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597B1 - 옹벽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옹벽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597B1
KR102110597B1 KR1020190174687A KR20190174687A KR102110597B1 KR 102110597 B1 KR102110597 B1 KR 102110597B1 KR 1020190174687 A KR1020190174687 A KR 1020190174687A KR 20190174687 A KR20190174687 A KR 20190174687A KR 102110597 B1 KR102110597 B1 KR 10211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wall
plate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진 filed Critical 박용진
Priority to KR102019017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철근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자가 상부면을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옹벽 설치 구조{A Reve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옹벽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옹벽의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의 간단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하고, 배근된 철근을 이용하여 안전발판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옹벽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도로, 공원지역의 비탈면, 하천제방, 해안도로, 주거지역의 사면 등과 같은 곳의 현장에서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 습식공사로 시공하여 왔다. 이와 같이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 옹벽은 지반굴착, 기초콘크리트 타설, 철근조립, 본체 콘크리트 타설, 뒤채움 공사 등의 과정을 거친다.
종래의 옹벽시공은 현장에서 옹벽의 배근도를 참조하여 철근의 배근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자립을 위한 강도를 유지하는데, 수일 이상의 양생 기간이 필요하며, 양생 완료 후 거푸집을 해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옹벽시공은 여러 단계의 시공과정 및 긴 공사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 및 시공성에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법으로 인해 장기간의 차량통행 차단과 우회도로 확보 등으로 인해 민원발생가능성이 높으며, 장기간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안정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시공성, 경제성, 민원발생 가능성 측면을 고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이하 'PC옹벽'이라 함)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와 같은 PC옹벽은 옹벽블록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지 조립만 실시하므로 시공성에서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른 민원발생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교통량이 많은 복잡한 도심지나 긴급한 공사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개념으로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은 공장에서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벽체부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립설치하고, 일종의 부벽 기능을 가지는 지지체를 벽체부와 기초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은 별도로 벽체부 후면 전체에 다수의 지지체를 설치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시공성에서 우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옹벽구조 또는 옹벽시공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현장의 조건 등이 열악할 경우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따라서 이 또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304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조립식 형태의 옹벽의 시공시 철근고정 구성들을 이용하여 철근의 배근 작업을 빠르고 간단하게 수행하여 공기 단축 및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패널고정 구성들을 통해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빔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옹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 설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는, 수평철근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자가 상부면을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면에는 다수의 조립벽체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다수의 수직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다수의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으로 이격되어 옹벽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수직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다수의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기초부에 고정되는 지지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고정해주는 패널고정수단; 상기 지지빔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고정판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고정판과의 사이에 철근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의 외측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고정판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밀실한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빔,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철근이 상기 옹벽의 폭방향으로 배근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고정수단; 및 상기 수평철근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발판은, 발판부; 상기 발판부의 좌우 측에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발판부의 전후 양측에 부착되어 상기 수평철근에 걸쳐지는 연결고리;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철근을 지지하는 단속부재; 상기 연결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속부재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고리와 상기 단속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수평철근을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핀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는 호형의 받침체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체는 상기 가이드핀에 안내되는 호형의 장홈; 상기 장홈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평철근을 지지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받침체가 회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호 각도를 갖고 고정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단속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상부면이 상기 연결바와 