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83Y1 -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83Y1
KR200231283Y1 KR20010004733U KR20010004733U KR200231283Y1 KR 200231283 Y1 KR200231283 Y1 KR 200231283Y1 KR 20010004733 U KR20010004733 U KR 20010004733U KR 20010004733 U KR20010004733 U KR 20010004733U KR 200231283 Y1 KR200231283 Y1 KR 200231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intersection
reinforcing bar
concrete
bind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04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영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Priority to KR20010004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4Patterns or templates; Jointing rulers
    • E04F21/05Supports for jointing ru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가 게시된다. 본 고안의 철근 받침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철근들의 교차부를 지지하는 소정높이의 몸체; 일단부는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체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철근들의 교차부를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밴드; 및 결속밴드에 일체로 형성되며, 결속밴드가 철근들의 교차부를 구속하는 경우, 교차부의 상측으로 세워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는 스페이서가 결합밴드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철근 받침대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공수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REINFORCING BARS SUPPORT HAVING SPACER FOR CONFIRMING THICKNESS OF CONCRETE}
본 고안은 슬라브와 같은 수평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와 같은 수평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상기 수평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는 보강력을 제공하는 철근이 다수개 매설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철근들은 소정높이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일단 배치된 철근들은 작업자의 하중과 같은 외부 충격의 발생시에도 제위치(즉 높이 및 평면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수평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건축물의 안전도를 고려하여 소정정도 이상의 두께를 유지하도록 요구된다. 이에 따라, 수평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시에는, 철근을 소정높이로 유지시키면서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는 철근 받침대(또는 스페이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면,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8-0119279호에 기재된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8-0119279호에 기재된 레벨 스페이서는 베이스(10), 탄력부재(20) 및 표시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거푸집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 및 표시부재(3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14)의 상부에는 철근(1)을 지지하기 위한 요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16)의 일측에는 탄력부재(20)가 끼워지는 끼움홀(18)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18)에 끼워진 탄력부재(20)의 상단부에는 표시부재(30)가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재(30)는 거푸집 상면에 직교하도록 직립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철근(1)을 고정시키면서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16)에 고정되는 철근(1)은 서로 교차되는 철근들 중 하측 철근이며, 도2를 참조하면 서로 교차되는 철근들 중 상측 철근(2)은 요홈(16)에 고정된 하측 철근(1)의 상면에 얹혀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는 베이스, 탄력부재 및 표시부재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공수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할 경우, 서로 교차되는 철근들 중 상측 철근이 고정되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의 발생시, 상기 베이스 또는 상측 철근이 하측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기술의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베이스
120 : 지지대 200 : 결속밴드
300 : 스페이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철근들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를 지지하는 소정높이의 몸체; 일단부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를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밴드; 및 상기 결속밴드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밴드가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를 구속하는 경우, 상기 철근 교차부의 상측으로 세워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하게 인식될 것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도시예에서는 2개)의 결속밴드(200) 및 상기 결속밴드(200) 중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페이서(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거푸집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상에 직립되게 고정되는 지지대(1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지지대(12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10)는 그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봉(112)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120)는 그 하측중앙에 나사봉(112)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홀(122)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높이는 나사봉(112)과 나사홀(122)의 치합길이에 따라 변화된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100)와 지지대(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부에는 철근들의 교차부가 안착되는 십자형상의 홈부(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부(124)의 저면은 철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진다.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부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도시예에서는 2개)의 체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각 체결부(126)에는 관통공(128)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밴드(200)의 타단부, 즉 자유단부는 체결부(126)의 관통공(128)에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자유단부의 단면적은 관통공(128)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부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턱(210)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걸림턱(210)은 그 전면(212)의 높이가 배면(214)의 높이보다 낮게, 즉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밴드(200)의 자유단부가 관통공(128)의 일측으로 인입되어 타측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128)의 타측으로 인출된 걸림턱(210)의 배면(214)은 관통공(128)의 타측 외벽면에 걸려지게 된다. 즉, 일단부가 몸체(100)상에 고정된 결속밴드(200)의 타단부는 체결부(126)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속밴드(200)의 자유단부는 지지대(120)상에 지지되는 철근의 교차부를 가로질러 체결부(126)에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페이서(300)가 형성된 결합밴드는 다른 결합밴드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결속밴드(200)는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이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탄력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받침대에서는 스페이서(300)가 형성된 결합밴드만이 지지대(1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밴드(200)의 타단부가 체결부(126)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300)는 철근 교차부의 상측으로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300)가 철근 등과 같은 다른 건축자재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300)는 일반적인 건축자재와는 대별되는 특정 형상, 예를 들어 상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20)는 베이스(110)에 직립되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120)의 홈부(124)에는 하측 및 상측 철근들(1, 2)이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결속밴드(200)는 그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체결부(126)에 결합되어 하측 및 상측 철근들(1, 2)의 교차부 상에서 서로 교차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0)가 형성된 결속밴드는 다른 결속밴드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스페이서(300)가 교차부의 상측으로 세워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속밴드(200)는 철근들(1, 2)을 조이는 조임력을 발생시켜, 상기 철근들(1, 2)을 구속시킨다. 