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743A - 건축용 동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743A
KR20070043743A KR1020070028998A KR20070028998A KR20070043743A KR 20070043743 A KR20070043743 A KR 20070043743A KR 1020070028998 A KR1020070028998 A KR 1020070028998A KR 20070028998 A KR20070028998 A KR 20070028998A KR 20070043743 A KR20070043743 A KR 20070043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frame
jack
building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090B1 (ko
Inventor
한광호
하금현
김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Priority to KR102007002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0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2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devices to avoid accidental disengag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s, e.g. during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 하부에 설치되는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바리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가능하고 동바리 상단을 멍에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해체가 손쉬운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층고( 層高 )가 대동소이한 아파트, 주상복합건물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멍에의 재질과 형태에 관계없이 동바리 작업이 가능하며, 보조작업자의 도움없이 손쉬운 설치·해체가 가능한 건축용 동바리가 제공된다.
동바리, 상부받침판, 조임편, 지지대, 보호캡, 유압잭.

Description

건축용 동바리{Construction supporting post}
도 1은 기존 강재 동바리의 사시도
도 2는 기존 유압잭의 정면도로
a는 유압잭의 높이가 최저( Min )상태의 정면도
b는 유압잭의 높이가 최고( Max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연결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 받침판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조임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받침판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받침판에 사각멍에가 설치된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받침판에 원형멍에가 설치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받침판 110 : 상단틀 140 : 하단틀 200 : 지지관 210 : 개구부
230 : 볼트 300 : 보호캡 400 : 유압잭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 하부에 설치되는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바리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가능하고 동바리 상단을 멍에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해체가 손쉬운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슬래브( 또는 보 ) 거푸집의 동바리 공법으로, 거푸집 패널을 각재나 원형강관등의 수평부재로 지지하고, 이를 다시 각재인 멍에로 지지하고, 멍에의 하부를 동바리로 받쳐 상기 거푸집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크가 일정한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콘크리트의 하중 및 거푸집, 수평부재등의 무게를 동바리가 지지하는 공법을 사용하였다.
동바리의 재질로는 목재와 파이프로 형성된 강재가 있고, 최근 강재 동바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멍에의 재질로는 4각으로 된 목재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강재 동바리( 10 )의 종래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내부지지관( 31 )과, 내부지지관( 31 ) 상단에 위치하면서 모서리부 각각에 고정공( 32a )이 형성된 상부받침판( 32 )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지지관( 31 ) 측면부에 소정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 33 )을 포함하는 상부받침대( 30 )와; 파이프 형태의 외부지지관( 21 )과, 외부지지관( 21 ) 하단에 위치하면서 모서리부 각각에 고정공( 22a )이 형성된 하부받침판( 22 )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지지관( 21 ) 상단의 외주연에 소정길이로 나사산( 23 )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지지관( 21 ) 측면부의 상기 나사산( 23 )이 형성된 부위에 슬라이드공( 24 )이 외부지지관 종방향 중앙부에 마주보고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하부받침대( 20 )와; 상기 하부받침대( 20 )의 외부지지관( 21 ) 내측으로 상기 상부받침대( 30 )의 내부지지관( 31 )이 삽입되고, 상기 외부지지관( 21 )의 슬라이드공( 24 )과 상기 내부지지관( 31 )의 통공( 33 )에 삽입되는 조절핀( 50 )과; 조립 시공시 상기 통공( 33 )과 상기 슬라이드공( 24 )에 삽입된 조절핀( 50 )이 상기 외부지지관의 슬라이드공( 24 )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이 조정을 위해 상기 외부지지관 나사산과 결합하는 조임너트( 40 )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강재 동바리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하단 멍에와 하부층 바닥사이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타설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어 거푸집 존치기간이 경과할 때 까지 상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재 동바리의 시공에 있어서는, 건물의 구조와 콘크리트 타설 두께등을 고려하여 동바리의 위치와 간격에 따른 수량를 충분히 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 작업중에 바이브레이터의 사용으로 진동이 발생하여, 멍에 하단부에서 동바리의 상부받침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멍에 하단부에 동바리를 설치하면서 상부받침판의 고정공에 못을 박아 멍에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였으며, 동바리가 좌굴방 지 되도록 소정높이에 수평연결재 및 가새( X-Bracing )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중에 진동으로 인한 조임너트가 풀리면서 조절핀이 이탈되는 우려와, 지반침하, 동바리의 시공상태 불량등의 사유로 콘크리트 상재하중이 수평부재에 전달되고 다시 멍에와 하부의 동바리에 전달되면서 상기 수평부재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동바리구조의 처짐및 좌굴파괴가 되는 우려로, 콘크리트 타설후에도 항시 동바리 및 기타부재등의 주변 점검이 필요하였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멍에에 상부 받침판을 고정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하므로 보조 작업자가 필요하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멍에에 못을 사용하여 동바리의 상부받침판을 고정해야 하는 문제로 사각으로 된 목재를 주로 사용하여야 했으며, 상기 이유에서와 같이 원형강재 멍에를 선택하지 못하였다.
