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777B1 -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777B1
KR101182777B1 KR1020120071811A KR20120071811A KR101182777B1 KR 101182777 B1 KR101182777 B1 KR 101182777B1 KR 1020120071811 A KR1020120071811 A KR 1020120071811A KR 20120071811 A KR20120071811 A KR 20120071811A KR 101182777 B1 KR101182777 B1 KR 101182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destal
column
support devic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식
Original Assignee
김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식 filed Critical 김신식
Priority to KR102012007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하부에서 직접 떠받치는 각파이프가 상부에 놓이는 받침대의 양측부에 각각 각파이프의 위치를 지주의 중심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판이 경첩에 의해 받침대 내측으로 수평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설치시 각파이프의 위치가 지주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어 각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험하고 곤란한 작업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상단 외측에 하나 이상이 연속 설치되는 연결지주와, 상기 연결지주의 상단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지주와, 상기 승강지주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지주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승강지주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된 받침대의 양측에 각각 이탈방지판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이탈방지판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놓여 거푸집을 떠받치는 각파이프의 위치를 승강지주의 중심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판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구속판은, 상기 이탈방지판의 외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의 외측면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회동축이 위치하는 경첩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내측으로 수평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supporter of form for concrete crossbeam}
본 발명은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하부에서 직접 떠받치는 각파이프가 상부에 놓이는 받침대의 양측부에 각각 각파이프의 위치를 지주의 중심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판이 경첩에 의해 받침대 내측으로 수평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설치시 각파이프의 위치가 지주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어 각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험하고 곤란한 작업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할 때 일시적으로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양생되도록 외부에서 견고하게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이다.
상기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이나 콘크리트의 응결 및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콘크리트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거푸집은 재질 구성에 따라 목제거푸집, 철제거푸집, 금속제거푸집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비용이 저렴하고 수급이 용이한 목제거푸집을 주로 사용하지만, 규모가 큰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는 지지력이 우수한 철제거푸집이나 금속제거푸집을 많이 사용한다.
여기서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피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설치 초기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그 외부에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들보용 거푸집은 들보 성형을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와 그 내부에 배근된 철근에 의해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그 하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가 최종적으로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S)에 의해 바닥에 안착되는 고정지주(F)의 상단 외측에 하나 이상이 연속 설치된 연결지주(B)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높이조절구(H)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되어 높이조절되는 승강지주(L)의 상단에 받침대(T)가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받침대(T)의 상부에 거푸집(D)을 직접 떠받치는 각파이프(P)가 하나 이상이 놓이게 된다.
즉, 지지장치(A)를 거푸집(D)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그 높이조절구(H)의 회전 조작을 통해 승강지주(L)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침대(T)의 상부에 놓인 하나 이상의 각파이프(P)가 거푸집(D)을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게 말착시킴으로써 거푸집(D)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각파이프(P)와 거푸집(D)의 사이에는 지지장치(A)의 지지력이 거푸집(D)의 하부 전체로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각목(W)을 괸 상태에서 지지장치(A)를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받침대(T)의 상부에 놓인 각파이프(P)의 위치를 구속시키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구조이다.
