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723Y1 - 철근 지지대 - Google Patents

철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723Y1
KR200182723Y1 KR2019990030777U KR19990030777U KR200182723Y1 KR 200182723 Y1 KR200182723 Y1 KR 200182723Y1 KR 2019990030777 U KR2019990030777 U KR 2019990030777U KR 19990030777 U KR19990030777 U KR 19990030777U KR 200182723 Y1 KR200182723 Y1 KR 200182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inforcing bar
reinforcing
loa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봉
Original Assignee
최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봉 filed Critical 최기봉
Priority to KR2019990030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시공시 수평구조물에 내장되는 철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철근(100)의 저면부와 접하는 안착부(14)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 철근(100)의 외측면을 파지토록 다수개의 돌기(12)가 형성된 파지부(10)와; 상기 안착부(14)의 일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각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하부가 상부보다 철근(100)의 길이방향으로서 길게 형성된 제 1지지대(20)와; 상단이 상기 안착부(14)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상기 제 1지지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도록 형성된 제 2지지대(30)와; 상기 제 2지지대(30)에 직경이 상이하도록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이 형성되고, 그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에 의해 형성된 리브(36)를 구성함에 따라 철근 지지대(1)의 상부에 고정되는 철근(100)이 휘어지는 현상없이 수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내부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인해 건축물의 수평구조물의 강도를 최대화함은 물론, 건물의 내.외적인 외관이 깨끗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지지대{Supporter for reinforcing rod}
본 고안은 건축물 시공시 수평구조물에 내장되는 철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하중 및 철근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수평구조물이 완료된 후의 외부하중에 대해서도 지지력이 증대되어 수평구조물의 강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를 이루는 수평구조물은 통상 여러 가지(예를 들면 시멘트, 자갈, 모레, 물 등)가 혼합된 콘크리트와 다수개의 철근이 상호 결속력을 갖으면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수평구조물의 강도는 철근의 개수와 연관성을 갖고 있지만 통상 철근이 얼마만큼 콘크리트의 중심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그 강도의 차이가 결정되면서 건축물의 수명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의 중심에 철근을 위치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예를 들면 돌, 나무 등)의 재료(이하 지지대라 함)를 철근의 하부에 안착시켜 철근을 지지함과 동시에 철근이 콘크리트의 중심에 놓여지도록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지대를 작업자가 철근의 하부에 안착시키다 보면, 통상의 철근이 환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철근의 중심과 지지대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되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대가 철근의 하부에 모두 설치되면 콘크리트를 붓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호스를 잡고 철근의 상부를 밟고 다니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철근을 지탱하고 있던 지지대는 작업자의 하중이라든가 또는 작업자의 발에 차이면서 철근을 지탱하지 못하고 이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의 하부에 지지되어 있던 지지대가 이탈되고 나면 그 부위의 철근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콘크리트의 결속이 완료되고 나면 외부에서 철근이 보이게 됨에 따라 외관이 지저분해짐과 아울러 수평구조물의 강도가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지지대들이 규격화된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철근도 일정한 수평상태가 아닌 상하로 이어지는 굴곡상태가 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도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못하고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건축물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의 하중 및 철근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수평구조물이 완료된 후의 외부하중에 대해서도 지지력이 증대되어 수평구조물의 강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이 철근의 저면부와 접하는 안착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 철근의 외측면을 파지토록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각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하부가 상부보다 철근의 길이방향으로서 길게 형성된 제 1지지대와; 상단이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상기 제 1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도록 형성된 제 2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에 직경이 상이하도록 제 1 및 제 2환형공이 형성되고, 그 제 1 및 제 2환형공에 의해 형성되는 리브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지지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철근 지지대 10 : 파지부
12 : 돌기 14 : 안착부
20 : 제 1지지대 30 : 제 2지지대
32 : 제 1환형공 34 : 제 2환형공
36 : 리브 100 : 철근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철근 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즉, 도 1 및 도 2는 콘크리트와 결속력을 갖는 철근(100)이 철근 지지대(1)의 상부에 형성된 파지부(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파지부(10)의 일단은 철근(100)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12)가 형성되고, 이 돌기(12)의 타단은 철근(100)의 저면부가 접촉되는 안착부(14)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4)의 양측에 제 1지지대(20)가 마련되는 바, 상기 제 1지지대(20)의 상부는 안착부(14)의 일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면서 연장형성되며, 그 하부는 철근(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서 상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지지대(20)사이에는 제 1지지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도록 제 2지지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2지지대(30)에는 직경이 상이한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사이라든지 주변에는 리브(36)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지지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근(100)의 저면부위로 철근 지지대(1)의 상부에 마련된 파지부(10)를 위치시킨 후 철근(100)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철근(100)이 가압되면 파지부(10)의 일측에 마련된 돌기(12)부위가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철근(100)의 직경만큼 넓어지면서 철근(100)의 외측면을 돌기(12)부위가 가압하여 철근(100)을 고정하게 된다. 물론 철근(100)의 길이에 따라 철근 지지대(1)를 다수개 설치하여 철근 지지대(1)사이에서 발생되는 철근(100)의 휨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철근 지지대(1)를 설치하고 난 후 별도의 콘크리트를 붓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철근의 상부면을 밟으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작업자의 체중이라든지 또는 발에 의해 철근 지지대(1)가 충격을 받을 경우 철근 지지대(1)의 파지부(10)가 철근(100)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철근 지지대(1)가 철근(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한 철근(100)을 철근 지지대(1)에 의해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와 철근의 결속력이 완료될 경우, 콘크리트와 외부하중이 철근 지지대 (1)로 전달되면서 감쇠되는 현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근 지지대(1)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콘크리트의 하중은 철근(100)으로 전달되고, 이 철근(100)으로 전달된 하중은 철근 지지대(1)의 상부에 마련된 파지부(10) 및 안착부(14)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부(14)로 전달된 하중은 안착부(14)의 양측에 형성된 제 1지지대(20)를 따라 하방향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한 제 1지지대(20)의 상부와 하부의 구조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길이가 점점 길어짐에 따라 그 수직각은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전달면적이 증가되면서 감쇠된다.
또한, 상기한 하방향의 하중이 안착부(14)로부터 수직으로 전달될 경우, 그 하중은 안착부(14)의 저면에 마련된 제 2지지대(30)의 리브(36), 제 1환형공(32), 리브(36), 제 2환형공(34) 및 리브(3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감쇠되는데, 이러한 하방향으로의 하중은 제 1 및 제 2 환형공(32)(34)에서 더욱 감쇠력이 발휘된다. 즉 하방향을 갖는 수직하중은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을 통과하면서 아치형태를 따라 전달되면서 감쇠되기 때문에 파손없이 하중을 감쇠시키게 되어 철근 지지대(1)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하방향의 하중이 안착부(14)로부터 수직으로 전달될 경우, 그 하중은 안착부(14)의 저면에 마련된 제 2지지대(30)의 3개의 면을 갖는 관통공(40)과 관통공(40)사이에 형성된 리브(42)를 통과하면서 감쇠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그 작용을 보면 상기한 하방향의 하중이 안착부(14)로부터 수직으로 전달될 경우, 그 하중은 안착부(14)의 저면에 마련된 제 2지지대(30)의 4개의 면을 갖는 관통공(50)과 이 관통공(50)사이에 형성된 리브(52)를 통과하면서 감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철근이 결합되는 파지부 및 안착부와, 이 안착부의 양측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1지지대와, 이 제 1지지대에 대해 직교되는 제 2지지대와, 제 2지지대에 제 1 및 제 2환형공을 형성하므로써,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평구조물이 완료된 후의 외부하중에 대해서도 지지력이 증대되어 수평구조물의 강도를 최대화시키고 건축물의 내.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일단이 철근(100)의 저면부와 접하는 안착부(14)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 철근(100)의 외측면을 파지토록 다수개의 돌기(12)가 형성된 파지부(10)와;
    상기 안착부(14)의 일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각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하부가 상부보다 철근(100)의 길이방향으로서 길게 형성된 제 1지지대(20)와;
    상단이 상기 안착부(14)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상기 제 1지지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도록 형성된 제 2지지대(30)와;
    상기 제 2지지대(30)에 직경이 상이하도록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이 형성되고, 그 제 1 및 제 2환형공(32)(34)에 의해 형성되는 리브(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대(30)에 3개의 면을 갖는 관통공(40)이 불규칙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그 각각의 관통공(40)에 의해 형성되는 리브(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대(30)에 4개의 면을 갖는 관통공(50)이 다수개 형성되고, 그 각각의 관통공(50)에 의해 형성되는 리브(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대.
KR2019990030777U 1999-12-31 1999-12-31 철근 지지대 KR200182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777U KR200182723Y1 (ko) 1999-12-31 1999-12-31 철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777U KR200182723Y1 (ko) 1999-12-31 1999-12-31 철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723Y1 true KR200182723Y1 (ko) 2000-05-15

