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450B1 - 도로경계석 받침대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450B1
KR101158450B1 KR1020110130134A KR20110130134A KR101158450B1 KR 101158450 B1 KR101158450 B1 KR 101158450B1 KR 1020110130134 A KR1020110130134 A KR 1020110130134A KR 20110130134 A KR20110130134 A KR 20110130134A KR 101158450 B1 KR101158450 B1 KR 10115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undary stone
road boundary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금명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명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명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450B1/ko
Priority to PCT/KR2012/010400 priority patent/WO20130852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도로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과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을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과, 상면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의 상측으로 각각 체결된 후 상하 이동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과, 상기 전방높이조절캡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전방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지지보스로 구성되는 전방지지구와, 상기 지지블록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높이조절캡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 및 상기 후방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후방지지보스가 형성되는 후방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석 받침대{Curb Support}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경계석을 보다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낭비를 방지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며, 도로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과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을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하는 보도가 설치되며, 이때 보도의 양측에는 도로경계석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블록 및 보도와 외곽지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a를 종래의 도로경계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도로경계석(10)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 지면, 즉 차도로부터 일정 높이차를 갖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로경계석의 시공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지반 정리작업을 통해 다져진 지반(G)위에 기초콘크리트(1)를 타설한 후, 이 기초콘크리트(1)가 적당히 굳어져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되면, 그 위에 제2 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제2 콘크리트(2)가 적당한 굳기를 가지게 되었을 때(적당한 유동도를 가지고 있는 상태) 도로경계석(10)을 제2 콘크리트(2)의 위에 올려놓은 뒤, 도로경계석(10)의 높이와 수평도 및 직진도를 이웃한 도로경계석과 정렬하기 위한 위치조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양측에 측구 거푸집(11,12)을 형성하고 제3 콘크리트(3)와 제4 콘크리트(4)를 타설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도로경계석(1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은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며 제2 콘크리트(2)가 적당한 유동도를 가지고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가능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없어서 작업 진행속도가 매우 느리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상기 각각의 콘크리트 경계 부분이 서로 분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03140호에는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도로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21)와, 상기 지주(21)들을 연결하는 리브(22)로 이루어진 받침몸체(20)와, 상기 받침몸체(20)의 지주(21)의 상면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기둥(40)과, 상기 볼트기둥(40)의 상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걸림부(41)가 삽입되는 회전손잡이걸림홈(51)이 형성되어 볼트기둥(40) 회전시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회전손잡이(50)와, 상기 볼트기둥(40)의 상면에 결합하여 도로경계석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캡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을 지지하고, 상기 받침대를 조절하여 도로경계석의 수평 및 직선도를 맞춘 후 기초콘크리트를 포함해서 제2콘크리트부터 제 4콘크리트까지 4개의 콘크리트를 한꺼번에 타설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로경계석의 위치조정 작업이 용이하며 콘크리트가 적당히 굳을 때까지 작업이 지연되지 않으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도로경계석의 시공에 이용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도로경계석의 상하이동은 가능하나, 좌우이동을 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직선도 및 도로경계석의 위치조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개의 지주로 이루어져 도로경계석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균등하게 도로경계석의 하면을 지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주가 설치되는 받침몸체에 의해 도로경계석의 뒤쪽부분으로는 콘크리트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바이브레이다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의 뒤쪽부분으로 콘크리트를 투입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받침몸체에 지지대가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지대가 불안정한 상태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c는 종래의 도로경계석 시공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참조하면, 종래의 도로경계석(70)의 시공공정은, 도로경계석(70)이 배치될 양측에 거푸집(71,72)을 마련하고, 마련된 거푸집(71,72)에 일정량의 콘크리트(1)를 타설하여 적당한 유동도를 갖도록 굳을 때까지지 기다린 다음 도로경계석(70)을 콘크리트(1) 위에 정렬함으로써 시공하게 되나, 이러한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로경계석(10)의 시공과 유사한 방법으로 콘크리트(1)가 적당히 굳을 때까지 작업이 지연됨과 더불어 콘크리트가 어느정도의 유동도를 가지고 있을 때만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에 제약이 따르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렬상태에 많은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실제 현장에서는 도로경계석이 배치될 양측에 거푸집이 마련되는 것이 아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 면에는 거푸집(72)이 마련되고, 나머지 한쪽 면에는 설치될 도로경계석(70)을 위치시켜 거푸집을 대신하도록 한 후, 콘크리트(1)를 타설하고 있으며, 이후 콘크리트(1)가 적당히 굳은 다음, 거푸집을 대신하여 배치된 도로경계석(70)을 콘크리트 위에 설치하는 방식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상당 중량인 도로경계석이 콘크리트 상에 배치되므로 거푸집이 존재하지 않는 측면으로 콘크리트가 퍼지게 되어 불필요하게 콘크리트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경계석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도로경계석을 보다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시공성 및 시공품질이 우수한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낭비를 방지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도로겨계석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과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이 구비되어 도로경계석의 높낮이 및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과; 상면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의 상측으로 각각 체결된 후 상하 이동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과; 상기 전방높이조절캡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전방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지지보스로 구성되는 전방지지구와; 상기 지지블록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높이조절캡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 및 상기 후방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후방지지보스가 형성되는 후방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도로경계석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도로경계석을 