결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속부재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는 제 1탄성모듈 및 상기 제 1 탄성모듈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탄성모듈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는 제 2탄성모듈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수단은, 수직철근이 위치되도록 아래로 둥글게 라운드된 안착홈이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을 따라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모듈; 및 탄성이 있고 상부로 둥근 반원형상으로, 상기 안착홈에 철근이 위치된 상태에서 양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철근에 상기 본체모듈을 결합하는 결합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양 결합돌기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과 상면 사이에 외측이 개방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덮개의 양단부에는 양 끼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널고정수단은, 수평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에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제1 고정봉;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봉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에는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제2 고정봉; 상기 제1, 2 고정봉의 상기 걸이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높이조절구; 및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높이조절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호 조립된 상기 제1, 2 고정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로부터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되며, 상기 높이조절구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걸이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공; 및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벽체는, 벽체의 시공면적에 맞춰 하나 이상을 종과 횡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조립시공이 가능토록 미리 정한 넓이로 규격화된 벽체모듈; 상기 조립벽체 다수를 횡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측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한 종단이음바; 및 상기 조립벽체 다수를 종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하는 횡단이음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는,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으로 이격되어 옹벽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수직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다수의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기초부에 고정되는 지지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고정해주는 패널고정수단; 상기 지지빔에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고정판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고정판과의 사이에 철근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의 외측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고정판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밀실한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빔,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평철근이 상기 옹벽의 폭방향으로 배근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고정수단; 및 상기 수평철근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자가 상부면을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 상기 수평철근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일 측면에는 다수의 조립벽체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다수의 수직고정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수단은, 수직철근이 위치되도록 아래로 둥글게 라운드된 안착홈이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을 따라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모듈; 및 탄성이 있고 상부로 둥근 반원형상으로, 상기 안착홈에 철근이 위치된 상태에서 양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철근에 상기 장착구 본체를 결합하는 결합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양 결합돌기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과 상면 사이에 외측이 개방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덮개의 양단부에는 양 끼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널고정수단은, 수평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에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제1 고정봉;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봉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에는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제2 고정봉; 상기 제1, 2 고정봉의 상기 걸이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높이조절구; 및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높이조절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호 조립된 상기 제1, 2 고정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로부터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되며, 상기 높이조절구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걸이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공; 및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벽체는 벽체의 시공면적에 맞춰 하나 이상을 종과 횡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조립시공이 가능토록 미리 정한 넓이로 규격화된 벽체모듈; 상기 조립벽체 다수를 횡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측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한 종단이음바; 및 상기 조립벽체 다수를 종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하는 횡단이음바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모듈은, 일정두께의 단열재인 하이폴패널; 상기 하이폴패널의 일 표면에 미장으로 마감하여 벽체의 내면을 이루도록 한 황토몰탈층; 상기 하이폴패널의 타 표면에 미장으로 마감하여 벽체의 외면을 이루도록 하는 시멘트몰탈층; 상기 황토몰탈층의 미장 이전에 상기 하이폴패널의 일 표면에 미리 결합시켜 황토의 고착력 증대와 벽체의 구조강도가 증강되도록 한 와이어패널; 및 상기 시멘트몰탈층의 미장 이전에 상기 하이폴패널의 타 표면에 미리 부착시켜 시멘트의 고착력 증대와 벽체의 구조강도가 더 증강되도록 하는 메탈라스로 구성되며, 상기 하이폴패널에는, 상기 종단이음바 및 상기 횡단이음바의 일부가 각각 수용될 수 있는 둘레홈이 테두리단부 중앙을 둘러 내향되고, 상기 둘레홈에는, 상기 종단이음바의 양측 단부 및 상기 횡단이음바의 상,하 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된 다수의 충입돌기들이 억지끼움 삽입될 수 있는 돌기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지지빔은 