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034B1 -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 Google Patents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034B1
KR100503034B1 KR1020050026215A KR20050026215A KR100503034B1 KR 100503034 B1 KR100503034 B1 KR 100503034B1 KR 1020050026215 A KR1020050026215 A KR 1020050026215A KR 20050026215 A KR20050026215 A KR 20050026215A KR 100503034 B1 KR100503034 B1 KR 10050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inforcing
support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2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 및 건물 천장 등과 같은 지면과 나란하게 시공되는 평판부위의 철근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지지하는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철근을 고정시켜주는 파지부를 분리되게 형성하고 파지부의 선단을 결속부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철근을 지지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이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있어서, 브라켓트의 저면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고 브라켓트의 상부 중심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는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 선단에 접합부를 형성하여 접합부 일단에 톱니 형상의 래치드 기어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의 외면을 일단에 형성된 미세 돌부의 가압으로 결속되는 개폐 레버가 타단 접합부와 연결 핀으로 축설된 스프링에 탄지되어 접합부가 가압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시 철근의 두께에 따라 결속부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며, 파지부에 삽입된 철근이 선단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Opening and Shutting Using Pressure Type Supporting Apparatus for Contruction}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 및 건물 천장 등과 같은 지면과 나란하게 시공되는 평판부위의 철근 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지지하는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철근을 고정시켜주는 파지부를 분리되게 형성하고 파지부의 선단을 접합부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철근을 지지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유연성 콘크리트의 타설시 철근이 쓰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과 나란하게 시공되는 평판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는 교량 슬 래브, 건물의 층별 바닥판 및 지붕, 건물의 천장 등과 같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는 다수의 철근이 격자형상으로 연결되어 콘크리트에 내장하게 된다.
여기서 평판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에 내장된 철근은 지지구(통상적으로 "스 페이서"라고 함)에 의하여 바닥과 이격되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철근이 상기 지지구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유동성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이를 굳힌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종류의 지지구를 사용하여 철근을 다수개 교호되게 설치하면 서 지지구를 다수 개 배치하여 상기 철근을 바닥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중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의 경우 파지부에 철근을 지지하는 것에는 용이하나 철근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초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하지 않을 경우에 다수의 철근으로 형성된 가상의 평면의 수평상태가 흩어지게 되어 철근 콘크리트를 설계상의 도면과 동일한 시공을 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파지부의 내측에 철근이 끼워진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투입하게 되면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의해 지지구가 밀리거나 또는 쓰러지는 일이 간혹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파지부에 끼워진 철근이 파지부의 상부로 빠짐으로 인하여 철근의 휘어짐이 발생되어 최종적인 철근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 은 철근의 지지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철근을 지지하는 파지부를 분리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투입시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동면적을 적게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브라켓트의 저면에 이동 공간부를 형성한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 고정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브라 켓트와 파지부를 나사식으로 분리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지부 선단에 가압에 의해 개폐가능한 접합부를 형성하여 시공작업시 철근의 두께에 따라 결속부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며, 철근이 파지부의 내측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이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의 저면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고 브라켓트의 상부 중심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는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 선단에 접합부를 형성하여 접합부 일단에 톱니 형상의 래치드 기어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의 외면을 일단에 형성된 미세 돌부의 가압으로 결속되는 개폐 레버가 타단 접합부와 연결 핀으로 축설된 스프링에 탄지되어 접합부가 가압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시 철근의 두께에 따라 결속부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며, 파지부에 삽입된 철근이 선단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구(1)는 교량 슬래브 건물의 층별 바닥판 및 지붕, 건물의 천장, 건물 옥상의 바닥판 등과 같은 평면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에 내장된 격자 형상의 철근(2)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1)는 크게 바닥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10)와, 브라켓트(10)에 체결되어 철근을 고정하는 파지부(20)와, 파지부(20)에 끼워진 철근(2)이 파지부 (20)에서 빠지지 않도록 파지부(20)의 선단을 결속시켜 주는 접합부(30)로 구성된다.
브라켓트(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투입시 유동성 콘크리 트의 흐름에 의해서 브라켓트(10)가 쓰러지지 않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저면에 일정높이로 이격되고 사방으로 관통된 이동 공간부(11)를 형성하며 브라켓트(10)의 상부 중앙에는 내측으로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12)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할 파지부(20)의 체결부(22)와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파지부(20)는 브라켓트(10)의 체결공(12)에 체결되어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22)가 베이스(21)의 저면에 형성되고 베이스(21)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2)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파지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20)의 양측 선단에 결속부(30)를 형성한다.
접합부(30)는 일단에 톱니 형상의 래치드 기어(31)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의 외면을 일단에 형성된 미세 돌부(32)의 가압으로 결속되는 개폐 레버(33)가 타단 접합부와 연결 핀(34)으로 축설된 스프링(35)에 탄지되어 접합부가 가압에 의해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 개폐식 접합부(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파지부(20)의 선단을 하나로 접합시켜 시공작업시 철근의 두께에 따라 접합부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며, 철근(2)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지지구(1)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근(2)의 높이를 파지부(20)의 체결부(22)를 이용하여 상하로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브라켓트(10)와 파지부(20)가 쉽게 분리되어 이동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브라켓트(10)의 저면에 이동 공간부(11)를 형성하여 유동성 콘크리 트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을 작게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하여 브라켓트(10)가 쓰러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파지부(20)의 선단을 접합부(30)를 이용하여 하나로 접합시켜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여도 철근(2)은 파지부(20)의 내측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격자형상으로 설치되 는 철근(2)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브라켓트(100)를 ㄴ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의 선단부에 체결공(12)을 각각 형성하며 이의 상부에 파지부(20)가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2)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2)은 어느 한쪽의 높이가 다르게 설치 됨으로 파지부(2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철근(2)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브라켓트(100)에 2개의 파지부(20)가 체결되어 철근을 고정 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의해 브라켓트(100)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조를 간편하게 제작하여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게 하는 동시에 브라켓트의 저면에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여 유동성 콘크리트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으며 유동하는 콘크리트에 의해 브라켓트가 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 고정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브라켓트와 파지부 를 나사식으로 분리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 선단의 접합부를 가압 개폐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공작업시 철근의 두께에 따라 결속부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며, 파지부에 삽입된 철근(2)이 선단 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고정하기 편리하도록 2개의 파지 부가 교호되게 체결되도록 브라켓트를 ㄴ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철근의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접합부의 개방된 상태 확대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구 10 : 브라켓트
20 : 파지부 21 : 베이스
22 : 체결부 30 : 접합부
31: 래치드 기어 32: 미세 돌부
33: 개폐 레버 34: 연결 핀
35: 스프링