보다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시공성 및 시공품질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낭비를 방지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과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이 구비되어 도로경계석의 높낮이 및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좌우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통해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좌우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지지블록(100),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100)은 지면에 지지되어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기초가 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100)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100)은 일정한 경도 및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는 바람직한 데, 경량인 합성수지 재질이나, 액상콘크리트와 부착력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면적이 확장된 확장지지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확장지지부(110)는 지지블록에서 면적이 확장된 구조를 가져 지면에 넓은 면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이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은 상기 지지블록(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부(211,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은 지지블록(100)을 형성할 때 일체로 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지지블록(100) 상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끼움홈(120)을 각각 마련하여, 끼움홈(120)에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을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은 상면 중앙부분에 관통공(311,321)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수나사부(211,22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312,322)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의 상측으로 각각 체결된 후 상하 이동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은 상기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의 상측에 체결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지지봉(210) 및 후방지지봉(220)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의 외면에는 일정간격 방사상으로 수직파지돌기(313,323)가 형성되어,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지지구(410)는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A)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4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411)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311) 및 상기 전방지지봉(210)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311)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지지보스(4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지지구(410)는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상면에 안착되어 전방높이조절캡(310)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상면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방지지구(420)는 상기 지지블록(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높이조절캡(320)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A)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바(42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바(421)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방높이조절캡(320)의 관통공(321) 및 상기 후방지지봉(220)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321)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방지지보스(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후방지지구(420)는 상기 후방높이조절캡(320) 상면에 안착되어 후방높이조절캡(320)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상면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바(421)는 도로경계석(A)의 일측 하면을 좌우로 넒은 면적으로 지지하여 도로경계석(A)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지지바(421)는 도로경계석(A)의 하부를 좌우방향으로 지지하는 중앙지지부(421a)와, 상기 중앙지지부(421a)의 양측에 낮은 높이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측방단턱부(42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단턱부(421b)에는 중앙부분에 나사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볼트(500)가 결합되어, 상기 측방단턱부(421b)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중앙지지부(421a)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좌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지지부(421a)는 도로경계석(A)이 일차적으로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측방단턱부(421b)에 구성된 높이조절볼트(500)를 통해 중앙지지부(421a) 상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미세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조절볼트(500)는 상기 측방단턱부에 형성된 암나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510)와; 수나사부(510)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520)와; 상기 끼움부(520)에 끼우져 결합되는 지지캡(530)과; 상기 수나사부 (510) 하단에 마련되는 파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전방지지구(410)와 후방지지구(420)의 2개의 지지구를 통해 도로경계석(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구(420)는 후방지지봉(22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지지바(421)의 중앙 저면에는 끼움홈(421c)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지지보스(422)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421c)과 대응되는 끼움구(422a)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422a)가 끼움홈(421c)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방지지보스(422)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구(422a)가 상기 후방지지보스(422)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421c)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후방지지구(420)가 후방지지봉(22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안착되어 일렬로 설치되는 도로경계석(A)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도로경계석(A)의 선형성이 우수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상에서 상기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가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으로 상기 전방지지보스(412) 및 상기 후방지지보스(422)에 끼워지고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과, 상기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 사이에 개재되는 유동판(5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동판(510)을 통해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과,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상에서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가 좌우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상면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상에서 상기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가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이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저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베어링체(5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어링체(520)를 통해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상면에서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가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상에서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가 좌우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상면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의 시공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A)이 설치될 도로변의 지반(G)에 대해 기준줄(11)이 장착된 규준틀(10)을 설치하고,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기준줄(11)을 따라 지반(G)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전방지지구(410)의 상면에 도로경계석(A)의 일측을 후방지지구(420)에 이웃하는 도로경계석(A)의 일측이 안정되게 안착시켜, 일렬로 도로경계석(A)을 설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수평위치가 정하게 일치되지 않을 경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수단을 통해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를 전방높이조절캡(310) 및 후방높이조절캡(320) 상에서 좌우 이동시켜, 전방지지구(410) 및 후방지지구(420)의 상면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좌우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도로경계석 받침대에 안착된 도로경계석(A)의 수직위치가 틀리거나 지반(G)의 불규칙한 조건으로 한쪽이 경사질 경우에도 도 11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높이조절캡(320)을 후방지지봉(220)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방지지봉(220)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수직조절 및 경사조절을 한다. 