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93Y1 -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93Y1
KR200415593Y1 KR2020060004739U KR20060004739U KR200415593Y1 KR 200415593 Y1 KR200415593 Y1 KR 200415593Y1 KR 2020060004739 U KR2020060004739 U KR 2020060004739U KR 20060004739 U KR20060004739 U KR 20060004739U KR 200415593 Y1 KR200415593 Y1 KR 200415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ormwork
support
girder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수 오
Original Assignee
춘 수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 수 오 filed Critical 춘 수 오
Priority to KR2020060004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하기 용이하고 거더 조립체 상에서의 블래킷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게 하여 거푸집의 지지를 더욱 정밀한 위치에서 할 수 있는 구조로 개량된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4각 관체로 된 거더 지지체의 상면으로 직각 삼각형상의 블래킷을 마주 보게 배치하고, 상기 거더 지지체의 측면에 뚫려진 핀공 중에서 들보의 폭에 맞춰 선택된 핀공으로 상기 블래킷을 연결시켜 고정되게 하는 구성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래킷(2)의 수평부(5) 앞쪽에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양으로 형성된 절결부(7)와, 상기 수평부(5)의 양측에 용접되어서 블래킷(2)의 위치 이동 중에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막아주는 가이드 편(6)과, 상기 수평부(5)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장된 앞쪽이 핀(10)에 의해 상기 거더 지지체(1)의 핀공(3)으로 고정되는 부착판(11)과 일체로 접합된 조절봉(8), 및 상기 조절봉(8)의 뒤쪽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절결부(7)와 부착판(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어 있는 조절구(9)를 갖춘 구성으로 된 것이다.
거푸집 지지체, 들보용 거푸집,

