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918B1 -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 Google Patents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918B1
KR102661918B1 KR1020230033410A KR20230033410A KR102661918B1 KR 102661918 B1 KR102661918 B1 KR 102661918B1 KR 1020230033410 A KR1020230033410 A KR 1020230033410A KR 20230033410 A KR20230033410 A KR 20230033410A KR 102661918 B1 KR102661918 B1 KR 10266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ight
members
vertic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규
노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건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건업
Priority to KR102023003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1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bars or members which are parallel or in end-to-end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다수의 수직재(21)와 수평재(22)를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재(20); 상기 본체부재(20)의 상단에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다수의 수직재(31)와 받침재(33)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상부부재(30); 상기 본체부재(20)의 하단에 멍에의 높이 축소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직재(41)와 수평재(42)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부부재(40); 및 상기 하부부재(40)의 받침재(43)를 높이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로크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종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 연속시공의 이동 과정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높이를 변동하므로 생력화에 의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Complex type system support with adjustable structure}
본 발명은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건축물의 시공현장에서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는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 소요되는 시스템 동바리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을 트러스 구조로 연결하여 수직ㆍ수평의 하중에 의한 횡변형, 좌굴을 방지하여 안정을 유지한다.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는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방식을 적용하기도 하며, 어느 경우에나 시스템 동바리를 이용하여 거푸집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외에 시스템 동바리는 생력화를 위해 시공 과정에서 치수의 조절과 장소의 이동을 위한 부가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07890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66550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레일로부터 이동시키면서 받치기 위한 다수의 하부받침부재; 대차의 가로빔 상부의 전후면에 대응되고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높이조절부재; 높이조절부재에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슬라브 하부를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높이조절과 조립/해체가 용이하고 신속한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거푸집의 하부면과 일측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L자 브라켓과, 상측부가 역삼각형 또는 트러스 형상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는 슬래브 지지부재 및 L자 브라켓과 상기 슬래브 지지부재의 연결부를 바깥에서부터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작업 공간의 최대한 확보가 가능하고 현장맞춤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보와 슬라브를 일체로 지지하기 용이하지 않고 선행문헌 2는 치수 조절과 이동성을 반영하지 않아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07890호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공개일자 : 2016.03.3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66550호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공개일자 : 2019.09.0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건축물의 시공현장에서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 연속시공의 이동 과정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높이를 변동할 수 있는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다수의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상단에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다수의 