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740B1 -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740B1
KR100660740B1 KR1020040101702A KR20040101702A KR100660740B1 KR 100660740 B1 KR100660740 B1 KR 100660740B1 KR 1020040101702 A KR1020040101702 A KR 1020040101702A KR 20040101702 A KR20040101702 A KR 20040101702A KR 100660740 B1 KR100660740 B1 KR 10066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boundary stone
pedestal
vertica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140A (ko
Inventor
신상종
신영옥
신상원
Original Assignee
신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종 filed Critical 신상종
Publication of KR2005010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2Apparatus for laying the elements by rolling or unfolding, e.g. for temporary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을 연결하는 리브로 이루어진 받침대 몸체, 상기 받침대 몸체의 지주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받침대 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승하강하는 볼트기둥, 상기 볼트기둥에 결합하여 볼트기둥의 외경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는 손잡이, 및 상기 볼트기둥의 상단에 결합하여 볼트기둥에 대하여 미끄럼운동하고 도로경계석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로경계석, 도로경계석 받침대, 조절부재, 수직지주, 수직리브

Description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Curb support and rapi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도로경계석의 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 타낸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상하 적층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결합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위치조절용 밑판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위치조절용 밑판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수평위치조절 및 수직높이 조절을 보인 시공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거푸집 연결방법 및 이에 따른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공과정의 단계를 보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G) : 지반 (B) : 도로경계석 받침대
(10) : 도로경계석 (21, 22) : 측구 거푸집
(30) : 규준틀 (100) : 받침몸체
(110) : 지주 (110') : 수직지주
(114) : 지주삽입구 (120) : 리브
(120') : 수직리브 (121) : 수직리브 연결부재
(130) : 볼트기둥 (134) : 회전손잡이 걸림부
(135) : 지주걸림턱 (139) : 캡부재고정부재
(140) : 회전손잡이 (150) : 캡부재
(153) : 오목홈 (160) : 밑판
(161) : 걸림턱 (170) : 조립식거푸집
(171) : 수직고정부재 삽입구 (172) : 거푸집연결피스 가이드
(173) : 콘크리트형상가공부 (174) : 거푸집연결피스
(175) : 거푸집수직고정부재 (180) : 스페이서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 을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이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의 안착 및 높이조절을 위한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이 필요 없는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보도와 차도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경계석 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로경계석(1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지반(G)을 다진 후, 일정높이를 만들기 위하여 지반(G) 위에 기초콘크리트(1)를 도로경계석(10)이 배치될 위치에 적당히 타설한 후, 이것이 굳어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되면, 그 위에 제 2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제 2콘크리트(2)가 적당한 굳기를 가지게 되었을 때(적당한 유동성도 가지고 있는 상태) 도로경계석(10)을 제 2콘크리트(2)의 위에 올려놓는다. 도로경계석(10)의 높이 및 수평도는 제 2콘크리트(2)가 채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도로경계석(10)의 높이 및 수평도 등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며 제 2콘크리트(2)가 완전히 굳기 전에 일정한 굳기를 가지고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가능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없어서 작업 진행속도가 매우 느리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제 2콘크리트(2) 위에 도로경계석(10)이 놓이고, 위치를 조절한 후 제 2콘크리트(2)가 완전히 굳으면, 양측에 측구 거푸집(21,22)을 형성하고 양측에 각각 제 3콘크리트(3) 및 제 4콘크리트(4)를 부어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기초콘크리트(1), 제 2콘크리트(2), 제 3콘크리트(3), 제 4콘크리트(4)의 4개의 덩어리로 분리되어 타설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또 각각의 콘크리트의 경계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 시공 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공수가 지나치게 많고 시공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대를 조절하여 도로경계석의 수평 및 직선도를 맞춘 후 기초콘크리트를 포함해서 제 2콘크리트부터 제 4콘크리트까지 4개의 콘크리트를 한꺼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경계석을 올려놓은 후 받침대가 지반에 침하되지 않고 수직높이 및 수평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하여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주와, 지주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받침대 몸체와; 상기 지주상에 나사결합하는 볼트기둥이 설치되어 상승 혹은 하강하여 도로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외경이 동일 원형 단면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 내경부에는 또 다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 상부 외경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지주삽입구가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지주와,
