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941Y1 - 건축용 동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동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7941Y1 KR200277941Y1 KR2020020008963U KR20020008963U KR200277941Y1 KR 200277941 Y1 KR200277941 Y1 KR 200277941Y1 KR 2020020008963 U KR2020020008963 U KR 2020020008963U KR 20020008963 U KR20020008963 U KR 20020008963U KR 200277941 Y1 KR200277941 Y1 KR 2002779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tube
- stop pin
- slide
- height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등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하되,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동바리의 높이조절이 간편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를 양생 후 동바리의 분리가 간편 용이하며, 각 부품의 손,망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지지관 상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외부지지관과, 상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지지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지지관과,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의 나사부에 결합된 높이조절체와, 상기 슬라이드공과 결합공을 동일축선상에 결합하여 높이조절체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멈춤핀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시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동바리에 있어서,
외부지지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관통 형성된 양측 슬라이드공 중 일측은 타측 슬라이드공에 비하여 적어도 두배의 크기를 갖는 확장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선상의 나사부에는 지렛대받침체가 나사식 결합되고,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의 타측 슬라이드공선상에는 높이조절체가 나사식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단에는 나사부의 간섭 없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하되 그 상단에 멈춤핀이 안착될 수 있도록 동일축선상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직교축선상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에 타격돌기가 형성된 멈춤핀받침체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지지관의 상단 일측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멈춤핀의 일단은 일정길이의 연결끈에 의하여 상기 외부지지관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에 슬래브 등을 양생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동바리의 높이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양생 후 동바리의 분리가 간편 용이하며, 각 부품의 손,망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식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을 시공시에는 거푸집으로 그 형태를 잡은 다음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서 안정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을 형성하였던 바, 특히 슬래브(건축에서 콘크리트로 부어 만든 바닥이나 지붕)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와 동시에 거푸집의 하단에 다수개의 동바리(지주대)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거푸집의 일정높이가 유지되도록 하였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거푸집에 타설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하중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서, 콘크리트를 양생시 슬래브의 휘어짐이나 균열을 방지하여 안전한 건축이이루어지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는 도 1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하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11)이 형성되며 지지관 상부 외주연에 나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2')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13)이 관통 형성된 외부지지관(10)과; 상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21)이 형성되며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22)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10)에 삽입 결합된 내부지지관(20)과;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10)의 나사부(12')에 결합된 높이조절체(30)와, 상기 슬라이드공(13)과 결합공(22)을 동일축선상에 결합하여 높이조절체(30)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동바리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멈춤핀(40')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는 외부지지관(10)의 슬라이드공(13)을 통하여 내부지지관(20)에 형성된 결합공(22)에 멈춤핀(40')을 결합 설치하였으며, 상기 결합된 멈춤핀(40')의 양단은 외부지지관(10)의 나사부(12')에 결합된 높이조절체(30)의 상단에 접하여 걸림으로서 내부지지관(20)이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건축용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멈춤핀(40')이 걸린 상태의 높이조절체(30)를 상,하로 조절하여 내부지지관(20)의 높이를 조절하였던 것이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공(13)의 가변길이를 벗어난 길이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멈춤핀(40')이 결합되는 내부지지관(20)의 결합공(22)을 바꾸어 결합한 후, 높이조절체(30)를 이용하여 미세조절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슬래브를 형성시 거푸집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다수개의 동바리가 설치된 일부 지반이 침하될 수 있었던 것으로, 이에 종래에는 침하된 지반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체(30)를 강제적으로 상향 조절하여 내부지지관(20)의 높이를 높였던 것이다.
즉,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체(30)를 강제적으로 상향 회전시켜 내부지지관(20)을 일정높이 상승되도록 하거나, 망치 등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체(3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를 타격하여 강제적으로 상향 회전시킴으로서 내부지지관(20)을 일정높이 상승시켰던 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중에 의하여 높이조절체(30)를 상향 회전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강제적으로 상향 회전시에는 나사부(12')가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상기 강압적으로 높이조절체(30)를 조절하면 동바리 자체의 위치 및 균형이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많은 제반 문제점이 잇따르게 되었다.