Family

ID=1960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777U KR200182723Y1 (ko) 1999-12-31 1999-12-31 철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7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633A (ko) * 2022-02-21 2023-08-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Cft기둥용 보강근 조립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633A (ko) * 2022-02-21 2023-08-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Cft기둥용 보강근 조립 고정장치
KR102630634B1 (ko) * 2022-02-21 2024-01-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Cft기둥용 보강근 조립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997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using rebar supports
KR200182723Y1 (ko) 철근 지지대
JP3438852B2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施工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埋込み材
KR100762404B1 (ko) 철근받침대
KR200231283Y1 (ko)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CN212835956U (zh) 一种装配式预制阳台板与阳台支撑连接结构
KR200231273Y1 (ko) 철근 구속구조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200305915Y1 (ko) 철근 받침대
KR200432775Y1 (ko) 철근받침대
KR100914045B1 (ko) 철근받침대
JP2741486B2 (ja) 上、下筋兼用型鉄筋スペーサ
KR200268362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CN210562910U (zh) 一种楼板固定支架及楼板
KR102102433B1 (ko)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형 스마트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67616Y1 (ko) 거푸집 지지용 수직조절대
AU2008203309B2 (en) Anchoring Device
KR200323932Y1 (ko) 회전식 슬리브를 갖춘 철근 배치대
KR200250687Y1 (ko) 십자형 철근
KR200204074Y1 (ko) 철근 받침대
SU1090821A2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 панель
KR0134349Y1 (ko) 철근 고정용 지지구
KR200282252Y1 (ko) 철근 받침대
KR960006889Y1 (ko) 철근 받침대
KR200146355Y1 (ko) 철근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