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27B1 - 경량지지공법 - Google Patents

경량지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27B1
KR101940527B1 KR1020170143393A KR20170143393A KR101940527B1 KR 101940527 B1 KR101940527 B1 KR 101940527B1 KR 1020170143393 A KR1020170143393 A KR 1020170143393A KR 20170143393 A KR20170143393 A KR 20170143393A KR 101940527 B1 KR101940527 B1 KR 10194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tainer
block
ston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년수
Original Assignee
김년수
(주)경량지지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년수, (주)경량지지공사 filed Critical 김년수
Priority to KR102017014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8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for forming in a continuous operation kerbs, gutters, berms, safety kerbs, median barriers or like structures in situ, e.g. by slip-forming, by 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또는 보도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경계석 및 보도블록 철거 과정과,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 오염수로 썩은 모래 등의 폐자재를 컨테이너에 수집하여 차량 적재하는 수집 및 적재 과정과, 별도의 다짐기 또는 롤러차량을 통해 평탄화하는 기초 다지기 과정을 포함하는 기초단계와; 상기 단계 후 경계석 설치를 위해 거푸집 설치 과정 및 지지받침대 설치 과정을 수행한 후에 컨테이너형 양중장치를 통해 양중 이동시켜 상기 지지받침대에 안착 및 상기 거푸집에 일렬로 수납하는 경계석 배치 과정을 포함하는 설치 단계와; 상기 단계 후 레미콘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테이너에 수납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컨테이너에 콘크리트 재료를 담아 믹스하여 컨테이너에 콘크리트를 준비하고, 상기 컨테이너형 양중장치의 양중을 통해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 과정과, 상기 콘크리트가 굳어지는 적정 시간까지 대기하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와 함께 경계석이 견고하게 매설된 상태의 거푸집 제거 과정과, 상기 경계석을 기준으로 인도측으로 모래 포설 과정과, 포설된 모래의 위에 보도블록 설치 과정을 마친 다음 현장에 사용된 장비 및 자재를 회수 현장 정리 과정을 포함하는 인도 정비 및 마감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지지공법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가 굳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기초 콘크리트에 올려진 경계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침하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시공된 경계석들 간의 높이가 불일치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경계석의 운반 및 안착 과정에서, 컨테이너형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운반 및 안착이 가능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Description

경량지지공법{Method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경계석 또는 보도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계석, 석재, 보도블록, 모래포설, 모래믹스, 콘크리트타설, 폐자재의 컨테이너형 양중장치와 지지받침대를 이용하는 도장, 방수 및 경계석, 석재, 보도블록, 모래포설, 콘크리트 타설을 포함하는 경량지지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정비공사시, 차도/인도, 인도/화단이 구분되도록 차도측 또는 화단측에 경계석이 설치되고, 인도 및 차도에는 각각 보도블록, 모레.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이 포장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석은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된 인조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를 갖는 블록으로 성형 제작되며, 구획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경계를 나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해 지반을 자갈, 모래 등으로 다져 기초를 하고 그 위에서 경계석이 설치될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후 경계석을 올려놓고, 이 경계석이 이탈하지 않도록 단시간 내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시공한다.
이후 하루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차도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L형 측구를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L형 측구는 경계석 전방 차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를 위해경계석 방향으로 다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도랑이다.
화단 경계석을 미관 및 보도블록의 사이즈, 구배 등을 고려하여 설치한 후 시멘트, 자연석, 인조석,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고무 등으로 된 배수 및 눌려 깨지지 않도록 고안된 보도블록을 설치한다.
인도에는 보도블록 대신에 환경을 고려하여 마사토나 황토를 믹스한 소재나 비나 눈에 의해 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사이의 공극을 넓힌 시멘트나, 폐타이어 등의 고무 칩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 경계석을 설치를 위해서는 체결 좁은 물량을 위해 인력으로까지 기초 콘크리트가 굳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다려야 하며, 예컨대 여름철에는 대략 1시간, 겨울철에는 대략 4시간 정도 기다려야 하므로 불필요한 대기시간으로 인해 시공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는 양생되는 도중에 요동되면 강도가 약해짐에도 불구하고, 기초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에 경계석을 올려놓음으로써 기초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며, 경계석의 무게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가 침하되어 경계석의 높이가 서로 불일치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기초 콘크리트와 이후에 타설한 L형 측구의 콘크리트는 타설 시간의 차이로 인하여 전/후 타설된 콘크리트 간의 접합불량이 발생하여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경계석의 부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2회에 걸쳐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사를 위한)설치를 위한 기존의 기초 정리 과정에서의 폐자재 및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자재를 안전하게 보관 정돈 및 처리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특허문헌 1과 같은 컨테이너형 양중장치에 의한 지지공법이 공개된 바 있으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보도블록, 경계석의 시공방법에서 보도블록, 경계석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경계석의 운반 및 안착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콘크리트의 타설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펌프카 없이도 손쉽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보도블록의 운반 배치 및 보도블록 설치시 모래의 포설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보도블록,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거하는 흙, 모래, 폐보도블록, 경계석 등을 폐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지 않은바, 이러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일체화된 보도블록, 경계석, 측구를 시공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KR 10-1756466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한 기초정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자재의 수집 및 배출, 석재, 경계석, 보도블록 설치시 보도블록의 임시보관 장소에서 설치 장소로 분산배치에 의한 인력낭비와 보도블록 설치에 따른 모래 포설시 인력낭비와 경계석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시 인력낭비 및 측구 설치시 콘크리트 타설시 드는 인력낭비와 콘크리트가 