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023Y1 - 건설용 철근 지지구 - Google Patents

건설용 철근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023Y1
KR200280023Y1 KR2020020009788U KR20020009788U KR200280023Y1 KR 200280023 Y1 KR200280023 Y1 KR 200280023Y1 KR 2020020009788 U KR2020020009788 U KR 2020020009788U KR 20020009788 U KR20020009788 U KR 20020009788U KR 200280023 Y1 KR200280023 Y1 KR 200280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inforcing bar
tip
suppor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윤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09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023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슬래브 및 건물 천장 등과 같은 지면과 나란하게 시공되는 평판부위의 철근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지지하는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철근을 고정시켜주는 파지부를 분리되게 형성하고 파지부의 선단을 밴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철근을 지지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타설시 철근이 쓰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이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있어서, 브라켓트의 저면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고 브라켓트의 상부 중심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는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 선단에 관통된 결합공을 형성하며, 이 결합공에는 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밴드가 삽입되어 파지부의 선단을 묶어 줌으로써 내측에 삽입된 철근이 선단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용 철근 지지구{Stew reinforcing rod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교량 슬래브 및 건물 천장 등과 같은 지면과 나란하게 시공되는 평판부위의 철근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지지하는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철근을 고정시켜주는 파지부를 분리되게 형성하고 파지부의 선단을 밴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철근을 지지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유동성 콘크리트의 타설시 철근이 쓰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과 나란하게 시공되는 평판 형상의 철근콘크리트는 교량 슬래브, 건물의 층별 바닥판 및 지붕, 건물의 천장 등과 같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는 다수의 철근이 격자형상으로 연결되어 콘크리트에 내장하게 된다.
여기서 평판 형상의 철근콘크리트에 내장된 철근은 지지구(통상적으로 "스페이서"라고함)에 의하여 바닥과 이격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철근이 상기 지지구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유동성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이를 굳힌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종류의 지지구를 사용하여 철근을 다수개 교호되게 설치하면서 지지구를 다수개 배치하여 상기 철근을 바닥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중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의 경우 파지부에 철근을 지지하는 것에는 용이하나 철근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초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하지 않을 경우에 다수의 철근으로 형성된 가상의 평면의 수평상태가 흩어지게 되어 철근콘크리트를 설계상의 도면과 동일한 시공을 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파지부의 내측에 철근이 끼워진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투입하게 되면 이때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의해 지지구가 밀리거나 또는 쓰러지는 일이 간혹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파지부에 끼워진 철근이 파지부의 상부로 빠짐으로 인하여 철근의 휘어짐이 발생되어 최종적인 철근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철근의 지지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철근을 지지하는 파지부를 분리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투입시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동면적을 적게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브라켓트의 저면에 이동 공간부를 형성한 건설용 철근 지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근 고정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브라켓트와 파지부를 나사식으로 분리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설용 철근 지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지부의 선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밴드를 구비하여 철근이 파지부의 내측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설용 철근 지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이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의 저면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고 브라켓트의 상부 중심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는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 선단에 관통된 결합공을 형성하며, 이 결합공에는 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밴드가 삽입되어 파지부의 선단을 묶어 줌으로써 내측에 삽입된 철근이 선단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정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 브라켓트와 파지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파지부에 철근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구 10 : 브라켓트
20 : 파지부 21 : 베이스
22 : 체결부 30 : 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정단면도로서, 상기 지지구(1)는 교량 슬래브 건물의 층별 바닥판 및 지붕, 건물의 천장, 건물 옥상의 바닥판 등과 같은 평면 형상의 철근콘크리트에 내장된 격자 형상의 철근(2)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1)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10)와, 브라켓트(10)에 체결되어 철근을 고정하는 파지부(20)와, 파지부(20)에 끼워진 철근(2)이 파지부(20)에서 빠지지 않도록 파지부(20)의 선단을 묶어 주는 밴드(30)로 구성된다.
브라켓트(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투입시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의해서 브라켓트(10)가 쓰러지지 않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저면에 일정높이 이격되고 서로 사방으로 관통된 이동 공간부(11)를 형성하며 브라켓트(10)의 상부 중앙에는 내측으로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12)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할 파지부(20)의 체결부(22)와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파지부(20)는 브라켓트(10)의 체결공(12)에 체결되어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22)가 베이스(21)의 저면에 형성되고 베이스(21)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2)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파지부(20)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파지부(20)의 양측 선단에는 결합공(23)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할 밴드(30)의 일단이 관통되도록 한다.
밴드(30)는 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턱(31)을 갖도록 밴드(30)를 구비하여 파지부(20)의 결합공(23)에 일단이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밴드(30)의 일단이 파지부(20)의 선단부를 감싸면서 타측에 형성된 고정구(32)에 걸림턱(31)이 고정되어 파지부(20)의 선단을 하나로 묶어줌으로써 철근(2)이 빠져나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지지구(1)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근(2)의 높이를 파지부(20)의 체결부(22)를 이용하여 상.하로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브라켓트(10)와 파지부(20)가 쉽게 분리되어 이동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브라켓트(10)의 저면에 이동 공간부(11)를 형성하여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을 작게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하여 브라켓트(10)가 쓰러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파지부(20)의 선단을 밴드(30)를 이용하여 묶어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여도 철근(2)은 파지부(20)의 내측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밴드(30)가 작업중에 없을 경우에는 철사 등을 이용하여 파지부(20)의 선단을 묶어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2)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100)를 ㄴ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의 선단부에 체결공(12)을 각각 형성하며 이의 상부에 파지부(20)가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2)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2)은 어느 한쪽의 높이가 다르게 설치됨으로 파지부(2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철근(2)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브라켓트(100)에 2개의 파지부(20)가 체결되어 철근을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의해 브라켓트(100)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게 하는 동시에 브라켓트의 저면에 이동 중간부를 형성하여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으며 유동하는 콘크리트에 의해 브라켓트가 쓰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철근 고정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브라켓트와 파지부를 나사식으로 분리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고정하기 편리하도록 2개의 파지부가 교호되게 체결되도록 브라켓트를 ㄴ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철근의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건물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이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의 저면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고 브라켓트의 상부 중심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는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선단에 관통된 결합공을 형성하며, 이 결합공에는 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밴드가 삽입되어 파지부의 선단을 묶어줌으로써 파지부에 삽입된 철근이 선단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철근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ㄴ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의 선단부에 체결공을 각각 형성하며 이의 상부에 파지부가 교차되게 체결되어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각각 별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20020009788U 2002-04-01 2002-04-01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280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88U KR200280023Y1 (ko) 2002-04-01 2002-04-01 건설용 철근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88U KR200280023Y1 (ko) 2002-04-01 2002-04-01 건설용 철근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023Y1 true KR200280023Y1 (ko) 2002-06-27

