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421Y1 -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421Y1
KR200335421Y1 KR20-2003-0023642U KR20030023642U KR200335421Y1 KR 200335421 Y1 KR200335421 Y1 KR 200335421Y1 KR 20030023642 U KR20030023642 U KR 20030023642U KR 200335421 Y1 KR200335421 Y1 KR 200335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upport
formwork
bol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상선
Priority to KR20-2003-0023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지지장치는 "ㄷ"자 형상인 프레임이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복수의 고정판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상인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하로 활주될 수 있고,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사각 기둥형상의 활주프레임;과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의 상기 보강판과 볼트에 의하여 수평으로 연결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홈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된 베이스빔;과 상기 베이스빔의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환봉 형상의 복수의 지지대;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설치되는 거푸집의 높이가 확장되어도 상기 활주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에 천공이 형성되어서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경사지지 않고 연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거푸집 지지장치.{Mold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벽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경량으로 제작되고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지면서도 수직으로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를 공사할 때에는 양측면에 거푸집을 형성하여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나 지하층 공사를 할 벽체 즉, 합벽은 양측면에 거푸집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한 쪽 측면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흙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합벽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 지지는 폼타이 및 티바를 용접 및 거치를 배제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측압을 지지하여 벽의 정밀시공 및 방수문제를 해결하고 공기단축, 자재비 및 노무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철구조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철구조에 의하여 거푸집 지지장치는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지하에서 건축되는 합벽의 높이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구조에 의한 거푸집 지지장치는 무게가 무거워서 작업현장에서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가 연직 방향에서 측면으로 기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지지장치에 의하여 거푸집의 높이가 변하여도 이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제작될 작업현장에서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합벽을 지지하는 거푸집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경사지지 않고 항상 연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지지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지지장치가 사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4는 지지장치가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도2의 수식프레임과 매립앵커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거푸집 지지장치, 110:수직프레임, 111:활주프레임, 113:고정판, 115:연결판, 117:천공, 120:와셔대, 130:베이스빔, 131:볼트홈, 133:브라켓, 140:지지대, 141:겉지지대, 143:속지지대, 145:턴버클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거푸집 지지장치는 "ㄷ"자 형상인 프레임이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은 복수의 고정판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상이고, 하단에는 평판형상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과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의 상기 보강판과 볼트에 의하여 수평으로 연결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홈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된 베이스빔;과 상기 베이스빔의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환봉 형상의 복수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하로 활주될 수 있고,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사각 기둥형상의 활주프레임;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환봉형상의 겉지지대;와 상기 겉지지대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는 환봉형상의 속지지대;와 상기 겉지지대와 상기 속지지대를 연결하는 턴버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원형의 천공이 형성되어 중량을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가 조립된 상태의사시도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0),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바닥 면에서 지지하는 베이스빔(130), 및 상기 베이스빔(130)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110a, 110b)이 복수의 고정판(113)에 의하여 연결되고 중량을 감소하기 위한 천공(117)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0a, 110b)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서 내부에 활주프레임(11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서로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연결되는데, 한 쌍의 상기 프레임(110a, 110b)이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상기 고정판(113)으로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된 상기 한 쌍의 프레임(110a, 110b)에 의하여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서 상기 활주프레임(111)이 상하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활주프레임(111)이 활주되는 공간에서는 상기 고정판(113)이 고정되어서는 안되며, 상기 활주프레임(111)이 활주되지 않는 공간에서만 상기 고정판(113)이 용접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프레임(110a, 110b)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활주프레임(111)은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측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홈(131')이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연결판(1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판(115)은 평판형상으로 매립앵커(9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개된 홈이 형성된다.(도5 참조) 그리고 상기 연결판(115)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고정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116)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116)은 상기 연결판(115)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이 연결되는 것을 견고하게 하는 리브(rib)기능도 있고, 상기 와셔대(120)가 안착되어 지지하는 받침판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와셔대(12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서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단을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매립앵커(9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볼트로 체결하므로서 고정된다.
상기 매립앵커(90)는 도5에 도시된 확대도에서 처럼 지하의 바닥 면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45° 경사지게 미리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매립앵커(90)는 복수개 설치하는데, 설치되는 상기 매립앵커(90)는 지하의 벽면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보통 240mm)로 이격시켜서 벽면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상기 보강판(116)과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각재(角材, square bar) 형상의 베이스빔(130)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빔(130)의 일측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단의 상부에는 브라켓(133)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33)은 판재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측면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볼트홈(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33)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빔(130)에는 앵커네일(132)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네일(132)은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베이스빔(130)을 일직선상으로 유지하게 된다.