한편, 상기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후에는 상기 설치된 다수개의 동바리를 제거해야 하는 것으로, 이 또한 각각의 동바리에 콘크리트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로 콘크리트 슬래브가 양생됨에 따라 동바리를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즉, 설치된 동바리를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해서는 높이조절체(30)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내부지지관(20)을 콘크리트 거푸집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후, 멈춤핀(40')을 분리하여 동바리를 제거하였던 것으로, 이때, 높이조절체(30)를 하향회전시 상기 높이조절체(30)의 상단에 밀착된 멈춤핀(40')이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높이조절체(30)를 초기에 수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망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 강하게 타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건축용 동바리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손,망실이 매우 잦았었던 것으로, 특히 멈춤핀(40')이나 높이조절체(30)와 같은 작은 부품에 대해서는 그 관리 및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잦은 손,망실로 인한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등 매우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양생 후, 설치된 동바리의 분리 및 제거시 멈춤핀의 분리가 간편 용이하도록 한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양생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하여 동바리가 설치된 지반이 침하된 경우 설치된 동바리의 높이를 상승 조절하여 침하된 지반의 높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되,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중에 대하여 간편하게 내부지지관을 상승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부품의 손,망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손,망실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결합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의 요부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의 상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외부지지관 11 ; 받침판
12 ; 나사부 13 ; 슬라이드공
14 ; 확장슬라이드공 15 ; 이탈방지돌기
20 ; 내부지지관 21 ; 받침판
22 ; 결합공 30 ; 높이조절체
40 ; 멈춤핀 41 ; 연결끈
50 ; 지렛대받침체 60 ; 멈춤핀받침체
61 ; 요홈 62 ; 타격돌기
63 ; 걸림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는,
하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지지관 상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외부지지관과, 상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지지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지지관과,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의 나사부에 결합된 높이조절체와, 상기 슬라이드공과 결합공을 동일축선상에 결합하여 높이조절체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멈춤핀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시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동바리에 있어서,
외부지지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관통 형성된 양측 슬라이드공 중 일측은 타측 슬라이드공에 비하여 적어도 두배의 크기를 갖는 확장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선상의 나사부에는 지렛대받침체가 나사식 결합되고,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의 타측 슬라이드공선상에는 높이조절체가 나사식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단에는 나사부의 간섭 없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하되 그 상단에 멈춤핀이 안착될 수 있도록 동일축선상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직교축선상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에 타격돌기가 형성된 멈춤핀받침체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지지관의 상단일측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멈춤핀의 일단은 일정길이의 연결끈에 의하여 상기 외부지지관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결합사시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를 보인 결합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의 요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의 상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는 도 2내지 도 7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우선 일정길이의 외부지지관(10)과, 상기 외부지지관(10)에 삽입결합되는 내부지지관(20)과, 상기 외부지지관(10)에 결합되는 지렛대받침체(50) 및 높이조절체(30), 멈춤핀받침체(60)와, 상기 외부지지관(10) 및 내부지지관(20)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멈춤핀(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지지관(10)은 일정넓이를 갖는 받침판(11)의 상단에 일정길이의 지지관이 형성되는 바, 그 지지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2)가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나사부(12)의 적소에는 멈춤핀(40)이 관통 결합되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슬라이드공(13)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부에 관통 형성된 슬라이드공 중 일측은 타측의 슬라이드공보다 적어도 두 배의 크기 갖는 확장슬라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의 폭은 일정직경의 봉체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하며, 상,하 길이는 상기 타측의 슬라이드공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두 배의 길이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의 선상에 지렛대받침체가 상,하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지지관(20)은 상단에 거푸집을 받칠 수 있도록 일정넓이의 받침판(21)이 형성되며, 그 받침판(21)의 하단에는 일정길이의 지지관이 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관 외면의 하단 적소에는 멈춤핀(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22)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하되, 각각의 결합공(22) 사이의 간격은 대략 11 ~ 15cm 내외로 하여 다수개 형성한다.
특히, 상기 내부지지관(20)의 외경은 외부지지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되, 내부지지관(20)이 외부지지관(1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없도록 하며, 멈춤핀(40)에 의하여 고정된 동바리의 길이는 일반적 건축구조물의 바닥면과 슬래브 사이의 높이에 준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 건축구조물의 바닥면과 슬래브의 허용높이편차에 대한 동바리의 설치높이를 조절시에는 상기 내부지지관(20)의 결합공(22)과 슬라이드공(13)의 상,하 조절에 의하여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지렛대받침체(50)는 외부지지관(1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식 결합되도록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그 외측면 적소에는 망치 등으로 가볍게 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확장슬라이드공(14) 상에 위치되도록 나사식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체(30)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10)의 외면 나사부(12)에 나사식 결합되도록 내면에 암사사부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외측면 적소에는 망치 등으로 가볍게 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슬라이드공(13) 상에 위치되도록 나사식 결합된다.
