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739B1 -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739B1
KR100870739B1 KR1020080065828A KR20080065828A KR100870739B1 KR 100870739 B1 KR100870739 B1 KR 100870739B1 KR 1020080065828 A KR1020080065828 A KR 1020080065828A KR 20080065828 A KR20080065828 A KR 20080065828A KR 100870739 B1 KR100870739 B1 KR 10087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boundary stone
support
heigh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재
Original Assignee
이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재 filed Critical 이대재
Priority to KR102008006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도로경계석을 배치시킨 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도로경계석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기본이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설정 높이를 외부에서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도로경계석 배치 후 콘크리트 타설시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가진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접촉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서 돌출 형성된 지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의 삽입된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경계석, 받침대, 공회전, 안치. 높이조절, 표시수단, 체크

Description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CURB SUPPORT}
본 발명은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도로경계석을 배치시킨 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도로경계석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기본이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설정 높이를 외부에서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도로경계석 배치 후 콘크리트 타설시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가진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보도와 차도 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기 위해 도로 위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로경계석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시공되는데,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지반을 다진 후 일정 높이를 만들기 위하여 지반 위에 기초콘크리트를 도로경계석이 배치될 위치에 적당히 타설하고 이것이 굳어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되면 그 위에 제2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제2콘크리트가 적당한 굳기를 가지게 되었을 때 도로경계석을 제2콘크리트 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도로경계석의 높이와 수평은 제2콘크리트가 채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제2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일정한 굳기를 가지고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가능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작업을 할 수 없어서 작업 진행 속도가 매우 느리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제2콘크리트 위에 도로경계석이 배치되고, 위치를 조절한 후 제2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으면, 도로경계석 양측으로 각각 조립거푸집을 형성하고 양측 각각에 제3콘크리트 및 제4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한 시공방법은 앞서 언급한 문제점 이외에도 결국 콘크리트 기초가 제2, 제3, 제4콘크리트의 4개 덩어리로 분리되어 타설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각각의 콘크리트의 경계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 시공 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공수가 지나치게 많고 시공기간 또한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개시된 바 있는데,
우선 등록실용신안 제20-357084호(2004.07.13) 『도로경계석 받침대』와 등록실용신안 제20-430115호(2006.10.27) 『도로경계석 이음부 받침대』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357084호 및 제20-430115호 모두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개시하고, 또한 도로경계석을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안치시킨 후 세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357084호에서는 캡부재(150)를, 등록실용신안 제20-430115호에서는 상부커버(23)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구성들 모두는 지주(110) 내지 회전손잡이(140) 및 외부지지부재(2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특정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로경계석이 안정적으로 안치되기가 힘들고, 무엇보다 도로경계석을 안치시킨 후 높이 조절을 시킬 때 불안정한 안치 상태로 인해 도로경계석이 미동되거나 심하게는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150)와 상부커버(23)는 회전손잡이(140)와 외부지지부재(22)와의 안정된 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안치되는 구조인 것으로 캡부재(150)와 상부커버(23)가 회전손잡이(140)와 외부지지부재(22)로부터 분리·이탈되기 쉬어 사용에 있어서 편리성이 떨어진다.
나아가 구조 자체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구조보다 복잡한 구조 로 이루어져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361659호(2004.09.01)『도로경계석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는데,
등록실용신안 제20-361659호는 안치되는 도로경계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경계석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까지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도로경계석 받침대 또한 일견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자가 요긴하게 사용하는데에 따른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본 출원인이 발명한 등록특허 제10-815585호(2008.03.14)『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을 비롯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373450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고정장치』, 등록특허 제10-622023호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그 사용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구성과 차이가 있으며, 특히 앞서 언급된 종래기술과 상기 종래기술 모두는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상기 기술들에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높이 조절 정도를 체크 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높이 조절을 하더라도 이 역시 작업자가 직감적으로 내지 숙련정도에 따라 안치된 도로경계석의 높이를 조절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높이 조절이 간단· 정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작업자가 외부에서 높이 조절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첫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로경계석을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안치시킨 후 높이 조절을 함에 있어 안치된 도로경계석이 작업자의 높이 조절 작업에 따라 움직이지 않게끔 하는 공회전수단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공회전수단이 받침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면서 또한 안정적으로 안치된 도로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다음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콘크리트 타설시 기 배치된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흔들리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도로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서 돌출 형성된 지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의 삽입된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에는 도로경계석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공회전되도록 체결되는 공회전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면에는 상기 공회전수단이 안치되기 위한 안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 기판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시공을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구성 자체가 간단하면서도 작업자 위주의 편리성을 증대시켰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면서도 외부에서 작업자가 조절된 높이를 시각적으로 체크할 수 있고,
높이조절수단에 공회전수단이 삽입·체결되는 구성을 취함에 따라 도로경계석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늘려 도로경계석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공회전수단이 사용에 따라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콘크리트 타설시 기 배치된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흔들리거나 미끄러 지지 않고 도로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몸체(10)와 도로경계석이 안치되는 높이조절수단(20)으로 구성되는데, 도 1 및 도 2,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10)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기판(11)과, 상기 기판에서 돌출 형성된 지주(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상기 지주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된다.