양생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인적, 시간적 낭비를 제거하고,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짐과 함께 콘크리트의 침하로 인해 경계석의 높이가 불일치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폐자재가 발생하는 즉시 폐자재를 모아 폐기물 처리장으로 보낼 차량을 부를 때까지 용기에 보관한 후 안전하고 손쉽게 이송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경량지지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경계석의 운반 및 안착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경량지지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경계석 및 보도블록 철거 과정과,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 오염수로 썩은 모래 등의 폐자재를 컨테이너에 수집하여 차량 적재하는 수집 및 적재 과정과, 별도의 다짐기 또는 롤러차량을 통해 평탄화하는 기초 다지기 과정을 포함하는 기초단계와; 상기 단계 후 경계석 설치를 위해 거푸집 설치 과정 및 지지받침대 설치 과정을 수행한 후에 컨테이너형 양중장치를 통해 양중 이동시켜 상기 지지받침대에 안착 및 상기 거푸집에 일렬로 수납하는 경계석 배치 과정을 포함하는 설치 단계와; 상기 단계 후 레미콘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를 컨테이너에 수납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컨테이너에 콘크리트 재료를 담아 믹스하여 컨테이너에 콘크리트를 준비하고, 상기 컨테이너형 양중장치의 양중을 통해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 과정과, 상기 콘크리트가 굳어지는 적정 시간까지 대기하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와 함께 경계석이 견고하게 매설된 상태의 거푸집 제거 과정과, 상기 경계석을 기준으로 인도측으로 모래 포설 과정과, 포설된 모래의 위에 보도블록 설치 과정을 마친 다음 현장에 사용된 장비 및 자재를 회수 현장 정리 과정을 포함하는 인도 정비 및 마감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지지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가 굳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기초 콘크리트에 올려진 경계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침하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시공된 경계석들 간의 높이가 불일치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석의 운반 및 안착 과정에서, 컨테이너형 양중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운반 및 안착이 가능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지지 공법에 사용되는 지지받침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7,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지지 공법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지지 공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지지 공법에 사용되는 컨테이너형 양중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지지공법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고르는 기초단계(S100), 거푸집(30) 및 경계석(5)의 설치 단계(S200),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S300), 인도 정비 및 마감 단계(S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단계(S100)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경계석(5) 및 보도블록 철거 과정(S110)과,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 오염수로 썩은 모래 등의 폐자재를 컨테이너(400)에 수집하여 차량 적재하는 수집 및 적재 과정(S120)과, 별도의 다짐기 또는 롤러차량을 통해 평탄화 하는 기초 다지기 과정(S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설치 단계(S200)는 상기 단계 후 경계석(5) 설치를 위해 거푸집 설치 과정(S210) 및 지지받침대 설치 과정(S220)을 수행한 후에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를 통해 양중 이동시켜 상기 지지받침대(500)에 안착 및 상기 거푸집(30)에 일렬로 수납하는 경계석 배치 과정(S230)을 포함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S300)는 상기 단계 후 레미콘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C)를 컨테이너(400)에 수납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컨테이너(400)에 콘크리트(C) 재료를 담아 믹스하여 컨테이너(400)에 콘크리트(C)를 준비하고, 상기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의 양중을 통해 상기 거푸집(30)에 콘크리트 타설 과정(S310)과, 상기 콘크리트(C)가 굳어지는 적정 시간까지 대기하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S320)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인도 정비 및 마감 단계(S400)는 상기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C)와 함께 경계석(5)이 견고하게 매설된 상태의 거푸집 제거 과정(S410)과, 상기 경계석(5)을 기준으로 인도측으로 모래 포설 과정(S420)과, 포설된 모래의 위에 보도블록 설치 과정(S430)을 마친 다음 현장에 사용된 장비 및 자재를 회수 현장 정리 과정(S440)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순서에 따른 본 발명의 경량지지공법은, 경계석(5)이 지지받침대(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C)를 타설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C)가 굳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또한, 기초 타설 콘크리트(C)에 경계석(5)을 올려놓을 때, 경계석(5)의 무게로 인해 1차 타설 콘크리트(C)가 침하되어 경계석(5)들 간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먼저, 거푸집(30) 설치하는 과정으로 경계석(5)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30)을 지면상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나란하게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받침대(500)는 복수가 거푸집(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배치되며, 상기 지지받침대(500)는 서로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 배치되는 지지받침대(500)는, 콘크리트(C) 타설 단계이전에 경계석(5)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키면서 지지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경계석(5) 안착은 상기 한 쌍의 거푸집(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받침대(500)의 상부에 경계석(5)을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지지받침대(500)는 경계석(5)이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상판(510), 상기 받침상판(5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다리(520), 상기 받침상판(5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볼(530) 및 레벨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볼(530)은 상기 받침상판(510)의 상면에 만입 형성된 볼홈(511)에 압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볼(530)은 일부가 받침상판(5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지지볼(530)의 일부분은 받침상판(510)에 안착된 경계석(5)을 지지함과 동시에 경계석(5)의 위치 조정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경계석(5) 안착 또는 그 이후에, 작업자는 상기 지지볼(530)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받침대(500)에 안착된 상기 경계석(5)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거나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측정기는 상기 지지받침대(500)의 지면에 대한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바, 작업자는 상기 경계석(5) 안착 또는 그 이후에, 레벨측정기를 통해 수평 상태를 확인하여 각 받침다리(5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경계석(5)을 수평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계석(5) 안착 후에는,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받침대(500)의 상부로 경계석(5)을 운반하고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양중와이어(300)는, 상기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제1연결공(5a)에 각각 삽입되어 양중와이어(300)가 연결된다.
