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353B1 -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353B1
KR100296353B1 KR1019980029835A KR19980029835A KR100296353B1 KR 100296353 B1 KR100296353 B1 KR 100296353B1 KR 1019980029835 A KR1019980029835 A KR 1019980029835A KR 19980029835 A KR19980029835 A KR 19980029835A KR 100296353 B1 KR100296353 B1 KR 100296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horizontal portion
girder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430A (ko
Inventor
춘 수 오
영 준 문
찬 열 정
Original Assignee
조영민
주식회사 신영
춘 수 오
영 준 문
찬 열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민, 주식회사 신영, 춘 수 오, 영 준 문, 찬 열 정 filed Critical 조영민
Priority to KR101998002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3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조립 및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성 : 본 발명은 들보용 거푸집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거더 지지체와; 상기 들보용 거푸집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수직부 및 이것에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갖추고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교차점이 축부재에 의해 상기 거더 지지체의 소정 개소로 힌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블래킷과; 상기 수평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로 되고, 이 볼트의 돌출단에 윙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외삽된 긴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 지지체는 측면에 다수의 축공이 등간격으로 뚫려지고 내측에 통로가 열려지도록 1쌍으로 평행 배열된 레일상으로, 또는 측면에 구멍이 등간격으로 뚫려진 로드상으로 되며,상기 블래킷의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에 빗선 방향으로 리브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효과 : 거더 지지체 상에 대향 배치된 1쌍의 블래킷이 각각 들보용 거푸집의 측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것이며, 조립 또는 해체 시에 단지 긴체수단의 윙부재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어서 단시간에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본 발명은 콘크리트 들보의 타설 시에 설치되는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고, 해체 시에는 쉽게 거푸집에서 분리되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들보의 타설 시에 그 외형을 형성하여 주는 거푸집은 합판이나 스틸 폼 등의 패널 요소를 순서에 맞춰 조립 형성함이 일반적이다. 이 때 각 패널 요소는 각목을 덧대어 못질하거나 턴 버클, 클램프 등과 같은 철 구조물에 의존하여 지지시키고 있다. 상기 목제 합판은 들보 형태를 원하는 대로 짜 맞추기가 용이하고, 스틸 폼은 조립이 간편하고 정밀 시공을 가능케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들보용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에 그 중량이 하부로 집중하기 때문에 거푸집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로 지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 들보용 거푸집의 주변에 각목을 덧대어 보강시키고, 이들을 못질하여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와이어 등으로 밴딩하여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행하였다. 그렇지만 이 방식은 조립 시공과 해체 작업이 모두 번거롭고 작업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조립 및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들보용 거푸집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거더 지지체와; 상기 들보용 거푸집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수직부 및 이것에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갖추고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교차점이 축부재에 의해 상기 거더 지지체의 소정 개소로 힌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블래킷과; 상기 수평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로 되고, 이 볼트의 돌출단에 윙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외삽된 긴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거더 지지체는 측면에 다수의 축공이 등간격으로 뚫려지고 내측에 통로가 열려지도록 1쌍으로 평행 배열된 레일상으로, 또는 측면에 구멍이 등간격으로 뚫려진 로드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레일상으로 된 거더 지지체의 경우에, 그 외측면이 오목하게 안쪽으로 함몰되어 "디귿" 자상 단면을 이루는 각재(角材)나 새시요소를 채용하면, 그 하측을 받쳐 주는 통상의 지주 상단을 상기 오목하게 함몰된 단면에 걸어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상기 블래킷의 수직부와 수평부에도 "디귿" 자상 단면을 가진 각재를 채용하면 거푸집을 받쳐 주는 각목 등을 끼워 놓을 수 있어서 편리하고, 또 한편으로는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에 빗선 방향으로 리브를 부착하여 기계적 강도의 향상으로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리브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또는 그 중간부로 고정볼트를 관통 설치하여 나비너트로 나삽시켜 조여 붙이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거더 지지체가 로드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는 페세이지가 열려지고, 수평부는 이것에 연속하는 1쌍의 아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거더 지지체의 상면에는 긴체수단을 관통시키기 위한 통공이 다수 등간격으로 뚫려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거더 지지체 상에 대향 배치된 1쌍의 블래킷이 각각 들보용 거푸집의 측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것이며, 조립 또는 해체 시에 단지 긴체수단의 윙부재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어서 단시간에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시공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주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지지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거더 지지체 6 : 통로
10 : 블래킷 12 : 축공
14 : 축부재 16 : 수직부
18 : 수평부 20 : 볼트
22 : 윙부재 24 : 긴체수단
26 : 홈 28 : 리브
30 : 고정볼트 32 : 나비너트
34 : 페세이지 36 : 통공
38 : 체결너트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분해도로서, 통상의 지주(2) 상단부에서 클립(3)에 의해 수평상으로 지지되는 거더 지지체(4)는 평행으로 배열되는 1쌍의 레일상으로 형성되어서 중간에 길이 방향의 통로(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양단부는 스페이서(8)에 의해 막혀져서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6)에는 1쌍의 블래킷(10)이 수용되어서 상기 거더 지지체(4)의 측방으로 열려진 축공(12)을 통해 삽설되는 축부재(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블래킷(1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각재로 이루어진 수직부(16)와 수평부(18)가 상호 직교로 배치된 구조로 되고, 상기 축부재(14)는 수직부(16)와 수평부(18)의 교차점에 통공(19)을 형성하고 있고, 이 통공(19)에는 상기 거더 지지체(4)의 축공(12)으로 지지되는 축부재(14)가 관통되어서 상기 블래킷(10)은 축부재(14)를 중심으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도 3에서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부분은 거더 지지체(4)와 블래킷(10)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26)이다.
