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69Y1 -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 Google Patents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69Y1
KR200368369Y1 KR20-2004-0025362U KR20040025362U KR200368369Y1 KR 200368369 Y1 KR200368369 Y1 KR 200368369Y1 KR 20040025362 U KR20040025362 U KR 20040025362U KR 200368369 Y1 KR200368369 Y1 KR 200368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upling piece
horizontal
vertical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현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건설가설협회
Priority to KR20-2004-0025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3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only fixed at one of the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시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수평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조립 및 해체 등의 작업이 간단해지고, 수직부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Connecting device used to connect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simultaneously and system support using it}
본 고안은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해체 등의 작업이 간단해지고, 수직부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동바리는 주로 층고가 높거나, 중량이 큰 구조물, 공간형태가 다양한 건축물 및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성형틀인 거푸집 또는 그 외의 수직하중을 지지하여 구조물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같은 시스템 동바리는 모듈화된 부재들을 건설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파이프 서포트로 불리는 단품 동바리에 비해 거푸집의 지지높이가 크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층고가 높거나 대형 구조물을 시공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동바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 동바리는 거푸집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수직부재(101), 수직부재(101)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부재(102), 가새부재(104), 받침철물(105), U 헤드(106)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01)간 연결을 위한 연결 조인트(103) 및 상기 수직부재(101)와 수평부재(102)간 연결을 위한 접합부(101a)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시스템 동바리는 단품 동바리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수직부재(101)에 수평부재(102)를 조립 및 해체시키기 위해서는 결합핀(102b) 상하부를 해머 등의 타격공구로 타격하여 접합부(101a)에 끼우거나 이탈시키는 방법으로 접합부(101a)와 결합부(102a)를 결합 또는 분리해야 하였다. 이때 결합핀(102b)과 접합부(101a)의 마찰력 정도에 따라 조립 및 해체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마찰력이 약한 경우 결합핀(102b)이 이탈되면서 수직부재(101)와 수평부재(102)가 구속되지 못하고 분리되기 쉬웠다. 뿐만 아니라 타격에 의해 부재들이 쉽게 손상되어 내구연한이 감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둘째, 구조적인 성능 측면에서는 수직부재(101)의 좌굴방지를 위해서 수평부재(102)가 수직부재(101)의 중간부를 지지함에도 불구하고 주로 좌굴이 일어나는 지점은 수직부재(101)와 수직부재(101)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103)의 연결부위인 관계로 수직부재(101)의 좌굴을 방지하고 최적화된 구조성능을 거두는 데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수직부재(101)의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부(101a)가 일체로 고정되는 관계로, 수직부재(101)의 생산성과 생산비용 측면에서 비효율화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단한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부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동바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8은 도 4와는 다른 배치를 갖는 구성의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부재 2 : 수평부재
3 : 유니버셜 조인트 4 : 가새부재
5 : 받침철물 6 : U 헤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 동바리용 연결구조에 있어서,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시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수평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상측 수직부재에 눌리면서 하중을 받는 상부 결합편과,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편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받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하측 수직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상부 결합편과 함께 상기 수평부재를 구속하여 연결하는 하부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결합편은 복수개의 수평부재 결합용 수직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편은 상기 상부 결합편의 수직통공과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수직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재의 좌우 양끝단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상부 결합편 및 하부 결합편의 수직통공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를 대각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양단부가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수평부재에 결합되는 가새부재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가새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가새부재의 타단부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가새부재가 서로 일렬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여러 지점에서 수직하게 일렬로 세워지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서 발생되는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부재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상측 수직부재에 눌리면서 하중을 받는 상부 결합편과,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측에서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편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받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하측 수직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상부 결합편과 함께 상기 수평부재를 구속하여 연결하는 하부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수직부재를 대각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양단부가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수평부재에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가새부재의 타단부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복수개가 서로 일렬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가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층고가 높거나 대형 구조물을 시공할 때 거푸집 또는 그 외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각 주부재들이 최적으로 모듈화된 시스템 동바리이다. 