수직재와 받침재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상부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하단에 멍에의 높이 축소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받침재를 높이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로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부재는 나선봉과 날개너트를 개재하여 하부멍에를 지지하고, 하부멍에에 결합되는 수직재의 상단에 받침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부재는 날개너트의 임의적 회전을 구속하도록 연결바아를 갖춘 커플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부부재는 대향하는 일측 수평재의 높이와 대향하는 타측 수평재의 높이를 차등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크부재는 수직재에 지지대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걸고리를 이용하여 날개너트의 원판부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 연속시공의 이동 과정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높이를 변동하므로 생력화에 의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를 설치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이동 준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를 이동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관하여 제안한다.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형성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스템 동바리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11)를 지지하는 하부멍에(15)와 슬라브(12)를 지지하는 상부멍에(16)가 나타난다. 보(11)와 슬라브(12)는 광의적으로 무해체 거푸집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한다. 하부멍에(15)와 상부멍에(16)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재(20)가 다수의 수직재(21)와 수평재(22)를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재(20)를 구성하는 수직재(21), 수평재(22), 가새재(23), 커플러(25) 등이 나타난다. 수직재(21)와 수평재(22)는 시중의 규격품 강관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직재(21)는 단순한 암수 구조와 체결핀을 사용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전체 높이에 맞추어 연결한다. 수직재(21)와 수평재(22)의 연결을 위해 다수의 커플러(25)를 사용한다. 커플러(25)는 다수의 결합공을 지닌 원판, 원판에 맞물리는 조인트, 원판과 조인트를 결합하는 쐐기로 구성되는 공지의 체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직재(21)와 수평재(22) 외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새재(23)를 더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부재(30)가 상기 본체부재(20)의 상단에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다수의 수직재(31)와 받침재(33)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부재(30)를 구성하는 수직재(31), 받침재(33), 날개너트(37) 등이 나타난다. 수직재(31)는 강관과 나선봉을 용접으로 결합한 구조로 형성한다. 받침재(33)는 멍에, 특히 상부멍에(16)를 지지하도록 수직재(31)의 상단에 연결된다. 수직재(31)와 받침재(33)의 연결에는 선재고리(38)를 사용할 수 있다. 직선부와 곡선부를 일체로 구비한 선재고리(38)는 직선부로 수직재(31)와 받침재(33)의 통공에 맞물려 끼우고 곡선부로 수직재(31)에 맞물려 임의적 풀림을 방지한다. 수직재(31)는 나선봉 부분에 상하로 맞물리는 다수의 날개너트(37)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부재(30)는 나선봉(26)과 날개너트(27)를 개재하여 하부멍에(15)를 지지하고, 하부멍에(15)에 결합되는 수직재(31)의 상단에 받침재(3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부재(30)를 통하여 하부멍에(15)와 상부멍에(16)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하부멍에(15)는 대향하는 내측의 나선부(17)와 대향하는 외측의 나선부(17)를 갖춘다. 내측의 나선부(17)에는 나선봉(26)이 맞물려 연결되고 외측의 나선부(17)에는 수직재(31)가 맞물려 연결된다. 나선봉(26)은 상하로 2개의 날개너트(27)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하측의 날개너트(27)는 최상단 수직재(21)의 상단과 밀착되어 풀림을 방지하고 상측의 날개너트(27)는 하부멍에(15)의 저면에 밀착되어 풀림을 방지한다. 하부멍에(15)에 연결되는 수직재(31)도 상하로 다수의 날개너트(37)를 개재하여 풀림을 방지한다. 받침재(33)는 상단에서 상부멍에(16)를 긴밀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부재(30)는 날개너트(27)의 임의적 회전을 구속하도록 연결바아(36)를 갖춘 커플러(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상부부재(30)를 구성하는 연결바아(36)와 커플러(35)가 일체 구조로 나타난다. 커플러(35)는 전술한 커플러(25)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갖추며 일측으로 연결바아(36)를 일체로 지지한다. 연결바아(36)는 하단에서 커플러(25)에 결합되고 상단에 각형의 체결공을 갖춘다. 본체부재(20)의 상단에서 나선봉(26)에 상부부재(30)를 결합한 후에 날개너트(27)를 조이고 날개너트(27)의 날개에 연결바아(36)를 결합하여 임의적 회전과 풀림을 방지한다.