기초부에서의 지지력 향상을 위해 하단부에 확장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형태의 옹벽의 시공시 철근고정 구성들을 이용하여 철근의 배근 작업을 빠르고 간단하게 수행하여 공기 단축 및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패널고정 구성들을 통해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빔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옹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고정수단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벽체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고정수단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의 측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 구조(10)는 전면패널(100), 후면패널(200), 지지빔(300), 패널고정수단(400), 수평고정수단(500) 및 안전발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00)은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면에는 다수의 조립벽체(800)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다수의 수직고정수단(120)이 형성된다. 전면패널(100)은 조립식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전면패널(100)이 결합되어 옹벽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패널(200)은 전면패널(100)의 후면으로 이격되어 옹벽의 배면을 형성하고, 전면패널(100)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수직고정수단(120)이 형성된다. 후면패널(200)은 조립식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후면패널(200)이 결합되어 옹벽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은 철근(A,B)과 콘크리트(700)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와 체적을 갖는 사각형 판체 형상을 갖도록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옹벽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빔(300)은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기초부에 고정된다. 지지빔(3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H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빔(300)은 기초부에서의 지지력 향상을 위해 하단부에 확장부(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패널고정수단(400)은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고정해준다. 패널고정수단(400)은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패널고정수단(400)이 설치되는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른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수평고정수단(500)은 지지빔(300),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평철근이 옹벽의 폭방향으로 배근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고정수단(500)은, 지지빔(300)에 결합되는 고정판(510)과, 고정판(510)의 하단에서 고정판(510)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520)과, 상기 받침판(520)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고정판과의 사이에 철근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560)을 형성하는 걸림판(530)과, 걸림판(530)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의 외측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판(540)과, 고정판(510)의 상단에서 고정판(510)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700)의 밀실한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덮개판(550)으로 구성된다. 걸림판(530)은 고정판(51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끼움공간(560)으로 끼워지는 수평철근(A)이 끼움공간(56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해주게 되는 것이다. 즉 걸림판(530)이 고정판(51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끼움공간(560)의 상단 폭은 수평철근(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끼움공간(560)으로 끼워지는 수평철근(A)이 걸림판(530)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 고정되어 끼움공간(56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가이드판(540)은 고정판(510)의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끼움공간(560)으로 수평철근(A)을 끼워 넣는 과정에서 수평철근(A)이 가이드판(540)을 통해 받쳐진 상태로 가이드 되면서 끼움공간(560)으로 끼워지게 됨으로써 수평철근(A)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덮개판(550)은 끼움공간(560)으로 끼워진 수평철근(A)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서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 사이에 콘크리트(700)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골재가 덮개판(550)과 간섭되어 끼움공간(560)이나 가이드판(540)과 고정판(510) 사이에 걸려지는 것을 방지해주어 수평철근(A)의 주변으로 콘크리트(700)가 밀실하게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안전발판(600)은 수평철근(A)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자가 상부면을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안전발판(600)은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수평철근(A)에 양 측을 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철근(A, B) 배근이 완료되면 안전발판(600)을 분리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옹벽 설치 구조(10)는 안전발판(600)을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철근을 요구함 없이, 옹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배근되는 철근을 안전발판(600)을 지지하는 철근으로 사용함으로써, 옹벽의 내구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600)은, 상기 안전발판(600)은, 발판부(610), 연결부(620), 연결고리(630), 단속부재(640) 및 완충부재(650)를 포함한다.
발판부(610)는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부면이 일정한 너비를 가지며,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20)는 발판부(610)의 좌우 측에 결합한다. 연결고리(630)는 발판부(610)의 전후 양측에 부착되어 수평철근(A)에 걸쳐진다.
단속부재(640)는 연결부(620)에 결합되어 수평철근(A)을 지지한다. 단속부재(640)는 연결부(620)에 결합하는 브라켓(641), 브라켓(641)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핀(642) 및 가이드핀(642)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는 호형의 받침체(643)를 포함한다. 받침체(643)는 가이드핀(642)에 안내되는 호형의 장홈(643a), 장홈(643a)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수평철근(A)를 지지하는 절곡부(643b) 및 절곡부(643b)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643c)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핀(642)은 복수개 구비되며, 브라켓(641)으로부터 받침체(643)가 회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호 각도를 갖고 고정될 수 있다.
