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50B1 -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50B1
KR102066550B1 KR1020180021654A KR20180021654A KR102066550B1 KR 102066550 B1 KR102066550 B1 KR 102066550B1 KR 1020180021654 A KR1020180021654 A KR 1020180021654A KR 20180021654 A KR20180021654 A KR 20180021654A KR 102066550 B1 KR102066550 B1 KR 10206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bracket
bracket
slab
formwork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552A (ko
Inventor
이웅균
조현지
김예찬
이영훈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L자 브라켓과,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 및 상기 L자 브라켓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를 포함하며,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I자 브라켓 및 상기 L자 브라켓과 상기 I자 브라켓을 내부 빈 공간에 면접하여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L,I자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L,I자 브라켓의 길이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보마다 각각 맞춤형 시공이 가능하며,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I자 브라켓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맞춤 시공이 좀 더 간편해짐과 동시에 투입되는 노무비 등의 공사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BEAM BRACKET AND SLAB WITH LENGTH ADJUSTMENT L,I BRACKET TO SUPPORT THE UNIFIED BODY}
본 발명은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L자 브라켓과,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 및 상기 L자 브라켓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를 포함하며,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I자 브라켓 및 상기 L자 브라켓과 상기 I자 브라켓을 내부 빈 공간에 면접하여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L,I자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하도록 되어진 새로운 구조의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각 층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슬래브는 기둥과 보의 상측에 얹히도록 시공되어짐으로써 지지력을 발휘하며, 특히 보는 상부 슬래브에 가해지는 충격을 전달받아 기초로 전달하는 건축구조 상 매우 중요한 부재로 알려져 있으며, 보의 시공 없이 기둥만으로는 슬래브에 가해지는 상부 하중 또는 충격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고 붕괴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현대 건축물에 있어서 보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의 시공 시, 보의 형태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에 대한 재질의 밀실성, 위치·형상·치수의 정확성, 거푸집 지지구조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 위치의 고정성,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 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의 시공과 관련된 종래 기술 중 등록실용신안 20-0482972호에서는 "빔 브라켓"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한 쌍의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면에서 활주되는 활주부재로 구성되는 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고정체로 구성되고, 상기 활주부재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고정체를 감싸면서 상기 안착구의 상부면에서 활주되도록 안착되는 활주구와; 상기 활주구의 일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수직바; 및 상기 활주구가 상기 고정체에서 활주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구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구는 상기 고정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너트홈과 상기 활주구의 후면에서 관통되게 장착되고, 상기 너트홈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활주구는 상기 장홀에 의하여 전후로만 활주 가능한 대신, 상하로는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져 거푸집 설치 시 서로 다른 규격의 보마다 거푸집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 및 길이조절 시에도 좌, 우 길이를 전부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앞선 종래 기술 중 등록실용신안 20-0475224호에서는 “트러스 보 시공 조립체”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수직패널(11)과, 상기 제1 수직패널(11)과 나란하도록 이격배치되는 제2 수직패널(13)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패널(11, 13)의 하단에 배치되는 수평패널(15)과, 길이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패널(11, 13)과 상기 수평패널(15)을 연결하는 코너앵글(17)을 포함하는 보 거푸집(10)을 설치하는 트러스 보 시공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1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패널(15)을 지지하는 지지대(30); 상기 지지대(30)의 하부 양측부와 작업 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30)를 상기 작업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서포터(20); 상기 제1 수직패널(11)과 나란하도록 상기 지지대(3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제1 수직패널(11)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제1 돌출바(41); 상기 제2 수직패널(13)과 나란하도록 상기 지지대(30)의 상부 타측에서 상기 제2 수직패널(13)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제2 돌출바(43); 상기 제1 및 제2 돌출바(41, 43)의 각각에 나사 결합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나사봉(42)과,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패널(11, 13)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 파이프부재(44)와, 상기 나사봉(42)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42)을 회전시키는 회전부(46)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46)를 통해 상기 나사봉(42)을 회전시켜 상기 파이프부재(44)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패널(11, 13)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40); 절곡된 일측은 상기 파이프부재(44)의 저면을 접촉 지지하고, 절곡된 타측은 상기 나사봉(42)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44)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부재(44)의 측면을 감싸 상기 파이프부재(44)를 지지하는 받침부재(144); 상기 지지대(30)의 하부 양측부로부터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포터(20)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31); 상기 서포터(20)의 사이를 연결하는 횡대(21); 및 상기 서포터(20)와 상기 작업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상기 작업 공간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으로 상기 서포터(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높이 