상기 이웃하는 수직지주 간을 평행하게 수직 형성된 2개의 수직리브로 구성하고, 평행하게 형성된 수직리브간의 하부는 수직리브연결부재로 연결 구성한 수직리브로 이루어진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수직지주 내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나사부와, 이 나사부의 상부 끝단측 회전삽입을 단속하도록 상단부쪽 회전손잡이걸림부 하단부에 형성된 지주걸림턱과, 이 지주걸림턱의 상부면에 회전손잡이의 회전손잡이걸림홈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와, 이 회전손잡이걸림부의 상단에 형성된 캡부재와 결합하는 볼록구면으로 이루어진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상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가 삽입되는 회전손잡이걸림홈이 형성되어 볼트기둥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하고, 내경은 수직지주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수직지주를 감싸도록 하되, 그 감싼 길이는 최소한 볼트기둥 길이의 1/2보다 크게 형성한 회전손잡이와;
상기 볼트기둥의 상면에 결합하여 도로경계석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상부 표면에는 요철돌기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볼트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록구면에 대응하는 오목홈을 구비하여 볼트기둥과 캡부재가 원활하게 구름마찰하도록 구성한 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로경계석의 자중으로 인해 받침대가 지반으로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대의 수평 위치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밑판은 그 상부에 얹혀지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의 갯수에 따라 단면의 각형을 정하고 가장장자리에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받침대보다 밑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손잡이의 둘레부에는 회전손잡이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시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록구면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통형부재 둘레에는 캡부재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캡부재와 막끼움되어 캡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지주가 3개로 이루어져 3점지지방식의 받침대 몸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로경계석을 지반위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경계석을 설치할 부분의 지반(G)을 편평하게 다지고 도로경계석을 시공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규준틀(30)을 설치하는 단계와;
규준틀(30)에 맞추어 받침대의 침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받침대의 수평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밑판(160)과, 이 밑판 위에 설치되는 제 1항내지 6항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와;
이후 시공할 부분에 도로경계석의 규격에 맞는 간격으로 도로경계석을 지반(G)에 배열하는 단계와;
이후 도로경계석 받침대(B) 위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한번에 차례로 올려놓으며, 도로경계석 받침대(B)의 회전손잡이를 조절하여 도로경계 석(1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이후 도로경계석 받침대 위에 도로경계석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도로경계석에 힘을 가해 밑판(160) 위에 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움직여 도로경계석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만큼 도로경계석 양측에 거리를 띄워 조립식거푸집(170)을 설치하고 시공될 도로경계석 길이만큼 거푸집연결피스(174)를 사용하여 조립식거푸집(170)을 조립하고, 수직고정부재(175)로 고정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의해 도로경계석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석과 후면 조립식거푸집 사이에 스페이서(180)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를 부어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양측으로 소통시켜 콘크리트를 한번에 채워 타설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가 일정 시간 지나 양생되면 수직고정부재(175)의 고정력을 해제하고, 조립식거푸집(170), 거푸집연결피스(174) 및 스페이서(180)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일부 지반의 편평도와 이웃하는 지반과의 편평도 차이가 클 경우 여기에 배열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하부 지주삽입구에 별도의 도로경계석 받침대 수직지주 상부를 삽입시켜 다층으로 적층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밑판은 상부에 얹혀지는 도로경계석 수직지주의 갯수에 따라 단면의 각형을 정하고 가장장자리에는 가장장자리에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받침대보다 밑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식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조립식거푸집은 압출 또는 사출되는 프레임구조로, 전후면 중 일측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쪽으로는 콘크리트의 측면 형상을 가공하는 콘크리트형상 가공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는 콘크리트 양생 기간동안 조립식거푸집을 지반에 고정하는 거푸집 수직고정부재가 수직관통하도록 수직고정부재 삽입구가 형성되고, 전후면이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이웃하는 조립식거푸집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거푸집연결피스가 삽입 고정되는 거푸집연결피스가이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들을 연결하는 리브(120)로 이루어진 받침몸체(100)와, 상기 받침몸체(100)의 지주(110)의 상면에 나사 결합하는 본 발명의 조절칼럼의 일례인 볼트기둥(130)과,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134)가 삽입되는 회전손잡이걸림홈(144)이 형성되어 볼트기둥(130) 회전시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회전손잡이(140)와,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면에 결합하여 도로경계석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캡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140)의 둘레부에는 회전손잡이돌기(142)가 형성되어 회전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지주(1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통의 기둥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나사홈(112)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홈(112)에 볼트기둥(130)의 나사부(132)가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볼트기둥(130)은 상기 중심지주(110)와 나사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향 혹은 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중심지주(110)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하여 도로경계석 지지점의 높이를 변경한다. 상기 볼트기둥(130)은 상단면에 볼베어링을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136)를 구비하여 볼베어링(137)을 수용하고, 캡부재(150)의 내측면에도 상기 볼베어링(137)과 원 활하게 접촉할 수 있는 오목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캡부재(150)와 볼트기둥(130) 사이의 마찰은 볼베어링(137)의 구름마찰에 의하게 된다.