결국, 작업자가 지주(12)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수단(20)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인해서 원하는 높이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높이조절이라고만 언급하였으나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수단 각각의 형성 높이를 달리 조절하게 됨으로써 결국 안치된 도로경계석의 수평 여부 또한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눈금과 같은 표시수단(30)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함께 지주(12)에 삽입 체결된 높이조절수단(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주(12)의 재질을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로 하였는바, 작업자는 외부에서 높이조절수 단(20)의 삽입 정도를 용이하게 체크하고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종래의 도로경계석 받침대에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작업자는 직감적으로 높이를 체크하여 이에 맞추어 도로경계석을 안치시킬 수 있을 뿐이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주가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지주에 삽입된 높이조절수단의 위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가능하게끔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표시수단(30)을 단순한 눈금으로 표시하였으나 편의에 따라서는 숫자도 함께 형성하여 위치 확인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수단은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표시해두는 것이 작업자 측면에서는 작업 업무에 있어 효율적이라 할 것이다.
또한 제조 비용이나 제조 단가의 절약을 위해서는 상기 지주(12)를 비롯한 몸체(10)를 동일한 재질로 1회 사출작업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최종 제품은 몸체 전체가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이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된 높이조절수단의 위치 확인이 외부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재질을 일컫는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높이조절수단(20)을 살펴보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주에 형성된 볼트공(21)과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22)는 볼트공(21)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는 나사부(221)와, 상기 나사부 상단에 구비되어 도로경계석과 접하는 헤드부(222)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도 도시하였으나, 도로경계석에 대한 안정된 지지를 위한 것으로 상기 헤드부(222)의 단면 크기는 이와 접하게 되는 상기 지주 부분의 단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도로경계석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222)의 형태를 각이 형성된 다면체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용이한 회전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볼트공(21)이 형성된 지주(12)는, 기존 단순한 원통 형상과 같이 높이에 따른 단면이 동일한 형태가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부분에서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그 단면이 넓어지는 소위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의 지주(12)를 채택함에 따라 상기 헤드부 (222)와 함께 보다 안정적으로 도로경계석을 안치시킬 수 있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에 따른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후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자연스럽게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아랫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매끄러운 타설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의 지주(12)는, 높이조절수단(20)의 나사결합방식에서 암부재 역할을 하는 볼트공(21)이 지주(12)에 형성되고, 수부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볼트공(21)에 지지부재(22)의 나사부(221)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즉, 높이조절수단(20)의 형성에 있어 지주(12) 자체가 수부재 역할을 하고 지지부재(22)가 상기 지주(12)의 외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암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면 본 발명에서와 같은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의 지주 구현은 어렵게 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의 지주에 따른 장점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작업자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으로 대략적인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 도로경계석을 안치시키고 세밀한 높이조절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헤드부(222)를 회전시키더라도 안치된 도로경계석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세밀한 높이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공회전수단(40)이 도입된다.
상기한 공회전수단(40)은 높이조절수단(20)에 체결되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헤드부(222)에 형성된 안치홈(23)에 암수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22) 상면에는 일정 높이로 함몰된 안치홈(23)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안치홈의 내측에는 환형홈(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환형홈(24)에 공회전수단(40)에 형성된 돌부(41)가 삽입 체결됨 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기준으로 공회전수단의 공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결합구조로 인해 특별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공회전수단이 높이조절수단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 또한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도 1에서는 안치홈(23)의 저면에서 일정 부분 더 함몰된 함물구(23a) 내주면에 환형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공회전수단(40)에도 상기 함물구(23a)에 삽입되는 대응부(40a)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돌부(41)를 형성하여 체결시키도록 하였으나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공회전수단의 체결 방식이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회전수단이 높이조절수단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공회전가능하도록 암수결합되는 방식이면 족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변형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로경계석과 접하게되는 공회전수단(40)의 상면에는 요철부(42)를 형성하여 높이조절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도로경계석이 미동되어 기 설정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높이조절수단(20)에 형성된 안치홈(23)과 관련하여, 안치홈의 형성은 돌출형성된 종래의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공회전수단의 구조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공회전수단(40)을 높이조절수단(20)에 삽입된 형태로 이들을 결합시키도록 하 기 위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안치된 공회전수단(40)의 상면과 높이조절수단(20)의 상면이 동일 선상 내지 동일선상에 가까운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공회전수단의 두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로경계석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늘리기 위한 것으로 안정된 시공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기판(11)을 설명하면, 상기 기판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면서 타설시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수단(50)이 구비된다.
즉, 상기 기판(11)에는 보강살(51)이 상기 기판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격자형으로 보강살(5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판의 상면과 저면에는 삽입홈(52)이 형성되어 종국적으로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기판 저면에 형성된 보강살(51)과 삽입홈(52)은 이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투입으로 인해 힘을 받게 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지반에서 미끄러지는 부실 시공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다.
더 나아가 기판(11) 측면에는 돌출형성된 보강테(53)를 더 구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된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보강살(51)과 삽입홈(52), 그리고 보강테(53)는 상기 기판(11)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콘크리트 타설시 미끄럼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과 그리고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4에서는 기판(11) 상부 및 하부 전면에 상기 보강살(51)과 삽입홈(52)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보강살(51)과 삽입홈(52)은 도 5에서와 같이 기판 일부분에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기판(11) 상부를 보면 가장자리에만 보강살(51)과 삽입홈(52)을 구비하고 중앙부에는 편평하게 면처리를 하였는데, 이는 상기 중앙부에 제품을 광고하기 위한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더라도 보강테(53)는 동일하게 구비하도록 하여 미끄럼방지기능을 보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지주와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높이조절수단과 공회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기판 12: 지주
20: 높이조절수단 21: 볼트공 22: 지지부재 23: 안치홈 24: 환형홈
221: 나사부 222: 헤드부 23a: 함몰구
30: 표시수단
40: 공회전수단 41: 돌부 42: 요철부 40a: 대응부
50: 미끄럼방지수단 51: 보강살 52: 삽입홈 53: 보강테