조절부(23); 를 포함하되, 상기 보 거푸집(10)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40)의 나사봉(4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 수직패널(11, 13)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23)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23)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기 서포터(20)의 높이도 함께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보 거푸집(10)의 트러스 보(12)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상기 보 거푸집(10)의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의 종래 기술에서는 서포터의 상단의 연결을 횡대를 이용하지 않고 지지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1개의 횡대만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의 효율이 크지 못하며, 더욱이 콘크리트의 측압을 받아내는데 무리가 있어 버티기 힘들고 파손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앞선 종래 기술 중 등록특허 10-1329385호에서는 “완충체가 구비된 가변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 거푸집(101)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파이프(10)와; 상기 하단지지파이프(10)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고 보 거푸집이 일측면(102)을 지지하는 고정지지체(20)와; 상기 하단지지파이프(10)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고 하단지지파이프(1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보 거푸집의 타측면(103)을 지지하는 이동지지체(30)와; 상기 이동지지체(30)의 위치가 가변된 후, 가변된 이동지지체(30)를 하단지지파이프(10)에 대해 고정하는 가변고정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지지파이프(10)의 양측에는 하단지지파이프(10)가 떨어질 때 받는 하중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완충체(50)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의 종래 기술에서는 보 거푸집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파이프로부터 이동지지체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설치되는 거푸집의 폭이나 간격에 따라 이동지지체를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여전히 긴 멍에로 인한 동바리 사용량 증가 및 작업공간의 협소화 등 눈에 띄는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보 시공용 거푸집과 슬래브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최대한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통해 저마다 다른 보의 규격에 대해서도 현장에서 바로 대응할 수 있으며, 브라켓에 직접 슬래브 멍에를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대해 고민하고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2972 (2017.03.23.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5224 (2014.11.21. 공고) 등록특허공보 10-1329385 (2013.11.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L자 브라켓과,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 및 상기 L자 브라켓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를 포함하며,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I자 브라켓 및 상기 L자 브라켓과 상기 I자 브라켓을 내부 빈 공간에 면접하여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L,I자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하도록 되어진 새로운 구조의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공현장마다 서로 다른 슬래브 및 보에 일일이 거푸집 규격을 맞출 필요 없이, 자체 길이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용이하게 거푸집(100)의 설치가 가능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 속이 비어 있는 L자 형상의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L자 브라켓(200); 하측부가 상기 L자 브라켓(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보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거푸집(100)의 상측에 위치되어지는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300); 및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 및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의 짧은 중공관으로 구비되어지는 브라켓 고정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100)은 보의 저면부와 측면부를 각각 감싸기 위한 거푸집바닥판(110)과 거푸집측판(121, 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자 브라켓(200)은 시공되어지는 보의 높이에 맞게끔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길이가 조절되어지고, 서로간 내주면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면접하여 관통연결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끔 관통공이 조성된 복수개의 길이조절 홈(210); 및 상기 길이조절 홈(210)에 삽입되어져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길이조절 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는 상측에 슬래브 멍에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래브 멍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1)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측으로는 슬래브 연속타설 시 인접한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지지가새(312)가 형성되는 슬래브지지 가새부(310); 및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공이 구비되어지며, 거푸집(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자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브라켓 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는 상기 L자 브라켓(200) 또는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브라켓 연결부(320)의 바깥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지고, 바깥둘레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 및 브라켓 연결부(32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핀(220)을 통해 연결 시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바닥판(110)이 먼저 시공될 보의 하부둘레를 따라 조립되어진 이후, 상기 거푸집바닥판(110)을 면접하여 감싸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L자 브라켓(200)의 측면부 및 시공될 보의 측면둘레를 따라 거푸집측판(121, 123) 중 일측판이 상기 L자 브라켓(200)과 면접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일측판과 면접한 L자 브라켓(200)의 상측으로는,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가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및 길이조절 핀(220)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측판(121, 123) 중 타측판에 대해서도 상기 L자 브라켓(200),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및 상기 길이조절 핀(220)을 이용하여 동일한 절차를 통해 일체형의 전체 거푸집(100)을 완성시킨 뒤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브라켓(311)과 슬래브 