또한, 상기 수평부(18)의 종단에는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볼트(20)와, 그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외삽된 윙부재(22)로 이루어진 긴체수단(24)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다수의 축공(12)이 등간격으로 뚫려진 거더 지지체(4)의 양 측면을 오목하게 안쪽으로 함몰시켜 "디귿" 자상 단면을 이루도록 홈 형태로 형성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거더 지지체(4)의 하측을 받쳐 주는 상기 지주(2)의 상 단측 클립(3)을 걸어서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어서 더욱 견고하게 지탱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6)와 수평부(18) 사이로는 빗선 방향으로 리브(28)를 덧대어 용접함으로써 견고하게 지지시켜 두고 있다.
도 2는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을 적용하여 들보용 거푸집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예에서 거푸집(26)은 그 하측면이 거더 지지체(4)에 의해 받쳐지며 이 때 상기 거더 지지체(4)는 거푸집(26)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개로 배열된다.
상기 거더 지지체(4)에 대향 배치된 1쌍의 블래킷(10)은 그 수직부(16)를 통해 들보용 거푸집(26)의 양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이것과 직교하는 수평부(18)의 종단에는 볼트(20)에 연계된 윙부재(22)로 이루어진 긴체수단(24)이 설치되어서 거푸집(26)을 견고하게 지지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래킷(10)은 축부재(14)를 지점으로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지만, 수직부(16)가 들보용 거푸집(16)과 맞닿아 있을 때는 도면의 반시계 방향 회동은 불가능하고, 단지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수평부(18)의 종단측 긴체수단(24)에서 윙부재(22)를 상기 거더 지지체(4)의 상면에 가로 걸쳐지게 해두고 상기 볼트(20)를 죄어 주면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부(18)가 긴체수단(24)에 의해 현수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도면의 화살표 방향 회동도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푸집(26)을 설치한 후에 긴체수단(24)을 체결하는 것으로 블래킷(10)이 부동상으로 되면서 상기 거푸집(26)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상태는 간단하게 상기 윙부재(22)를 해머 등으로 두드려 90도 자세 변동시키는 것으로 해체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예시된 지지장치는 도 1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다만 빗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브(28)를 용접 연결하지 않고 고정 볼트(30)에 관통시킨 다음 나비너트(32)로 체결하는 구조를 통해 장착 고정시켜 놓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나비너트(32)를 죄어 줄 때에 상기 수직부(16)와 수평부(18) 사이에서 리브(28)가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수직부(16)와 수평부(18) 사이가 더 벌어지게 작용하므로 양 사이의 직각도 까지 수정 가능하여 정밀 시공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5의 도시와 같은 다른 실시 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거더 지지체(4)는 측면에 축공(12)이 등간격으로 관통된 로드상으로 되고, 그리고 블래킷(10)은 수직부(16)의 하측부가 열려져서 페세이지(3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1쌍의 아암 형태로 수평부(18)가 연장 형성된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블래킷(10)은 페세이지(34)를 통해 거더 지지체(4)의 외측으로 삽입되어서 축부재(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긴체수단(24)의 윙부재(22)는 거더 지지체(4)의 하측면에 밀착 설치 되어서 상기 수평부(18)의 하측단을 지지시켜 줌에 따라 상기 블래킷(10)이 회동되는 것을 막아 주게 되어 있다. 상기 윙부재(22)는 이 실시 예에서 거더 지지체(4)의 상면에 뚫려진 통공(36)을 관통하여 체결너트(38)에 의해 긴체 고정되는 볼트(20)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통상의 지주(2) 상단에 거더 지지체(4)를 끼워 맞추거나 또는 볼트 체결하여 일체로 지지되게 한 다음, 거더 지지체(4)의 측방에 뚫려진 다수의 축공(12) 중에서 들보의 폭에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고, 여기를 지점으로 각각 블래킷(10)을 축부재(14)로 힌지 연결시킨다. 그리고 블래킷(10)을 회동시켜서 그 수평부(18)에 배치된 긴체수단(24)의 윙부재(22)가 상기 거더 지지체(4)의 상방으로 놓여지게 한 다음, 상기 윙부재(22)를 90도 자세 변경시켜 거더 지지체(4)의 상방으로 가로 걸쳐지게 한다. 