상기 캡부재(150)는 도로경계석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요철돌기(152)를 구비하여 캡부재(150)의 표면이 도로경계석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부면에는 회전손잡이걸림부(134)가 형성되어 회전손잡이걸림홈(144)이 형성된 회전손잡이(140)와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볼트기둥(13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보다 직경이 큰 회전손잡이(140)를 결합시켜 볼트기둥(130)의 반지름을 크게 하여 볼트기둥(130)을 회전시킬 때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구조에 있어서 받침몸체와 지주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기본적인 지지구조를 이루며, 지주상에 배열되는 볼트기둥, 회전손잡이 및 캡부재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 한도내에서 예를 들어 볼트기둥이 캡부재와 회전손잡이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거나, 나사결합을 다수의 걸림턱 체결구조로 변경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주상에 배치되는 구성은 받침대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부재로 정의되며, 이 기술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 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4a의 실시예에서 볼베어링을 삭제하고, 이를 대신해서 볼트기둥(130)의 상단에 볼록구면(138)을 구비하여 볼베어링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손잡이(140)를 회전시키면 볼록구면(138)과 캡부재(150) 내측의 오목홈이 미끄럼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4a의 실시예에 비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지주가 3개인 타입이고, 도 4b의 단면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볼베어링을 대신하여 볼록구면(138)을 구비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로경계석 자체가 일정한 규격을 가지고 생산되기 때문에 도로경계석의 바닥면은 편평한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지주가 4개인 타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경우에는 4점으로 1개의 도로경계석을 지지하게 된다. 평면은 3개의 점에 의해 형성되므로 4점이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 않으면 도로경계석이 흔들리기 때문에 도로경계석이 흔들리지 않도록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반면에 본 실시예는 하나의 도로경계석을 3점으로 지지한다. 그런데 3점은 언제나 동일평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로경계석이 흔들릴 우려가 없고 높이 조절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a는 지반(G)을 다지고 규준틀(30)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로경계석의 설치를 위해서, 제일 먼저 도로경계석을 설치할 부분의 지반(G)을 편평하게 다지고 도로경계석을 시공하는데 기준이 되는 규준틀(30)을 설치한다. 규준틀(30)이란 설치의 기준이 되는 지점에 철근을 박고 실을 연결한 것을 말한다.
도 6b는 규준틀(30)에 맞추어 도로경계석 받침대(B)를 배열한 상태를 나타낸다. 시공할 부분에 도로경계석의 규격에 맞는 간격으로 도로경계석을 지반(G)에 배열한다.
도 6c는 도로경계석 받침대(B)에 도로경계석(10)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로경계석 받침대(B)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차례로 올려놓으며, 도로경계석 받침대(B)의 회전손잡이를 조절하여 도로경계석(10)의 수평도와 높이 등의 위치를 조절한다. 종래에는 제 2콘크리트(도 1의 2)가 굳기 전에 도로경계석을 올려놓고 위치 조절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구간의 길이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로경계석(10)을 도로경계석 받침대(B)가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구간도 한번에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6d는 도로경계석(10) 양측에 측구 거푸집(21, 22)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규격에 맞도록 도로경계석의 양측에 측구 거푸집(21, 22)을 설치한다.