연결고리(630)와 단속부재(640)는 상호 협동하여 수평철근(A)을 안전발판(600)으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완충부재(650)는 연결부(620) 내부에 형성되며, 단속부재(64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킨다. 완충부재(650)는 단속부재(640)와 완충부재(650)를 연결하는 연결바(651), 연결바(651)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52), 상부면이 연결바(651)와 결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단속부재(640)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는 제 1탄성모듈(653) 및 제 1 탄성모듈(653) 하부에 형성되며, 제 1 탄성모듈(653)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는 제 2탄성모듈(654)로 형성된다. 제 1 탄성모듈(653)은 스프링 등 탄성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탄성모듈(654)은 제 1 탄성모듈(653) 보다 더욱 밀실한 구성으로서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핀(642)은 복수개 구비되며, 브라켓(641)으로부터 받침체(643)가 회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로 각도를 갖고 고정된다. 받침체(643)는 가이드핀(642)에 안내되는 호형의 장홈(643a) 및 장홈(643a)이 형성된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수평철근(A) 저부를 받치는 절곡부(643b)와, 절곡부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643c)로 이루어진다. 절곡부(643b)는 수평철근(A)을 떠받치는 이유로 받침체(643)의 강성을 위해 5~8mm 비교적 짧은 길이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핀(642)은 양측에 머리부를 두어 상기 브라켓(641)에 고착되어 다른 한쪽의 머리부는 받침체(643)의 장공(643a)이 이탈되지 않도록 조합된다. 단속부재(640)는 안전발판(600)의 발판부(C)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는 안전발판(600)의 양측을 수평철근(A)에 지지함에 있어, 단속부재(640)의 위치를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하여 수평철근(A)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연결고리와 함께 안정된 지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안전발판(600)은 종래와 동일하게 가설되는 수평철근(A)에 안전발판(600)의 연결고리(630)의 수용홈(631)을 각각 안치시켜 파이프상에 받쳐주되, 안전발판(600)의 양측 연결부(620)에 마련된 단속부재(640)를 통해 수평철근(A)을 완전히 홀딩하는 형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수평철근(A)에 연결고리(630)의 수용홈(631)을 안치시키는 과정에서 단속부재(640)를 구성하는 받침체(643)의 손잡이부(643c)를 상부로 당기면, 받침체(643)는 장홈(643a)에 브라켓(641)에 설치된 가이드핀(64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철근(A)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시킨다. 연결고리(630)가 먼저 수평철근(A)에 안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643c)에서 손을 놓게 되면, 상기 장공(643a)은 가이드핀(642)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받침체(643)의 절곡부(643b)는 수평철근(A) 저면을 받치는 형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는 연결고리(630)의 수용홈(631)과 반대되는 위치에서 받침체(643)의 절곡부(643b)가 수평철근(A)의 저부를 더 받치는 형태가 되어 인위적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철근(A)에서 연결고리(630)가 상부로 해체되지 않게 지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단속부재(640)는 안전발판(6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어 있어, 안전발판(600)의 들뜸 현상을 없애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600)의 해체는 기존의 록킹가이드가 적용된 연결고리방식에 비해 상기 단속부재(640)의 손잡이부(643c)를 상부에서 그대로 들어올리게 되면, 수평철근(A) 저부로부터 받침체(643)가 유동되어 해제되는 상태가 되며, 이때 그대로 안전발판(600)을 수평철근(A)의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해체작업 또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고정수단을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고정수단(120)은 본체모듈(121) 및 결합덮개(122)를 포함한다.
본체모듈(121)은 수직철근(B)이 위치되도록 아래로 둥글게 라운드된 안착홈이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안착홈의 양측을 따라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덮개(122)는 탄성이 있고 상부로 둥근 반원형상으로, 안착홈에 철근이 위치된 상태에서 양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수직철근(B)에 상기 본체모듈(121)을 결합한다. 양 결합돌기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과 상면 사이에 외측이 개방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덮개(122)의 양단부에는 양 끼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이 각각 형성된다.
본체모듈(121)에 수직철근(B)을 위치시킨 후 결합덮개(122)를 본체모듈(121)에 결합시킴으로써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 사이에 콘크리트(700)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골재 등 수직철근(B)과 충돌하여 수직철근(B)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신뢰도가 높은 옹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벽체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벽체(800)는맞춰 하나 이상을 종과 횡으로 배치 조립이 가능토록 미리 정한 넓이로 규격화된 벽체모듈(810)과, 벽체모듈(810) 다수를 횡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측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한 종단이음바(820)와, 벽체모듈(810) 다수의 종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상,하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하는 횡단이음바(830)로 구성된다.
벽체모듈(810)은 열 손실이나 열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압출 단열재인 하이폴패널(811)과, 상기 하이폴패널(811)의 일 표면에 미장으로 마감하여 벽체의 내면을 이루도록 한 황토몰탈층(812)과, 상기 하이폴패널(811)의 타 표면에 미장으로 마감하여 벽체의 외면을 이루도록 하는 시멘트몰탈층(813)과, 황토몰탈층(812) 미장 이전에 하이폴패널(811) 일 표면에 미리 결합시켜 황토의 고착력(固着力) 증대와 더불어 벽체의 구조강도가 증강되도록 한 와이어패널(814)과, 상기 시멘트몰탈층(813) 미장 이전에 하이폴패널(811) 타 표면에 미리 부착시켜 시멘트의 고착력 증대와 아울러 벽체의 구조강도가 더 증강되도록 하는 메탈라스(815)로 구성된다.