본 고안은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수직부재에서 발생하는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수평력에 대한 지지력 확보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는 한편,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시스템 동바리는 각 유니버셜 조인트(3)들을 중심으로 복수의 수직부재(1) 및 수평부재(2)가 연결되고, 수평력을 지지하기 위한 가새부재(4)가 수직부재(1)를 가로질러 대각방향으로 이웃해 있는 수평부재(2)에 결합되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직부재(1), 수평부재(2), 유니버셜 조인트(3) 및 가새부재(4)를 비롯하여 받침철물(5), U 헤드(6) 및 커플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1)는, 거푸집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점에서 거푸집의 설치 높이에 맞춰 복수개가 수직하게 일렬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수직부재(1)는 상부 끝단에서 하부 끝단에 이르기까지 그 내경 및 외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단순 형태의 원관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접합부 등이 접합되었던 종래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부재와는 달리 매우 단순한 구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1)는 통상 600, 900, 1200, 1500, 1800[mm] 등과 같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거푸집의 지지높이 및 하중능력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수직부재(1)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커플러(7)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커플러(7)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를 상기 U 헤드(6) 또는 받침철물(5)과 결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수평부재(2)는 유니버셜 조인트(3)에 의해 수직부재(1)들이 일렬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수직열과 수직열 사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어 수직부재(1) 좌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원관 형태를 갖되 좌우 양끝단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2a,2b)가 형성되는 간단한 변형만으로 마련된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는 상기 수직부재(1)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부재(1)의 하중 및 그 외 상부 수직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2)를 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는 삽입관(31), 상부 결합편(32), 이음관(33) 및 하부 결합편(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1)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1)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31) 외벽에는 상기 상부 결합편(32)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구(31c)가 형성 또는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구(31c)는 용접에 의해 쇳물 방울을 떨어뜨려 굳게 함으로서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다. 혹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삽입 또는 돌출되는 작은 구슬 형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결합편(32)은 소정의 폭을 갖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31) 외벽 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2)에 형성된 상측 끼움돌기(2a)를 끼울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직통공(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통공(32a)은 상기 수평부재(2)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후좌우 사방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 결합편(32)은 상기 수평부재(2)를 연결하는 것은 물론 상기 삽입관(31) 상단부에 결합되어지는 상측 수직부재(1)에 의해 눌리면서 하중을 받아 이를 상기 이음관(33)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이음관(33)은 상기 상부 결합편(32)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관(31) 외벽 중간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 결합편(32)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1)의 하중을 받아 이를 상기 하부 결합편(34)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하부 결합편(34)은 상기 상부 결합편(32)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폭을 갖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33)의 하단에 접한 위치에서 상기 삽입관(31) 외벽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2)에 형성된 하측 끼움돌기(2b)를 끼울 수 있도록 상부 결합편(32)의 수직통공(32a)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수직통공(34a)이 전후좌우 사방으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삽입관(31), 상부 결합편(32), 이음관(33) 및 하부 결합편(34)에 의해 유니버셜 조인트(3)가 구성되면,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할 수 있듯이 상측 및 하측의 수직부재(1)를 연결할 때 상기 상부 결합편(32) 및 하부 결합편(34)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2)도 간단히 연결된다.
즉,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기 삽입관(31)의 하단부를 하측에 위치한 상기수직부재(1) 내측에 삽입한다. 이후,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2)의 하측 끼움돌기(2b)를 상기 하부 결합편(34)에 형성된 수직통공(34a)에 먼저 끼워 맞춘다. 또한, 상기 상부 결합편(32)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6d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2)의 상측 끼움돌기(2a)에 끼워 맞춘다. 그러면 상기 수평부재(2)가 상기 상부 결합편(32) 및 하부 결합편(34)에 구속되어 연결된다. 이후, 상측에 위치한 수직부재(1)를 상기 삽입관(31) 상단부 외벽에 끼워 결합시키면 상기 수직부재(1)의 하단이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 결합편(32)을 누르면서 상기 수평부재(2)의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구속된다.