한편, 본체부재(20)의 4코너에서 일측의 날개너트(27)라도 임의로 회전되면 멍에의 높이가 변하여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물론 시스템 동바리의 변형과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부재(40)가 상기 본체부재(20)의 하단에 멍에의 높이 축소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직재(41)와 수평재(42)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부재(40)를 구성하는 수직재(41), 수평재(42), 받침재(43), 커플러(45) 등이 나타난다. 하부부재(40)의 수직재(41), 수평재(42), 커플러(45)를 활용하는 구성은 전술한 본체부재(20)와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받침재(43)는 수직재(41)의 하단에서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하부부재(40)는 후술하듯이 수평재(42)와 받침재(43)를 통하여 멍에의 높이를 축소하는 구조를 갖춘다. 건축물의 연속시공에서 시스템 동바리는 타설이 완료된 보(11)를 통과하여 이동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전체적인 높이 축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부부재(40)는 대향하는 일측 수평재(42)의 높이와 대향하는 타측 수평재(42)의 높이를 차등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5에서, 하부부재(40)를 구성하는 일측 수평재(42)와 타측 수평재(42)가 차등적인 높이로 나타난다. 본체부재(20), 상부부재(30), 하부부재(40)는 공히 평면에서 볼 때 정방형이 아니고 장변과 단변을 갖춘 장방형을 이룬다. 대향하는 장변에는 부호 42A처럼 낮은 높이에 수평재(42)를 배치하고 대향하는 단변에는 부호 42B처럼 높은 높이에 수평재(42)를 배치한다. 본체부재(20)와 상부부재(30)를 리프터(13)로 들어 하부부재(4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리프터(13)를 90˚로 방향 전환한 다음 부호 42A의 수평재(42)에 일시적으로 상치하면 시스템 동바리의 전체 높이가 축소된다. 도 2에서 도 5의 상태로 되면 받침재(33)의 높이, 즉 시스템 동바리의 전체 높이가 보(11)보다 낮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부재(50)가 상기 하부부재(40)의 받침재(43)를 높이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3에서, 로크부재(50)가 하부부재(40)의 하단에서 받침재(43)에 연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받침재(43)는 강관과 나선봉을 용접으로 결합한 구조로서 강관은 수직재(4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선봉에는 날개너트(57)가 결합된다. 날개너트(57)를 돌려서 받침재(43) 상의 위치를 변동시키면 시스템 동바리의 전체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로크부재(50)는 받침재(43)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임의적 이탈을 구속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크부재(50)는 수직재(41)에 지지대(5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걸고리(53)를 이용하여 날개너트(57)의 원판부(58)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로크부재(50)를 구성하는 고정대(51), 지지대(52), 걸고리(53), 멈춤핀(54), 스프링(55), 날개너트(57) 등이 나타난다. 고정대(51)는 수직재(41)의 하단에 고정되며 일측에 절개홈을 갖춘다. 지지대(52)는 대략 ㄷ자 구조로 형성되고 수직재(41)와 고정대(51)에 결합된다. 걸고리(53)는 지지대(52)에 힌지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하단에서 날개너트(57)의 원판부(58)에 맞물림 가능하다. 날개너트(57)는 전술한 날개너트(27)와 동일하지만 상단에 원판부(58)를 갖춘다. 지지대(52)에 수용되는 스프링(55)은 걸고리(53)가 원판부(58)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멈춤핀(54)은 걸고리(53)의 임의적 회전을 구속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때, 걸고리(53)는 ㄴ자로 절곡된 하단에서 경사부(52a)를 갖추며 상단에서 고정대(51)의 절개홈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b)를 갖춘다. 수직재(41)의 하단에 받침재(43)를 결합할 때 밀어 넣기만 하면 경사부(52a)를 통하여 쉽게 통과하여 걸고리(53)에 의한 맞물림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날개너트(57)를 돌리면 전체 높이의 미세조절도 가능하다. 시공이 완료된 후에 멈춤핀(54)을 빼고 돌출부(52b)를 공구로 치면 걸고리(53)가 벌어져 발판대(34)의 분리가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이 본체부재(20)와 상부부재(30)를 하부부재(40)에 상치하여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리프터(13)를 이용하여 보(11)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로크부재(50)는 도 2의 힌지후크(47)를 이용하여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후크(47)는 대략 C자형 구조로서 하단은 선재고리(48)를 이용하여 부호 4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단은 롤러를 이용하여 부호 42B에 맞물림 가능하다. 4개의 힌지후크(47)로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로 리프터(13)로 이동시키면 흔들림과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 보 12: 슬라브 13: 리프터
15: 하부멍에 16: 상부멍에 17: 나선부
20: 본체부재 21: 수직재 22: 수평재
23: 가새재 25, 35, 45: 커플러26: 나선봉
27, 37, 57: 날개너트 30: 상부부재
31: 수직재 33: 받침재 36: 연결바아
38, 48: 선재고리 40: 하부부재 41: 수직재
42: 수평재 43: 받침재 47: 힌지후크
50: 로크부재 51: 고정대 52: 지지대
53: 걸고리 54: 멈춤핀 55: 스프링
58: 원판부

Claims (5)

  1. 건축물의 보와 슬라브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다수의 수직재(21)와 수평재(22)를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재(20);