도 6e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양측이 소통하므로 콘크리트(7)를 한번만 부어도 양측 측구 거푸집(21,22) 사이의 공간이 모두 채워지므로 간단히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 받침대(B)는 콘크리트(7)에 묻히게 되며 양측의 측구 거푸집(21,22) 사이가 한 덩어리의 콘크리트(7)로 타설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 및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동일 원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 개의 수직지주(110')와, 상기 각 수직지주(110')간을 연결하는 수직리브(120')로 이루어진 받침몸체(100)와, 상기 받침몸체(100)의 수직지주(110')의 상면에 나사 결합하는 본 발명의 조절칼럼의 일례인 볼트기둥(130)과,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134)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손잡이걸림홈(144)이 형성되어 볼트기둥(130) 회전시 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회전손잡이(140)와,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면에 결합하여 도로경계석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캡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기둥(130) 나사부(132)의 상단부쪽에 회전손잡이걸림부(134)의 하단부에는, 수직지주(110')의 나사홈(112)에 삽입되는 나사부(132)의 일측 끝단부 회전삽입을 단속하는 지주걸림턱(135)이 형성되어 볼트기둥(130)이 지주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40)의 둘레부에는 회전손잡이돌기(144)가 형성되어 회전시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부재(150) 상부에는 도로경계석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요철돌기(152)를 구비하여 캡부재(150)의 표면이 도로경계석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도로경계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캡부재의 내면에는 볼트기둥(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록구면(138)에 대응하는 오목홈(153)을 구비하여 볼트기둥과 캡부재가 원활하게 구름마찰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오목홈에 삽입되는 볼록구면간에는 약간의 유격이 있도록 구성하여 캡부재가 약간의 자유 움직임이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또한 볼록구면(138)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통형부재 둘레에는 캡부재고정부재(139)가 형성되어 캡부재와 막끼움되어 캡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부면에는 회전손잡이걸림부(134)가 형성되어 회전손잡이걸림홈(144)이 형성된 회전손잡이(140)와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볼트기둥(13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보다 직경이 큰 회전손잡이(140)를 결합시켜 볼트기둥(130)의 반지름을 크게 하여 볼트기둥(130)을 회전시킬 때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손잡이(140)의 내경은 수직지주(110')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수직지주(110')를 감싸도록 하고, 그 평소 높이가 수직지주(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볼트기둥(130)이 회전하여 회전손잡이(140)가 상승된 후에도 볼트기둥(130)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회전손잡이(140)를 통해 수직지주(110')에 전달되도록 해서 수직지주(110')가 측방향 흔들림에 대한 지지부 역활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그 감싼 길이는 최소한 볼트기둥(130) 길이의 1/2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얹혀진 도로경계석의 수직높이나 수평위치 조절 시 도로경계석의 중량에 의한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수직지주(110')의 하부 내경부에는 또 다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 상부가 삽입되어 적층구성될 수 있는 지주삽입구(114)가 형성되어 다층구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수직리브(120')는 이웃하는 수직지주(110')간에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수직리브(120')로 구성하고, 평행하게 형성된 수직리브(120')간의 하부는 수직리브의 비틀림이나 측방향 힘을 견디기 위한 수직리브연결부재(121)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리브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리브(120)에 비해 축하중이나 측방향 응력에 의한 받침대의 변형이 덜 발생하도록 하는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상하 적층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결합을 보인 결합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다층구조는 지반의 편평도를 동일평면으로 다지기 어렵거나, 도로경계석의 설치 높이가 볼트기둥의 상승높이보다 더 클 경우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로경계석 시공시 지반의 높이가 이웃하는 지반보다 너무 낮고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거나, 볼트기둥(130)의 상승으로는 높이조절에 한계가 있을 경우 이와 같이 지주삽입구(114)에 다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 상부를 삽입시켜 적층구성함으로써 다층구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적층시 그 단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2-3단 정도가 무난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위치조절용 밑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위치조절용 밑판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조는 상부에 얹혀지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의 갯수에 따라 단면의 각형을 정하고 가장장자리에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161)이 형성되고, 받침대보다 밑면적이 넓게 형성된 밑판(16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대보다 밑면적이 넓은 밑판(160)의 