따라서 설치 초기에 각파이프(P)의 위치를 승강지주(L)의 중심에 맞추더라도 승강지주(L)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상기 각파이프(P)의 위치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T)의 수평 상태가 조금이라도 틀어진 경우에도 상기 각파이프(P)의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에 따라 각파이프(P)는 고정지주(F)와 승강지주(L)의 지지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즉, 받침대(T)가 상부에 두 개의 각파이프(P)를 놓은 있는 공간을 가진다고 할 때, 두 개의 각파이프(P)를 동시에 나란하게 놓은 경우 받침대(T)와의 간격이 작아 각파이프(P)의 위치는 승강지주(L)의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고정지주(F)와 승강지주(L)의 지지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하지만, 받침대(T)의 상부에 한 개의 각파이프(P)만이 놓인 경우 받침대(T)와의 간격이 커 각파이프(P)의 위치는 승강지주(L)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각파이프(P)는 승강지주(L)의 상단에서 받침대(T)를 지지 보강하는 보강편(N)의 지지력이 작용하는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고정지주(F)와 연결지주(B) 및 승강지주(L)의 지지력을 제대로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쐐기를 공구망치로 타격하여 각파이프(P)와 받침대(T)의 사이에 강제로 삽입함으로써 각파이프(P)의 위치를 승강지주(L)의 중심으로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받침대(T)의 높이가 지지장치(A)의 전체 길이인 4m~10m정도가 되므로 고공에서 상기와 같이 쐐기를 공구망치로 타격하는 강제 삽입하는 작업은 매우 위험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리고 콘크리트(C)와 거푸집(D)의 하중이 크게 작용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쐐기를 타격하여 각파이프(P)와 받침대(T)의 사이에 강제 삽입하는 작업은 매우 곤란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쐐기를 각파이프(P)와 받침대(T)의 사이에 강제 삽입하더라도 상기 쐐기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쐐기가 삽입되는 깊이도 일정하지 않으므로 각파이프(P)의 위치를 승강지주(L)의 중심으로 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상기와 같이 위험하고 곤란한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므로 설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면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받침대의 상부에 놓여 거푸집을 직접적으로 받치는 각파이프의 위치를 승강지주의 중심과 맞추는 조절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구조를 가진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상단 외측에 하나 이상이 분리 가능하게 연속 설치되는 연결지주와, 상기 연결지주의 상단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지주와, 상기 승강지주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지주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승강지주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된 받침판의 양측에 각각 이탈방지판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이탈방지판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놓여 거푸집을 떠받치는 각파이프의 위치를 승강지주의 중심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판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구속판은, 상기 이탈방지판의 외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의 외측면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회동축이 위치하는 경첩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내측으로 수평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판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판의 단부에는, 상기 구속판이 상기 각파이프의 위치를 구속할 때 상기 받침대의 내측면과 접하는 보강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설치시 각파이프의 위치를 지주의 중심에 맞추기 위한 위험하고 곤란한 작업이 수반되지 않음에 따라,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설치후 각파이프의 위치가 지주의 중심으로 구속됨에 따라, 바닥으로부터 지주를 통해 작용하는 지지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을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시 콘크리트가 내부에서 양생되는 들보용 거푸집을 바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가설 구조물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는, 설치시 받침대의 상부에 놓여 들보용 거푸집을 하부에서 떠받치는 각파이프의 위치를 거푸집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그 지주의 중심으로 구속시킴으로써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받침대에 각파이프를 구속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속판이 구비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설치시 구속판을 통해 각파이프의 위치를 지주의 중심으로 구속시킨 상태에서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여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각파이프의 위치 조절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고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주(10), 연결지주(20), 승강지주(30), 높이조절구(40), 받침대(50) 및 한 쌍의 구속판(6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지주(10)는 바닥으로부터 안정되게 수직으로 기립되는 것으로, 바닥에 의지한 상태에서 승강지주(30)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지주(30)의 상단에 설치된 받침대(50)와 상기 받침대(50)의 상부에 놓이는 각파이프(P)를 하부에서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지주(10)는 관 형태로 구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승강지주(3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즉, 사용시 고정지주(10)의 상단 내측으로 승강지주(30)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고, 