이와 같이 결속밴드(200)가 서로 교차되면서 철근들(1, 2)에 조임력을 발생시키므로, 본 고안의 철근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철근들(1, 2)은 신뢰성있게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스페이서(300)의 상단부를 소정의 공구로 타격하므로써, 상기 결속밴드(200)가 보다 굳건하게 철근들(1, 2)을 조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철근 구속과정에서, 상기 스페이서(3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콘크리트 두께 확인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갖는 철근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거푸집 상에 본 고안의 철근 받침대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지지대(120)의 홈부(124)내에 철근들(1, 2)의 교차부를 안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300)가 형성된 결속밴드가 다른 결속밴드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밴드(200)가 철근들(1, 2)의 상측에서 교차되게 체결부(12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들이 철근들(1, 2)을 밟고 다니더라도, 상기 철근들(1, 2)은 거푸집 상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작업자들은 거푸집의 상면에 직교하도록 위치되는 스페이서(300)에 의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결속밴드(200)의 걸림턱(210)이 관통공(128)의 타측 외벽면에 걸려져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128)의 내벽면에 걸림턱(210)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10)이 관통공(128)의 내부에서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결속밴드(200)의 일단부가 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속밴드(200)가 별도로 제조되어 몸체(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에서는 결합밴드와 스페이서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철근 받침대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공수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철근 받침대는 다수의 결속밴드가 교차되는 상측 및 하측 철근들을 모두 구속시키므로, 철근 받침대의 위치가 고정되고, 철근을 거푸집의 상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유지시킬 뿐만아니라, 외부 충격의 발생시에도, 철근들을 제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철근들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를 지지하는 소정높이의 몸체;
    일단부는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를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밴드; 및
    상기 결속밴드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밴드가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를 구속하는 경우, 상기 교차부의 상측으로 세워지는 스페이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철근들의 교차부가 위치되는 십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나사봉을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나사봉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홀을 가지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높이는
    상기 나사홀에 치합되는 상기 나사봉의 치합길이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20010004733U 2001-02-23 2001-02-23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200231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4733U KR200231283Y1 (ko) 2001-02-23 2001-02-23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4733U KR200231283Y1 (ko) 2001-02-23 2001-02-23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83Y1 true KR200231283Y1 (ko) 2001-07-19

Family

ID=4115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4733U KR200231283Y1 (ko) 2001-02-23 2001-02-23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34B1 (ko) * 2005-03-29 2005-07-2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07416B1 (ko) * 2005-03-29 2005-08-1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WO2009012244A2 (en) * 2007-07-13 2009-01-22 The Monadnock Company Spacer assemblies, apparatus and methods of supporting hardware
KR101578524B1 (ko) 2015-06-30 2015-12-17 (주)영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CN111927004A (zh) * 2020-07-31 2020-11-13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楼板及钢筋保护层厚度控制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34B1 (ko) * 2005-03-29 2005-07-2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가압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100507416B1 (ko) * 2005-03-29 2005-08-10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개폐식 건설용 철근 지지구
WO2009012244A2 (en) * 2007-07-13 2009-01-22 The Monadnock Company Spacer assemblies, apparatus and methods of supporting hardware
WO2009012244A3 (en) * 2007-07-13 2009-03-26 Monadnock Company Spacer assemblies, apparatus and methods of supporting hardware
KR101578524B1 (ko) 2015-06-30 2015-12-17 (주)영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CN111927004A (zh) * 2020-07-31 2020-11-13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楼板及钢筋保护层厚度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0666A1 (en) Concrete anchor float
US10988930B2 (en) V-shaped tie reinforcement integrally provided with one-touch fixing device
US6073415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KR200231283Y1 (ko)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200231273Y1 (ko) 철근 구속구조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
KR20080018978A (ko)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100762404B1 (ko) 철근받침대
KR100405178B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KR200494576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200432775Y1 (ko) 철근받침대
KR100914045B1 (ko) 철근받침대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0216939Y1 (ko) 콘크리트의 높이 확인용 레벨캡과 이를 구비한 철근 받침대
KR200182723Y1 (ko) 철근 지지대
US2003012123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entering reinforcing steel in reinforced masonry walls
KR20110011017U (ko) 철근 지주의 안전캡
KR102561327B1 (ko) 셀프 록킹 기능을 갖는 거푸집 고정용 타이
KR102253126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20100004496U (ko) 건물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715515B1 (ko) 그라우트층 보강구
KR200420025Y1 (ko) 체결이 편리하고 변형에 강한 파스너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KR102136596B1 (ko) 시스템 비계 보호캡
JP7246971B2 (ja) 柱脚金物及び柱脚構造
KR200209623Y1 (ko) 잭 서포트의 대략 높이 조절용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