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14B1 -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14B1
KR101896914B1 KR1020160149973A KR20160149973A KR101896914B1 KR 101896914 B1 KR101896914 B1 KR 101896914B1 KR 1020160149973 A KR1020160149973 A KR 1020160149973A KR 20160149973 A KR20160149973 A KR 20160149973A KR 101896914 B1 KR101896914 B1 KR 10189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lifting frame
main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874A (ko
Inventor
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티
Priority to KR102016014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수직벽의 일면에 제공되는 중공의 베이스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및 중간 연결 포인트를 갖도록 해당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게 제공된 베이스 경사 프레임을 갖는 본체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외면에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VERTICAL WALL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상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 공사시 소정의 구조물의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옹벽, 합벽 또는 기타의 수직 구조벽에 대해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타설 구조물의 크기가 큰 경우 수직 설치된 거푸집의 높이도 높아지는데,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수평 방향의 지지력이 불안정해져서 거푸집의 붕괴와 같은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정 구조의 거푸집 지지 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거푸집 지지 장치는 단순히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빔을 교차 연결하여 입방체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거나, 특허 출원 제10-2011-01373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 프레임, 경사 지지 프레임 및 이들 수직 지지 프레임과 경사 지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구조체를 형성하되, 수직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으로 승강 가능한 높이 조절 프레임을 설치하고 수직 지지 프레임의 수평 방향으로 수평 지지 프레임과 해당 수평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지면에 대해 또는 경사 프레임에 경사지게 지지 프레임을 연결한 구조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입방체 지지 구조물의 경우, 단순히 복수의 지지빔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일일이 개별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며 복잡한 구성에도 안정성 확보가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조체의 경우, 수직벽의 높이가 높아지면 수직 지지 프레임과 높이 조절 프레임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 지지 프레임을 길게 하거나 여러 개의 프레임 피스를 직렬 연결하고, 해당 프레임 피스를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지지하는 한편, 지지된 프레임 피스에 대해 높이 조절 프레임에 연결된 경사 지지 프레임을 지지 연결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개별 수평 지지 프레임의 직렬 연결과 해당 지지 프레임에 대한 경사 지지 프레임의 연결은 각각의 연결을 모두 개별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수평 지지 프레임의 지지 구조가 불안정하므로 불필요하게 지지 프레임을 보강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과 관련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높은 높이에도 지지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적이고 설치가 용이한 옹벽, 합벽 또는 이들에 대한 거푸집 등의 수직벽용 지지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등록특허 제10-1439101호).
상기 장치는 수직벽의 일면에 제공되는 중공의 베이스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및 중간 연결 포인트를 갖도록 해당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게 제공된 베이스 경사 프레임을 갖는 본체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과 해당 승강 프레임을 까치발 방식으로 지지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경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 유닛과;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을 지지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상부 연결 포인트에 일단이 수평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일단이 해당 제1 링크 부재의 중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 연결 포인트에 까치발 방식으로 경사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접힘 가능하게 기립되는 제3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중간에는 상기 경사 지지 프레임이 고정 연결되는 3-피스 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높이가 높은 거푸집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으로 지지 안정성을 확보함과 함께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벽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발판대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지만, 이는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특허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벽용 지지 장치는 그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고는 있지만, 3-피스 링크 유닛 윗부분에서의 작업 공간이 확보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한 발판대를 설치하여야 하고 이는 다시 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직벽용 지지 장치와 관련하여 수직벽의 높이에 따라 간편하게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수직벽의 일면에 제공되는 중공의 베이스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및 중간 연결 포인트를 갖도록 해당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게 제공된 베이스 경사 프레임을 갖는 본체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외면에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를 포함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본체와 이 본체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를 구비하는 부재이며,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 부재의 일 측부의 표면에 계합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결합 부재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장착된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체결구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외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볼트부와 이 볼트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계합 및 고정하는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휘어진 경사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부재의 하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수직벽의 일면에 제공되는 중공의 베이스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및 중간 연결 포인트를 갖도록 해당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게 제공된 베이스 경사 프레임을 갖는 본체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체결 나사가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 수직 승강 프레임과;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외면에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와;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수직벽의 일면 또는 공사 현장 바닥에 고정 및 장착되어 사용되는 수직 프레임과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외면에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는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와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는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결합 부재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장착된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체결구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볼트부와 이 볼트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계합 및 고정하는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장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휘어진 경사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강 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부재의 하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벽용 지지 장치와 관련하여 수직벽의 높이에 따라 간편하게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가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합체되어 설치된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가 설치된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안전 부재를 안전 부재 체결부에 체결하고 발판대를 설치하여 최상위 공간에 작업공간을 확보한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안전 장치를 설치한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안전 장치를 설치한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에 따라 수직벽에 대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 특히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 즉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400)가, 베이스 프레임 유닛(100), 높이 조절 유닛(200) 및 3-피스 링크 유닛(300)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합체되어 설치된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벽용 지지 장치는 등록특허 제10-1439101호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로서, 그 구성은 상기 특허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특허에 개시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400)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높이 조절 유닛(200)은, 베이스 프레임 유닛(100)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210)과 해당 승강 프레임(210)을 까치발 방식으로 지지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경사 지지 프레임(230, 25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 장치(400)는 높이 조절 유닛(200)의 수직 승강 프레임(21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안전 장치(400)는 메인 부재(410), 결합 부재(420), 체결구(430), 고정구(440), 보강 부재(450) 및 안전 부재 체결부(46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부재(410)는 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부가 비어 있으며, 강철로 제조된다.