또한, 강재 동바리에 나사산, 슬라이드공, 통공의 형성으로 구조상 하중강도에 약한점을 감안하여, 필요이상으로 지지관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였으며, 따라서, 강재 동바리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었고, 강재 동바리의 설치·해체시 망치를 사용해 무리한 충격을 가하게 되어 조임너트·조절핀의 변형, 통공의 확장, 파이프의 찌그러짐, 나사산의 망손등으로 해체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재사용이 불가해진 동바리의 추가구입이 불가피 하였다.
한편, 통상적인 강재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외부지지관 내측에 내부지지관이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기본적으로 유격이 있어야 하며, 동바리가 가설되어 있는 동안 콘크리트가 흘러내리거나 기타 이물질이 상기 내부지지관과 외부지지관 사이 또는 조임너트와 나사산 사이에 충진되어 해체 및 재사용시 불편함을 주었으며, 동바리를 수차례 반복 사용하다 보면, 내·외부지지관의 유격이 커지고, 관통공의 확장으로 수직지지내력이 약화되어 쉽게 전도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고( 層高 )가 대동소이한 아파트, 주상복합건물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멍에의 재질과 형태에 관계없이 동바리 작업이 가능하며, 보조작업자의 도움없이 손쉬운 설치·해체가 가능한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역 "ㄹ" 자형으로 좌우측으로 개방형성된 슬라이딩홈( 120, 120')을 갖고, 상부 상측 중앙부에 반원홈( 115 )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홈( 120, 120' ) 하단부 하기 하단틀( 140 )과 결합하여 흰지공( 190 )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에 장홈( 111, 111' )이 형성된 상단틀( 110 )과, 상기 상단틀( 110 ) 장홈( 111, 111' )과 대향하여 상측에 흰지공( 190 )을 형성하되, 소정간격과 소정각으로 하부를 향해 구비된 안착홈( 195 )을 갖고, 상기 상단틀( 110 )의 슬라이딩홈( 120, 120' )과 대향하여 상부에 소정깊이로 슬라이딩홈( 145, 145' )을 갖는 하단틀( 140 )과, 흰지( 135 )를 포함하는 조임편( 130, 130' )과, 상기 하단틀( 140 ) 하부에 회동홈( 155 )을 구비한 회동관( 150 )과, 상기 상단틀( 110 )과 하단틀( 140 )이 조립 형성된 흰지공( 190 )에 조임편( 130, 130' )이 삽설되고, 하단틀( 140 )에 형성된 결합공( 147 )을 통해 상단틀( 110 )과 결합나사( 160 )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상부받침판( 100 )과,
상단부에 개구부( 210 )를 갖고, 상부 측면부에 나사공( 215 )을 포함하며, 하단부에 볼트( 230 )를 포함하는 지지관( 200 )과, 상기 나사공( 215 )에 설치되는 조임너트( 220 )와,
보호캡( 300 )과,
잭( 400, Jack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잭( Jack )은 공압, 유압, 나사방식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잭( Jack )을 유압잭으로 제시하고자 하며, 본 발명에서의 권리를 유압잭으로만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기존 강재 동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 유압잭의 정면도로 a는 유압잭의 높이가 최저( Min )상태의 정면도, b는 유압잭의 높이가 최고( Max )상태의 정면도이다. 유압잭( 400 )은 릴리즈밸브( 440 )가 잠김상태에서 레버소켓( 420 )에 레버를 삽입하고, 레버를 상하단으로 반복작동시키면 몸체( 405 )로부터 램( 410 )이 상승하여 받침판( 417 )에 얹힌 물체가 부양하게 된다. 