상기 멈춤핀받침체(60)는 상기 높이조절체(30) 또는 지렛대받침체(50)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되, 그 내측면은 암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외부지지관(10)의 외직경 즉,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산고보다 크게 형성되어 나사부(12)의 간섭없이 높이조절체(30)의 상측에서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측면 적소에는 상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망치 등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타격돌기(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멈춤핀받침체(60)의 상단에는 멈춤핀(40)이 안착될 수 있는 정도의 요홈(61)이 동일축선상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멈춤핀(40)이 멈춤핀받침체(60)의 상단에 놓인 상태에서 망치 등으로 타격돌기(62)를 타격하여 멈춤핀받침대(60)를 일정각도 회선시키면, 상기 멈춤핀(40)이 요홈(61)에 떨어져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멈춤핀(40)이 요홈(6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멈춤핀받침체(60)의 상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멈춤핀받침체(60)의 상단에는 요홈(61)의 수평 직교방향으로 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되는 바, 이는 멈춤핀(4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멈춤핀(40) 두께의 1/3 이하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멈춤핀에 걸리어 멈춤핀받침체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와 같이 외면에 형성된 외부지지관(10)의 나사부(12)에 지렛대받침체(50) 및 높이조절체(30), 멈춤핀받침체(60)가 순서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지지관(10)의 나사부(12) 상단 외주연의 일측에는 상기 지렛대받침체(50) 및 높이조절체(30), 멈춤핀받침체(6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5)가 형성되는 바, 이는 후에 용접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멈춤핀(40)은 내부지지관(20)이 외부지지관(1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공(22)의 위치를 슬라이드공(13) 선상에 일치시킨 후 관통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멈춤핀(40)의 길이는 외부지지관(10)의 단부 직경보다 길게 형성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 끝단이 멈춤핀받침체(60)의 상단이나 요홈(6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일단에는 상기 외부지지관(10)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5) 등 외부지지관의 적소에 연결끈(41) 또는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용 동바리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을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와 동시에 그 하단에는 바닥과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상태로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를 다수개 설치하는 바, 이에 동바리가 설치된 지반이 불안정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지반이나 동바리가 침몰되거나 변형시에는 상기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를 보상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확장슬라이드공(14) 선상의 적정한 위치에 지렛대받침체(50)를 위치설정하고 봉 형상의 지렛대를 상기 확장슬라이드공(14)에 결합하여 외부지지관(10) 내부에 결합된 내부지지관(20)의 하단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들어올린 후 높이조절체(30)를 상향 회전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내부지지관(20)의 높이를 상승 조절한다.
또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슬래브를 양생 후에는 설치된 동바리를 분리 및 제거해야 하는 바, 이때는 멈춤핀(40)이 멈춤핀받침체(60)의 상단에 걸려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에서 망치 등으로 멈춤핀받침체(60)의 타격돌기(62)를 가볍게 타격하여 상기 요홈(61)에 멈춤핀(40)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 거푸집과 내부지지관(20) 사이에 멈춤핀(40)의 두께만큼의 여유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간편하게 높이조절체(30)를 조절하여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돌기(15)에 의하여 상기 멈춤핀받침체(60)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다른 부품이 손,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멈춤핀(40)의 일단을 외부지지관(10)과 연결끈(41) 등으로 연결함으로서, 멈춤핀(40)에 대한 손,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고 있는 동바리에 있어서, 멈춤핀이 안착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된 멈춤핀받침체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동바리의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한 효과 및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양생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하여 동바리가 설치된 지반이 침하됨으로 인한 동바리의 높이 상승조절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내부지지관을 상승시킨 후, 높이조절체를 조절하여 조절된 높이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이 간편하고 효과적이며, 나사부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므로 인하여 나사부의 마모나 판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지지관의 상단에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며, 멈춤핀의 끝단을 외부지지관의 적소에 연결끈 등으로 연결시킴에 의하여 부품의 손,망실을 방지하며, 그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하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지지관 상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적소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외부지지관과, 상단에 