결합 부재(420)는 서로 평행한 측부(421)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422)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갖고 있다. 결합 부재(420)의 측부(421)에는 체결구(430)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422)에는 고정구(440)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측부(421)의 개방측이 메인 부재(410)의 외면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결합부재(421)의 내부 공간으로 수직 승강 프레임(210)이 삽입되며, 삽입된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측부(421)의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체결구(430)가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수직 승강 프레임(210)을 결합 부재(421)에 고정 및 지지한다. 즉 체결구(430)는 그 본체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를 갖고 있는 부재로서, 체결구의 본체가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수직 승강 프레임(210)을 결합 부재(421)에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헤드부가 일 측부(421)의 표면에 계합되어, 체결구가 개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수직 승강 프레임(210)을 결합 부재(42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체결구(430)에 의해 수직 승강 프레임(210)을 결합 부재(421)에 지지 및 고정할 수도 있지만, 보다 확실한 지지를 위해 고정구(440)를 이용한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구는 볼트부와 너트부를 포함하며, 볼트부의 헤드부가 개구(422)를 통해 삽입되어, 결합 부재(421) 내부에 고정된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체결구에 가해지는 지지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밀착 결합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수직 승강 프레임(210)를 결합 부재(421) 내부에 고정 및 지지한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부재와 메인 부재 사이에 보강 부재(450)가 제공된다. 보강 부재(450)는 본체부(451)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휘어진 경사부(452)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본체부(451)의 일측면은 결합 부재의 측부(421)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고, 이때 경사부(452)는 메인 부재(452)의 하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결합된다(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452)가 제공됨으로서, 메인 부재(410)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본체부 상에 제공되는 발판(500)(도 6 참조)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그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메인 부재(410)의 결합 부재(420)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는 안전 부재 체결부(460)가 용접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되어 있다. 안전 부재 체결부(46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작업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안전 부재(600)가 삽입된다(도 6 참조). 이때 안전 부재(600)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안전 장치(400)가 작업 현장에 설치되는 일 양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안전 부재 체결부(460)에 안전 부재(600)를 결합하여 작업 공간을 구성함과 함께 메인 부재(410)에 발판대(500)를 장착한 일 양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장치(400)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의 수직 승강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수직 승강 프레임(210)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직벽의 높이에 따라, 안전장치의 결합 부재(420)와 수직 승강 프레임(210)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와 수직벽용 지지 장치를 결합한 후, 수직벽용 지지 장치의 윗 공간에도 작업 공간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어,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생략할 수 있고, 관련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400)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100), 높이 조절 유닛(200) 및 3-피스 링크 유닛(300)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합체되어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경우와 비교하여, 수직 벽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 3-피스 링크 유닛(300)과 경사 지지 프레임 중 하나(250)를 생략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 유닛(100)에 장착되는 경사 지지 프레임(23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400)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피스 링크 유닛(300)과 경사 지지 프레임(230, 250)을 생략한 채,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40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유닛(100)에 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사용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 유닛(100)의 윗 공간, 특히 수직 승강 프레임(210)의 높이 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여 안전한 작업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장치와 수직 승강 프레임이 별개의 부재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안전 장치는 수직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이나 3-피스 링크 유닛 없이도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수직벽( 및/또는 공사 현장 바닥)에 소정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에 대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수직 프레임 역시 수직벽 지지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이러한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 유닛 등과 반드시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400: 안전 장치
410: 메인 부재
420: 결합 부재
430: 체결구
440: 고정구
450: 보강 부재
460: 안전 부재 체결부

Claims (15)

  1. 수직벽의 일면에 제공되는 중공의 베이스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및 중간 연결 포인트를 갖도록 해당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게 제공된 베이스 경사 프레임을 갖는 본체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상기 안전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길이 방향 일단의 외면에 그 메인 부재의 폭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게 상기 메인 부재의 길이 방향과 연속하도록 상기 외면의 양측부에 상기 측부가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와,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휘어진 경사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 부재로서, 상기 보강 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부재의 하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본체와 이 본체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를 구비하는 부재이며,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 부재의 일 측부의 표면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결합 부재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장착된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체결구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외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볼트부와 이 볼트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계합 및 고정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5. 삭제
