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585B1 -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585B1
KR100815585B1 KR1020070132027A KR20070132027A KR100815585B1 KR 100815585 B1 KR100815585 B1 KR 100815585B1 KR 1020070132027 A KR1020070132027 A KR 1020070132027A KR 20070132027 A KR20070132027 A KR 20070132027A KR 100815585 B1 KR100815585 B1 KR 10081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boundary stone
pedestal
prefabricated formwork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재
Original Assignee
이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재 filed Critical 이대재
Priority to KR102007013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와 차도 차이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지지하기 위한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의 높낮이와 수평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상부면에 다수의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볼트공 각각에 나사결합 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앙카볼트를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시키고 그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요홈과 요철의 암수결합으로 상호 조립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와 제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연통홈에 삽입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경계석, 받침대, 높이조절, 길이조절, 각도조절

Description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Curb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보도와 차도 차이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지지하기 위한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의 높낮이와 수평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보도와 차도 간의 경계지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기 위해 도로 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로경계석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시공된다. 이를 위해 지반을 다진 후, 일정 높이를 만들기 위하여 지반위에 기초콘크리트를 도로경계석이 배치될 위치에 적당히 타설한 후, 이것이 굳어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되면, 그 위에 제2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제2콘크리트가 적당한 굳기를 가지게 되었을 때 도로경계석을 제2콘크리트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도로경계석의 높이와 수평은 제2콘크리트가 채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면 제2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일정한 굳기를 가지고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가능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없어서 작업 진행속도가 매우 느리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제2콘크리트 위에 도로경계석이 놓이고, 위치를 조절한 후 제2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으면, 양측에 조립거푸집을 형성하고 양측에 각각 제3콘크리트 및 제4콘크리트를 부어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기초,제2,제3,제4콘크리트의 4개 덩어리로 분리되어 타설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각각의 콘크리트의 경계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 시공 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공수가 지나치게 많고 시공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373450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고정장치", 등록특허 제622023호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그 사용방법" 등과 같은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과 등록특허의 받침대는 도로경계석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떨어져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있기에 종래와 같이 기초콘크리트나 제2콘크리트의 타 설이 필요 없고, 제3, 제4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할 필요가 없어, 도로경계석 설치 작업의 신속성과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받침대는 도로경계석의 밑면에 너트끼움홈과 숫나사부끼움홈을 별도로 형성하여야하는 번거로움과,
높이조절받침부재의 높이조절을 한 후에 도로경계석을 올려놓는 것이 아니고, 높이조절받침부재를 도로경계석에 먼저 결합시킨 후 숫나사부를 회전시켜 높이조절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높이조절이 번거롭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받침대는 받침대의 높이를 먼저 조절한 후에 도로경계석을 받침대 위에 올려놓는 방식으로서 높이조절이 간단하게 수행되지만, 한 쌍의 길이조절축이 연동되어 승하강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정밀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로경계석은 그 종류에 따라 길이와 폭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받침대는 여러 종류의 도로경계석을 받쳐주기 위해서는 폭과 길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로경계석은 직선으로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곳곳에서 방향을 틀어 설치되므로, 방향이 틀어지는 곡선부분에서 도로경계석을 받쳐주는 받침대는 각도 조절이 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경계석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높이조절이 간단정밀하게 이루어지며 구성이 간단한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받침대는 높이조절뿐만 아니라 길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지반의 특성이 바뀌고 도로경계석의 배열방향이 바뀌어도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가능한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조립식거푸집 중에 곡선부분에 설치되는 조립식거푸집은 시공자가 힘으로 휠 수 있는 두께서 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신속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상부면에 다수의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볼트공 각각에 나사결합 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구비되 어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앙카볼트를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시키고 그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요홈과 요철의 암수결합으로 상호 조립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와 제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연통홈에 삽입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연통홈에 각각 삽입배치되고 상기 연통홈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에 걸리는 피걸림부를 갖는 제1연통부 및 제2연통부와, 양측에 상기 제1연통부 및 제2연통부가 각각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볼트공을 하나씩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단위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몸체들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막대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은 지반을 편평하게 다지고, 다져진 지판의 소정부위에 기준이 되는 규준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규준틀에 맞추어 지반위에 상기 제3항 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 는 단계;
상기 받침대가 배열된 지반의 특성에 맞게 받침대 앙카볼트의 돌출길이,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연결길이, 그리고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연결각도를 조절하면서 받침대 위에 도로경계석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도로경계석의 양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조립식거푸집을 설치하고, 고정부재로 상기 조립식거푸집을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두 조립식거푸집 사이에 채워 콘크리트를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정높이까지 타설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고정부재를 뽑아 상기 조립식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거푸집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하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갖는 절곡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면에서 전면부와 두 절곡부를 연결하고 다른 조립식거푸집과 볼팅결합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받침대의 높이조절뿐 아니라 길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도로경계석을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배열할 수 있고, 시공의 편리성과 기간단축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앙카볼트와 조절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4는 또 다른 형태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는 받침대를 이용해 도로경계석을 지반에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앙카볼트(20)와, 상기 앙카볼트(20)를 회전시켜 그 돌출길이를 조졸하는 조절부재(30), 그리고 몸체(10)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가벼운 플라스틱재질(PE, PP, PVC)로 이루어진다. 환경문제를 고려하면 재생 플라스틱재질로 몸체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 양측에는 각각 앙카볼트(20)가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볼트공(1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15)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앙카볼트(20)의 중앙에는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21)에는 조절부재(30)가 삽입결합된다.