Claims (2)

  1. 건물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트(10)와, 이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호형으로 연장되어 철근의 양측면을 지지해 주는 한 쌍의 파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된 건설용 철근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10)의 저면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고, 브라켓트(10)의 상부 중심에 체결공(12)을 형성하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22)를 갖는 베이스(21)를 형성하고, 베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부(20) 선단에 접합부(30)를 형성하여 접합부(30) 일단에 톱니 형상의 래치드 기어(31)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의 외면을 일단에 형성된 미세 돌부(32)의 가압으로 결속되는 개폐 레버(33)가 타단 접합부와 연결 핀(34)으로 축설된 스프링(35)에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1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의 선단부에 체결공(12)을 각각 형성하며 이의 상부에 파지부(20)가 교차되게 체결되어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각각 별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20050026215A 2005-03-29 2005-03-29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0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215A KR100503034B1 (ko) 2005-03-29 2005-03-29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215A KR100503034B1 (ko) 2005-03-29 2005-03-29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034B1 true KR100503034B1 (ko) 2005-07-20

Family

ID=3730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215A KR100503034B1 (ko) 2005-03-29 2005-03-29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01B1 (ko) 2007-02-06 2007-05-25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건축물의 전단철근용 스페이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426A (en) * 1957-02-15 1958-07-08 Grace W R & Co Aluminum fluoride manufacture
US6112494A (en) * 1996-05-16 2000-09-05 Hardy Construction Products, L.L.C. System for affixing rebar lattice to receive concrete
KR200216939Y1 (ko) * 2000-11-01 2001-03-15 주식회사알파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의 높이 확인용 레벨캡과 이를 구비한 철근 받침대
KR200231273Y1 (ko) * 2001-02-20 2001-07-19 (주) 자연기술단건축사사무소 철근 구속구조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
KR200231283Y1 (ko) * 2001-02-23 2001-07-1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200280023Y1 (ko) * 2002-04-01 2002-06-27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280024Y1 (ko) * 2002-04-01 2002-06-27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1050089B1 (ko) * 2010-03-10 2011-07-19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웨이퍼의 양면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426A (en) * 1957-02-15 1958-07-08 Grace W R & Co Aluminum fluoride manufacture
US6112494A (en) * 1996-05-16 2000-09-05 Hardy Construction Products, L.L.C. System for affixing rebar lattice to receive concrete
KR200216939Y1 (ko) * 2000-11-01 2001-03-15 주식회사알파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의 높이 확인용 레벨캡과 이를 구비한 철근 받침대
KR200231273Y1 (ko) * 2001-02-20 2001-07-19 (주) 자연기술단건축사사무소 철근 구속구조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
KR200231283Y1 (ko) * 2001-02-23 2001-07-1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200280023Y1 (ko) * 2002-04-01 2002-06-27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280024Y1 (ko) * 2002-04-01 2002-06-27 주식회사 진명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1050089B1 (ko) * 2010-03-10 2011-07-19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웨이퍼의 양면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01B1 (ko) 2007-02-06 2007-05-25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건축물의 전단철근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100516109B1 (ko) 건축물 기둥 양방향 너비조정 거푸집틀
JP5663334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体の構築工法
JP2005325683A5 (ko)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120095763A (ko) 천장틀의 설치구조
KR100503034B1 (ko)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415593Y1 (ko)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643529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구조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JP4903110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および布基礎
KR100507416B1 (ko)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280023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JP2010031577A (ja) パネルゾーンの型枠
KR20070025483A (ko)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280024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2439176B1 (ko) 알루미늄 경량 거푸집 구조
KR200209620Y1 (ko) 콘크리트거푸집용 팀버브라켓트
KR20100002502A (ko) 프리스트레스트 웨브 골형강판 합성보
JP6493934B1 (ja) 天端レベル管理具
EP3249146B1 (en) An installation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and method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102330671B1 (ko)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