상기 양중와이어(300)는 상기 블록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부위가 상기 블록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312)은 상기 양중와이어(300)의 양단에 각각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313)는 상기 고정핀(312)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제1연결공(5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의 구조를 경계석(5)안착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상기 경계석(5) 안착은, 상기 양중와이어(300)의 양단을 상기 제1연결공(5a)에 각각 삽입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핀(312)에 제1크레인(10)을 연결하는 제1크레인(10)연결단계, 상기 제1크레인(1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핀(312)에 결합 및 지지된 상기 경계석(5)을 운반하여 상기 지지받침대(50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운반/타설 단계, 상기 지지받침대(500)에 안착된 경계석(5)으로부터 상기 양중와이어(300)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경계석(5)이 고정핀(31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계석(5)이 경계석(5)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안전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양중와이어(300)의 결합돌기(313)를 경계석(5)에 결합시킨다.
상기 양중와이어(300)의 양단에 위치하는 결합돌기(313)를 각각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제1연결공(5a)에 각각 삽입 결합시켜 경계석(5)의 길이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이후에 수행될 경계석(5)의 운반/타설 단계에서 경계석(5)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크레인(10)의 체결을 통해 작업자는 상기 양중와이어(300)에 제1크레인(10)을 연결하여 경계석(5)을 들어올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중와이어(300)는 일측이 상기 제1크레인(10)에 걸림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길게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크레인(10) 연결 단계 이후에, 제1크레인(10)에 의해 리프트 된 경계석(5)의 길이 방향이 상기 거푸집(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양중와이어(300)에 결합된 블록을 회전시켜 경계석(5)의 길이 방향이 거푸집(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지지받침대(500)에 안착된 경계석(5)으로부터 상기 양중와이어(30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단계에서, 작업자는 먼저 상기 양중와이어(30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313)를 제1연결공(5a)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분리 과정에서 상기 경계석(5)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C)양생으로는 상기 한 쌍의 거푸집(30) 사이에 경계석(5)이 위치된 상태에서 거푸집(3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이다.
상기 콘크리트(C) 양생과 관련하여, 상기 지지받침대(500)를 구성하는 받침상판(510)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기 받침상판(510)은 상면에 마련된 지지볼(530)을 통해 경계석(5)을 지지하고, 상기 경계석(5)과 받침상판(510)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의 틈새(G)가 형성되며, 상기 틈새(G)으로 콘크리트(C)의 침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상판(510)의 중심부에는 통과공(5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과공(513)은 거푸집(30) 사이로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관통 형성된 부위를 통해 콘크리트(C)의 침투를 허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틈새(G)로 침투한 콘크리트(C)는 받침상판(510)과 경계석(5) 사이에서 굳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통과공(513)의 침투 부위에서 굳어지게 되므로 상기 지지받침대(500)와 경계석(5) 간의 고정 정도가 향상되어 경계석(5)의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거푸집(30) 제거에서는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상기 거푸집(30)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장 방수 등의 친환경 정밀시공과 경계석(5), 석재, 보도블록, 모래포설, 모래믹스, 콘크리트(C) 타설, 폐자재 양중을 위한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와 지지받침대(500)를 이용하는 경계석(5), 보도블록, 모래포설, 콘크리트 타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로 시공시 발생하는 폐자재를 안전하게 경량지지 컨테이너에 일정량씩 모았다가 폐기물처리장으로 가는 차량에 쉽게 탑재하게 하고, 경량지지 컨테이너에 딸린 격자형의 필터를 통한 모래믹스를 쉽게 하고, 펌프카 없이도 콘크리트(C) 타설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받침대(500)를 구배를 맞추어 설치하여 양생 후 경계석(5)을 올릴 수 있게 하여 설치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며, L형 측구 설치에 콘크리트(C)를 쉽게 타설하게 하고, 보도블록 설치를 위한 기초 모래 포설 시 필터를 통한 품질 개선된 포설되는 모래량을 쉽게 조절 포설할 수 있게 하며, 구배를 잡은 모래 포설이 끝나면 사용될 적당량의 보도블록을 쉽게 작업자에까지 전달하며, 전달된 보도블록은 작업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을 높이와, 위치에 이동 대기시켜 작업 능률을 높이게 하며 남겨진 자재 및 폐자재를 쉽게 구분 이동시키게 하며, 작업 후 보도블록의 메지를 위한 양질의 모래를 충분히 포설하게 하여 품질을 높이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시공시 발생한 폐기물을 즉시 용기에 모아 두지 않고 곁에 쌓아 두었다가 다시 폐기물 처리를 위해 적재된 장소로 이동한 다음 일정량이 모이면 폐기물 처리 차량을 불러 처리하는 다단계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또한 경계석(5)을 설치하기 위하여 기초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경계석(5)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C)믹스 차량으로 이동된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위하여 펌프카로 하기에는 좁고 길어 펌프카는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그 양이 너무 미미하여 보통 인력으로 하고 있다.