하이폴패널(811)은, 열전도율이 낮고 방습성이 뛰어나며 단열성이 반영구적이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압출 폴리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그 테두리단부 중앙에는 둘레홈(811-1)이 전체를 둘러 내향되고, 상기 둘레홈(811-1)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소정깊이를 갖는 돌기공(811-1a)이 다수 형성된다.
황토몰탈층(812)은, 분해력과 자장력, 흡수력 등 많은 약성을 가지고 있어 습도 조절기능과 온도 유지기능, 원적외선 방출, 생리작용 활성화 등의 효능이 큰 함수 산화철과 무수 산화철을 함유한 구토와 흙으로 이뤄진 황토를 물에 반죽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시멘트몰탈층(813)은, 마감을 통한 내구성 향상을 위함이되 최소한의 두께로 미장 마감함이 바람직하다.
와이어패널(Wire panel, 814)은, 벽체모듈(810)의 구조강도 달성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철선이 횡과 종으로 서로 직교하는 망상(網狀)의 평행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탈라스(Metal lath, 815)는, 미장공사시 사용되는 연강제(軟鋼製)인 것으로, 통상 두께 0.35~0.88mm의 탄소강 박판(薄板)에 일정한 방향으로 등간격의 절단면을 내고 옆으로 길게 늘여서 그물코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종단이음바(820)는, 하나 이상이 횡렬로 배치되는 벽체모듈(810) 상호 간의 조립시공 및 시공상태 유지를 위한 것으로, 양측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외향 돌출되는 충입돌기(821)가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횡단이음바(830)는, 하나 이상이 종렬로 적층되는 벽체모듈(810) 상호 간의 조립시공 및 시공상태 유지를 위한 것으로, 종단이음바(82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충입돌기(831)가 상,하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외향 돌출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고정수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고정수단(400)은, 제1, 고정봉(410), 제2 고정봉(420), 높이조절구(430) 및 고정구(44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봉(410)은 후술되는 제2 고정봉(420)과 결합되어 옷걸이가 걸어지도록 [0020] 옷장(1) 내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고정봉(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 모양인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일단에는 걸이부재(41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막음부재(412)가 설치된다.
이때 걸이부재(411)는 후술되는 높이조절구(430)가 끼움 조립되도록 소정 폭의 끼움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막음부재(412)는 제1 고정봉(410)이 후술되는 스프링설치부(422)의 탄성스프링(422A)과 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2 고정봉(420)은 제1 고정봉(410)의 타단이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전체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고정봉(420)은 일단에는 제1 고정봉(410)이 삽입되기 위한 스프링설치부(42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1 고정봉(410)과 동일한 구조의 걸이부재(421)가 설치된다. 이때 제2 고정봉(420)의 일단은 스프링설치부(422)와 제1 고정봉(41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설치부(422)는 내부에 탄성스프링(422A)이 삽입 설치되고, 이에 의해 제1 고정봉(410)이 탄성스프링(422A)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제2 고정봉(420)의 구성에 의해 제1, 2 고정봉(410, 420)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22A)에 의해 제1, 2 고정봉(410, 420)이 적절하게 탄성 지지되면서 후술되는 고정구(440)를 따라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된다.
높이조절구(430)는 제1, 2 고정봉(410, 420)에 설치된 걸이부재(411, 42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후술되는 고정구(44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 고정홈(44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제1, 2 고정봉(410, 4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높이조절구(43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메인바디(1)와, 메인바디(431)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제1, 2 고정봉(410, 420)의 걸이부재(411, 421)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공(432) 및 메인바디(431)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433)를 포함한다.