Family

ID=7312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88U KR200280023Y1 (ko) 2002-04-01 2002-04-01 건설용 철근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0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34B1 (ko) * 2005-03-29 2005-07-2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07416B1 (ko) * 2005-03-29 2005-08-1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759837B1 (ko) 2006-06-30 2007-09-18 김봉주 철근 스페이서
WO2008002012A1 (en) * 2006-06-30 2008-01-03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a Cooperation Group Spac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34B1 (ko) * 2005-03-29 2005-07-2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07416B1 (ko) * 2005-03-29 2005-08-1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759837B1 (ko) 2006-06-30 2007-09-18 김봉주 철근 스페이서
WO2008002012A1 (en) * 2006-06-30 2008-01-03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a Cooperation Group Spac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194B1 (ko) Pc부재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KR102179516B1 (ko)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CA2360710C (en) Temporary bracing system for insulated wall form and method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2211474B1 (ko) 마그네틱에 의해 멍에재가 고정되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WO2015023223A1 (en) A device and a procedure for cast-in-situ a wall or similar
KR200280023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58596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080074387A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JP2007138671A (ja) 作業足場支持装置および作業足場設置方法
KR20070025483A (ko)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KR200280024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ITUB20159339A1 (it)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facciate di edifici.
KR20090124721A (ko) 건축물 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102113869B1 (ko) 안전발판 설치구조
KR102110597B1 (ko) 옹벽 설치 구조
KR100503034B1 (ko)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07416B1 (ko)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761052B1 (ko) 가변형 합벽지지대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KR101825818B1 (ko) 각도조절용 타이가 일체화된 클립
KR200381404Y1 (ko)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춘 합벽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