이와 같이 조작하여 놓고 상기 지주(2)를 세워 배열한 다음에 상기 거더 지지체(4)의 상방으로 들보용 거푸집(26)을 설치하여 나가면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되는 것이므로 조립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들보용 거푸집(26)은 각목 등에 의해 보강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형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종료되면 상기 윙부재(22)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다시 90도 자세 변환되게 하면 양 블래킷(16)이 회동되면서 들보용 거푸집(26)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기 때문에 대단히 신속하고 편리하게 해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들보용 거푸집의 하측방을 지지하는 거더 지지체에 1쌍의 블래킷을 회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들의 회동 방향을 긴체수단으로 제약하게 한 구성이므로 시공이 간편 용이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 후의 해체 작업도 긴체수단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공기 단축과 인력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못질이나 와이어를 이용한 바인딩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도 조립될 수 있고, 해체는 단지 망치를 이용한 윙부재의 90도 자세 변환만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구성 부품이 파손되거나 하는 일도 없어 사용 수명이 길다.

Claims (3)

  1. 들보용 거푸집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거더 지지체와; 상기 들보용 거푸집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수직부 및 이것에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갖추고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교차점이 축부재에 의해 상기 거더 지지체의 소정 개소로 힌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블래킷과; 상기 수평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로 되고, 이 볼트의 돌출단에 윙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외삽된 긴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킷의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빗선 방향으로 긴체수단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리브가 배치되어서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직각도를 수정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킷의 수직부는 하단에 페세이지를 형성하고 있고, 이 페세이지에 연속하여 1쌍의 아암 형태로 된 수평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의 하단면은 거더 지지체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긴체수단의 윙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9980029835A 1998-07-24 1998-07-24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KR100296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35A KR100296353B1 (ko) 1998-07-24 1998-07-24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35A KR100296353B1 (ko) 1998-07-24 1998-07-24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30A KR20000009430A (ko) 2000-02-15
KR100296353B1 true KR100296353B1 (ko) 2001-10-26

Family

ID=1954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35A KR100296353B1 (ko) 1998-07-24 1998-07-24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8Y1 (ko) 2008-03-20 2010-03-11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440B1 (ko) * 2004-12-01 2007-02-23 다산건설(주) 거푸집용 지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8Y1 (ko) 2008-03-20 2010-03-11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30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353B1 (ko)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JPH0633043Y2 (ja) 支柱の支持構造
JP3386785B2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支持装置及び足場装置
JP4111214B2 (ja) 門形ブロック鉄筋の連結器組付治具と連結器付鉄筋の製造用型枠への装着方法
JPH10238132A (ja) 耐震補強工法
KR200360773Y1 (ko) 조립식 빔 브라켓.
JPH0754427A (ja) 壁体の構築工法及びその装置
JP2716357B2 (ja) 立上り部型枠固定治具
JP3174807U (ja) 木造建築の筋交いの補強構造及び筋交い交差部の固定金具
KR200184987Y1 (ko) 콘크리트 형틀 조립장치
JPH11193572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
JPH0413324Y2 (ko)
KR970005543Y1 (ko) 거푸집용 지지대
JP2873193B2 (ja) 土台プレート
JPH0579184A (ja) 梁型枠支保工ユニツト
KR200245284Y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JP2002004581A (ja) 耐圧板の打継工具
JP4031626B2 (ja) 内壁用型枠の支持構造
JPH10184011A (ja) アンカーボルト設置金具セット
KR930005582Y1 (ko) 가설지주용 브래키트
JPH086881Y2 (ja) 大梁と小梁との接合装置
JPH069243Y2 (ja) 曲面屋根型枠用仮設梁取付構造
JPH07180216A (ja)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構造及び工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部材
JPH07166557A (ja) 木造建築用の布基礎部材
JPH09328901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鉄筋の組立方法および横筋配設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