이때 끼움공(432)은 "C"자 모양이 되도록 끼움공(432)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절개부(432A)가 일측에 형성되고, 경사돌기(433)의 선단에는 원통 모양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43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434)의 상, 하측에는 걸림돌기(434A)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돌기(434A)에 의해 높이조절구(430)가 고정구(440)에 삽입될 때, 걸림돌기(34A)의 위치와 후술되는 고정구(440)의 승강안내판(442, 442')에 형성된 장공(442A)의 위치를 맞추어 삽입한 다음, 제1, 2 고정봉(410, 420)을 대략 90°로 회전시켜 사용되고, 이에 의해 고정구(440)로부터 높이조절구(430)가 임의로 위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구(430)의 구성에 의해 제1, 2 고정봉(410, 420)에 설치된 걸이부재(411, 421)에 높이조절구(430)가 쉽고 강건하게 조립되고, 이에 더해 경사돌기(433)와 가이드돌기(434)에 의해 후술되는 고정구(440)를 따라 제1, 2 고정봉(410, 420)의 설치 높이가 안정적으로 조절된다.
고정구(440)는 전면패널(100), 후면패널(200)의 내부 양측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높이조절구(430)가 삽입되어 제1, 2 고정봉(410, 420)이 상하로 높이 조절됨과 동시에 높이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구(440)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 하측에 나사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441A)가 구비되는 고정구본체(441)와, 고정구본체(441)의 일측면에 형성되면서 높이조절구(430)가 삽입 안내되는 장공(442A)이 형성된 승강안내판(442, 442') 및 승강안내판(442, 442')의 장공(442A)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는 위치 고정홈(443)을 포함한다. 이때 위치 고정홈(443)은 높이조절구(430)의 경사돌기(433)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승강안내판(442, 442')의 후방 쪽에는 높이조절구(430)의 가이드돌기(434)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하 수직 방향만으로 이동이 안내되도록 소정 간격의 가이드홀(444)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내부에 설치된 고정구(440) 사이로 상호 조립된 제1, 2 고정봉(410, 420)의 길이를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일단의 높이조절구(430)를 일측 고정구(440)의 장공(442A)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다른 쪽의 높이조절구(430)가 또 다른 고정구(440)의 장공(42A)에 삽입되도록 제1, 2 고정봉(410, 42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축시킨 제1, 2 고정봉(410, 420)을 놓으면, 압축된 탄성스프링(42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2 고정봉(410, 420)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양측 고정구(440) 사이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 2 고정봉(410, 420)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2 고정봉(410, 420)의 길이를 다시 수축시킨 상태에서 장공(442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1, 2 고정봉(410, 420)을 위치 이동시켜 적절한 높이의 위치 고정홈(443)에 경사돌기(433)가 위치되도록 조절하고, 이 상태에서 수축시킨 제1, 2 고정봉(410, 420)을 놓으면 탄성스프링(42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측 높이조절구(430)의 경사돌기(433)가 양측 고정구(440)의 위치 고정홈(43)에 맞닿도록 삽입되면서 제1, 2 고정봉(410, 420)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때 제1, 2 고정봉(10, 20)에는 제1, 2 고정봉(410, 420)이 임의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2 고정봉(410, 42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스프링설치부(422)에 구비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옷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제1, 2 고정봉(410, 420)이 임의로 수축되지 않으면서 설치된 제1, 2 고정봉(410, 420)의 높이가 강건하게 유지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옹벽 설치 구조
100: 전면패널
200: 후면패널
300: 지지빔
400: 패널고정수단
500: 수평고정수단
600: 안전발판
700: 콘크리트
800: 조립벽체

Claims (2)

  1.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으로 이격되어 옹벽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다수의 수직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다수의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기초부에 고정되는 지지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고정해주는 패널고정수단;
    상기 지지빔에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고정판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고정판과의 사이에 철근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연장된 끝단에서 고정판의 외측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고정판과 직교되어 수평하게 연장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밀실한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빔,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수평철근이 상기 옹벽의 폭방향으로 배근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고정수단;
    상기 수평철근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자가 상부면을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상기 수평철근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일 측면에는 다수의 조립벽체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다수의 수직고정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수단은,
    수직철근이 위치되도록 아래로 둥글게 라운드된 안착홈이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을 따라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모듈; 및 탄성이 있고 상부로 둥근 반원형상으로, 상기 안착홈에 철근이 위치된 상태에서 양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철근에 장착구 본체를 결합하는 결합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양 결합돌기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과 상면 사이에 외측이 개방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덮개의 양단부에는 양 끼움홈에 끼울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널고정수단은,