물론, 후방지지구(420)의 양측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5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도로경계석(A)의 미세한 수직조절 및 경사조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받침대를 통해 도로경계석(A)이 일렬로 안착되면 콘크리트(C)가 타설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공간 양측으로 거푸집(20)이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C)를 1회 타설시키면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일정높이로 균등한 경계석(A)의 시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받침대는 도로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과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이 구비되어 도로경계석의 높낮이 및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도로경계석의 시공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지지블록 210: 전방지지봉
220: 후방지지봉 310: 전방높이조절캡
320: 후방높이조절캡 410: 전방지지구
420: 후방지지구

Claims (7)

  1.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과;
    상면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지지봉 및 후방지지봉의 상측으로 각각 체결된 후 상하 이동되면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과;
    상기 전방높이조절캡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전방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지지보스로 구성되는 전방지지구와;
    상기 지지블록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높이조절캡 상면에 안착되어 도로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의 저면 중앙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 및 상기 후방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후방높이조절캡의 관통공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후방지지보스가 형성되는 후방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방지지구와 후방지지구의 2개의 지지구를 통해 도로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면적이 확장된 확장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는 도로경계석을 하부를 좌우방향으로 지지하는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측에 낮은 높이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측방단턱부로 구성되되,
    상기 측방단턱부에는 중앙부분에 나사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측방단턱부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중앙지지부에 안착된 도로경계석의 좌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상기 측방단턱부에 형성된 암나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수나사부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캡과; 상기 수나사부 하단에 마련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의 중앙 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지지보스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는 끼움구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가 끼움홈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 상에서 상기 전방지지구 및 후방지지구가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수단이 더 마련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전방지지보스 및 상기 후방지지보스에 끼워지고 상기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과, 상기 전방지지구 및 후방지지구 사이에개재되는 유동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 상에서 상기 전방지지구 및 후방지지구가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이동수단이 더 마련되되,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전방높이조절캡 및 후방높이조절캡이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방지지구 및 후방지지구의 저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베어링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20110130134A 2011-12-07 2011-12-07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15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134A KR101158450B1 (ko) 2011-12-07 2011-12-07 도로경계석 받침대
PCT/KR2012/010400 WO2013085238A1 (ko) 2011-12-07 2012-12-04 도로경계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134A KR101158450B1 (ko) 2011-12-07 2011-12-07 도로경계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450B1 true KR101158450B1 (ko) 2012-06-20

Family

ID=4668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134A KR101158450B1 (ko) 2011-12-07 2011-12-07 도로경계석 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8450B1 (ko)
WO (1) WO201308523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39B1 (ko) * 2008-07-08 2008-11-27 이대재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110027053A (ko) * 2009-09-09 2011-03-16 신상원 가변식 도로경계석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15Y1 (ko) * 2006-07-04 2006-11-10 이태동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100753011B1 (ko) * 2007-04-06 2007-09-10 이익규 높이 및 경사조절이 용이한 도로안전 경계석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39B1 (ko) * 2008-07-08 2008-11-27 이대재 사용의 편리성이 증진된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110027053A (ko) * 2009-09-09 2011-03-16 신상원 가변식 도로경계석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238A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385B1 (ko)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CN106012851B (zh) 钢箱梁与混凝土墩柱同步施工方法
CN210013117U (zh) 标高可调节的桥梁支座垫石模板体系
CN107060322A (zh) 混凝土浇筑用模架结构
CN207794608U (zh) 一种用于沟槽构造柱的移动可调支模架
KR101237518B1 (ko) 지주용 기초구조물
CN205804768U (zh) 一种可调高度可周转使用的马凳
KR101158450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CN106401177B (zh) 一种现浇混凝土板的模板支撑
KR101777746B1 (ko) 지주받침대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1967274B1 (ko) 지주 기초 시공공법
KR101550396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042578B1 (ko)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경계석 받침대
KR100772671B1 (ko)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101939825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101197262B1 (ko) 가변식 도로경계석 받침대
CN208949829U (zh) 一种桁架式悬臂模板
KR101300519B1 (ko)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CN207878662U (zh) 组合式预埋钢板
KR20100092609A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1032138B1 (ko) 도로 경계석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74440B1 (ko) 직선 및 곡선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
CN205804906U (zh) 地坪混凝土施工模板角度调节结构
KR20170077364A (ko)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