이때, 잭( 400 )으로 물체를 받치기 이전에 받침판( 417 )을 회동시키면 램( 410 )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에서 조정나사( 416 )의 길이만큼 램( 410 )으로부터 상승되므로 잭( 400 )의 높이를 더 높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이 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분리 사시도로 상부에 상부받침판( 100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받침판( 100 ) 하부에 지지관( 200 )과, 보호캡( 300 )을 구비하며, 하부에 잭( 400 )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역 "ㄹ" 자형으로 좌우측으로 개방형성된 슬라이딩홈( 120, 120')을 갖고, 상부 상측 중앙부에 반원홈( 115 )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홈( 120, 120' ) 하단부 하기 하단틀( 140 )과 결합하여 흰지공( 190 )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에 장홈( 111, 111' )이 형성된 상단틀( 110 )과, 상기 상단틀( 110 ) 장홈( 111, 111' )과 대향하여 상측에 흰지공( 190 )을 형성하되, 소정간격과 소정각으로 하부를 향해 구비된 안착홈( 195 )을 갖고, 상기 상단틀( 110 )의 슬라이딩홈( 120 120' )과 대향하여 상부에 소정깊이로 슬라이딩홈( 145, 145' )을 갖는 하단틀( 140 )과, 흰지( 135 )를 포함하는 조임편( 130, 130' )과, 상기 하단틀( 140 ) 하부에 회동홈( 155 )을 구비한 회동관( 150 )과, 상기 상단틀( 110 )과 하단틀( 140 )이 조립형성된 흰지공( 190 )에 조임편( 130, 130' )이 삽설되고, 하단틀( 140 )에 형성된 결합공( 147 )을 통해 상단틀( 110 )과 결합나사( 160 )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상부받침판( 100 )과,
상단부에 개구부( 210 )를 갖고, 상부 측면부에 나사공( 215 )을 포함하며, 하단부에 볼트( 230 )를 포함하는 지지관( 200 )과, 상기 나사공( 215 )에 설치되는 조임너트( 220 )와,
보호캡( 300 )과,
잭( 400, Jack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단틀의 결합공을 통해 결합되는 상단틀 하부의 나사공은 도면에서 미도시 되었다.
상기 상부받침판의 회동관( 150 )은 지지관( 200 )의 개구부( 210 )에 내설된 후, 상기 지지관( 200 )의 나사공( 215 )에 조임너트( 220 )가 결합되되, 회동홈( 155 ) 내측으로 더 들어가 결합되므로써 상부받침판( 100 )이 쉽게 회동되지만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지지관( 200 )과 유압잭( 400 )은, 하부에 볼트( 230 )가 형성된 지지관( 200 )을 유압잭의 램( 410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 415 )에 회동시켜, 회동정도에 따라 더 길게 동바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잭( 400 )의 램( 410 )에, 상기 지지관( 200 ) 하부 볼트( 230 )를 결합하는 높이 정도에 따라 동바리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동바리는 층고( 層高 )가 대동소이한 아파트, 주상복합건물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강재 동바리는 슬라이드공에 조절핀을 삽입하여, 일정 높이로 맞추고 조임너트를 회동시켜 멍에 하부에 설치하는 방식이었으며, 구조상으로 내부지지관과 외부지지관의 구분되고, 기타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방식이어서, 층고가 일정해도 일일이 조립하여 설치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동바리는, 층고가 잭의 몸체에서 부양되는 램의 길이에 포함되는 범위안에 있으면, 전술한 길이 연장방법과, 후술할 연결대의 연결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건축용 동바리를 설치하고자 하는 멍에와 하층의 바닥면의 높이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동바리의 램이 인출되지 않은 길이와, 램의 인출된 길이 내에 포함되어 있다면 별도의 조작없이 간단하게 설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보호캡( 300 )은 콘크리트 타설시 액체상태의 물과 혼합된 시멘트등으로 부터 건축용 동바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로 도면상에서는 유압잭( 400 )의 몸체( 405 )만을 커버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하부를 확장하여 레버소켓, 릴리즈 밸브등을 동시에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연결대 조립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건축용 동바리의 길이보다 층고가 더 높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지관( 200 )과 유압잭( 400 ) 사이에 연결대( 500 )가 설치된다. 