포트(10)의 설치작업 중 필요에 따라 해당 잭 서포트(10)의 저부로 한단 또는 다수단의 설치하는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즉, 잭 서포트(10)를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하고자 현장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에 잭 서포트를 설치하고자 하는데 그 높이보다 현재 설치코자 하는 잭 서포트의 길이가 작을 경우 그 높이가 얼마나 못미치는지를 확인하여 본 고안의 받침구를 하나 또는 둘이상 적층시킨 후 해당 잭 서포트의 미세높이 조절구(5)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 상기한 받침구(4)들을 끼워넣어 해당 잭 서포트(10)의 상단 받침판(2)이 천정 또는 상판의 저면에 닿토록 한 다음(즉, 잭 서포트의 길이 또는 높이를 대략 맞춘 다음) 잭 서포트(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미세높이 조절구(5)를 조임방향으로 돌려 잭 서포트(10)의 전체길이를 증대시키면 상기 천정 또는 상판 저면과 현장 바닥면(8) 사이의 높이보다 비로 그 길이가 작은 잭 서포트라 하더라도 해당 위치를 정확하고 강력하게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각종 건축물을 포함한 다리 등을 시공 또는 보수를 위해 해당 현장 바닥면과 천정 또는 상판 사이에 설치코자 하는 잭 서포트(10)의 길이가 그 높이 보다 작을 경우, 해당 서포트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필히 설치코자 하는 위치의 높이에 알맞는 길이를 갖는 또 다른 잭 서포트를 찾아 설치해야만 했으나, 본 고안의 받침구를 이용할 경우 얼마만큼의 길이가 작은지만을 확인하고 한단 또는 그 이상의 단수로 적층시켜 해당 잭 서포트의 저부에 설치만 하면 모자라는 길이를 맞출 수 있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개의 잭 서포트를 많이 준비해야만 차질없는 잭 서포트의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데 따른 운반비 및 시공비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받침구를 이용하여 잭 서포트(10)의 전체 길이를 대략 맞춘 후 미세높이 조절구(5)를 조금만 돌려 고정시켜 주면 되므로 미세높이 조절구(5)만으로 잭 서포트의 전체길이를 조절함에 따른 설치 작업시간의 증가와 작업상의 곤란성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받침구의 전체 높이는 대략 5 - 30㎝ 사이에서 임의의 값을 설정하여 제작하면 되는데, 이 높이는 한정된 수치가 아니고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높이를 갖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높이를 갖는 직육방체형의 받침체의 외주면에 방진고무를 도포시킨 받침구를 제작하여 잭 서포트의 길이가 설치코자 하는 위치의 높이 보다 작을 경우, 해당 잭 서포트 미세높이 조절구의 저면 받침판과 현장 바닥면 사이에 상기한 직육방체형의 받침구를 한단 또는 다수단으로 설치하여 잭 서포트의 부족한 길이를 충족시킨 후(즉, 비록 그 높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잭 서포트라 하더라도 원하는 위치에 대략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후), 기존의 잭 서포트와 같이 미세높이 조절구를 조임방향으로 약간만 돌려주기만 하면 해당 잭 서포트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수개의 잭 서포트를 현장에 준비해 놓은 상태에서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잭 서포들을 적절히 찾아 설치함에 따른 운반비 및 시공비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초기 설치시 미세높이 조절구를 통해 넓은 범위의 높이까지 조절함에 따른 작업상의 곤란성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받침구 자체의 휴대성 및 운반성을 포함한 설치성이 좋아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성 자체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소정 지름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1)와; 상기 파이프(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판체형 받침판(2)과; 사각판체상에 너트(31,41)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판(3) 및 받침판(4)과, 그 중간부에 한쌍의 손잡이 돌기(51)가 일체로 구비된 핸들형 몸체(52)의 상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연결판(3) 및 받침판(4)의 너트(31,41)들과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볼트(53,54)들을 일체로 구비한 미세높이 조절구(5)로 이루어진 잭 서포트(10)의 높이를 대략적으로 조절시켜 주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도가 강한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직육방체 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미세높이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잭 서포트(10) 자체가 현장 바닥면(8)으로 부터 소정높이 만큼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받침체(6)와;
    소정두께를 갖고 상기 받침체(6)의 외주면을 감쌓는 형태로 융착 고정되어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과 현장 바닥면(8)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받침체(6) 자체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방진고무(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6) 중심부에 관통공(61)을 형성시켜 받침구의 전체적인 중량이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6)의 상면에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이 끼워져 걸려지는 안치홈(62)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6)의 상면에는 상기 미세 조절구(5) 저부의 받침판(4) 또는 타 받침체(6) 저부의 유동방지돌기(63)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안치홈(62)을 형성시키고, 그 저면에는 상기 안치홈(62)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유동방지돌기(63)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6)의 양측면에 휴대수단(64)을 설치 또는 형성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휴대수단(64)은 상기 받침체(6) 양측면으로 'ㄷ'자형 손잡이(641)를 일체로 돌출 설치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휴대수단(64)은 상기 받침체(6)의 양측면에 손가락 걸림홈(642)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KR2020000023753U 2000-08-22 2000-08-22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KR200209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53U KR200209623Y1 (ko) 2000-08-22 2000-08-22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53U KR200209623Y1 (ko) 2000-08-22 2000-08-22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495A Division KR100405178B1 (ko) 2000-08-22 2000-08-22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623Y1 true KR200209623Y1 (ko) 2001-01-15

Family

ID=7308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53U KR200209623Y1 (ko) 2000-08-22 2000-08-22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7B1 (ko) * 2012-06-19 2013-11-22 서보산업 주식회사 다단 연결용 서포트
KR102305479B1 (ko) 2021-04-05 2021-09-27 김창겸 잭 서포트 3단 충격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 서포트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7B1 (ko) * 2012-06-19 2013-11-22 서보산업 주식회사 다단 연결용 서포트
KR102305479B1 (ko) 2021-04-05 2021-09-27 김창겸 잭 서포트 3단 충격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 서포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8550A1 (en) Rafter platform
KR100405178B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KR200209623Y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JP2008285931A (ja) 支承の高さ調整装置
KR20080018978A (ko)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JP4395434B2 (ja) 現場打ち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251100Y1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1761111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JP2008255724A (ja) アンカーボルト付基礎構造の施工用治具
KR200235678Y1 (ko) 석재 고정구
KR200288395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200355670Y1 (ko) 문틀 및 창틀의 높이 및 수평조절장치
KR10248292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200221859Y1 (ko) 잭 서포트 높이 조절구의 소손 방지장치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100538817B1 (ko) 건축물 바닥 진동 고효율 방지구
KR100417021B1 (ko)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SE542888C2 (sv) Lastbärande justerbar pelarskarvsanordning och metod för montering av pelare i ett stomsystem för ett flervåningshus
US2003012123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entering reinforcing steel in reinforced masonry walls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CN211818105U (zh) 一种斜柱钢筋定位工具
JP3792692B2 (ja) 束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