운반 또는 보관시 고정지주(10)에서 승강지주(30)를 분리하여 운반 또는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주(10)의 하단에는 바닥을 안정적으로 의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11)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판(11)은 고정지주(10)의 외주면과 그 상부면에 설치된 보강편(12)에 의해 견고하게 수평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지주(20)는 상기 고정지주(10)의 상단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거푸집(D)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지주(20)는 지지장치(100)의 전체 높이가 거푸집(D)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게 연결지주(20)의 상단에 외삽되어 지지장치(100)의 전체 높이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지주(30)는 상기 연결지주(20)의 내측 상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연결지주(20)의 내측에서 상부로 자유롭게 승강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때 승강지주(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1)가 형성되는데, 이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높이조절구(40)와의 나사식 체결을 통해 승강지주(30)가 연결지주(20) 상에서 높이조절구(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승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40)는 상기 승강지주(30)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승강지주(30)를 승강시켜 지지장치(10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높이조절구(40)의 내주면에는 암사나가 형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수나사(31)가 외주면에 형성된 승강지주(30)와 나사식으로 체결되면서 연결지주(2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지주(30)를 승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높이조절구(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지주(20) 상에서 승강지주(30)가 승강되면서 지지장치(10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높이조절구(40)의 외측에는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조작핸들(4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승강지주(3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부를 통해 거푸집(D)을 떠받치는 각파이프(P)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받침대(50)는 각파이프(P)가 수평으로 놓이도록 승강지주(30)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51)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각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5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51)의 너비는 두 개의 각파이프(P)가 동시에 놓일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판(52)의 높이는 각파이프(P)의 높이보다는 작으면서 각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51)은 그 하면과 승강지주(30)의 외주면에 설치된 보강편(53)에 의해 견고하게 수평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속판(60)은 상기 받침대(50)의 이탈방지판(52)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받침대(50)의 상부에 하나의 각파이프(P)가 놓일 때 각파이프(P)의 위치를 승강지주(30)의 중심으로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구속판(60)은 이탈방지판(52)의 외측면에 설치된 경첩(61)과 일체로 구성되어 받침대(50)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판(52)의 좌우 간격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작용을 하여 각파이프(P)가 승강지주(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유동폭을 일정범위 내로 구속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첩(61)의 회동축(62)은 구속판(60)이 받침대(50)의 내측으로 향하여 수평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판(52)의 외측면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치작업을 위해 하나의 각파이프(P)를 받침대(50)의 상부에 올려놓고 각목(W)을 거푸집(D)의 하부에 둔 상태에서 높이조절구(40)를 통해 승강지주(30)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충격 등이 작용하더라도 각파이프(P)는 구속판(60)에 의해 상기 유동폭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와 달리 각파이프(P)의 위치를 바로잡기 위한 위험하고 곤란한 작업 없이도 바닥으로부터 고정지주(10)와 승강지주(30)를 통해 발휘되는 강한 지지력이 각파이프(P)를 통해 그대로 발휘되어 거푸집(D)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구속판(60)의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갖는 절곡판(70)이 더 설치되는데, 이는 구속판(60)의 단부에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여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절곡판(70)은 구속판(60)에 의해 각파이프(P)의 위치가 구속된 상태에서 각파이프(P)에 의해 구속판(60)으로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시켜 구속판(6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판(70)의 단부에는 보강판(80)이 더 설치되는데, 이는 구속판(60)이 각파이프(P)의 위치를 더욱 강한 지지력으로 구속시킬 수 있도록 구속판(60)을 보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보강판(80)은 상기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속판(60)이 받침대(50)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받침대(50)의 내측면과 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강판(80)은 받침대(50)의 내측면에 의지하여 강한 지지력을 발휘함에 따라 각파이프(P)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곡판(70)과 함께 구속판(6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각파이프(P)를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100)는, 각파이프(P)의 위치를 승강지주(30)의 중심으로 맞추는 조절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는 등의 많은 이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설치후 각파이프(P)의 위치가 승강지주(30)의 중심으로 구속되어 있으므로 거푸집(D)을 대한 지지력을 제대로 발휘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고정지주 11: 지지판