구성에 의해 지반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침하가 방지되고, 도로경계석 시공시 중량이 나가는 도로경계석의 수평이동이 필요할 경우 도로경계석을 다시 들어올려 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한 후 도로경계석을 다시 내려놓을 필요없이 도로경계석을 밀어 직접 밑판의 면적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밑판(160)위에 설치된 받침대가 미끌어져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수평위치조절 및 수직높이 조절을 보인 시공 개념도로서, 수평위치 조절시는 밑판(160)을 사용하여 도로경계석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고, 수직높이 조절시는 볼트기둥의 승하강 또는 받침대의 다층구성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예 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푸집의 연결방법 및 이에 따른 결합을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같이 측구 거푸집(21, 22)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을 하였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은 보통 기름쳐진 나무판 등의 거푸집을 일일히 시공설계에 맞추어 수작업으로 설치하고, 또한 시공설계시 측면형상 가공이 필요할 경우 이에 따른 형상이 나오도록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는 바, 거푸집 설치에 따른 시공 오차 등이 많고 이를 교정하는 시간과 형상 가공의 통일성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거푸집을 조립식거푸집으로 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립식거푸집(170)은 기본적으로 압출 또는 사출되는 프레임구조를 가지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후면 중 일측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쪽으로는 콘크리트의 측면 형상을 가공하는 콘크리트형상 가공부(173)가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는 콘크리트 양생 기간동안 조립식거푸집을 지반에 고정하는 거푸집 수직고정부재(175)가 수직관통하도록 수직고정부재 삽입구(171)가 형성되고, 전후면이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이웃하는 조립식거푸집(17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거푸집연결피스(174)가 삽입 고정되는 거푸집연결피스가이드(17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거푸집(170) 및 거푸집연결피스(174)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것이나 상관 없다.
상기 수직고정부재(175)는 볼트등의 고정부재나 고정이 되는 피스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고 고정시킬수만 있으면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공과정의 단계를 보인 공정도이다. 공정단계 중 전술한 도 6a 내지 6e까지와 유사한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시공 공정단계는,
도로경계석을 설치할 부분의 지반(G)을 편평하게 다지고 도로경계석의 시공의 기준이 되는 규준틀(30)을 설치하는 단계와;
규준틀(30)에 맞추어 밑판(160)과 그 위에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와;
이후 시공할 부분에 도로경계석의 규격에 맞는 간격으로 도로경계석을 지반(G)에 배열하는 단계와;
이후 도로경계석 받침대(B) 위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한번에 차례로 올려놓으며, 도로경계석 받침대(B)의 회전손잡이를 조절하여 도로경계석(1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이후 도로경계석 받침대 위에 도로경계석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도로경계석에 힘을 가해 밑판(160) 위에 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움직여 도로경계석의 수평위 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만큼 도로경계석 양측에 거리를 띄워 조립식거푸집(170)을 설치하고 시공될 도로경계석 길이만큼 거푸집연결피스(174)를 사용하여 조립식거푸집(170)을 조립하고, 수직고정부재(175)로 고정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의해 도로경계석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석과 후면 조립식거푸집 사이에 스페이서(180)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를 부어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양측으로 소통시켜 콘크리트를 한번에 채워 타설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가 일정 시간 지나 양생되면 수직고정부재(175)의 고정력을 해제하고, 조립식거푸집(170), 거푸집연결피스(174) 및 스페이서(1180)를 수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일부 지반과 이웃하는 지반과의 편평도 차이가 클 경우 여기에 배열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하부 지주삽입구(114)에 별도의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 상부를 삽입시켜 다층으로 적층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사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도로경계석을 설계상의 위치로 정렬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손쉽게 양호한 시공품질을 달성할 수 있게 해주고,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위해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초콘크리트의 양생시간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므로 공사기간 및 공사에 투여되는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아래의 콘크리트가 한 덩어리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장점과,