연결대( 500 )는 상부에 암나사( 515 )를 포함하고 하부에 유압잭의 램에 삽설되도록 볼트( 530 )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 받침판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조임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받침판 정면도로, 하부 양측에 돌설된 흰지를 포함하는 조임편은 무게가 상단에 집중되고, 무게중심이 바깥쪽으로 치우친 곳에 흰지가 위치하므로, 도 7에서와 같이 조임편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상단틀( 110 )과 하단틀( 140 )이 결합하여 조임편( 130, 130')이 좌우로 쉽게 이송되도록 슬라이딩홈( 120,145, 120' ,145' )을 형성하고, 조임편의 흰지가 삽설되는 흰지공이 슬라이딩홈( 120,145, 120' ,145' ) 양측에 형성되되, 소 정간격과 소정각을 갖고 하부를 향한 안착홈( 195 )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건축용 동바리의 조임편 간격은 안착홈( 195 )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므로, 주로 사용되는 멍에의 두께와 종류를 고려하여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조임편( 130, 130' )이 벌어지는 간격은 상부 받침판의 중앙으로부터 같은 간격에 위치한 안착홈( 195 )에 흰지( 135 )가 안착되어야 동바리의 설치작업시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임편( 130, 130' )의 다른 안착홈으로 위치이동시 상기 조임편을 들어 올리면 흰지가 안착홈( 195 )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부 흰지공( 190 )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원하는 안착홈에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조임편( 130, 130' ) 내측으로는 나사산 모양의 다수개의 죔돌기( 131 )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세로부에는 원형멍에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죔돌기가 반원홈( 132 )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받침판에 사각멍에가 설치된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동바리의 상부받침판에 원형멍에가 설치된 정면도로, 사각멍에( 900 ), 원형멍에( 950 )등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목재, 강재등 재질과 관계없이 동바리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동바리는, 동바리 가설 작업시 우선, 잭( 400 )의 램( 410 )에 삽설된 지지대( 200 )의 볼트( 230 )를 회동시켜 적정길이로 맞추고, 상부받침판( 100 )을 멍에 하단에 맞춰 직립시킨뒤, 잭( 400 ) 을 부양시키면 벌어졌던 조임편( 130, 130' )이 멍에를 조이면서 부양되므로 멍에로부터 상부받침판이 이탈되지 않고, 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해체작업시 릴리즈 밸브( 440 )의 간단한 해체 동작으로 신속한 해체가 이루어진다.
또한, 멍에의 재질과 형태에 관계없이 동바리 작업이 가능하고, 보조작업자의 도움없이 손쉬운 설치·해체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미설명 부호 430은 펌프실린더, 450은 하부받침판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동바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층고가 잭의 몸체에서 부양되는 램의 길이에 포함되는 범위안에 있으면 별도의 조작없이 곧바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층고( 層高 )가 대동소이한 아파트, 주상복합건물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가 제공된다.
둘째, 멍에의 재질과 형태에 관계없이 동바리 작업이 가능하고, 보조작업자의 도움없이 손쉬운 설치·해체가 가능한 건축용 동바리가 제공된다.