  6. 수직벽의 일면에 제공되는 중공의 베이스 수직 프레임과 상부 및 중간 연결 포인트를 갖도록 해당 수직 프레임에 나란하게 제공된 베이스 경사 프레임을 갖는 본체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지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수직 프레임 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체결 나사가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 수직 승강 프레임과;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길이 방향 일단의 외면에 그 메인 부재의 폭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게 상기 메인 부재의 길이 방향과 연속하도록 상기 외면의 양측부에 상기 측부가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와;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와,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휘어진 경사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 부재로서, 상기 보강 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부재의 하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결합 부재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장착된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체결구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볼트부와 이 볼트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계합 및 고정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9. 삭제
  10. 수직벽의 일면 또는 공사 현장 바닥에 고정 및 장착되어 사용되는 수직 승강 프레임과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상기 안전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부재와;
    서로 평행한 측부와 이들 측부를 결합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메인 부재의 길이 방향 일단의 외면에 그 메인 부재의 폭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게 상기 메인 부재의 길이 방향과 연속하도록 상기 외면의 양측부에 상기 측부가 결합 및 고정된 결합 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는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와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는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상기 결합 부재와,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휘어진 경사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보강 부재로서, 상기 보강 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부재의 하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의 개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이들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을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와;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
    를 더 포함하는 안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결합 부재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장착된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체결구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수직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밀착 결합되는 볼트부와 이 볼트부의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계합 및 고정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재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쪽과 반대쪽 단부 부근에 고정 및 장착되어, 안전 부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부재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 장치.
  15. 삭제
KR1020160149973A 2016-11-11 2016-11-11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KR10189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73A KR101896914B1 (ko) 2016-11-11 2016-11-11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73A KR101896914B1 (ko) 2016-11-11 2016-11-11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74A KR20180052874A (ko) 2018-05-21
KR101896914B1 true KR101896914B1 (ko) 2018-10-24

Family

ID=6245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73A KR101896914B1 (ko) 2016-11-11 2016-11-11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07Y1 (ko) * 2019-10-02 2020-08-28 김호식 유로폼 지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30B1 (ko) * 2020-03-18 2022-03-18 이성규 소재 교차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30Y1 (ko) * 2002-08-26 2002-11-13 최재일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KR200347300Y1 (ko) * 2004-01-12 2004-04-13 유대식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의 연장 서포트 구조
KR200476828Y1 (ko) * 2012-06-21 2015-04-07 왕상복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30Y1 (ko) * 2002-08-26 2002-11-13 최재일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KR200347300Y1 (ko) * 2004-01-12 2004-04-13 유대식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의 연장 서포트 구조
KR200476828Y1 (ko) * 2012-06-21 2015-04-07 왕상복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07Y1 (ko) * 2019-10-02 2020-08-28 김호식 유로폼 지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74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221B2 (en)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a structural concrete floor with projecting floor beams
US9205288B2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CN211568251U (zh)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KR20070102683A (ko) 빌딩 건설용 장치
KR101896914B1 (ko)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KR101941885B1 (ko) 철골 구조물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1832719B1 (ko) 안전사다리
KR101530887B1 (ko) 이동형 마스트 수직 설치 장치 및 설치방법
JP6894694B2 (ja) 支柱装置
KR200397826Y1 (ko)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99139B1 (ko) 비계
KR200481132Y1 (ko) 거푸집 지지 및 조립을 위한 장치
KR101415254B1 (ko)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200397218Y1 (ko) 거푸집의 스라브 설치용 양생 버팀재
KR101743587B1 (ko)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KR10156841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2661918B1 (ko) 조절 구조의 복합형 시스템 동바리
KR200383698Y1 (ko)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KR200213263Y1 (ko) 고소 작업대
JP2020033782A (ja) マンホール用安全装置
KR102433546B1 (ko)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JP3555599B2 (ja) 型枠用安全支柱
KR100736330B1 (ko) 세발형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