멍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공현장마다 서로 다른 슬래브 및 보에 일일이 거푸집 규격을 맞출 필요 없이, 자체 길이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용이하게 거푸집(100)의 설치가 가능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 속이 비어 있는 L자 형상의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L자 브라켓(200);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부는 상기 L자 브라켓(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측부는 상기 L자 브라켓(200)과 동일한 직경의 중공관으로 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I자 브라켓(500); 및 상기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을 내부 빈 공간에 면접하여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I자 브라켓(5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지는 L,I자 브라켓 고정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L자 브라켓(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핀(220)이 체결고정 되면 이를 감지하여 일정 시간동안 발광하도록 된 LED 센서등(710)과, 상기 LED 센서등(71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고정되어 있으면 알림음을 내지 않고,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일정 시간동안 경고음을 내도록 된 알람스피커(720)와, 상기 L자 브라켓(200)에 구비된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30)은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상기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할 경우, 작업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경각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체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음 내지 안내멘트가 상기 알람스피커(72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은 종래기술 대비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L,I자 브라켓의 길이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규격의 보마다 각각 맞춤형 시공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현장맞춤 시공이 좀 더 간편해짐과 동시에 투입되는 노무비 등의 공사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슬래브 동바리의 설치 물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슬래브 지지부재의 상측에 직접 슬래브 멍에를 설치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한 현장시공과 그에 따른 공기 단축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슬래브 연속타설 시에는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를 사용하고,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I자 브라켓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ED 센서등과 알람스피커의 제어를 통해 L,I자 브라켓의 길이조절 시 작업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안내를 표시함으로써, 혹시나 발생할 수도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리 경각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의 거푸집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자 브라켓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지지 가새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고정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자 브라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I자 브라켓 고정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센서등, 알람스피커,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의 거푸집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공현장마다 서로 다른 슬래브 및 보에 일일이 거푸집 규격을 맞출 필요 없이, 자체 길이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용이하게 거푸집(100)의 설치가 가능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L자 브라켓(200)과 슬래브 지지부재(300)와 브라켓 고정부(400)와 I자 브라켓(500)과 L,I자 브라켓 고정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100)은 보의 저면부와 측면부를 각각 감싸기 위한 거푸집바닥판(110)과 거푸집측판(121, 123)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으로 시판 및 시공되어지는 거푸집 기술을 이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각 도면부호에 해당하는 구성에 대해서 세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자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브라켓(200)은 상기 거푸집(100)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 속이 비어 있는 L자 형상의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길이조절 홈(210)과 복수개의 길이조절 핀(2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길이조절 홈(210)은 시공되어지는 보의 높이에 맞게끔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길이가 조절되어지고, 서로간 내주면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면접하여 관통연결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끔 관통공이 조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길이조절 핀(220)은 상기 길이조절 홈(210)에 삽입되어져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지지 가새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는 하측부가 상기 L자 브라켓(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보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거푸집(100)의 상측에 위치되어지는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는 슬래브지지 가새부(310)와 브라켓 연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슬래브지지 가새부(310)는 상측에 슬래브 멍에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래브 멍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1)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측으로는 슬래브 연속타설 시 인접한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지지가새(312)가 형성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연결부(320)는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공이 구비되어지며, 거푸집(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자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부재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는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 및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의 짧은 중공관으로 구비되어지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는 상기 L자 브라켓(200) 또는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브라켓 연결부(320)의 바깥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지고, 바깥둘레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진다.