Description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mold supporter for concrete beam}
도 1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조절나사와 나비너트에 대체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거더지지체 2: 블래킷
3: 통공 4: 수직부
5: 수평부 6: 가이드 편
7: 절결부 8: 조절봉
9: 조절구 10: 핀
11: 부착판 12: 관통 홈
본 고안은 건물의 들보 형성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에 이르기 까지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작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설치 및 해체도 간편하여 쉽게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들보는 콘크리트로 형성됨이 일반적이고 이 경우에 들보의 외형을 형성하여 주는 거푸집은 합판이나 스틸 폼 등으로 조립 형성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거푸집은 보통 각목을 덧대어 못질하거나 턴버클, 클램프 등과 같은 도구로 지지시켜서 일정 형태를 갖추게 하고 있으나, 특히 들보용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에 그 중량이 하부로 집중하기 때문에 거푸집의 원형이 유지되게 하려면 독특한 구조의 지지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본 고안자는 특허 등록 제296353호를 통해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조립 및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3가지 구조로 제안한 바 있다.
제안한 거푸집 지지장치는 수평 배치되는 거더 지지체에 2개의 블래킷이 마주 보게 배치되어서 볼트 등으로 연결 조립되고, 또 각 블래킷의 수평부 높이를 윙부재의 나사 조임으로 제어하여, 상기 수평부에 직교하는 수직부가 들보용 거푸집에 잘 밀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는 거더 지지체가 2줄로 수평 연장된 레일로 이루어져서, 블래킷과 윙부재의 조립을 위한 볼트 삽입이 상당히 번거롭게 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고, 또 4각 관체로 거더 조립체를 형성한 구조에서는 양 블래킷의 사이 간격이 거더 조립체에 뚫려진 축공으로 결정되고 미세 조정은 불가능하게 되어, 어떤 경우는 블래킷의 수직부가 거푸집에 잘 밀착되지 않은 채로 시공되는 예가 생기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작하기 용이하면서도 거더 조립체 상에서의 블래킷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개량된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4각 관체로 된 거더 지지체의 상면으로 직각 삼각형상의 블래킷을 마주 보게 배치하고, 상기 거더 지지체의 측면에 뚫려진 핀공 중에서 들보의 폭에 맞춰 선택된 핀공으로 상기 블래킷을 연결시켜 고정되게 하는 구성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래킷의 수평부 앞쪽에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양으로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에 용접되어서 블래킷의 위치 이동 중에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막아주는 가이드 편과, 상기 수평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장된 앞쪽이 핀에 의해 상기 거더 지지체의 핀공으로 고정되는 부착판과 일체로 접합된 조절봉, 그리고 상기 조절봉의 뒤쪽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절결부와 부착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어 있는 조절구를 갖춘 구성으로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의 사시도로서, 통상의 거 더 지지체(1)에 직각 삼각형상의 블래킷(2)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거더 지지체(1)는 양 끝이 막힌 4각 관체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핀공(3)이 등간격으로 다수 뚫려져 있다. 블래킷(2)은 거더 지지체(1)와는 분리되는 별개체로 되는 것이며, 이것은 도면에는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거더 지지체(1)의 길이 방향에 따라 1쌍이 마주 보게 설치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블래킷(2)은 도시 생략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수직부(4)와 거더 지지체(1)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평부(5)로 이루어지고, 이 수평부(5)의 양측에는 가이드 편(6)이 일체로 용접되어 있어서 거더 지지체(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시에 외측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부(5)의 앞부분은 일부가 떨어져 나간 형태로 절결부(7)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에는 스터드 볼트로 된 조절봉(8)이 관통 연장되어 있다.
조절봉(8)의 뒤쪽에는 조절구(9)가 연결되고 반대측 앞쪽은 거더 지지체(1)의 핀공(3)으로 끼워지는 핀(10)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부착판(11)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조절봉(8)이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인 경우에 조절구(9)는 여기에 나사 연결되는 나비너트가 적용되고, 또 조절구(9)가 도 3의 도시와 같이 쐐기인 경우는 조절봉(8)에 관통홈(1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거더 지지체(1)의 상면에 놓여지는 블래킷(2)은 조절봉(8)의 뒤쪽에 연결된 조절구(9)를 조작하여 주면, 상기 거더 지 지체(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 이동으로 절결부(7)의 수직면과 부착판(8)의 안쪽 면 사이의 간격(D)이 변화하게 되어 수직부(4)는 도면의 1점 쇄선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간격(D) 만큼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됨을 의미한다.
또, 조절구(9)로서 도 3에 나타낸 쐐기가 적용된 경우는 망치 등으로 가볍게 타격하여 조절구(9)가 관통홈(12)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한 캠 작용으로 블래킷(2)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거더 지지체(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주 등을 사용하여 거푸집의 하측을 지탱하도록 견고하게 지지시켜 놓고, 거더 지지체(1)의 측방에 뚫려진 다수의 핀공(3) 중에서 들보의 폭에 일치하는 것에 부착판(11)을 맞추고 핀(10)으로 끼워 고정시킨다.
다음에 조절구(9)를 조작하면 블래킷(2)의 수직부(4)가 위치 이동되면서 거푸집을 보강하여 주는 각목 등과 접촉하면서 이를 지지한 상태로 되어 이후부터 콘크리트 타설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조절구(9)의 조작은 도 2에서는 나비너트를 돌려 주어야 하고, 도 3에서는 쐐기를 망치로 타격하여 끼워 넣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들보용 거푸집의 하측방을 지지하는 거더 지지체에 1쌍의 블래킷을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블래 킷의 수평부를 관통하여 연장된 조절봉의 앞쪽 부착판을 거더 지지체와 일체로 연결하여 놓은 후에, 상기 조절봉에 부가된 조절구를 조작하는 것으로 블래킷이 거더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거푸집의 외측에 놓여지는보강용 각목 등과 접촉되게 하는 것이므로 조작이 간단하여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공기 단축과 인력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고안도 못질이나 와이어를 이용한 바인딩을 실시하지 않고도 조립 가능하며, 해체 작업은 단지 조절봉에서 조절구를 분리하는 조작만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파손되거나 하는 일도 없어 사용수명이 긴 이점도 있다.

