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78Y1 - 석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석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78Y1
KR200235678Y1 KR2020010006867U KR20010006867U KR200235678Y1 KR 200235678 Y1 KR200235678 Y1 KR 200235678Y1 KR 2020010006867 U KR2020010006867 U KR 2020010006867U KR 20010006867 U KR20010006867 U KR 20010006867U KR 200235678 Y1 KR200235678 Y1 KR 200235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bent
stone
vertical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덕 수 강
Original Assignee
덕 수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수 강 filed Critical 덕 수 강
Priority to KR2020010006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78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석판(자연석판 또는 인조석판 등)의 시공시 이용되는 석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양측면이 하방으로 절곡 되어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일측 단부 상부에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수직부와 밀착되는 본체부에는 대각선으로 형성된 조정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수직부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상부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의 이동홈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한 하부 절곡부가 형성되는 처짐방지 및 조정구; 및 사각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보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기 위한 장공과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석재 고정구{A DEVICE FIXING THE STONE}
본 고안은 석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석판(자연석판 또는 인조석판 등)의 시공시 이용되는 석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지한 바와 같은 석재는 건물의 외벽에 부착 시공됨에 있어, 소정의 석재 고정구를 이용하는 바, 이러한 석재 고정구는 건물의 외벽에 앵커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석재 하중을 지지하고, 그 하중을 벽체에 전달하며, 고정된 석재의 외부 평면이 다른 석재들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와 같은 석재 고정구의 종래기술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석재 고정구(10)는 크게 절곡 형성된 수직부(21)와 수평부(22)를 가지는 고정구(20)와, 상기 고정구(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구(20)는 수직부(21)에 수직장공(23)을 형성하여 건물외벽에 삽착되는 앵커볼트(40)의 나사부를 관통하여 앵커너트(41)와 체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장공(23)의 길이 만큼 고정구(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20)의 수평부(22)에 수평장공(24)을 형성하여 연결부재(30)의 장공(31)과 볼트(43) 및 너트(42)로 체결하는 구조이며, 상기 수평장공(24)과 장공(31)의 길이만큼 고정구(20)와 연결부재(3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의 일측에는 핀공(32)이 형성되고, 이 핀공(32)에 고정핀(50)이 삽입되어 그 양측에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S)(S)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석재고정구(10)의 사용상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앵커볼트(40)를 석재(S)를 부착시키기 위한 건물외벽(B)의 소정위치에 장착하고, 고정구(20)의 수직장공(23)을 삽입한 후 고정구(2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앵커너트(41)를 단단히 체결하여 상기 고정구(2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연결부재(30)와 고정구(20) 사이를 조절한다. 이때의 조절은 석재(S)(S)가 다른 석재들과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조절이며, 이러한 조절은 핀공(32)에 삽입된 고정핀(50)에 상하의 석재(S)(S)를 끼운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이렇게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볼트(43) 및 너트(42)를 이용하여 고정구(20)와 연결부재(30)를 단단히 고정하여 준다. 따라서, 상하 석재(S)(S)는 건물외벽(B)의 소망하는 부위에 부착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석재고정구(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석재(S)(S)의 하중에 의해 앵커볼트(40)와 고정구(20)와 체결력이 약해져 고정구(20)가 아랫방향으로 처지(미끄러지는)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연결부재(30)에도 석재(S)(S)에 의한 하중이 전달되어, 연결부재(30) 자체가 휘어지거나 고정구(20)의 수직부(21)와 수평부(22)가 절곡된 부위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외벽에 부착되는 석재 고정구가 석재의 하중에 의한 영향으로 체결력이 감소되어 미끄러지거나 처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한 석재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석재 고정구를 이루는 고정구 및 연결부재가 석재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게 견고한 구조를 자지도록 한 석재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직장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양측면이 하방으로 절곡 되어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일측 단부 상부에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수직부와 밀착되는 본체부에는 대각선으로 형성된 조정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수직부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상부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의 이동홈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한 하부 절곡부가 형성되는 처짐방지 및 조정구; 및 사각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보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기 위한 장공과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된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석재 고정구의 일실시예.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처짐방지 및 조정구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처짐방지 및 조정구가 일반적인 고정구와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처짐방지 및 조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
도 9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석재고정구 200: 고정구
210: 수직부 211: 수직장공
220: 수평부 221, 221a: 절곡부
222: 이동홈 223, 223a: 단부
224, 224a: 볼트공 300: 처짐방지 및 조정구
310: 본체부 311, 311a: 조정장공
320: 상부절곡부 321: 걸림홈
330: 하부절곡부 400: 연결부재
410: 본체부 411: 장공
412: 핀공 420: 보강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 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석재 고정구(100)는 크게 수직부(210)와 수평부(220)가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구(200)와,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부(210)에 밀착 결합되는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와, 상기 고정구(200)의 수평부(2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부(210)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수직장공(211)이 형성되며, 수평부(220)에는 그 양측면이 하방으로 절곡 되어져 형성된 절곡부(221)(221)와, 상기 절곡부(221)의 일측 단부(223) 상부에는 이동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220)에는 연결부재(400)와 체결되기 위한 소정의 볼트공(224)이 마련된다.
