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603B1 -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603B1
KR101196603B1 KR1020100001592A KR20100001592A KR101196603B1 KR 101196603 B1 KR101196603 B1 KR 101196603B1 KR 1020100001592 A KR1020100001592 A KR 1020100001592A KR 20100001592 A KR20100001592 A KR 20100001592A KR 101196603 B1 KR101196603 B1 KR 10119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formwork panel
formwork
elevating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429A (ko
Inventor
조용우
Original Assignee
조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우 filed Critical 조용우
Priority to KR102010000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6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과 L형 측구를 시공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은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L형 측구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며, 판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 상의 승강가이드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차도측거푸집패널 및 보도측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진 거푸집과;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승강가이드공에 인접하게 개재되어 상기 경계석 하부면을 지지하는 경계석지지대와; 상기 경계석지지대의 높이를 승강 조절하는 경계석높이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경계석의 높이 설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경계석과 L형 측구간의 견고한 접합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시공 기간이 현격하게 단축되고, 시공성이 우수한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method using thesame}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 지점에는 석재를 소정 길이의 직육면체로 가공한 경계석이 설치되어 차도와 보도를 구획한다.
이러한 도로 경계석의 시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10)이 놓일 기초콘크리트(130)를 타설하고, 이 기초콘크리트(130)에 경계석(110)을 올려놓은 다음, 차도 측(경계석(110) 기준 A방향)과 보도 측(경계석(110) 기준 B방향) 거푸집(140) 사이를 콘크리트로 메운 후, 소정의 시간동안 양생하여 L형 측구(12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경계석 시공 거푸집(140)을 이용하여 경계석(110)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기초콘크리트(130)가 굳는 것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경계석 시공 기간이 오래 걸리며, 하절기에는 급속히 양생이 진행되어 L형 측구와 경계석 간의 접합 강도 저하 등의 품질 저하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초콘크리트(130) 및 L형 측구(120)의 콘크리트 타설이 기간 차이를 두고 별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계석(110) 시공기간이 더욱 오래 걸리면서 기초콘크리트(130)와 경계석(110) 간의 접합부위, 경계석(110)과 L형 측구(120) 간의 접합부위의 강도가 취약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36982호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10)의 양단을 받침대(150)에 올려놓고 보도 측과 차도 측에 각각 거푸집(14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L형 측구(120)를 형성하는 경계석 시공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 경계석 시공 방법의 경우에는 상호 이격된 경계석 받침대 상에 경계석을 올려놓을 때, 일반적인 경계석 시공 현장에서 지반의 평탄도가 정확한 수평을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경계석의 상면 높이를 동일하게 정렬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경계석의 시공성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경계석 받침대가 받치고 있는 경계석 하부면과 L형 측구 간의 접합부위가 협소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경계석 양단부와 L형 측구 간의 접합 강도가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의 높이 설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경계석과 L형 측구간의 견고한 접합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시공 기간이 현격하게 단축되고, 시공성이 우수한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경계석과 L형 측구를 시공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L형 측구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며, 판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 상의 승강가이드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차도측거푸집패널 및 보도측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진 거푸집과;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승강가이드공에 인접하게 개재되어 상기 경계석 하부면을 지지하는 경계석지지대와; 상기 경계석지지대의 높이를 승강 조절하는 경계석높이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경계석지지대는 관체로 마련되며, 경계석높이설정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경계석지지대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승강견인바아와, 상기 승강견인바아의 양단부를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높이조절유닛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승강높이조절유닛은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의 승강가이드공에 대응하는 가이드공을 갖는 승강가이드와; 승강견인바아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가이드에 상하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편과;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의 상단면에 체결되면서 하단부가 상기 승강편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승강편을 상기 승강가이드에 대해 상하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스크류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서, 경계석과 L형 측구를 시공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L형 측구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는 차도측거푸집패널 및 보도측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 사이에 상기 경계석 하부면을 지지하는 경계석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석지지대 상에 경계석을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석지지대를 승강 조절하여 상기 경계석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에 L형 측구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계석의 높이 설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경계석과 L형 측구간의 견고한 접합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시공 기간이 현격하게 단축되고, 시공성이 우수한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을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다른 형태의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을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의 정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표시부"A"의 확대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4 내지 도 7의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을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의 정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표시부"A"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1)은 경계석(3)을 지지하는 L형 측구(5)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는 거푸집(10)과, 거푸집(10) 내측에서 경계석(3)을 지반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향 이격된 위치로 지지하는 경계석지지대(20)와, 경계석지지대(2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경계석높이설정수단(30)을 포함한다.