또한 경계석(5) 설치를 위해 모래와 시멘트를 적정 비율로 믹스하여 필요한 만큼의 물을 넣어 사용하는데 인력으로 하고 있다.
또한 경계석(5)이 보통 1000mm 길이와 300mm, 250mm, 200mm, 150mm 중 등의 어느 하나의 높이와 200mm, 180mm, 150mm 중 어느 하나의 넓이로 용도에 맞추어 제작되며, 팔레트 단위로 현장에 도착한다.
도착된 자재는 설치 구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지게차 등으로 이동 배치한 후 인력으로 경계석(5)을 적재된 팔레트에서 내려 수레 등에 싣고 설치 위치까지 이동 내려놓으면 보통 2인 1조의 작업자가 경계석(5) 설치용 갈고리로 들어 경계석(5) 설치를 위해 조성된 콘크리트(C) 위에 올려놓고 열이나 구배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 설치까지 여러 단계의 인력이 필요하고 많은 힘이 들며 이동과정에서 모서리가 깨어지는 등의 파손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또한, 인터러킹블록, 사구석, 투수블록, 고무블록 등이 용도에 맞추어 제작되어 팔레트 단위로 포장되어 현장에 도착하면 소요 면적 등을 고려하여 지게차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적정량을 수레에 적재한 후 설치 작업자가 있는 곳 가까이 이동하여 내려 놓는다.
보도블록 설치를 위하여 지형이나 물 빠짐 등을 고려한 인도의 기초정리를 한 후 보도블록 설치를 위해 소형차량이나 손수레 등으로 실어 나르던가 포크레인 등으로 퍼 날라 주면 삽 등으로 모래를 펼쳐 포설한 다음 구배나 앞뒤 블록 간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모래를 펼쳐 보도블록을 깔 준비를 마치고 곁에 보도블록을 들어 앞/뒤를 맞추어 설치한다.
경량지지공법의 작업과정의 일체화는 단순히 규격화된 제품일 경우 형성한 체결홈, 팔레트, 목적에 맞추어 제작된 패널 및 컨테이너에 체결 양중할 수 있도록 고안된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와 지지받침대(500)로 이룰 수 있다.
신축의 경우 골조가 완성되고 내부시설 및 부대시설을 완성하고 창호 도배, 도장, 방수를 하고 차도 및 인도의 포장을 마치고 사람들이 주거나 업무를 위해 입주해 살게 된다.
보수의 경우 이미 설치된 보도블록이나 경계석(5), 측구를 제거하고 새로이 설치한다.
이미 차도 보수 현장에는 수많은 차량이 질주하고 있고, 아파트 등의 보수 현장에는 수많은 사람이 거주하여 왕래하는 통로이다.
경계석(5) 공사는 신축의 경우 이미 완성된 건물에 빠른 입주를 위한 신속한 공사완료가 필요하겠으나 보수 현장에서는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그로 인한 안전이 절실하며 신속한 공사 완료로 이러한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계석(5) 설치를 위해 고랑을 파고 기초를 배수를 고려하여 조성된 지반을 침하를 막기 위해 최대한 다지고 난 후에 경계석(5)보도블록을 설치한다.
보수의 경우에는 이렇게 조성된 기존에 설치된 경계석(5)의 경우 낡거나 침하 등으로 기울어지고 가라앉은 것이 설치된 경계석(5)을 제거한 후 침하 등의 지반을 보강한 후 경계석(5)을 설치한다.
경량지지공법에 따른 경계석(5)을 설치는 경계석(5) 설치를 위한 사모래를 제작하기 위하여 경량지지 컨테이너에 모래와 시멘트를 적정량 투입한 후 자체중량과 제1크레인(10)에 의한 위치에너지로 옆의 다른 컨테이너에 투입하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사모래를 제작한다.
경량지지 컨테이너에 제작된 사모래는 적정량의 물을 섞어 반죽한 후 제1크레인(10)을 이용하여 사용지점에 이송한 후 경량지지 컨테이너 끝에 개폐장치가 된 비닐관 등으로 필요한 만큼의 반죽 사모래를 부어 쌓는다.