또한 받침대의 침하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시공위치 조절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도로경계석 중량이나 볼트기둥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수평력에 의한 볼트기둥의 파손을 수직지주를 감싸는 회전손잡이의 구조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조립식 거푸집을 사용하여 이를 간단하게 조립설치 및 수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수작업으로 타설될 콘크리트의 측면형상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시공시간을 줄일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캡부재 상부에 형성된 요철돌기에 의해 도로경계석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도로경계석의 위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기초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시공하여야 하는 시간적인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도로경계석 받침대 배열단계에서 수평라인과 수직높이를 대단히 편리하고 정확하게 일괄하여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지주와, 이들 지주들을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받침대 몸체와; 상기 지주상에 나사결합하는 볼트기둥이 설치되어 상승 혹은 하강하여 도로경계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외경이 동일 원형 단면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나사홈(112)이 형성되고,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 내경부에는 또 다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 상부 외경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지주삽입구(114)가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지주(110')와,
    상기 이웃하는 수직지주(110') 간을 평행하게 수직 형성된 2개의 수직리브(120')로 연결하고, 평행하게 형성된 수직리브(120')간의 하부는 수직리브연결부재(121)로 연결 구성한 수직리브(120')로 이루어진 받침몸체(100)와;
    상기 받침몸체(100)의 수직지주(110') 내부에 형성된 나사홈(112)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나사부(132)와, 이 나사부(132)의 회전삽입을 단속하도록 나사부(132)의 상부 끝단측에 형성된 지주걸림턱(135)과, 이 지주걸림턱(135)의 상부면에 회전손잡이(140)의 회전손잡이걸림홈(144)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134)와, 이 회전손잡이걸림부(134)의 상단에 형성된 캡부재(150)와 결합하는 볼록구면(138)으로 이루어진 볼트기둥(130)과;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134)가 삽입되는 회전손잡이걸림홈(144)이 형성되어 볼트기둥(13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하고, 내경은 수직지주(110')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수직지주(110')를 감싸도록 하되, 그 감싼 길이는 최소한 볼트기둥(130) 길이의 1/2보다 크게 형성한 회전손잡이(140)와;
    상기 볼트기둥(130)의 상면에 결합하여 도로경계석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상부 표면에는 요철돌기(152)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볼트기둥(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록구면(138)에 대응하는 오목홈(153)을 구비하여 볼트기둥과 캡부재가 원활하게 구름마찰하도록 구성한 캡부재(150)를 포한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몸체(100)가 지반으로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몸체(100)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밑판(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160)은 그 상부에 얹혀지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수직지주의 갯수에 따라 단면의 각형을 정하고 가장장자리에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161)이 형성되고, 받침대보다 밑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140)의 둘레부에는 회전손잡이돌기(144)가 형성되어 회전시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구면(138)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통형부재 둘레에는 캡부재고정부재(139)가 형성되어 캡부재와 막끼움되어 캡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지주가 3개로 이루어져 3점지지방식의 받침대 몸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7. 도로경계석을 지반위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경계석을 설치할 부분의 지반(G)을 편평하게 다지고 도로경계석을 시공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규준틀(30)을 설치하는 단계와;
    규준틀(30)에 맞추어 받침대의 침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받침대의 수평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밑판(160)과, 이 밑판 위에 설치되는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항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와;
    이후 시공할 부분에 도로경계석의 규격에 맞는 간격으로 도로경계석을 지반(G)에 배열하는 단계와;
    이후 도로경계석 받침대(B) 위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한번에 차례로 올려놓으며, 도로경계석 받침대(B)의 회전손잡이를 조절하여 도로경계석(1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이후 도로경계석 받침대 위에 도로경계석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도로경계석에 힘을 가해 밑판(160) 위에 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움직여 도로경계석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만큼 도로경계석 양측에 거리를 띄워 조립식거푸집(170)을 설치하고 시공될 도로경계석 길이만큼 거푸집연결피스(174)를 사용하여 조립식거푸집(170)을 조립하고, 수직고정부재(175)로 고정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의해 도로경계석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석과 후면 조립식거푸집 사이에 스페이서(180)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를 부어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양측으로 소통시켜 콘크리트를 한번에 채워 타설하는 단계와;