거푸집(10)은 L형 측구(5)의 차도측면을 형성하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L형 측구(5)의 보도측면을 형성하는 보도측거푸집패널(13)로 구성된다.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은 L형 측구(5)의 양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10) 설치위치에서 차도와 보도의 경계영역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의 거푸집패널들을 연결핀(51) 등의 거푸집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상면에는 후술할 승강높이조절유닛(33)의 높이조절스크류(36)가 결합되는 결합너트(15)들이 각 거푸집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L형 측구(5)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수직 판면에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장공 형상의 승강가이드공(17)들이 각 거푸집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가이드공(17)의 내측폭은 후술할 경계석지지대(20)의 패널수직유지콘(41)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경계석지지대(20)가 승강가이드공(17)을 통해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차도측거푸집패널(11)의 수직 판면 상부에는 차도측을 향하는 L형 측구(5)의 상단 모서리부분을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모따기면성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모따기면성형부(12)에 의해 형성된 L형 측구(5)의 차도측 상단부 모따기 부분은 차량접촉 등의 외부충격에 의한 L형 측구(5) 상단의 파손을 방지한다.
경계석지지대(20)는 중공 봉형상의 관체로서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 사이에서 길이 방향 양단부가 양 거푸집패널(11,13)의 승강가이드공(17)에 접하도록 개재된다. 물론, 이 경계석지지대(20) 역시 다수가 승강가이드공(17)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경계석(3) 하부면의 길이방향 적어도 양측을 지지한다. 이때, 경계석지지대(20)는 원형 단면의 관체일 수도 있으며, 사각 단면 등의 다각형 단면의 관체일 수도 있다. 또한, 이 경계석지지대(20)의 양단부 둘레에는 양 거푸집패널(11,13)의 판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깔때기 형상으로 확경된 구조의 패널수직유지콘(41)이 마련되어 있다. 이 패널수직유지콘(41)은 양 거푸집패널(11,13)의 판면에 전둘레가 밀착되는 것으로서, 양 거푸집패널(11,13)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직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경계석지지대(20)의 중공 내부에는 후술할 경계석높이설정수단(30)의 승강견인바아(31)가 삽입 관통된다.
한편, 경계석높이설정수단(30)은 경계석지지대(20)를 승강 견인하기 위한 승강견인바아(31)와, 승강견인바아(31)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높이조절유닛(33)을 가지고 있다.
승강견인바아(31)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승강가이드공(17) 및 후술할 승강가이드(34)의 가이드공(34a)을 통해 경계석지지대(20)에 삽입 관통된다. 이때, 승강견인바아(31)의 양단부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단부에는 후술할 승강편(35)에 걸림 유지되도록 걸림유지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유지부(32)는 승강견인바아(31)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편(32a)과 타단부영역에 수나사(32b)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32b)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32c)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걸림유지부(32)는 승강견인바아(31)의 양단부 영역에 모두 너트를 나사 체결하는 구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걸림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강높이조절유닛(33)은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외측면에 수직 설치되는 승강가이드(34)와, 승강견인바아(31)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승강가이드(34)에 상하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편(35)과, 승강편(35)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스크류(36)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34)는 C형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 승강가이드(34)의 판면에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승강가이드공(17)에 대응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가이드(34)의 양단부는 승강편(35)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향 절곡되어 있다.
승강편(35)은 승강가이드(34)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ㄷ자 평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단부가 수평으로 절곡된 ㄱ자 정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승강편(35)의 수직판면에는 승강견인바아(31)의 양단부가 결합되도록 견인바아결합구(3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편(35)의 상단부에는 높이조절스크류(36)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스크류연결구(35b)가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스크류(36)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너트(15)에 체결되는 볼트(38)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하단부는 승강편(35)의 스크류연결구(35b)에 너트(37) 등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이 높이조절스크류(36)는 그 상단의 볼트머리(39)를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도 6 및 도 7과 같이, 정역 회전시키면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상면에 대해 상하 이동하면서 승강편(35)을 승강시킴으로써, 승강편(35)과 결합된 승강견인바아(31) 및 승강견인바아(31)가 삽입된 경계석지지대(20)를 승강 및 높이 조절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1)을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을 시공방법과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측구(5)를 형성하는 거푸집(10)을 설치하는 단계(S01)와, 거푸집(10)내에서 경계석(3)을 지반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경계석지지대(20)를 설치하는 단계(S02)와, 경계석지지대(20) 상에 경계석(3)을 적재하는 단계(S03)와, 경계석(3)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04)와, 거푸집(10) 내에 L형 측구(5)를 형성하는 단계(S05)와; 거푸집(10)을 탈형하는 단계(S06)로 이루어진다.
