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519B1 -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 Google Patents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19B1
KR101300519B1 KR1020130007177A KR20130007177A KR101300519B1 KR 101300519 B1 KR101300519 B1 KR 101300519B1 KR 1020130007177 A KR1020130007177 A KR 1020130007177A KR 20130007177 A KR20130007177 A KR 20130007177A KR 101300519 B1 KR101300519 B1 KR 10130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ier
bridge
hinge cap
p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우 filed Critical 김동우
Priority to KR102013000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에 관한 것으로, 거더를 교각에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그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거더의 각도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경사구간의 시공성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은, 교각(10)과; 상기 교각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 캡(30)과;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부분이 상기 힌지 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교각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 조정되는 거더(20)와; 상기 교각과 상기 거더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개재되는 스페이서(50)와; 상기 거더 위에 형성되는 슬래브를 포함한다.상기 힌지 캡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교각 고정부(31), 상기 교각 고정부 위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이 결합되는 힌지브래킷(32)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GRADE ADJUSTABLE BRIDGE}
본 발명은 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더의 구배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경사구간의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하천 등을 횡단하는 도로 구조물로서, 파일, 상기 파일 두부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일반 도로 교량, 자전거 교량, 보행교 등이 있고, 교각,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 교대와 교각에 올려지는 상판(슬래브)으로 구성된다.
교량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진입 및 진출로, 램프 구간, 산간지 등의 지리적 여건 등에 따라 구배를 갖는 경사구간이 존재한다.
종래 경사 구간의 시공 방법은 재래식으로서 시공이 매우 복잡하고 오래 걸리기 때문에 교량의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경사구간의 구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구배를 맞추는 것이 매우 어려워 시공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05032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더를 교각에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그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거더의 각도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경사구간의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은, 교각과; 상기 교각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 캡과;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부분이 상기 힌지 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교각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 조정되는 거더와; 상기 교각과 상기 거더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개재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거더 위에 형성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 캡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교각 고정부, 상기 교각 고정부 위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이 결합되는 힌지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에 의하면, 거더를 교각에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힌지 캡을 매개로 하여 용이하게 거더를 교각에 일정 구배로 연결함으로써 교량의 구배를 정확하고 자유롭게 조정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시공불량을 막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의 구배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의 다른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에 적용된 힌지 캡의 다른 예시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은, 교각(10), 교각(10)에 지지되는 거더(20), 거더(20) 위에 형성되는 슬래브(상부 구조물), 거더(20)의 구배 조정을 위한 힌지 캡(30)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은 공지의 교량이 적용되는 것이다.
교각(1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H 빔 단면일 수 있고, 물론 H 빔 단면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 단면, 사각 단면 등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재질은 스틸, 콘크리트일 수도 있고, 공지된 모든 교각의 사용이 가능하다.
거더(20)는 교각(10)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의 구축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이웃하는 2개의 교각(10)의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중 일측이 힌지 캡(30)을 통해 교각(10)에 지지되면서 타측이 연결 빔(4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거더(20)와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모두가 힌지 캡(30)을 통해 이웃하는 2개의 교각(10)에 지지된다.
거더(20)는 교각(10)과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지지부(21)가 구비된다. 지지부(21)는 교각(1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도면에서처럼 교각(10)이 H 빔 단면인 경우 지지부(2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교각이 원형 단면인 경우 지지부(21)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거더(20)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힌지 캡(30)은 자신이 교각(10)에 고정되면서 거더(20)가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며, 교각(10)에 고정되는 교각 고정부(31), 교각 고정부(31) 위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축공(33)이 형성되어 축(34)[축핀, 거더(30)의 회동이 가능하면서 고정이 가능한 체결구 등]이 결합되는 힌지브래킷(32)으로 구성된다.
힌지 캡(30)은 교각 고정부(31)가 교각(1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수직부(31a), 수직부(31a) 위에 수직부(31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교각(10)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부(31b)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부(31a)는 체결구(35)를 통해 교각(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힌지 캡(30)은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교각(1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도면에서처럼 교각(10)이 H 단면인 경우 판재가 조합된 형태일 수 있고, 교각이 원형 단면인 경우 저부를 향해 개방된 관형일 수 있다(도 8과 도 9참고). 교각(10)이 원형 단면인 경우 교각 고정부(31)는 도 8처럼 교각(10)의 둘레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9처럼 교각(10)의 안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의 경우 교각 고정부(31)의 위치를 잡기 위하여 교각 고정부(31)의 둘레부에는 예를 들어 환형의 지지턱(3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각(10)이 H 단면이더라도 도 7과 같이 힌지 캡(30)의 교각 고정부(3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교각(10)의 단면에 상관없이 교각 고정부(31)가 원형인 경우 힌지 캡(30)을 좌우로 돌려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도면에 교각 고정부(31)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곡선형 단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교각(10)을 외부에서 감싸거나 내부에 삽입되는 것도 포함되고, 또한 타원형도 포함된다.
교량의 경우 거더(20)가 폭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이들 거더(20)들의 사이에는 거더(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크로스 빔(60)이 연결된다. 크로스 빔(60)은 단부가 거더(20)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힌지 캡(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힌지 캡(30)의 수평부(31b) 상부, 힌지브래킷(32) 등에는 빔 연결부가 더 구성된다. 상기 빔 연결부는 크로스 빔(60)의 연결을 위한 모든 구조(판형, 관형 등)가 가능하다.
크로스 빔(60)은 체결구(볼트, 너트)를 통해 힌지 캡(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힌지 캡(30)은 보강을 위한 리브(36)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거더(20)가 힌지 캡(30)에 축 결합되는 경우 교각(10)을 기준으로 하여 거더(20)의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교각(10)과 거더(2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 빈 공간으로 인한 거더(20)의 흔들림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50)가 적용된다.
스페이서(50)는 교각(10)과 거더(20)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는 모든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지며, 거더(20)의 각도에 따라 빈 공간의 크기가 달라질 것이므로 동일한 크기와 구조의 것이 한 개 이상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50)는 교각(10)과 거더(20)의 지지부(21) 사이에 개재되면서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구(51)에 의해 교각(10)과 거더(2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50)는 두께가 동일한 판재일 수도 있고
도 5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은, 제1,2거더(20-1,20-2)가 일직선형태 즉 교각(1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시공될 수 있고, 경사 구간에서는 제1거더(20-1)는 지면과 평행하지만 제2거더(20-2)의 구배를 주어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제1,2거더(20-1,20-2)가 동일한 경사를 가진 상태로 시공될 수도 있고, 도 5c와 같이 제1,2거더(20-1,20-2)가 이웃하는 단부의 반대쪽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지게 시공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상향 경사지게 시공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거더(20)의 단부가 힌지 캡(30)에 연결 즉 힌지 캡(30)에 2개의 이웃하는 거더(20)가 연결되는 것으로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거더(20)의 예를 들어 중앙부가 힌지 캡(30)에 연결되어 시소 형태로 각도 조정될 수도 있다. 즉 거더(20)의 중앙부에는 교각(10)에 결합되는 캡(22), 예를 들어 저부를 향해 개방된 관형의 캡(22)이 형성되어 거더(20)가 캡(22)을 통해 교각(10)에 끼움 결합되고 이들 사이에 스페이서(50)가 개재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10 : 교각, 20 : 거더
21 : 지지부, 30 : 힌지 캡
31 : 교각 고정부, 32 : 힌지브래킷
33 : 축공, 34 : 축
35 : 체결구, 40 : 연결 빔
50 : 스페이서, 60 : 크로스 빔