12: 보강편
20: 연결지주
30: 승강지주 31: 수나사
40: 높이조절구 41: 조작핸들
50: 받침대 51: 받침판
52: 이탈방지판 53: 보강편
60: 구속판 61: 경첩
62: 회동축
70: 절곡판
80: 보강판
100: 지지장치
D: 거푸집 C: 콘크리트
P: 각파이프 W: 각목

Claims (3)

  1. 고정지주(10)와, 상기 고정지주(10)의 상단 외측에 하나 이상이 분리 가능하게 연속 설치되는 연결지주(20)와, 상기 연결지주(20)의 상단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지주(30)와, 상기 승강지주(30)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지주(30)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구(40)와, 상기 승강지주(30)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된 받침판(51)의 양측에 각각 이탈방지판(5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받침대(5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의 이탈방지판(52)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대(50)의 상부에 놓여 거푸집(D)을 떠받치는 각파이프(P)의 위치를 승강지주(30)의 중심으로 구속시키는 구속판(60)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구속판(60)은,
    상기 이탈방지판(52)의 외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52)의 외측면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회동축(62)이 위치하는 경첩(61)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50)의 내측으로 수평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판(60)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판(7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판(70)의 단부에는,
    상기 구속판(60)이 상기 각파이프(P)의 위치를 구속할 때 상기 받침대(50)의 내측면과 접하는 보강판(8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20120071811A 2012-07-02 2012-07-02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18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811A KR101182777B1 (ko) 2012-07-02 2012-07-02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811A KR101182777B1 (ko) 2012-07-02 2012-07-02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777B1 true KR101182777B1 (ko) 2012-09-13

Family

ID=4711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811A KR101182777B1 (ko) 2012-07-02 2012-07-02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7191A (zh) * 2021-03-29 2021-07-13 泉州市中原盛辉地产代理有限公司 一种蜂巢芯安装的施工方法
CN114753619A (zh) * 2022-04-15 2022-07-15 广东博嘉拓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施工木模板体系的顶部支撑及其施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88Y1 (ko) 2005-04-09 2005-07-14 박순주 경첩식 받이판이 설치된 건축용 서포트
KR100765090B1 (ko) 2007-03-22 2007-10-0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건축용 동바리
JP2008190138A (ja) 2007-02-01 2008-08-21 Sanuki:Kk 床束の大引受け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88Y1 (ko) 2005-04-09 2005-07-14 박순주 경첩식 받이판이 설치된 건축용 서포트
JP2008190138A (ja) 2007-02-01 2008-08-21 Sanuki:Kk 床束の大引受け体
KR100765090B1 (ko) 2007-03-22 2007-10-0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건축용 동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7191A (zh) * 2021-03-29 2021-07-13 泉州市中原盛辉地产代理有限公司 一种蜂巢芯安装的施工方法
CN114753619A (zh) * 2022-04-15 2022-07-15 广东博嘉拓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施工木模板体系的顶部支撑及其施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51565B (zh) 一种带杯口型基础钢结构立柱找正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883385B1 (ko)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KR100765090B1 (ko) 건축용 동바리
CN204298825U (zh) 基坑浇筑溜管支撑调节装置
US9890545B1 (en) Erection system
CN104278843B (zh) 一种钢结构梁吊装对接的纠偏装置及使用方法
KR101182777B1 (ko) 콘크리트 들보용 거푸집의 지지장치
EP3121349B1 (en) Formwork structure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 slabs
CN110485707A (zh) 墙柱模板封堵调平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CN104499618A (zh) 一种外挂墙板底部调节组件
CN105317205A (zh) 一种电梯井的施工方法及所用装置
KR100767645B1 (ko)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CN204552141U (zh) 一种用于梁支柱置换施工的支撑结构
KR101732681B1 (ko) 교량 캔틸레버부의 슬래브타설용 거푸집
JP2013087500A (ja) パイプ支持金具
CN210289148U (zh) 一种用于建筑铝模板斜撑支撑杆铁管
CN106193591A (zh) 一种铝合金模板楼板支撑快速拆装机构
CN105569351A (zh) 一种钢结构钢柱的安装施工工艺
CN106567538A (zh) 一种卫生间混凝土翻边的定位模具
CN102155097B (zh) 混凝土墙体大型埋设件安装定位装置及其安装方法
CN107724672A (zh) 一种钢结构高层建筑现浇楼盖模板支撑结构
CN204663027U (zh) 用于网架安装的支撑装置
CN205713033U (zh) 管道内部操作平台
GB2533141A (en) Hydraulic lif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