거푸집(10)을 설치하는 단계(S01)는 L형 측구(5)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을 상호 대향 이격되도록 L형 측구(5)의 양측면에 대응하는 거푸집(10) 설치위치에서 차도와 보도의 경계영역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의 거푸집패널들을 연결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상부 및 외측면에는 전술한 승강높이조절유닛(33)의 높이조절스크류(36) 및 승강가이드(34)와 승강편(35)이 설치되어 있다.
경계석지지대(20)를 설치하는 단계(S02)는 경계석지지대(20)를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 사이에서 길이 방향 양단부가 양 거푸집패널의 승강가이드공(17)에 접하도록 개재시킨 다음, 승강견인바아(31)를 경계석지지대(20)에 삽입한 상태에서 승강견인바아(31)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승강편(35)에 걸림 유지되도록 결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경계석지지대(20)는 L형 측구(5) 타설 양생 후 매설되며, 승강견인바아(31)는 경계석(3) 및 L형 측구(5) 시공후 경계석지지대(20)로부터 인출 분리된다.
경계석지지대(20) 상에 경계석(3)을 적재하는 단계(S03)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의 내측에 개재된 경계석지지대(20) 상에 도 8과 같이, 경계석(3)들을 올려놓는 단계이다. 경계석(3)들은 경계석지지대(2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도와 보도의 경계영역 길이방향을 따라 적재된다. 이때, 경계석지지대(20)는 경계석(3)의 길이 및 무게에 따라서 하나의 경계석(3)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계석지지대(20)가 지지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석(3)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04)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승강높이조절유닛(33)의 높이조절스크류(36)를 회전시켜서 경계석(3)들의 상면이 동일 수평면에 위치하도록 경계석(3)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는 작업자가 높이조절스크류(36)의 상단 볼트머리(39)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정역 회전시키면 승강편(35)이 승강하면서 승강편(35)과 결합된 승강견인바아(31) 및 승강견인바아(31)가 삽입된 경계석지지대(20)가 승강되는 것에 의해서 경계석(3)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높이조절스크류(36)의 회전은 간편하고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경계석(3)의 높이도 간편하고 미세하게 승강 조절될 수 있다.
거푸집(10) 내에 L형 측구(5)를 형성하는 단계(S05)는 경계석(3)이 설치된 차도측거푸집패널(11)과 보도측거푸집패널(13)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의 양생기간 동안 양생시킴으로써, 도 9와 같이, 경계석(3)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L형 측구(5)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경계석을 지지하고 있는 경계석지지대(20)는 L형 측구(5)내에 매설되며, L형 측구(5)의 차도측면 상단부에는 차도측거푸집패널(11)의 모따기면성형부(12)에 의해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접촉에 의한 L형 측구(5) 상단의 파손을 방지한다.