일정넓이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지지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에 삽입 결합되는 내부지지관과,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지지관의 나사부에 결합된 높이조절체와, 상기 슬라이드공과 결합공을 동일축선상에 결합하여 높이조절체의 상단에 걸린 상태로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멈춤핀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시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동바리에 있어서,외부지지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관통 형성된 양측 슬라이드공 중 일측은 타측 슬라이드공에 비하여 적어도 두배의 크기를 갖는 확장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선상의 나사부에는 지렛대받침체가 나사식 결합되고, 상기 확장슬라이드공의 타측 슬라이드공선상에는 높이조절체가 나사식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단에는 나사부의 간섭 없이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하되 그 상단에 멈춤핀이 안착될 수 있도록 동일축선상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직교축선상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그 외면에 타격돌기가 형성된 멈춤핀받침체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지지관의 상단 일측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핀의 일단은 일정길이의 연결끈에 의하여 상기 외부지지관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963U KR200277941Y1 (ko) | 2002-03-26 | 2002-03-26 | 건축용 동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963U KR200277941Y1 (ko) | 2002-03-26 | 2002-03-26 | 건축용 동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7941Y1 true KR200277941Y1 (ko) | 2002-06-20 |
Family
ID=7312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8963U KR200277941Y1 (ko) | 2002-03-26 | 2002-03-26 | 건축용 동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7941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0073B1 (ko) * | 2009-12-02 | 2011-12-29 | (주)영신소방공업 | 소화전함 설치용 내압 지지장치 |
KR200479487Y1 (ko) | 2015-10-30 | 2016-02-12 | 주식회사 진아스틸 |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
KR101641576B1 (ko) * | 2015-10-30 | 2016-07-21 | 주식회사 진아스틸 |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
KR20190101552A (ko) * | 2018-02-23 | 2019-09-02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
CN111734352A (zh) * | 2020-07-17 | 2020-10-02 | 西南石油大学 | 一种布酸效果好的均匀布酸装置 |
KR102344699B1 (ko) * | 2020-11-30 | 2021-12-29 | (주) 이사나라 | 에어컨의 매립 배관 교체 작업용 장비 |
-
2002
- 2002-03-26 KR KR2020020008963U patent/KR2002779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0073B1 (ko) * | 2009-12-02 | 2011-12-29 | (주)영신소방공업 | 소화전함 설치용 내압 지지장치 |
KR200479487Y1 (ko) | 2015-10-30 | 2016-02-12 | 주식회사 진아스틸 |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
KR101641576B1 (ko) * | 2015-10-30 | 2016-07-21 | 주식회사 진아스틸 |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
KR20190101552A (ko) * | 2018-02-23 | 2019-09-02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
KR102066550B1 (ko) * | 2018-02-23 | 2020-01-15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
CN111734352A (zh) * | 2020-07-17 | 2020-10-02 | 西南石油大学 | 一种布酸效果好的均匀布酸装置 |
KR102344699B1 (ko) * | 2020-11-30 | 2021-12-29 | (주) 이사나라 | 에어컨의 매립 배관 교체 작업용 장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5238B1 (ko) |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 |
CA2667106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olumn | |
US8893444B2 (en) | Anchoring system with post angular adjustment | |
KR200277941Y1 (ko) | 건축용 동바리 | |
US20180058082A1 (en) | Ground anchor bracket for multiple wall braces | |
KR20070043743A (ko) | 건축용 동바리 | |
KR101819533B1 (ko) |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 |
KR200291531Y1 (ko) |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핀 | |
KR200412991Y1 (ko) |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 |
JP6779102B2 (ja) | プレハブ式階段 | |
KR102078285B1 (ko) |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 |
US6131884A (en) | Tool for extraction of stakes | |
KR20080101581A (ko) | 건축용 동바리 | |
KR200235678Y1 (ko) | 석재 고정구 | |
KR200352506Y1 (ko) | 거푸집 지지구조 | |
CN205688456U (zh) | 一种建筑施工专用地脚螺栓定位及固定装置 | |
AU2006201409A1 (en) | Stump Former | |
EP2584096A1 (en) | Road barrier | |
KR100815585B1 (ko) |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 |
KR200278253Y1 (ko) |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 |
JP2001348952A (ja) | 鉄骨柱の位置調整装置 | |
KR101032138B1 (ko) | 도로 경계석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86937Y1 (ko) | 클램프가 장착된 건축용 서포트 | |
CN209457338U (zh) | 地坪的支模结构 | |
KR100705608B1 (ko) |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가변지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