이처럼 상기 수평부재(2)와 유니버셜 조인트(3)의 연결이 완료되면 그 연결된 상태는 상부 결합편(32)이 상측에 접한 수직부재(1)의 자중 및 상측에서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받으면서 매우 안정적으로 구속된다. 단, 이때 상기 수평부재(2)는 상기 상측 끼움돌기(2a) 및 하측 끼움돌기(2b)에 의해 상기 상부 결합편(32) 및 하부 결합편(34)에 결합되어 구속되기만 할뿐, 상측에서 가해지는 상부 수직하중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상기 상부 결합편(32) 및 하부 결합편(34)에 직접 접촉되어 상부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33)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안정적인 구속이 가능한 것 외에도 각 부재들의 조립 및 해체 작업시 해머 등에 의한 타격이 전혀 필요 없게 되어 작업이 간단해지고 제품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참고로, 상기 수직부재(1),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1) 및 커플러(7)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미도시 됨)에 의해 동시에 관통되어지는 핀홀(1a,1b,31a,31b,7a,7b, 도 4 및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수직부재(1) 및 커플러(7)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새부재(4)는 일단부가 다른 가새부재(4)의 타단부 내측으로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부(4a)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4a)가 형성된 가새부재(4)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핀(미도시 됨) 결합을 위해 소정의 핀홀(4b,4c)이 형성된다.
이같은 상기 가새부재(4)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수 있듯이 여러 개가 먼저 일렬로 연결된 후, 상기 수직부재(1)를 대각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양단부가 대각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된 수평부재(2)에 직접 핀 결합되는 독특한 구성을 가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가새부재(4)는 가새부재(4) 간에 직접 결합되고 동시에 수평부재(2)에도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가새부재(4)는 종래에 가새부재 간에 직접적인 체결 없이 각각의 수평부재 또는 수직부재에 체결되어 수평력에 대한 저항 성능이 불확실하고 비효과적이었던 문제를 보완하면서 동바리 시스템 전체적으로 볼 때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참고로, 상기 가새부재(4)와의 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평부재(2)에도 좌우에 각각 핀홀(2c,2d,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도 8은 도 4와는 다른 배치를 갖는 구성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 동바리는 작업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도록 받침철물(5) 및 U 헤드(6)가 중간에 커플러(7)를 거치지 않고 바로 유니버셜 조인트(3)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철물(5) 및 U 헤드(6)의 몸체가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1)에 끼워져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변형되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조립과정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시스템 동바리를 조립하는 과정은 거푸집의 넓이를 고려하여 받침철물(5)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유니버셜 조인트(3)를 이용하여 수직부재(1) 및 수평부재(2)를 한단씩 쌓아올리고 그때마다 가새부재(4)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의 조립과정은 먼저 거푸집의 크기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받침철물(5)을 지면 적절한 위치에 세우고 상기 받침철물(5) 상단부에 커플러(7)를 끼우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7) 상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1) 하단부를 끼워 넣고 이때 끼움 부위에서 대응하여 부합되는 핀홀(31b,7a)에 고정핀(미도시 됨)을 관통시켜 상기 커플러(7) 및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후, 수평부재(2)의 하측 끼움돌기(2b)를 하부 결합편(34)에 형성된 수직통공(34a)에 끼워 맞추고, 상부 결합편(32)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결합편(32)에 형성된 수직통공(32a)을 수평부재(2)의 상측 끼움돌기(2a)에 끼워 맞춘다.그러면 일단 상기 수평부재(2)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6d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수직부재(1)를 삽입관(31) 상단부에 끼워 결합시키면, 상기 수직부재(1)의 하단이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 결합편(32)을 접촉하여 누르면서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2)의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구속된다.
이처럼 상기 수평부재(2)와 유니버셜 조인트(3)의 연결이 완료되면 그 연결된 상태는 상부 결합편(32)이 상측에 접한 수직부재(1)의 자중 및 상측에서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받으면서 매우 안정적으로 구속된다.
계속해서, 전술된 방법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높이에 맞게 유니버셜 조인트(3)를 사용하여 적절한 수의 수직부재(1) 및 수평부재(2)를 연결하여 나간다.