바닥 면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빔(130)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측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빔(130) 사이에는경사지게 장착되는 다수의 지지대(14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40)는 원통형상의 겉지지대(140a)와 상기 겉지지대(140a)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속지지대(140b)로 구분되고, 상기 겉지지대(140a)와 속지지대(140b)는 턴버클(145)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턴버클(turn buckle)은 로프 등을 잡아당기거나 늦출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턴버클이 아니고, 건설현장에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사용되는 턴버클(145)이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기 지지대(140)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홈(131', 131)이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상기 지지대(140')는 양단부에 절개홈(144)이 형성된다. 먼저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활주프레임(1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장착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133')과 상기 베이스빔(130)에 안착된 브라켓(133)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고,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140')는 절개홈(144)을 이용하여서 결합하는데, 상기 절개홈(144)에 안착되는 체결봉(112)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측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체결봉(112)은 상기 베이스빔(130)에 장착된 브라켓(133)에도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대(140')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절개홈(142', 142)을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장착된 체결봉(112)과 상기 베이스빔(130)에 장착된 체결봉(112)에 위치하게 한 후에 상기 턴버클(145)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40')의 길이를 확장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절개홈(144)이 상기 체결봉(112)에 삽입하면서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는 다음과 같다.
지하의 터 파기를 한 후에 벽면으로부터 240mm 이격된 위치에 45° 각도로 경사지게 매립앵커(90)를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고정시킨다. 상기 매립앵커(90)는 직선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매립앵커(90)를 고정한 후에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위치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상기 베이스빔(130)의 일단은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하고, 상기 베이스빔(130)의 상기 브라켓(133) 쪽에는 앵커네일(132)에 의하여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빔(130)이 "ㄴ"자 형태로 고정된 후에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빔(130)은 복수의 상기 지지대(140,140')에 의하여 연결되어 고정된다. 먼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빔(130)은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40)로 연결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부는 절개홈(144)이 형성된 상기 지지대(140')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벽이 상기 수직지지대(110)의 길이보다도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활주프레임(111)을 안착시켜서 높이를 확장시킨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는 거푸집이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과 흙벽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해체작업은 상기 순서와 역순이므로 이하 생략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설치되는 거푸집의 높이가 확장되어도 상기 활주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에 천공이 형성되어서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경사지기 않고 연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단면이 "ㄷ"자 형상인 프레임(110a, 110b)이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110a, 110b)은 복수의 고정판(113)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상이고, 하단에는 평판형상의 연결판(115)과 상기 연결판(115)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116)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110);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단부의 상기 보강판(116)과 볼트에 의하여 수평으로 연결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볼트홈(131)이 형성된 브라켓(133)이 구비된 베이스빔(130);
    상기 베이스빔(130)의 상기 브라켓(133)과 연결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지지하는 환봉 형상의 복수의 지지대(140);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하로 활주될 수 있고,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사각 기둥형상의 활주프레임(111);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는 환봉형상의 겉지지대(140a);와 상기 겉지지대(140a)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는 환봉형상의 속지지대(140b);와 상기 겉지지대(140a)와 상기 속지지대(140b)를 연결하는 턴버클(1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에는 천공(117)이 형성되어 중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KR20-2003-0023642U 2003-07-22 2003-07-22 거푸집 지지장치. KR200335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642U KR200335421Y1 (ko) 2003-07-22 2003-07-22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642U KR200335421Y1 (ko) 2003-07-22 2003-07-22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421Y1 true KR200335421Y1 (ko) 2003-12-11

Family

ID=4942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642U KR200335421Y1 (ko) 2003-07-22 2003-07-22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4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8196B1 (ja) 鉄骨柱の建込方法
KR101257367B1 (ko) 절곡연결대를 이용한 방호시설 시공방법
US3393521A (en) Excavation shoring frame assemblies
KR102066550B1 (ko) 길이조절을 겸비한 보 브라켓과 슬래브 동바리를 일체화시켜 지지하는 l,i자 브라켓
KR200335421Y1 (ko) 거푸집 지지장치.
CN215760439U (zh) 一种高低跨混凝土底板支模结构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0402030B1 (ko)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JP6918613B2 (ja) 壁面構造および壁面の構築方法
KR102553850B1 (ko) 맞벽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200347524Y1 (ko) 내구성이 증대된 거푸집 지지장치.
JP3597824B2 (ja) 張出し道路の施工法
KR200360774Y1 (ko) 트러스트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2310713B1 (ko) 상하부 교차 맞물림 접합부를 갖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접합부 구조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CN211036680U (zh) 一种高墩变高曲线连续钢桁梁主墩用托架
KR20100112820A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물
JP2016217126A (ja) 建設用の地面係合型支持装置
JPS6215292Y2 (ko)
JP2005226401A (ja) 水域構造物の施工方法
JPH0571176A (ja) デツキプレート
KR100321911B1 (ko) 전단벽에사용되는스틸스터드의설치시스템
JP6529379B2 (ja) インバート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