나아가,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 및 브라켓 연결부(32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핀(220)을 통해 연결 시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자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자 브라켓(500)은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부는 상기 L자 브라켓(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측부는 상기 L자 브라켓(200)과 동일한 직경의 중공관으로 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I자 브라켓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I자 브라켓 고정부(600)는 상기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을 내부 빈 공간에 면접하여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I자 브라켓(5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지는 부재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10은 도 1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측면도, 도 1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상기 도 8, 도 10, 도 1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은, 슬래브 연속타설 시 L자 브라켓(200)과 슬래브 지지부재(300) 및 브라켓 고정부(400)를 이용하여 거푸집(100)이 조립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슬래브 연속타설 시에는, 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거푸집측판(121, 123) 양측 모두에 슬래브 지지부재(300) 및 브라켓 고정부(400)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11은 도 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의 측면도, 도 15는 도 1의 저면도이다.
상기 도 9, 도 11, 도 13,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은,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 및 L,I자 브라켓 고정부(600)를 이용하여 거푸집(100)이 조립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는 경우, 다시 말하면 끝부분 벽과 맞닿는 거푸집(100)에 대해서는 상기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측판(121, 123) 중 벽과 맞닿는 일측판에는 슬래브 지지부재(300) 대신 I자 브라켓(500)을 L자 브라켓(200)과 연결시키고, 브라켓 고정부(400) 대신 L,I자 브라켓 고정부(600)를 이용하여 상기 L자 브라켓(200) 및 I자 브라켓(500)을 고정시킴으로써, 끝부분 벽과 맞닿는 거푸집(100)이 공간 간섭 없이 조립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거푸집바닥판(110)이 먼저 시공될 보의 하부둘레를 따라 조립되어진다.
그 이후, 상기 거푸집바닥판(110)을 면접하여 감싸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이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L자 브라켓(200)의 측면부 및 시공될 보의 측면둘레를 따라 거푸집측판(121, 123) 중 일측판이 상기 L자 브라켓(200)과 면접하도록 세워진다.
그 다음, 상기 일측판과 면접한 L자 브라켓(200)의 상측으로는,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가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및 길이조절 핀(220)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측판(121, 123) 중 타측판에 대해서도 상기 L자 브라켓(200),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및 상기 길이조절 핀(220)을 이용하여 동일한 절차를 통해 일체형의 전체 거푸집(100)을 완성시킨다.
마지막으로,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브라켓(311)과 슬래브 멍에를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따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을 이용한 거푸집(100) 조립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L자 브라켓(200)과 슬래브 지지부재(300) 및 브라켓 고정부(400)를 이용한 일실시예를 인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 대신 I자 브라켓(500)을 사용하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대신 L,I자 브라켓 고정부(600)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시공 절차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대한 시공을 진행 및 완료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센서등, 알람스피커,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구성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LED 센서등(710)과 알람스피커(720) 및 제어수단(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센서등(710)은 L자 브라켓(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핀(220)이 체결고정 되면 이를 감지하여 일정 시간동안 발광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알람스피커(720)는 상기 LED 센서등(71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고정되어 있으면 알림음을 내지 않고,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일정 시간동안 경고음을 내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30)은 상기 L자 브라켓(200)에 구비된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어수단(730)은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상기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할 경우, 작업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경각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체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음 내지 안내멘트가 상기 알람스피커(72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시에도 주변 작업자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 경우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에 의해 길이조절 핀(220)이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주변 작업자에게 경고음 내지 안내멘트가 들리도록 할 수 있어,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여러 가지 실시예 이외에도 이탈방지수단(800)을 더 포함하여,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의 체결을 좀 더 견고하게 하고 각 구성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800)은 내부가 비어있고 경도가 있는 관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810)과,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에어공급수단(820) 및 팽창수단(8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810)은 길이조절 홈(210) 및 I자 브라켓(500)에 형성된 관통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어지는 부재로서, 거푸집측판(121, 123)과 맞닿는 일측단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공급수단(820)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팽창수단(830)이 일체로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이탈방지수단(800)은 상기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 및 L,I자 브라켓 고정부(600)가 모두 체결되어진 이후,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 및 이에 대응되는 I자 브라켓(500)의 관통공 및 L,I자 브라켓 고정부(600)의 관통공에 동시에 관통하도록 미리 삽입되어진다.