    상기 본체부재(20)의 상단에 보와 슬라브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다수의 수직재(31)와 받침재(33)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상부부재(30);
    상기 본체부재(20)의 하단에 멍에의 높이 축소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직재(41)와 수평재(42)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부부재(40); 및
    상기 하부부재(40)의 받침재(43)를 높이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로크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부재(30)는 나선봉(26)과 날개너트(27)를 개재하여 하부멍에(15)를 지지하고, 하부멍에(15)에 결합되는 수직재(31)의 상단에 받침재(3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30)는 날개너트(27)의 임의적 회전을 구속하도록 연결바아(36)를 갖춘 커플러(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40)는 대향하는 일측 수평재(42)의 높이와 대향하는 타측 수평재(42)의 높이를 차등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50)는 수직재(41)에 지지대(5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걸고리(53)를 이용하여 날개너트(57)의 원판부(58)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KR1020230033410A 2023-03-14 2023-03-14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KR10266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410A KR102661918B1 (ko) 2023-03-14 2023-03-14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410A KR102661918B1 (ko) 2023-03-14 2023-03-14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918B1 true KR102661918B1 (ko) 2024-04-29

Family

ID=9088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410A KR102661918B1 (ko) 2023-03-14 2023-03-14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9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69Y1 (ko) * 2004-09-03 2004-11-18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20100008920A (ko) * 2008-07-17 2010-01-27 에스앤피시스템(주) 장선 직결 방식의 시스템 서포트
KR101607890B1 (ko) 2015-09-25 2016-03-31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KR20170017423A (ko) * 2015-08-06 2017-02-15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포트 일체형 보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 시스템
KR20180127066A (ko) * 2017-05-19 2018-11-28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102066550B1 (ko) 2018-02-23 2020-01-1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69Y1 (ko) * 2004-09-03 2004-11-18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20100008920A (ko) * 2008-07-17 2010-01-27 에스앤피시스템(주) 장선 직결 방식의 시스템 서포트
KR20170017423A (ko) * 2015-08-06 2017-02-15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포트 일체형 보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 시스템
KR101607890B1 (ko) 2015-09-25 2016-03-31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KR20180127066A (ko) * 2017-05-19 2018-11-28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102066550B1 (ko) 2018-02-23 2020-01-1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221B2 (en)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a structural concrete floor with projecting floor beams
US6161359A (en) Shoring
CN109881583A (zh) 一种可调节倾斜角度的支架顶托
JPS6348753Y2 (ko)
KR102661918B1 (ko)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JPH0532593Y2 (ko)
US3438160A (en) Lifting device for a supporting framework
CN210342692U (zh) 铝合金模板系统单点预埋件斜撑装置
KR101896914B1 (ko)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CN210002871U (zh) 一种降板区模板支撑装置
CN204899217U (zh) 混凝土竖向接茬部位浇筑的模板牛腿加固装置
JP2819238B2 (ja) 梁型枠支持装置及びその組立解体方法
JPH03194062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JPH0738555Y2 (ja) 梁型枠支持フレーム
JPH08134911A (ja) 山留め補強材
JP3011939U (ja) 押し引きサポートの取付用治具および取付構造
CN213234325U (zh) 一种悬挑卸料平台
CN210767775U (zh) 一种电梯井施工平台
JP2992882B2 (ja) 梁型枠装置
JPH03144069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JPH0311298Y2 (ko)
JPH04309664A (ja) 水路構築用型枠
JPH0752879Y2 (ja) 折畳みのできる外部足場のユニット
JPH07102788A (ja) 仮設用安全手摺り
JPH0563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