콘크리트(C) 타설을 위해 콘크리트(C)믹스 차량이 도착하고 경량지지 컨테이너에 투하되는 콘크리트(C)를 스카이 같은 길게 멀리 이송할 수 있는 제1크레인(10)을 이용하여 도착지점에 자리한 작업자가 콘크리트(C)타설을 하게한다.
적정하게 양생된 경계석(5) 설치를 위한 사모래나 콘크리트(C) 위에 경계석(5) 설치를 위한 받침대를 설치한다.
지지받침대(500)는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경사 구배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다.
지지받침대(500)가 충분한 양생으로 설치 고정된 후 좌우 양측에 홈이 형성된 경계석(5)을 경량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제1크레인(10)을 이용하여 이송한 후 지지받침대(500)에 올리고 지지받침대(500)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을 이용하여 앞뒤 좌우로 미세 조정하여 설치한다.
경계석(5)의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C)를 경량지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측구제작을 위한 거푸집(30)에 타설한다.
경계석(5)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메지를 한다.
차도경계석(5)과 측구가 완성되면 인도 및 차도의 포장을 한다.
인도의 포장을 위해 화단 경계석(5)의 설치가 완료되면 아스팔트, 보도블록, 투수콘, 황토 등 다양한 소재로 목적에 맞추어 포장한다.
경량지지 컨테이너와 작업플레이트를 제1크레인(10)을 이용하여 자재의 이동 및 적재 및 설치 작업자의 힘을 절약하게작업의 효율과 질을 높인다.
모래 및 포장용 블록이나 고무칩 등 포장자재를 적재장소에 장착된 제1크레인(10)으로 경량지지 컨테이너에 담아 설치를 위한 장소로 곧바로 이송하여 포설, 설치하여 자재를 곳곳에 산적함에 따라 발생하는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 방해를 하지 않고, 시간을 절약하고 자재의 이송 적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실 및 파손을 막는다.
특히 석공에서 돌로 되어 무거운 중량과 고소에서 작업하는 어려움이 있다.
석재는 판석은 mm까지 정확한 치수로 재단되어 광택, 잔다듬, 버너, 모따기 등 가공을 거쳐 제작된다. 이송과정에서 파손되는 등이 품질을 떨어뜨리는 큰 요인이 된다.
또한, 무거운 중량으로 쉽게 다루어지지도 않고, 조형물은 쉽게 들어올릴 수도 없다.
주문 제작된 석재가 팔레트 단위로 실려 현장에 도착하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차에서 내려 적재장소에 적재한다.
포장을 벗겨 수량 및 상태를 점검하며, 시공장소별로 사용하기에 적정하게 사이즈별 수량을 구분하여 표기한 석재 적재 이송용 컨테이너에 담아 작업장소로 이송하여 적재한다.
이송된 석재는 작업 플레이트 위에 적재하여 필요시 윈치가 설치된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송과정에서 무거운 중량으로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과 콘크리트(C) 타설과 경계석(5) 설치 지지대로 고품질의 설치와 신속하고 안전한 설치를 하게 하여 경계석(5) 설치를 위하여 동원된 포크레인, 스카이, 지게차, 버켓 등의 제1크레인(10) 중 사용 가능한 제1크레인(10)을 사용할 수 있으나, 스카이는 고정된 장소에서 멀고, 긴 거리를 신속하게 콘크리트(C) 타설을 할 수 있게 하여 공사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현장에 동원된 제1크레인(10)에 경계석(5) 양중기에 배출을 위한 관이 설치된 콘크리트(C)컨테이너를 체결하고, 현장에 도착한 레미콘 및 펌프카에서 배출하는 콘크리트(C)를 받아 경계석(5) 설치를 위한 적정한 기초 콘크리트(C)를 구배에 맞추어 타설한다.
타설 작업 후 받침대가 안착할 수 있는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C)의 양생 정도를 보아 경계석(5) 받침대를 구배를 맞추어 설치한다.
적절히 안착된 지지받침대(500) 위에 높이와 구배 열에 맞추어 띄워진 줄 실에 맞추어 경계석(5)을 설치한다.
경계석(5) 설치가 완료된 후, 채움 콘크리트(C)와 경계석(5)을 적절히 잡아 줄 수 있는 높이의 L형 측구의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경계석(5)의 설치가 완료되고 타설시 튄 콘크리트(C)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백시멘트에 색소를 혼합한 메지용 시멘트나 형광 또는 적정한 색상의 아크릴 메지를 사용하여 메지하고 현장을 정리한다.
경계석(5) 및 측구가 완성되고 보도블록의 사이즈를 가능한 자르지 않아 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넓이에 구배를 맞추어 줄실을 띄우고 화단 경계석(5)을 설치한다. 화단 경계석(5)이 설치된 후 보도블록 설치를 위해 바닥을 정리한 후 보도블록 설치용 모래를 구배에 맞추어 포설 한다.
모래 포설용 수납 컨테이너와 관이 설치된 모래 포설용 컨테이너에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모래를 담아 양중한 후 필터링 된 모래를 구배에 맞추어 포설할 수 있도록 적당량을 공급한다.