이후, 상기 에어공급수단(820)이 거푸집측판(121, 123)과 밀착하여 가압되어지고, 따라서 에어공급수단(820)은 압축되어져 그 내부에 저장된 공기는 상기 경도가 있는 관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810)을 통해 팽창수단(830)으로 공급되어져 상기 팽창수단(830)은 공급된 공기의 부피만큼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어진 팽창수단(830)은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져,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 및 L,I자 브라켓 고정부(600)의 체결이 풀리고 각 부재가 따로따로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100 : 거푸집 110 : 거푸집바닥판
121, 123 : 거푸집측판
200 : L자 브라켓 210 : 길이조절 홈
220 : 길이조절 핀
300 : 슬래브 지지부재 310 : 슬래브지지 가새부
320 : 브라켓 연결부
400 : 브라켓 고정부
500 : I자 브라켓
600 : L,I자 브라켓 고정부
710 : LED 센서등 720 : 알람스피커
730 : 제어수단
800 : 이탈방지수단

Claims (9)

  1. 시공현장마다 서로 다른 슬래브 및 보에 일일이 거푸집 규격을 맞출 필요 없이, 자체 길이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용이하게 거푸집(100)의 설치가 가능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 속이 비어 있는 L자 형상의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L자 브라켓(200);
    하측부가 상기 L자 브라켓(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보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거푸집(100)의 상측에 위치되어지는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300);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 및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의 짧은 중공관으로 구비되어지는 브라켓 고정부(400);
    L자 브라켓(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핀(220)이 체결고정 되면 이를 감지하여 일정 시간동안 발광하도록 된 LED 센서등(710);
    상기 LED 센서등(71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고정되어 있으면 알림음을 내지 않고,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일정 시간동안 경고음을 내도록 된 알람스피커(720); 및
    상기 L자 브라켓(200)에 구비된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30)은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상기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할 경우, 작업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경각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체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음 내지 안내멘트가 상기 알람스피커(72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보의 저면부와 측면부를 각각 감싸기 위한 거푸집바닥판(110)과 거푸집측판(121, 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는
    상측에 슬래브 멍에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래브 멍에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1)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측으로는 슬래브 연속타설 시 인접한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지지가새(312)가 형성되는 슬래브지지 가새부(310); 및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공이 구비되어지며, 거푸집(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자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브라켓 연결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는
    상기 L자 브라켓(200) 또는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브라켓 연결부(320)의 바깥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지고, 바깥둘레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홈(210) 및 브라켓 연결부(32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L자 브라켓(200)의 길이조절 핀(220)을 통해 연결 시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거푸집바닥판(110)이 먼저 시공될 보의 하부둘레를 따라 조립되어진 이후, 상기 거푸집바닥판(110)을 면접하여 감싸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L자 브라켓(200)의 측면부 및 시공될 보의 측면둘레를 따라 거푸집측판(121, 123) 중 일측판이 상기 L자 브라켓(200)과 면접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일측판과 면접한 L자 브라켓(200)의 상측으로는,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가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및 길이조절 핀(220)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측판(121, 123) 중 타측판에 대해서도 상기 L자 브라켓(200),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300), 상기 브라켓 고정부(400) 및 상기 길이조절 핀(220)을 이용하여 동일한 절차를 통해 일체형의 전체 거푸집(100)을 완성시킨 뒤 슬래브 지지부재(300)의 브라켓(311)과 슬래브 멍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7. 시공현장마다 서로 다른 슬래브 및 보에 일일이 거푸집 규격을 맞출 필요 없이, 자체 길이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바로 용이하게 거푸집(100)의 설치가 가능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 속이 비어 있는 L자 형상의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L자 브라켓(200);