Claims (1)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 하부에 설치되는 건축용 동바리에 있어서,
    역 "ㄹ" 자형으로 좌우측으로 개방형성된 슬라이딩홈( 120, 120' )을 갖고, 상부 상측 중앙부에 반원홈( 115 )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홈( 120, 120' ) 하단부 하기 하단틀( 140 )과 결합하여 흰지공( 190 )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에 장홈( 111, 111' )이 형성된 상단틀( 110 )과, 상기 상단틀( 110 ) 장홈( 111, 111' )과 대향하여 상측에 흰지공( 190 )을 형성하되, 소정간격과 소정각으로 하부를 향해 구비된 안착홈( 195 )을 갖고, 상기 상단틀( 110 )의 슬라이딩홈( 120, 120' )과 대향하여 상부에 소정깊이로 슬라이딩홈( 145, 145' )을 갖는 하단틀( 140 )과, 흰지( 135 )를 포함하는 조임편( 130, 130' )과, 상기 하단틀( 140 ) 하부에 회동홈( 155 )을 구비한 회동관( 150 )과, 상기 상단틀( 110 )과 하단틀( 140 )이 조립형성된 흰지공( 190 )에 조임편( 130, 130' )이 삽설되고, 하단틀( 140 )에 형성된 결합공( 147 )을 통해 상단틀( 110 )과 결합나사( 160 )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상부받침판( 100 )과,
    상단부에 개구부( 210 )를 갖고, 상부 측면부에 나사공( 215 )을 포함하며, 하단부에 볼트( 230 )를 포함하는 지지관( 200 )과, 상기 나사공( 215 )에 설치되는 조임너트( 220 )와,
    보호캡( 300 )과,
    잭( 400, Jack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KR1020070028998A 2007-03-22 2007-03-22 건축용 동바리 KR10076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98A KR100765090B1 (ko) 2007-03-22 2007-03-22 건축용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98A KR100765090B1 (ko) 2007-03-22 2007-03-22 건축용 동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743A true KR20070043743A (ko) 2007-04-25
KR100765090B1 KR100765090B1 (ko) 2007-10-09

Family

ID=3817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998A KR100765090B1 (ko) 2007-03-22 2007-03-22 건축용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02B1 (ko) * 2016-07-22 2017-02-10 김종호 폭 조절이 용이한 유헤드 어셈블리
WO2021243437A1 (en) * 2020-06-02 2021-12-09 Etienne Joyal Tremblay Adjustable top plate device for a jack post
CN114214950A (zh) * 2021-12-21 2022-03-22 武汉市市政工程机械化施工有限公司 一种应急式路桥支撑结构
CN115126216A (zh) * 2022-07-20 2022-09-30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现浇混凝土用铝模板稳定支撑结构及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70B1 (ko) 2007-12-07 2009-08-10 정병환 구조물지지용 서포트
KR101182777B1 (ko) 2012-07-02 2012-09-13 김신식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615738B1 (ko) * 2014-06-04 2016-04-26 김준형 건축용 조립식 파이프 서포트
KR101641576B1 (ko) 2015-10-30 2016-07-21 주식회사 진아스틸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KR101943513B1 (ko) 2017-01-17 2019-01-29 정태성 결합 강도 개선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KR102113595B1 (ko) * 2019-05-10 2020-05-21 윤창식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40U (ja) * 1991-09-20 1993-04-20 ホリー株式会社 可動ジヤツキ
KR200189924Y1 (ko) * 2000-02-28 2000-07-15 이명기 건축용 동바리 고정구조
KR200209566Y1 (ko) * 2000-07-20 2001-01-15 주식회사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02B1 (ko) * 2016-07-22 2017-02-10 김종호 폭 조절이 용이한 유헤드 어셈블리
WO2021243437A1 (en) * 2020-06-02 2021-12-09 Etienne Joyal Tremblay Adjustable top plate device for a jack post
CN114214950A (zh) * 2021-12-21 2022-03-22 武汉市市政工程机械化施工有限公司 一种应急式路桥支撑结构
CN115126216A (zh) * 2022-07-20 2022-09-30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现浇混凝土用铝模板稳定支撑结构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090B1 (ko) 200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090B1 (ko) 건축용 동바리
US5590863A (en) Support
US5232204A (en) Heavy duty house joist support kit
US20190003197A1 (en) Tie rod for protecting structures from wind and earthquake type stresses
US11905722B2 (en) Lowering system and support device, and ceiling formwork having such a lowering system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200384389Y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0412991Y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200391986Y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KR20200011063A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CN212866842U (zh) 一种框构式建筑脚手架
KR100723542B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JP4203856B2 (ja) 擁壁の構築方法並びに擁壁構造
KR20000018037A (ko) 현수 거푸집공법
KR102445486B1 (ko) 천장 슬래브 보의 타설을 위한 시스템 서포트
KR200146508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200433916Y1 (ko) 매립 지지콘의 커플링을 이용한 벽면 시공용 갱폼 낙하방지 구조
CN216142043U (zh) 一种基坑围护系统
CN219175899U (zh) 一种实现预制柱快速安装的柱脚定位装置
KR200253550Y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교각고핑의 유압식 받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