작업 면적에 맞춘 보도블록을 팔레트에 적재하여 적정공간에 배치하고 보조 작업자가 작업자의 피로도를 덜 수 있는 높이와 위치에 보도블록을 공급한다.
작업이 완료된 후 남은 자재와 폐자재를 구분하여 적재된 패널 또는 컨테이너를 폐기물 수거차량이나 자재 적재 장소에 이동 배치한다.
보도블록 설치 후 현장 정리가 끝나면 모래 포설용 컨테이너로 보도블록 메지요 모래를 포설한다.
석재설치용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는 패널이나 석재 시공용 컨테이너 또는 팔레트를 체결하여 이동 배치한다.
석재시공은 석재의 시공을 위한 도면이 완성되고 도면에 맞는 석재 사이즈와 장 수를 작업상황을 고려하여 정하여 발주하면 석재공장에서 발주서에 맞는 석재를 재단, 가공하여 제작하여 팔레트 단위로 포장하여 납품한다.
현장에 도착된 석재는 사이즈별로 적재된 판석의 사이즈와 장수 설치위치가 메모된 석재설치용 컨테이너에 먼지 등을 잘 닦아 분산 배치된다. 분산 배치된 석재는 석재를 부착해야 하는 작업 장소로 제1크레인(10)를 불러 이동 적재한다.
석재 작업 컨테이너는 현장에 도착한 자재를 한번의 분류와 청소로 깨끗하고 안전하게 작업장소에 이동할 때까지 보호하고 이동시 재배치 없이 곧바로 가는 이동으로 인한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켜 품질을 높인다.
아파트 등 건축물의 고소에 석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보통 작업용 비계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줄을 띄워 수직 상태에서 벽면의 상태에 맞는 석재와의 이격 거리 조정한 맨 아래 칸에 석재를 부착한다.
설치된 맨 아래칸의 석재에 맞추어 맨 위칸의 석재까지 부착한다.
고소에서의 석재부착을 위한 자재의 이동 배치는 윈치를 사용하여 윈치에 부착된 와이어에 필요한 판석이 적재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비계발판에 안착한 후 작업위치로 들어 올려 시공한다.
시공이 완료되면 아크릴이나 우레탄으로 메지하고 돌에 붙은 먼지 등을 잘 닦고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는 제1크레인(10)에 체결되는 연결고리(110)와, 상기 연결고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중몸체(200), 상기 양중몸체(200)에 지지된 상태로 경계석(5)을 양중하는 양중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110)는, 일측이 상기 제1크레인(10)에 걸림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이 고리헤드(111)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로드(112)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110)는 상기 제1크레인(10)에 체결되어 상기 양중와이어(300)에 의해 지지되는 경계석(5)을 양중할 수 있는바, 하기에서는 상기 양중와이어(300)에 의한 경계석(5)의 지지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경계석(5)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건자재로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 구조이며,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제1연결공(5a)이 형성된다.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제1연결공(5a)에 삽입 결합되는 이중 지지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경계석(5)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경계석(5) 양중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경계석(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양중몸체(200)는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블럭(210)과, 상기 연결고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블럭(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블럭(2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하블럭(210)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상기 하블럭(2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되므로 하블럭(210)의 내부의 중앙부에서는 상기 관통공들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공유하게 된다.
상기 양중와이어(300)는 상기 하블럭(210)의 관통공에 관통되어 하블럭(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블럭(210)는 내부의 중앙부에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서 지지되는 상기 양중와이어(30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들 중에서, 특히,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관통하는 관통공은 상기 경계석(5)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양중와이어(300)의 양단이 상기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삽입 결합됨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들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에 6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상기 경계석(5)을 지지하게 되는 경계석(5)의 하중을 분산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양중와이어(300)가 결합됨으로써, 경계석(5)은 안정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블럭(2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하블럭(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블럭(220)은 상기 하블럭(210)의 상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블럭(220)의 하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블럭(210)의 상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블럭(210)과 상블럭(220)의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가 경계석(5)을 포함한 중량이 무거운 건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임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내용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상블럭(220)은 내부에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에는 고리헤드(111)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고리(110)의 길게 연장 형성된 연결로드(112)는 상기 상블럭(220)의 고리헤드(111)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중몸체(200)는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관통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블럭(210)과, 상기 연결고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블럭(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블럭(2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의 상면에는 함몰된 원형 구조의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만입홈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블럭(2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경계석(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경계석(5)의 전면 및 후면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임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상블럭(220)은, 