Claims (9)

  1. 바닥면에 접촉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서 돌출 형성된 지주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수단의 삽입된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주에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어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 상단과 구비되어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는 헤드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에는 도로경계석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공회전되도록 체결되는 공회전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 상면에는 공회전수단이 안치되기 위한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의 내측에는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회전수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환형홈에 대응되는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환형홈에 돌부가 체결되면서 높이조절수단에 대한 공회전수단의 공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수단의 상면에는 도로경계석과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시공을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보강살과 삽 입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기판 측면에 형성된 보강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20080065828A 2008-07-08 2008-07-08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87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28A KR100870739B1 (ko) 2008-07-08 2008-07-08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28A KR100870739B1 (ko) 2008-07-08 2008-07-08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739B1 true KR100870739B1 (ko) 2008-11-27

Family

ID=4028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828A KR100870739B1 (ko) 2008-07-08 2008-07-08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465B1 (ko) 2011-03-08 2011-10-10 서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보차도경계석
KR101158450B1 (ko) * 2011-12-07 2012-06-20 금명건설 주식회사 도로경계석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760U (ko) * 1992-04-15 1993-11-26 서한진 마루판 지지각
KR200331410Y1 (ko) 2003-07-11 2003-10-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슬라브 마감용 레벨봉 장치
KR200357084Y1 (ko) 2004-04-22 2004-07-21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30115Y1 (ko) * 2006-07-04 2006-11-10 이태동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760U (ko) * 1992-04-15 1993-11-26 서한진 마루판 지지각
KR200331410Y1 (ko) 2003-07-11 2003-10-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슬라브 마감용 레벨봉 장치
KR200357084Y1 (ko) 2004-04-22 2004-07-21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30115Y1 (ko) * 2006-07-04 2006-11-10 이태동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465B1 (ko) 2011-03-08 2011-10-10 서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보차도경계석
KR101158450B1 (ko) * 2011-12-07 2012-06-20 금명건설 주식회사 도로경계석 받침대
WO2013085238A1 (ko) * 2011-12-07 2013-06-13 금명건설 주식회사 도로경계석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753B2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aver surface over a subsurface
KR100883385B1 (ko)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MXPA05000975A (es) Elemento protector para un rompeolas o construccion que retarda olas.
JP6860318B2 (ja) 地下構造物用蓋体の製造方法
KR100870739B1 (ko)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100873037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0660740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200357084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346075Y1 (ko) 도로 경계석 위치 조절장치
US20050232696A1 (en) System for supporting and leveling paving stones
KR200430123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지지용 y형 받침대
KR100772671B1 (ko)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20190048434A (ko) 경계석 받침대
KR200378145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445627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0860760B1 (ko)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KR101197262B1 (ko) 가변식 도로경계석 받침대
JP2008038336A (ja) 土間コンクリート構造
CN220994909U (zh) 一种雕像底座支撑结构
JP2015021264A (ja) 建築物の床面施工構造
US20160326703A1 (en) Adjustable telescopic formwork for paving with linear or axial and radial geometric alignment
KR101142470B1 (ko) 결합이 용이한 경계석 받침대
JPH0619645Y2 (ja) リバーシブル型マンホー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