상기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는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부(210)와 밀착되는 본체부(310)에 대각선으로 형성된 조정장공(311)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31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200)의 수직부(210)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상부 절곡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3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200)의 이동홈(222)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한 하부 절곡부(33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0)는 사각형상의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의 양측에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돌기(420)(420)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410)에는 상기 고정구(200)와 결합되기 위한 장공(411)과 미도시된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공(412)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석재 고정구(100)를 조립하자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외벽에 장착되는 앵커볼트(500)가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의 조정장공(311) 및 고정구(200)의 수직부(210)의 수직장공(211)을 통해 너트(520) 체결되며, 고정구(200)의 볼트공(224)과 연결부재(400)의 장공(411)을 통해 볼트(600)가 삽입되어 너트(620) 체결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10, 610은 와셔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상기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앵커볼트(500)에 체결되는 고정구(2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앵커볼트(500)의 나사부(501)가 조정장공(31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 수직장공(211)에서는 상하 이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의 경사진 조정장공(311)과 고정구(200)의 수직장공(211)이 밀착 결합되고, 상기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의 상부절곡부(320) 및 하부절곡부(330)가 고정구(200)의 수직부(210)를 상하로 견고하게 잡아주어 고정구(200) 자체가 석재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0)는 본체부(410)의 측면에 형성된 보강돌기(420)(420)에 의해 수평장력에 큰 힘을 받게 되어, 잘 휘어지지 않게 되는 구조로 석재의 하중에 견디게 되며, 고정부(200)의 수평부(220) 측면의 절곡부(221)(221)의 단부(223)가 건물외벽을 밀착하여 지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정구(200)의 수직부(210) 및 수평부(220)가 이루는 절곡부위 등이 잘 휘어지지 않게 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200)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00)의 수평부(2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절곡부(221a)(221a)의 형상을 단부(223a) 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하여, 건물외벽에 밀착되어 지탱하는 힘이 커지도록 구성하며, 볼트공(224a)을 사각형상을 형성하여, 나사 체결이 더욱 견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에 형성되는 대각선 형상의 조정장공(311a)을 전술한 실시예와 대칭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가 일반적인 고정구(200A)와 연결부재(400A)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절곡부(320)를 'ㄷ'자 형상으로 더 절곡하여 걸림홈(3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홈(321)에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부(210) 상단면이 삽입되도록 하여 그 견고함을 더욱 가중 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상기 조정장공(311)의 위치를 대칭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전술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앵커볼트(500)를 석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건물외벽(B)의 소정위치에 장착하고,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의 조정장공(311)과, 고정구(200)의 수직장공(211)을 삽입한 후 처짐방지 및 조정구(300)를 좌우로 조정하여 고정구(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앵커너트(520)를 단단히 체결하여 상기 고정구(200)를 건물외벽(B)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연결부재(400)와 고정구(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이때의 조절은 석재(S)(S)가 건물외벽(B)에 이미 부착된 다른 석재들과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조절이며, 이러한 조절은 핀공(412)에 삽입된 고정핀(700)에 상하의 석재(S)(S)를 끼운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이렇게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볼트(600) 및 너트(620)를 이용하여 고정구(200)와 연결부재(400)를 단단히 고정하여 준다. 따라서, 상하 석재(S)(S)는 건물외벽(B) 소망하는 부위에 부착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석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건물외벽에 소정의 석재를 고정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석재의 처짐 또는 미끄러짐 현상을 배제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구나 연결부재가 석재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수직장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양측면이 하방으로 절곡 되어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일측 단부 상부에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수직부와 밀착되는 본체부에는 대각선으로 형성된 조정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수직부 상단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상부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의 이동홈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한 하부 절곡부가 형성되는 처짐방지 및 조정구; 및
    사각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보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기 위한 장공과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수평부의 측면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절곡부의 형상을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 및 조정구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대각선 형상의 조정장공의 위치를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 및 조정구는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절곡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고정구.
KR2020010006867U 2001-03-14 2001-03-14 석재 고정구 KR200235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67U KR200235678Y1 (ko) 2001-03-14 2001-03-14 석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67U KR200235678Y1 (ko) 2001-03-14 2001-03-14 석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678Y1 true KR200235678Y1 (ko) 2001-10-08

Family

ID=7309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67U KR200235678Y1 (ko) 2001-03-14 2001-03-14 석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67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73B1 (ko) 2006-05-30 2007-10-04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0788948B1 (ko) 2007-01-29 2007-12-27 김종성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KR101864988B1 (ko) * 2017-03-30 2018-06-05 신은경 석재패널 수평조절용 패드
KR20190019553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포스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190140714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무성석건 외장패널 고정구
EP4043662A1 (de) * 2021-02-16 2022-08-17 STO SE & Co. KGaA Wandhalter für eine haltevorrichtung, halte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ndhalter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73B1 (ko) 2006-05-30 2007-10-04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0788948B1 (ko) 2007-01-29 2007-12-27 김종성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구
KR101864988B1 (ko) * 2017-03-30 2018-06-05 신은경 석재패널 수평조절용 패드
KR20190019553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포스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101988725B1 (ko) * 2017-08-18 2019-06-12 주식회사 포스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190140714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무성석건 외장패널 고정구
KR102119186B1 (ko) * 2018-06-12 2020-06-04 주식회사 무성석건 외장패널 고정구
EP4043662A1 (de) * 2021-02-16 2022-08-17 STO SE & Co. KGaA Wandhalter für eine haltevorrichtung, halte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ndhalt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769884B1 (ko)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200235678Y1 (ko) 석재 고정구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200255532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277941Y1 (ko) 건축용 동바리
KR200166400Y1 (ko)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07374Y1 (ko) 석재용 앙카 지지장치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280023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100702484B1 (ko) 거푸집용 받침틀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KR102624599B1 (ko) 건축용 배전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1054536B1 (ko) 조립형 철근받침대
KR200209623Y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