    이후 콘크리트가 일정 시간 지나 양생되면 수직고정부재(175)의 고정력을 해제하고, 조립식거푸집(170), 거푸집연결피스(174) 및 스페이서(180)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에서 일부 지반과 이웃하는 지반의 편평도 차이가 클 경우 여기에 배열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하부 지주삽입구(114)에 별도의 도로경계석 받침대 수직지주 상부를 삽입시켜 다층으로 적층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배열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밑판(160)은 상부에 얹혀지는 도로경계석 수직지주의 갯수에 따라 단면의 각형을 정하고 가장자리에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161)이 형성되고, 받침대보다 밑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거푸집(170)을 설치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조립식거푸집은 압출 또는 사출되는 프레임구조로, 전후면 중 일측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쪽으로는 콘크리트의 측면 형상을 가공하는 콘크리트형상 가공부(173)가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는 콘크리트 양생 기간동안 조립식거푸집을 지반에 고정하는 거푸집 수직고정부재(175)가 수직관통하도록 수직고정부재 삽입구(171)가 형성되고, 전후면이 마주보는 내부면에는 이웃하는 조립식거푸집(17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거푸집연결피스(174)가 삽입 고정되는 거푸집연결피스가이드(17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 시공방법.
KR1020040101702A 2004-04-21 2004-12-06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100660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579 2004-04-21
KR1020040027579 2004-04-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522U Division KR200378145Y1 (ko) 2004-12-06 2004-12-06 도로경계석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40A KR20050103140A (ko) 2005-10-27
KR100660740B1 true KR100660740B1 (ko) 2006-12-28

Family

ID=3728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702A KR100660740B1 (ko) 2004-04-21 2004-12-06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7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91B1 (ko) 2011-04-07 2011-10-11 주식회사 유신 밀착식 거푸집 및 그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723132B1 (ko) 2016-07-01 2017-04-05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거치용 바이스를 이용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169180B1 (ko) 2020-03-25 2020-10-21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도로경계석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85B1 (ko) * 2007-12-17 2008-03-24 이대재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KR100860760B1 (ko) * 2008-05-09 2008-09-29 오철호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KR100873037B1 (ko) * 2008-05-16 2008-12-09 (주)미래기술단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054889B1 (ko) * 2008-11-11 2011-08-05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경계석 시공용 규준틀
KR101940527B1 (ko) * 2017-10-31 2019-01-21 김년수 경량지지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91B1 (ko) 2011-04-07 2011-10-11 주식회사 유신 밀착식 거푸집 및 그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723132B1 (ko) 2016-07-01 2017-04-05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거치용 바이스를 이용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169180B1 (ko) 2020-03-25 2020-10-21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도로경계석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40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385B1 (ko)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KR100660740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100765090B1 (ko) 건축용 동바리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JP2001059343A (ja) スラブ形成用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案内レール用支持具
KR200378145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101196603B1 (ko)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CN100572689C (zh) 承台式安全检查井
KR200461355Y1 (ko) 경계석 받침대
KR200357084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158445B1 (ko) 도로경계석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공법
KR101071691B1 (ko) 밀착식 거푸집 및 그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0815585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KR101032138B1 (ko) 도로 경계석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161961A (ja) 側溝及び側溝施工方法
KR101513257B1 (ko) 저장조 기초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시공 방법
KR200430123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지지용 y형 받침대
JP2013170420A (ja) 建築物の基礎形成方法、建築物の基礎
CN108867703B (zh) 一种窨井盖及其安装方法
KR100870739B1 (ko)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JP2021008797A (ja) 大型ブロック用コンクリート基礎
KR101354890B1 (ko) 경계석거푸집을 이용한 경계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