조절부재(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앙카볼트(20)를 풀거나 조임으로서 앙카볼트(20)의 돌출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절부재(30)는 상기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의 상단에 구비되고 도로경계석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3)는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하여 올려진 도로경계석의 밀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는 받침대가 놓여질 지면의 특성이나 올려지는 도로경계석의 배열 방향 등에 따라 그 높이뿐만 아니라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를 길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길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는 분리가능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는 평상시(길이조절이나 각도조절이 필요 없는 때)에는 암수결합방식으로 상호 조립된다. 암수결합을 위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접촉부위에는 각각 요홈(11a)과 상기 요홈(11a)에 삽입되는 요철(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홈(11b,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홈(11b,12b)에는 길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40)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제1,제2몸체(11,12)의 연통홈(11b,12b)에 각각 삽입배치되는 제1연통부(41)와 제2연통부(43), 그리고 제1연통부(41)와 제2연통부(43)를 연결하며 각도조절이 가능한 힌지부를 갖는 이음부(45)로 구성된다.
상기 이음부(45)의 양측에는 너트공(4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통부(41)와 제2연통부(43)의 단부에는 상기 너트공(47)에 삽입되어 조여지거나 풀리는 나사부(42,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를 분리시켜 몸체(10)의 길이를 늘리는 경우에는 상기 나사부(42,44)를 풀어 연결부재(40)의 전체길이도 늘려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결속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음부(45)의 중앙에는 힌지핀(46)으로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로경계석이 배열방향이 바뀌는 곳(직선으로 배열되던 도로경계석이 방향을 틀어 배열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를 분리시키면서 제1몸체(11)(또는 제2몸체(12)를 힌지핀(46)을 축으로 일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연결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나사부(42,44)를 너트공(47)에서 풀어 조절부재(30)의 전체길이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홈(11b,12b)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잡아주는 걸림부로서 걸림핀(11c,12c)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연통부(41)와 제2연통부(43)의 외주연에는 상기 걸림핀(11c,12c)이 배치되어 연결부재(40)가 연통홈(11b,12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피걸림부로서 걸림홈(41c,4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핀(11c,12c)은 연통홈(11b,12b)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내측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조절부재(40)가 연통홈(11b,12b)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통부(41)와 제2연통부(43)의 단부에는 시공자가 파지하여 돌리기 위한 파지부(41d,43d)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가 위치하는 연통홈은 시공자의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보다 넓게 형성된다.
도3b는 연결부재(40) 없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각도조절만이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조립부위에 축공을 천공하고, 상기 축공에 축핀(19)을 삽입하여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받침대의 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4의 몸체(10)는 그 부피와 무게를 줄여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공(15)을 하나씩 구비하고 있는 4개의 단위몸체(13) 구성되고, 단위몸체(13)들은 연결막대(50)로 상호 연결된다. 도4a의 연결막대(50)는 길이조절이 안되고, 도4b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단위몸체(13)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보다 경량화를 위해 받침부(13a) 중앙에 볼트공(15)을 갖는 원기둥부(13b)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막대(50)는 단위몸체(13)와 단위몸체(13)를 상호 연결하며, 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공을 갖는 암막대(51)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숫막대(53)로 구성되고, 숫막대(53)를 관통한 볼트(55)가 암막대(51) 표면을 조여 이들을 고정시킨다.
인접하고 있는 두 단위몸체(13)를 연결하는 연결막대(50)는 단위몸체(13)에 고정되나, 대각선으로 배치된 두 단위몸체(13)를 연결하는 연결막대(50)는 단위몸체(1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우선, 지반(2)을 편평하게 다지고, 다져진 지반(2)에 규준틀(미도시)을 설치한다. 상기 규준틀은 도로경계석(1)이 배열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기준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규준틀에 맞추어 지반(2)위에 본 발명의 받침대를 배열한다.
다음으로, 도3a,b에 도시된 받침대 앙카볼트(20)의 돌출길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연결길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연결각도를 조절하면서 받침대의 조절부재(30) 위에 도로경계석(1)을 올려놓는다. 또는 도4a,b에 도시된 받침대 앙카볼트(20)의 돌출길이, 단위몸체들(13)의 연결길이를 조절하면서 받침대의 조절부재(30) 위에 도로경계석(1)을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도로경계의 양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조립식거푸집(60)을 설치하고, 고정부재(69)로 조립식거푸집(60)을 지반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콘크리트(3)를 두 조립식거푸집(60) 사이에 부어 콘크리트(3)를 도로경계석(1)의 일정높이까지 일괄 타설한다.