거푸집(10)을 탈형하는 단계(S06)는 L형 측구(5)의 양생기간이 경과한 후, 경계석지지대(20)에 삽입되어 있는 승강견인바아(31)를 인출 분리하고, 차도측거푸집패널(11) 및 보도측거푸집패널(13)을 해체하여 도로 경계석의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시공되는 도로 경계석은 승강높이조절유닛(33)의 높이조절스크류(36)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경계석(3)의 높이를 간단하면서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지반위에 L형 측구(5)를 한번에 타설 시공하고, 경계석(3)을 지지하고 있는 경계석지지대(20)와 경계석(3) 간의 접촉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경계석(3)과 L형 측구(5) 간의 접합부분이 충분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경계석(3)과 L형 측구(5)간의 견고한 접합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경계석(3)의 상면 높이를 동일하게 정렬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시공기간이 현격하게 단축되고, 시공성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도로 경계석으로 하고 경계석과 L형 측구의 시공에 대한 기술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시공방법은 보차도 경계석의 시공에서 경계석과 측구의 시공뿐만 아니라 U형 측구 등의 다양한 측구와, 보도와 보도외 구간의 경계석 시공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 경계석 5 : L형 측구
10 ; 거푸집 11 : 차도측거푸집패널
12 : 보도측거푸집패널 20 : 경계석지지대
31 : 승강견인바아 33 : 승강높이조절유닛
34 : 승강가이드 35 : 승강편
36 : 높이조절스크류

Claims (6)

  1.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어 L형 측구의 차도측면과 보도측면을 형성하며 판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 상의 승강가이드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차도측거푸집패널 및 보도측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진 거푸집과,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승강가이드공에 인접하게 개재되어 경계석 하부면을 지지하는 경계석지지대와, 상기 경계석지지대의 높이를 승강 조절하는 경계석높이설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석지지대는 관체로 마련되고, 상기 경계석높이설정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경계석지지대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승강견인바아와, 상기 승강견인바아의 양단부를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높이조절유닛로 이루어져 경계석과 L형 측구를 시공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승강높이조절유닛은,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의 승강가이드공에 대응하는 가이드공을 갖는 승강가이드와;
    승강견인바아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가이드에 상하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편과;
    상기 차도측거푸집패널과 보도측거푸집패널의 상단면에 체결되면서 하단부가 상기 승강편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승강편을 상기 승강가이드에 대해 상하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스크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01592A 2010-01-08 2010-01-08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19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592A KR101196603B1 (ko) 2010-01-08 2010-01-08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592A KR101196603B1 (ko) 2010-01-08 2010-01-08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429A KR20110081429A (ko) 2011-07-14
KR101196603B1 true KR101196603B1 (ko) 2012-11-02

Family

ID=4491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592A KR101196603B1 (ko) 2010-01-08 2010-01-08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7609A (zh) * 2016-08-29 2016-12-14 无锡市锡山区仁景模具厂 一种具有印花功能的路沿石模具
KR101723132B1 (ko) 2016-07-01 2017-04-05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거치용 바이스를 이용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40B1 (ko) * 2010-12-06 2013-12-09 기경학 간격조절볼트를 구비한 경계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1158445B1 (ko) * 2011-12-07 2012-06-22 금명건설 주식회사 도로경계석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공법
KR102086287B1 (ko) * 2019-06-03 2020-03-06 정영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408A (ja) * 1996-05-07 1997-11-18 Clean Giken:Kk 合成樹脂組合せブロック
KR20090070852A (ko) * 2007-12-27 2009-07-01 김홍곤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408A (ja) * 1996-05-07 1997-11-18 Clean Giken:Kk 合成樹脂組合せブロック
KR20090070852A (ko) * 2007-12-27 2009-07-01 김홍곤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132B1 (ko) 2016-07-01 2017-04-05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거치용 바이스를 이용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CN106217609A (zh) * 2016-08-29 2016-12-14 无锡市锡山区仁景模具厂 一种具有印花功能的路沿石模具
CN106217609B (zh) * 2016-08-29 2018-09-04 无锡市东北塘永丰橡塑厂 一种具有印花功能的路沿石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429A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603B1 (ko) 도로 경계석 시공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US6503024B2 (en) Concrete foundation pierhead and method of lifting a foundation using a jack assembly
US8887451B2 (en) Pivoting bracket for foundation support system
KR100883385B1 (ko)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US20210381189A1 (en) Pile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9534558A (ja) 充填材料、とりわけ土などを使用して壁を作るための建造要素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61744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US20180058082A1 (en) Ground anchor bracket for multiple wall braces
ES2954833T3 (es) Sistema pasamanos y método de instalación
KR20120046919A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0767645B1 (ko)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US20150021530A1 (en) Modular Guide Sleeve Apparatus and Method
KR101421212B1 (ko)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CN205558262U (zh) 楼板混凝土模板支撑装置
US8707636B1 (en) Memorial found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US10450715B2 (en) Powered lifting station for and method for lifting a slab foundation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KR101360288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절토부 보강토 옹벽 설치공법
KR101544985B1 (ko) 소켓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US118348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 concrete slab
KR101378967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102207133B1 (ko) 맨홀 보수용 도로 컷팅장치
KR101420303B1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