Claims (1)

  1. 4각 관체로 된 거더 지지체의 상면으로 직각 삼각형상의 블래킷을 마주 보게 배치하고, 상기 거더 지지체의 측면에 뚫려진 핀공 중에서 들보의 폭에 맞춰 선택된 핀공으로 상기 블래킷을 연결시켜 고정되게 하는 구성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래킷(2)의 수평부(5) 앞쪽에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양으로 형성된 절결부(7)와;
    상기 수평부(5)의 양측에 용접되어서 블래킷(2)의 위치 이동 중에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막아주는 가이드 편(6)과;
    상기 수평부(5)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장된 앞쪽이 핀(10)에 의해 상기 거더 지지체(1)의 핀공(3)으로 고정되는 부착판(11)과 일체로 접합된 조절봉(8)과;
    상기 조절봉(8)의 뒤쪽으로 나사 맞춤되는 나비너트, 또는 상기 조절봉(8)의 뒤쪽에 형성된 관통 홈(12)으로 끼워지는 쐐기 중의 어느 하나로 되는 조절구(9)로 이루어지고, 이 조절구(9)에 의해 상기 절결부(7)와 부착판(11) 사이의 간격(D)이 조절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KR2020060004739U 2006-02-21 2006-02-21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KR200415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39U KR200415593Y1 (ko) 2006-02-21 2006-02-21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39U KR200415593Y1 (ko) 2006-02-21 2006-02-21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93Y1 true KR200415593Y1 (ko) 2006-05-03

Family

ID=4176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39U KR200415593Y1 (ko) 2006-02-21 2006-02-21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9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750B1 (ko) 2009-01-07 2009-11-16 성진경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200448068Y1 (ko) 2008-03-20 2010-03-11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 장치
KR100979880B1 (ko) 2008-07-30 2010-09-02 신진수 벽체용 알루미늄패널 거푸집의 하부 조정장치
CN103321408A (zh) * 2013-06-29 2013-09-25 梁苏珊 用于支撑建筑横梁侧板的斜撑机构
CN103321407A (zh) * 2013-06-29 2013-09-25 梁苏珊 一种用于支撑建筑横梁侧板的斜撑
CN110725544A (zh) * 2019-11-20 2020-01-2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碗扣式模板支撑架斜撑万向固定支座及其制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8Y1 (ko) 2008-03-20 2010-03-11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 장치
KR100979880B1 (ko) 2008-07-30 2010-09-02 신진수 벽체용 알루미늄패널 거푸집의 하부 조정장치
KR100926750B1 (ko) 2009-01-07 2009-11-16 성진경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CN103321408A (zh) * 2013-06-29 2013-09-25 梁苏珊 用于支撑建筑横梁侧板的斜撑机构
CN103321407A (zh) * 2013-06-29 2013-09-25 梁苏珊 一种用于支撑建筑横梁侧板的斜撑
CN110725544A (zh) * 2019-11-20 2020-01-2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碗扣式模板支撑架斜撑万向固定支座及其制造方法
CN110725544B (zh) * 2019-11-20 2023-09-1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碗扣式模板支撑架斜撑万向固定支座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593Y1 (ko)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JP4020406B2 (ja) 型枠支持機構及び打設方法
JP3922455B2 (ja) 型枠支持機構、梁材保持用ジグ、床版の打設方法
KR200226626Y1 (ko)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100627658B1 (ko)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조
KR200448068Y1 (ko)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 장치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20090074133A (ko) 사장교 주탑용 케이블튜브 설치장치 및 방법
KR100756908B1 (ko) 석재 앙카용 지지장치
KR200437057Y1 (ko) 형틀 고정용 지지대
JP3321670B2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設置器具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102330671B1 (ko)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JP3605580B2 (ja) サポート受金具
JPH11241507A (ja) 梁のたわみを制御するライズ可調節型外側pc鋼材工法及びこの工法に使うpc鋼材の可動支持装置
KR100401015B1 (ko)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거푸집
KR102554569B1 (ko) 거푸집 설치용 기둥 고정 밴드
JP5063719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構造体設置用足場板固定装置
KR100763000B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KR100503034B1 (ko)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143185Y1 (ko) 거푸집용 지지장치
JP2532354Y2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治具
KR200213556Y1 (ko)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거푸집
KR200385635Y1 (ko) 거푸집 동바리 설치용 고정금구 장치
KR100296353B1 (ko)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