하면에 상기 하블럭(210)의 상기 만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블럭(220)은 돌출부가 상기 만입홈에 끼워 맞춤 결합함으로써 하블럭(2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과정에서 하블럭(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양중와이어(300)는 상기 상블럭(22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에 고리헤드(111)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110)의 길게 연장 형성된 연결로드(112)는 상기 고리헤드(111)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연결고리(110)와 상블럭(220) 사이의 베어링에 의한 회전 결합 구조는, 제1크레인(10)에 체결되는 연결고리(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크레인(10)의 방향 전환 없이도 경계석(5)을 지지하는 양중와이어(300)를 회전시킴으로써, 경계석(5)이 설치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는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버켓몸체(410)와, 이 버켓몸체(410)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고정핀(312)이 대응 결합되는 복수의 제2연결공(421)이 둘레를 따라 바깥쪽 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버켓플랜지(420)를 갖는 컨테이너(400)와; 제1크레인(10)에 걸림 연결되는 연결고리(110)가 상측에 형성되고, 각각 단부에 고정핀(312)을 갖는 양중와이어(300) 가 하측에 다발로 연결된 양중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켓몸체(410)는 중공으로 상/하 관통 형성되고, 이 버켓몸체(410)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슬롯(41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슬롯(411)에 상기 버켓몸체(410)의 내부에 중량물이 수납되도록 하단을 차단하는 개폐판(430), 상기 버켓몸체(410)의 내부에 수용된 중량물의 알갱이를 걸러내는 거름망(440), 상기 버켓몸체(410)의 내부에 수용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타설가이드 하도록 배출튜브(452)를 이음 연결하는 연결링(45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400)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부(43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개폐판(430)이 구비되며, 상기 양중몸체(200) 및 버켓플랜지(420)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제1,2와이어가이드(203,423)를 따라 제2크레인(20)과 상기 개폐판(430)에 형성된 이음부(431)를 개폐와이어(320)로 이음 연결하여 상기 제2크레인(20)의 수직 이동에 따라 상기 개폐판(430)을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이음부(431)는 버켓플랜지(420)의 제2연결공(421)과 동일하게 테두리를 따라 끼움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와이어(320)의 단부에 양중와이어(300)에 구비된 고정핀(312)과 동일한 끼움 구조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컨테이너(400)에 양중몸체(200)를 분리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켓몸체(410)는 중공으로 관통 형성되고, 거름망(440) 및 연결링(450)을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430)에 의해 모래, 자갈, 콘크리트 등의 건자재 또는 폐자재를 포함하는 중량물을 버켓 형태로 컨테이너(400)에 담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2크레인(2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개폐판(430)을 개폐함으로 하단에 관통으로 폐/건자재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440)을 설치하는 경우,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매시 크기를 달리하여 건자재 또는 폐자재에 대해 분리 또는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450)을 설치하는 경우, 이 연결링(450)과 함께 설치되는 가이드 배출튜브(452)를 라인 연결하여 상기 컨테이너(400)에 수납 또는 담긴 콘크리트, 몰타르 등으로 유동성을 갖는 자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토출 및 배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중몸체(200)는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관통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블럭(210)과, 상기 하블럭(210)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고리(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상블럭(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고리(110)는 상기 제1크레인(10)에 걸림으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고리헤드(111)와, 이 고리헤드(111)의 하단에 길게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로드(112)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양중몸체(200)는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관통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블럭(210)과, 상기 하블럭(210)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고리(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상블럭(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고리(110)는 상기 제1크레인(10)에 걸림으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고리헤드(111)와, 이 고리헤드(111)의 하단에 길게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로드(1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5: 경계석
5a: 제1연결공
10: 제1크레인
20: 제2크레인
30: 거푸집
100: 컨테이너형 양중장치
110: 연결고리
111: 고리헤드
112: 연결로드
200: 양중몸체
203: 제1와이어가이드
210: 하블럭
220: 상블럭
300: 양중와이어
312: 고정핀
313: 결합돌기
320: 개폐와이어
400: 컨테이너
410: 버켓몸체
411: 설치슬롯
420: 버켓플랜지
421: 제2연결공
423: 제2와이어가이드
430: 개폐판
431: 이음부
433: 힌지부
440: 거름망
450: 연결링
452: 배출튜브
500: 지지받침대
510: 받침상판
511: 볼홈
513: 통과공
520: 받침다리
530: 지지볼
C: 콘크리트
G: 틈새
S100: 기초단계
S110: 기존에 경계석 및 보도블록 철거 과정
S120: 폐자재 수집 및 적재 과정
S130: 기초 다지기 과정
S200: 설치 단계
S210: 거푸집 설치 과정
S220: 지지받침대 설치 과정
S230: 경계석 배치 과정
S300: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S310: 콘크리트 타설 과정
S320: 콘크리트 양생 과정
S400: 인도 정비 및 마감 단계
S410: 거푸집 제거 과정
S420: 모래 포설 과정
S430: 보도블록 설치 과정
S440: 현장 정리 과정

Claims (5)

  1.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경계석(5) 및 보도블록 철거 과정(S110)과,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 오염수로 썩은 모래 등의 폐자재를 컨테이너(400)에 수집하여 차량 적재하는 수집 및 적재 과정(S120)과, 별도의 다짐기 또는 롤러차량을 통해 평탄화하는 기초 다지기 과정(S130)을 포함하는 기초단계(S100)와;