    슬래브를 연속타설 하지 않을 경우, 끝부분 벽과의 공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부는 상기 L자 브라켓(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또는 원형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측부는 상기 L자 브라켓(200)과 동일한 직경의 중공관으로 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I자 브라켓(500);
    상기 L자 브라켓(200)과 I자 브라켓(500)을 내부 빈 공간에 면접하여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도록 상기 L자 브라켓(200)과 상기 I자 브라켓(5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지는 L,I자 브라켓 고정부(600);
    L자 브라켓(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핀(220)이 체결고정 되면 이를 감지하여 일정 시간동안 발광하도록 된 LED 센서등(710);
    상기 LED 센서등(71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고정되어 있으면 알림음을 내지 않고,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일정 시간동안 경고음을 내도록 된 알람스피커(720); 및
    상기 L자 브라켓(200)에 구비된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LED 센서등(710) 및 알람스피커(7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30)은 상기 길이조절 핀(220)이 상기 길이조절 홈(210)으로부터 이탈할 경우, 작업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경각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자체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음 내지 안내멘트가 상기 알람스피커(72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8. 삭제
  9. 삭제
KR1020180021654A 2018-02-23 2018-02-23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KR10206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54A KR102066550B1 (ko) 2018-02-23 2018-02-23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54A KR102066550B1 (ko) 2018-02-23 2018-02-23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52A KR20190101552A (ko) 2019-09-02
KR102066550B1 true KR102066550B1 (ko) 2020-01-15

Family

ID=6795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54A KR102066550B1 (ko) 2018-02-23 2018-02-23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918B1 (ko) 2023-03-14 2024-04-29 주식회사 한솔건업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5947B (zh) * 2019-09-30 2021-05-04 重庆华硕建设有限公司 用于室内防水防潮填充墙底部反坎成形的模板
KR102251022B1 (ko) * 2020-07-16 2021-05-12 곽수찬 볼트해체 감지장치, 인양고리 체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41Y1 (ko) * 2002-03-26 2002-06-20 박승용 건축용 동바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0271Y2 (ko) * 1975-05-28 1980-09-19
JPH01243755A (ja) * 1988-03-25 1989-09-28 Nec Corp 電話機回路
KR19980015335U (ko) * 1996-09-09 1998-06-25 유대식 건축시공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장치
KR101329385B1 (ko) 2012-09-04 2013-11-14 최재주 완충체가 구비된 가변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200475224Y1 (ko) 2014-04-15 2014-11-21 (주)금강시스템즈스케폴딩 트러스 보 시공 조립체
KR200482972Y1 (ko) 2015-10-01 2017-03-23 주식회사 동신텍 빔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41Y1 (ko) * 2002-03-26 2002-06-20 박승용 건축용 동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918B1 (ko) 2023-03-14 2024-04-29 주식회사 한솔건업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52A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550B1 (ko)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JP3224040U (ja) 高さ調節可能なブラケット及びそのブラケットを用いた支持装置
KR20100106282A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CN212176092U (zh) 无支撑点螺杆埋件定位装置和无支撑点杆状埋件定位装置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JP3181570U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KR101909178B1 (ko) 앵커볼트 설치용 받침대
JP4416141B2 (ja) 免震装置の設置方法
KR20090128115A (ko) 교각용 지그 시스템
CN210917900U (zh) 一种轻质钢筋桁架楼承板端部连接结构
KR10156841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2630623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CN112942863A (zh) 机电设备浇筑安装的定位装置及其定位施工方法
JP2932893B2 (ja) 構造支柱下端の支持装置
JP2009287174A (ja) フェンス又は手摺り構造
KR200335421Y1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0378383Y1 (ko) 보거푸집 및 슬라브테이블 서포터
JP3220475U (ja) ボルトカプラー
JP2023090103A (ja) スラブの振動低減構造
KR200488141Y1 (ko) 소피트 거푸집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200360773Y1 (ko) 조립식 빔 브라켓.
JP2006057315A (ja) 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JP2887374B2 (ja) 支保工用パイプサポートの梁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