한편 가새부재(4)의 경우, 상기 수직부재(1) 및 수평부재(2)가 유니버셜 조인트(3)에 의해 연결되어 단들이 올려질 때마다 필요한 수만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부재(1)를 대각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양단부가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수평부재(2)에 결합되도록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가새부재(4)와 수평부재(2)의 결합은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서 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후, 최상부에 위치한 유니버셜 조인트(3)의 삽입관(31) 외벽에 커플러(7)를 결합시키고, 상기 커플러(7) 상단부에는 다시 U 헤드(6)를 끼워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U 헤드(6)에 설치된 암나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U 헤드(6)가 상기 커플러(7)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거푸집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열의 신장을 조절한다. 그러면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 동바리는, 조립 및 해체 작업시 해머 등에 의한 타격이 불필요하여 조립 및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 안정적인 구속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좌굴이 발생되는 수직부재간 연결지점에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구성에 의해 수직부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직부재를 다른 부품과의 접합 없이 원관 형태로 단순화하여 생산비용의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주부재인 수직부재, 수평부재 및 가새부재 등이 원관 형태의 강관에서 최소한의 가공만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일부가 손상되는 일부 절단 등을 통해 강관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 동바리용 연결구조에 있어서,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시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의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수평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상측 수직부재에 눌리면서 하중을 받는 상부 결합편과;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편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받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하측 수직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상부 결합편과 함께 상기 수평부재를 구속하여 연결하는 하부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편은 복수개의 수평부재 결합용 수직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편은 상기 상부 결합편의 수직통공과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수직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재의 좌우 양끝단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상부 결합편 및 하부 결합편의 수직통공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를 대각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양단부가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수평부재에 결합되는 가새부재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가새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가새부재의 타단부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가새부재가 서로 일렬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
  5.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여러 지점에서 수직하게 일렬로 세워지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서 발생되는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부재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상측 수직부재에 눌리면서 하중을 받는 상부 결합편과,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편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받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삽입관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측 수직부재의 하중을 상기 삽입관에 결합되는 하측 수직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상부 결합편의 하방향 이동시 상기 상부 결합편과 함께 상기 수평부재를 구속하여 연결하는 하부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수직부재를 대각방향으로 가로질러 그 양단부가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수평부재에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가새부재의 타단부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복수개가 서로 일렬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가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20-2004-0025362U 2004-09-03 2004-09-03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200368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362U KR200368369Y1 (ko) 2004-09-03 2004-09-03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362U KR200368369Y1 (ko) 2004-09-03 2004-09-03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106A Division KR100638861B1 (ko) 2004-08-31 2004-08-31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69Y1 true KR200368369Y1 (ko) 2004-11-18

Family

ID=4935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362U KR200368369Y1 (ko) 2004-09-03 2004-09-03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70B1 (ko) * 2012-06-19 2015-03-24 서보산업 주식회사 시스템 서포트
KR101607890B1 (ko) * 2015-09-25 2016-03-31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KR102661918B1 (ko) * 2023-03-14 2024-04-29 주식회사 한솔건업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70B1 (ko) * 2012-06-19 2015-03-24 서보산업 주식회사 시스템 서포트
KR101607890B1 (ko) * 2015-09-25 2016-03-31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KR102661918B1 (ko) * 2023-03-14 2024-04-29 주식회사 한솔건업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243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JP2011231533A (ja) 鋼管結合装置
CN212478126U (zh) 一种基于新型抱箍件的原竹梁柱连接节点
KR200368369Y1 (ko)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이를 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100638861B1 (ko)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는 연결구조와 이를이용한 시스템 동바리
KR101632681B1 (ko) 결합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101672469B1 (ko) 브래킷을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100360377B1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KR100581611B1 (ko) 삽입구조를 이용한 버팀보의 연결구조
JPH0711647U (ja) クサビ式接続装置
JP5307461B2 (ja) 仮設足場用筋交
KR20180041845A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JP7231925B2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200420966Y1 (ko) 조립식 조금구
JP4328429B2 (ja) 連結具
KR200179329Y1 (ko) 조립식 비계장치의 수평재용 연결구
JP3820292B2 (ja) 建物ユニット用連結具
KR20080012584A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0492719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960862B1 (ko) 수평부재 연결장치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JP4244317B2 (ja) 低固定度杭継手
JP3838566B2 (ja) 鉄骨梁の横座屈防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575921B1 (ko)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KR100556624B1 (ko) 동바리 조립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동바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