    수평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에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제1 고정봉;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봉의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에는 걸이부재가 설치되는 제2 고정봉; 상기 제1, 2 고정봉의 상기 걸이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높이조절구; 및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높이조절구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호 조립된 상기 제1, 2 고정봉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로부터 위치 이동 또는 위치 고정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되며,
    상기 높이조절구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걸이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공; 및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벽체는
    벽체의 시공면적에 맞춰 하나 이상을 종과 횡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조립시공이 가능토록 미리 정한 넓이로 규격화된 벽체모듈; 상기 조립벽체 다수를 횡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측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한 종단이음바; 및 상기 조립벽체 다수를 종으로 배치조립시, 상호 밀착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접합고정을 위하는 횡단이음바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모듈은, 일정두께의 단열재인 하이폴패널; 상기 하이폴패널의 일 표면에 미장으로 마감하여 벽체의 내면을 이루도록 한 황토몰탈층; 상기 하이폴패널의 타 표면에 미장으로 마감하여 벽체의 외면을 이루도록 하는 시멘트몰탈층; 상기 황토몰탈층의 미장 이전에 상기 하이폴패널의 일 표면에 미리 결합시켜 황토의 고착력 증대와 벽체의 구조강도가 증강되도록 한 와이어패널; 및 상기 시멘트몰탈층의 미장 이전에 상기 하이폴패널의 타 표면에 미리 부착시켜 시멘트의 고착력 증대와 벽체의 구조강도가 더 증강되도록 하는 메탈라스로 구성되며,
    상기 하이폴패널에는, 상기 종단이음바 및 상기 횡단이음바의 일부가 각각 수용될 수 있는 둘레홈이 테두리단부 중앙을 둘러 내향되고, 상기 둘레홈에는, 상기 종단이음바의 양측 단부 및 상기 횡단이음바의 상,하 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된 다수의 충입돌기들이 억지끼움 삽입될 수 있는 돌기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지지빔은 기초부에서의 지지력 향상을 위해 하단부에 확장부가 더 형성되는, 옹벽 설치 구조.
  2. 삭제
KR1020190174687A 2019-12-26 2019-12-26 옹벽 설치 구조 KR102110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87A KR102110597B1 (ko) 2019-12-26 2019-12-26 옹벽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87A KR102110597B1 (ko) 2019-12-26 2019-12-26 옹벽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597B1 true KR102110597B1 (ko) 2020-05-28

Family

ID=7092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687A KR102110597B1 (ko) 2019-12-26 2019-12-26 옹벽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2259A (zh) * 2020-06-05 2020-09-04 张健 快速成型的高速公路挡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49B1 (ko) 2009-02-05 2009-10-22 이영우 조립식 옹벽구조
KR102002924B1 (ko) * 2019-02-12 2019-07-23 김기로 철근 고정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패널을 거푸집으로 하는 조립식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49B1 (ko) 2009-02-05 2009-10-22 이영우 조립식 옹벽구조
KR102002924B1 (ko) * 2019-02-12 2019-07-23 김기로 철근 고정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패널을 거푸집으로 하는 조립식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2259A (zh) * 2020-06-05 2020-09-04 张健 快速成型的高速公路挡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581B2 (en) Adjustable masonry anchor assembly for use with insulating concrete form systems
US8231100B2 (en) Concrete form brace having article securing mechanism
US5634305A (en) System for stone cladding of buildings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G61821B1 (bg) Модулна стенна конструкция, съставена от елементи от бетон ипенопласт, и метод и съоръжение за построяването й
KR102284789B1 (ko) 외벽마감장치
KR102110597B1 (ko) 옹벽 설치 구조
KR102113869B1 (ko) 안전발판 설치구조
US20060260239A1 (en) Concrete form brace
KR100697555B1 (ko)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101692203B1 (ko) 메쉬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면매설용 중심 가이드장치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KR101456159B1 (ko)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용 발판
KR102069445B1 (ko)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KR100536772B1 (ko)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0408599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102069446B1 (ko) 슬라이드 포켓 압입 클립이 적용된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28748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설치 공법
KR200280023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RU175404U1 (ru) Несъемная опалубка для фундаментов
US46852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building brick veneer footings
EP1479851A1 (en) Railing anchor and accompanying railing support
EP1238172B1 (en)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