마지막으로, 일정시간 경과하여 콘크리트(3)가 양생되면 상기 고정부재(69) 를 뽑고 상기 조립식거푸집(60)을 해체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거푸집(60)은 내구성이 강하고, 잘 부식되지 않는 아연이나 스테인레스 재질이고,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전면부(61)와, 상기 전면부(61)의 상하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69)가 삽입되는 고정공(64)을 갖는 두 절곡부(63)와, 상기 전면부(61)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하단의 두 절곡부(63)를 연결하는 측면부(6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65)에는 접촉되는 다른 조립식거푸집(60)의 측면부(65)와 볼팅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공(66)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부(61)의 상단 내측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모서리부분을 면처리하기 위한 경사부(67)(일명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사시도.
도 2 는 도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1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받침대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12 : 제1,재2몸체
11a,12a : 요홈과 요철 11b,12b : 연통홈
20 : 앙카볼트 21 : 삽입공
30 : 조절부재 31 : 삽입부
33 : 지지부 40 : 연결부재
41,43 : 제1,제2연통부 45 : 이음부
50 : 연결막대 60 : 조립식거푸집
61 : 전면부 63 : 절곡부
65 : 측면부 69 : 고정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면에 다수의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볼트공 각각에 나사결합 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앙카볼트;
    상기 앙카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앙카볼트를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시키고 그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기 볼트공을 하나씩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단위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몸체들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막대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5. 지반을 편평하게 다지고, 다져진 지판의 소정부위에 기준이 되는 규준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규준틀에 맞추어 지반위에 상기 제4항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가 배열된 지반의 특성에 맞게 받침대 앙카볼트의 돌출길이, 단위몸체들의 연결길이를 조절하면서 받침대 위에 도로경계석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도로경계석의 양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조립식거푸집을 설치하고, 고정부재로 상기 조립식거푸집을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두 조립식거푸집 사이에 채워 콘크리트를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정높이까지 타설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고정부재를 뽑아 상기 조립식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거푸집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하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갖는 절곡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면에서 전면부와 두 절곡부를 연결하고 다른 조립식거푸집과 볼팅결합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거푸집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모서리를 면처리하기 위한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8. 삭제
KR1020070132027A 2007-12-17 2007-12-17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KR10081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027A KR100815585B1 (ko) 2007-12-17 2007-12-17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027A KR100815585B1 (ko) 2007-12-17 2007-12-17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585B1 true KR100815585B1 (ko) 2008-03-24

Family

ID=3941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027A KR100815585B1 (ko) 2007-12-17 2007-12-17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37B1 (ko) * 2008-05-16 2008-12-09 (주)미래기술단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974329B1 (ko) 2010-04-23 2010-08-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경계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513A (ja) * 1996-04-10 1997-10-28 Matsuoka Concrete Kogyo Kk 隣接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整列調整装置および整列調 整方法
JP2000297406A (ja) * 1999-04-14 2000-10-24 Tomokazu Okud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高さ固定器具及び高さ固定方法
KR200346075Y1 (ko) * 2003-12-23 2004-03-27 이인형 도로 경계석 위치 조절장치
KR20050103140A (ko) * 2004-04-21 2005-10-27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200437489Y1 (ko) * 2007-06-22 2007-12-07 오철호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513A (ja) * 1996-04-10 1997-10-28 Matsuoka Concrete Kogyo Kk 隣接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整列調整装置および整列調 整方法
JP2000297406A (ja) * 1999-04-14 2000-10-24 Tomokazu Okud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高さ固定器具及び高さ固定方法
KR200346075Y1 (ko) * 2003-12-23 2004-03-27 이인형 도로 경계석 위치 조절장치
KR20050103140A (ko) * 2004-04-21 2005-10-27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200437489Y1 (ko) * 2007-06-22 2007-12-07 오철호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37B1 (ko) * 2008-05-16 2008-12-09 (주)미래기술단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974329B1 (ko) 2010-04-23 2010-08-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경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5455C (en) Systems and support assemblies for restraining elevated deck components
KR200438331Y1 (ko) 보거푸집 지지대
AU2015312521B2 (en) Post support apparatus
US11661719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70043743A (ko) 건축용 동바리
KR100815585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US20220290397A1 (en) Concrete foundation form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0622023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그 사용방법
KR100873037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660740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NL1021783C2 (nl) Modulair constructiesysteem.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101032138B1 (ko) 도로 경계석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16422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근이음장치
US20050204682A1 (en)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foundations
KR101274440B1 (ko) 직선 및 곡선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
KR200430123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지지용 y형 받침대
KR200378145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361659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197262B1 (ko) 가변식 도로경계석 받침대
GB2311201A (en) System for securing strip material in ground to form a barrier
KR20130051867A (ko) 절토부 보강토 옹벽 연결바의 길이조절용 커플러
CN212247779U (zh) 一种花岗岩铺装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