    상기 단계 후 경계석(5) 설치를 위해 거푸집(30) 설치 과정(S210) 및 지지받침대(500) 설치 과정(S220)을 수행한 후에 상기 지지받침대(500)의 상부에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석(5)을 운반하여 안착 및 상기 거푸집(30)에 일렬로 수납하는 경계석 배치 과정(S230)을 포함하는 설치 단계(S200)와;
    상기 단계 후 레미콘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C)를 컨테이너(400)에 수납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컨테이너(400)에 콘크리트(C) 재료를 담아 믹스하여 컨테이너(400)에 콘크리트(C)를 준비하고, 상기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의 양중을 통해 상기 거푸집(30)에 콘크리트 타설 과정(S310)과, 상기 콘크리트(C)가 굳어지는 적정 시간까지 대기하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S320)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S300)와;
    상기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C)와 함께 경계석(5)이 견고하게 매설된 상태의 거푸집(30) 제거 과정(S410)과, 상기 경계석(5)을 기준으로 인도측으로 모래 포설 과정(S420)과, 포설된 모래의 위에 보도블록 설치 과정(S430)을 마친 다음 현장에 사용된 장비 및 자재를 회수 현장 정리 과정(S440)을 포함하는 인도 정비 및 마감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형 양중장치(100)는,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버켓몸체(410)와, 이 버켓몸체(410)의 상단 테두리에 양중와이어(300)의 고정핀(312)이 대응 결합되는 복수의 제2연결공(421)이 둘레를 따라 바깥쪽 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버켓플랜지(420)를 갖는 컨테이너(400)와;
    제1크레인(10)에 걸림 연결되는 연결고리(110)가 상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고정핀(312)을 갖는 양중와이어(300)가 하측에 다발로 연결된 양중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400)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부(43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개폐판(430)이 구비되며, 상기 양중몸체(200) 및 버켓플랜지(420)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제1,2와이어가이드(203,423)를 따라 제2크레인(20)과 상기 개폐판(430)에 형성된 이음부(431)를 개폐와이어(320)로 이음 연결하여 상기 제2크레인(20)의 수직 이동에 따라 상기 개폐판(430)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지지공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켓몸체(410)는 중공으로 상/하 관통 형성되고, 이 버켓몸체(410)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슬롯(41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슬롯(411)에 상기 버켓몸체(410)의 내부에 중량물이 수납되도록 하단을 차단하는 개폐판(430), 상기 버켓몸체(410)의 내부에 수용된 중량물의 알갱이를 걸러내는 거름망(440),
    상기 버켓몸체(410)의 내부에 수용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타설가이드 하도록 배출튜브(452)를 이음 연결하는 연결링(45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지지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중몸체(200)는 상기 양중와이어(300)가 관통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블럭(210)과, 상기 하블럭(210)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고리(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상블럭(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고리(110)는 상기 제1크레인(10)에 걸림으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고리헤드(111)와, 이 고리헤드(111)의 하단에 길게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로드(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지지공법.
KR1020170143393A 2017-10-31 2017-10-31 경량지지공법 KR10194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93A KR101940527B1 (ko) 2017-10-31 2017-10-31 경량지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93A KR101940527B1 (ko) 2017-10-31 2017-10-31 경량지지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27B1 true KR101940527B1 (ko) 2019-01-21

Family

ID=652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93A KR101940527B1 (ko) 2017-10-31 2017-10-31 경량지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8A (ja) * 1996-07-11 1998-02-03 Okumura Corp 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103140A (ko) * 2004-04-21 2005-10-27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101756466B1 (ko) 2016-05-13 2017-07-10 최낙훈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8A (ja) * 1996-07-11 1998-02-03 Okumura Corp 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103140A (ko) * 2004-04-21 2005-10-27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101756466B1 (ko) 2016-05-13 2017-07-10 최낙훈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8993B (zh) 市政道路路缘石预制安装施工方法
CN107542017A (zh) 一种装配式道路施工方法
CN108868063A (zh) 一种地坪施工方法
CN108193608A (zh) 移动式模架现浇道路排水沟及施工方法
CN110682433A (zh) 一种预制立柱施工方案
CN102505709A (zh) 基础预制混凝土模板施工方法
CN113047110A (zh) 一种市政道路沥青混凝土路面施工方法
CN108193572A (zh) 一种对预制梁预制场硬化层进行再利用的方法
US20060034654A1 (en) Temporary driveway
CN113005908B (zh) 一种跨线天桥的安装方法
KR101940527B1 (ko) 경량지지공법
CN107151958B (zh) 一种易维护永久性农村公路水泥路面
KR20060127329A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상부구조 시공방법
KR100974424B1 (ko)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CN108532639A (zh) 具有可调节基座的沥青路面井盖及安装方法
KR10170531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설치공법
KR1017053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합성한 도로포장공법
CN212000515U (zh) 一种用于防沉降井盖施工限位井圈的模具
CN107792802A (zh) 一种小型构件移动及安装系统及方法
CN210797245U (zh) 一种桥头台背回填结构
US20050178294A1 (en) System for recycling wet concretre into precast structures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CN108643228A (zh) 一种装配式预制汽车箱通施工工艺
JP2854427B2 (ja) 道路舗装方法
CN111467846A (zh) 一种细格栅及旋流沉砂池的施工方法
CN110820715A (zh) 一种用于降低路桥过渡段跳车问题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