Claims (7)

  1. 교각(10)과;
    상기 교각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 캡(30)과;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부분이 상기 힌지 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교각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 조정되는 거더(20)와;
    상기 교각과 상기 거더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개재되는 스페이서(50)와;
    상기 거더 위에 형성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캡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교각 고정부(31), 상기 교각 고정부 위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이 결합되는 힌지브래킷(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각 고정부는 상기 교각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 위에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각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각 고정부는 상기 교각을 감싸거나 내부에 삽입되면서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은 폭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세워지고, 상기 교각에 각각 형성된 힌지 캡의 사이에는 크로스 빔(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거더와 상기 교각에 체결구(51)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이 이웃하는 다른 거더와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 빔(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KR1020130007177A 2013-01-22 2013-01-22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KR10130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77A KR101300519B1 (ko) 2013-01-22 2013-01-22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77A KR101300519B1 (ko) 2013-01-22 2013-01-22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519B1 true KR101300519B1 (ko) 2013-09-02

Family

ID=4945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177A KR101300519B1 (ko) 2013-01-22 2013-01-22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07B1 (ko) 2015-08-07 2016-06-30 주식회사 에스비엔티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
KR102160179B1 (ko) * 2019-04-24 2020-09-25 주식회사 한도이앤씨 조립식 강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836A (en) 1987-02-23 1989-10-31 Irigoyen Marc E Support and attachment system for long-span beams
JP2004044229A (ja) 2002-07-11 2004-02-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橋桁の補強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836A (en) 1987-02-23 1989-10-31 Irigoyen Marc E Support and attachment system for long-span beams
JP2004044229A (ja) 2002-07-11 2004-02-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橋桁の補強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07B1 (ko) 2015-08-07 2016-06-30 주식회사 에스비엔티 구배 유지가 가능한 강상자형 거더교
KR102160179B1 (ko) * 2019-04-24 2020-09-25 주식회사 한도이앤씨 조립식 강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339B1 (en) Prefabricated articulating pier cap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US20080209646A1 (en) Self-Supporting Precast Slab
KR101434837B1 (ko)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KR20140001418A (ko) 교량 확장 구조
KR101406035B1 (ko)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120672B1 (ko) 조립식 거더 교량
CN106012851B (zh) 钢箱梁与混凝土墩柱同步施工方法
KR20160026260A (ko) 교량의 난간을 거더로 활용하는 장지간 보도교의 설계 및 시공 방법
KR101684438B1 (ko) 교량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300519B1 (ko) 구배 조정이 가능한 교량
KR0184558B1 (ko) 조립식 고가도로와 그 시공방법
JP4669464B2 (ja) 歩道用上部構造および歩道用上部構造の構築方法
KR101201216B1 (ko)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777746B1 (ko) 지주받침대
KR101171041B1 (ko)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031180B1 (ko) 충전형 강박스교 받침구
KR101439947B1 (ko) 링플레이트가 장착된 원형 거더와 횡방향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46629A (ko) 인도교 구조 및 인도교 시공용 강재 구조물
CN211113119U (zh) 一种临时便桥装置
KR101181223B1 (ko) 조립식 독립 콘크리트기초
JP2006070679A (ja) 下端に制動支持装置を有する三角形の構造体相互をけたで連結した連続けた橋
JP4256356B2 (ja) 橋脚と主桁のジョイント部材及びこのジョイント部材を用いた橋構造
JP3779978B2 (ja) 高架式交通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