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595B1 -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595B1
KR102113595B1 KR1020190055217A KR20190055217A KR102113595B1 KR 102113595 B1 KR102113595 B1 KR 102113595B1 KR 1020190055217 A KR1020190055217 A KR 1020190055217A KR 20190055217 A KR20190055217 A KR 20190055217A KR 102113595 B1 KR102113595 B1 KR 10211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ircular steel
reinforcing plate
coupled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식
Original Assignee
윤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식 filed Critical 윤창식
Priority to KR102019005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4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circular- or oval-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형강관 구조물은 원형강관(100); 원형강관(100)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원형강관(100)의 상면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절개부(110)에 보강플레이트(200)가 끼워진 후 절개부(110)를 따라 용접부(J)를 형성하여 원형강관(100)과 보강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원형강관(100)과 보강플레이트(200)가 상호 결합되되, 원형강관(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부(110)에 보강플레이트(200)가 기립구조로 삽입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이때 원형강관(100)은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벤딩되어 제작되고, 하향의 선행하중(P)이 재하되어 벤딩이 펴진 후 보강플레이트(2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STEEL PIPE STRUCTURE AND MANUFACT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관 구조물은 운반과 조립이 용이하고, 자중이 가볍기 때문에 건설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원형강관 구조물은 단면2차모멘트의 값이 단면의 어느 방향으로도 동일하기 때문에 단면의 강축과 약축이 없어 기초부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형강관 구조물이 길이에 따라 좌굴에 대한 저항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휨부재로서의 한계가 있어왔다.
때문에 원형강관 구조물은 단주의 형태를 갖는 압축부재, 기초부재로 주로 사용되고, 휨 저항부재로서는 사용이 재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원형강관 구조물에 보강부재를 결합하여 휨 강성이 우수한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원형강관 구조물은 원형강관(100); 상기 원형강관(100)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상기 원형강관(100)의 상면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10)에 상기 보강플레이트(200)가 끼워진 후 상기 절개부(110)를 따라 용접부(J)를 형성하여 상기 원형강관(100)과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다.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켐버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강관(100)의 상기 절개부(110)에 끼워진 이후, 하향의 선행하중이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에 재하되어 상기 원형강관(10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강관(100)은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벤딩되어 제작되고, 하향의 선행하중(P)이 재하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강관(100)은 받침장치(300)에 거치되어 상기 선행하중(P)이 재하되되, 상기 받침장치(300)는 받침부(310); 상기 받침부(3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강관(100)이 끼워지는 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20)는 중공구조의 원형 단면이고, 상측에 상기 원형강관(100)의 상기 절개부(110)가 노출되도록 트임부(32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320)의 측방에는 한 쌍의 볼트(330)가 체결되어 상기 원형강관(10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310)는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로서, 높이조절에 의해 상기 결합부(3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 구조물(A) 제작방법은 상기 원형강관(100)이 벤딩되도록 제작하는 원형강관제작단계;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상기 받침장치(300)에 벤딩된 상기 원형강관(100)을 결합하는 원형강관고정단계; 상기 원형강관(100)이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워 지도록 상기 받침장치(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원형강관(100)에 상기 선행하중(P)을 도입하는 선행하중 도입단계; 상기 원형강관(100)의 상기 절개부(110)에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를 삽입하는 보강플레이트 삽입단계; 상기 절개부(110)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0)가 결합되도록 용접하는 용접단계; 상기 받침장치(300)를 제거하여 상기 선행하중(P)을 제거하는 선행하중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용접단계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의 하면 양 단부를 용접하여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원형강관(100)의 내측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장치(300)의 상기 받침부(310)는 유압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형강관은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벤딩되어 제작된 후, 하향의 선행하중(P)이 재하된 상태에서 보강플레이트와 결합되기 때문에 휨 저항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보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좌굴저항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과 보강플페이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강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의 절개부에 보강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개부를 따라 용접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이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행하중도입단계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플레이트 삽입단계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접단계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과 보강플레이트가 결합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에 원형강관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에 원형강관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에 원형강관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의 높이가 조절되어 원형강관에 선행하중이 도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의한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표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형강관 구조물은 원형강관(100); 원형강관(100)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원형강관(100)의 상면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절개부(110)에 보강플레이트(200)가 끼워진 후 절개부(110)를 따라 용접부(J)를 형성하여 원형강관(100)과 보강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원형강관(100)과 보강플레이트(200)가 상호 결합되되, 원형강관(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부(110)에 보강플레이트(200)가 기립구조로 삽입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보강플레이트(200)는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켐버가 형성되어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강플레이트(200)는 원형강관(100)의 절개부(110)에 끼워진 이후, 하향의 선행하중을 받아 상면이 평평해진 이후 원형강관(100)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원형강관(100)은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벤딩되어 제작되고, 하향의 선행하중(P)이 재하되어 벤딩이 펴진 후 보강플레이트(2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플레이트(200)는 원형강관(100)에 기립구조로 결합되는데, 상면은 절개부(110)에 위치되어 원형강관(100)에 용접결합되고, 하면은 원형강관(100)의 하측부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도 5는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벤딩된 원형강관(100)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선행하중(P)이 재하되어 벤딩이 펴진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선행하중(P)을 재하한 상태에서 보강플레이트(200)를 결합하는 것은 보강플레이트(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유도하고, 절개부(110)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보강플레이트(200)와 원형강관(100) 결합후에 선행하중(P)을 제거하면 상향으로 벤딩되려는 힘이 보강플레이트(200)에 의해 구속되어 상향을 벤딩력이 원형강관(100)에 구속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속된 벤딩력은 원형강관(100)에 가해지는 하향의 벤딩하중에 저항하는 잉여 하중으로 사용된다.
원형강관(100)은 받침장치(300)에 거치되어 선행하중(P)이 재하되되, 받침장치(300)는 받침부(310); 받침부(3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원형강관(100)이 끼워지는 결합부(320);를 포함하고, 결합부(320)는 중공구조의 원형 단면이고, 상측에 원형강관(100)의 절개부(110)가 노출되도록 트임부(32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장치(300)는 도 10과 같은 구성과 구조로 형성되는데, 결합부(320)의 상부에 트임부(321)를 형성한 것은 받침장치(300)에 원형강관(100)이 결속된 이후에 원형강관(100)의 절개부(110)로 보강플레이트(200)를 용이하게 결합시기키 위해 형성한 것이다.
결합부(320)의 측방에는 한 쌍의 볼트(330)가 체결되어 원형강관(10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310)는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로서, 높이조절에 의해 결합부(3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받침장치(300)는 원형강관(100)에 선행하중(P)을 도입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4와 같이 베딩제작된 원형강관(100)을 받침장치(300)에 고정시키고, 받침부(3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형강관(100)에 형성된 벤딩을 펴고, 선행하중을 도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형강관 구조물(A) 제작방법은 원형강관(100)이 벤딩되도록 제작하는 원형강관제작단계;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받침장치(300)에 벤딩된 원형강관(100)을 결합하는 원형강관고정단계; 원형강관(100)이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워 지도록 받침장치(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형강관(100)에 선행하중(P)을 도입하는 선행하중 도입단계; 원형강관(100)의 절개부(110)에 보강플레이트(200)를 삽입하는 보강플레이트 삽입단계; 절개부(110)와 보강플레이트(200)가 결합되도록 용접하는 용접단계; 받침장치(300)를 제거하여 선행하중(P)을 제거하는 선행하중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용접단계에서, 보강플레이트(200)의 하면 양 단부를 추가로 용접하여 보강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원형강관(100)의 내측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받침장치(300)의 받침부(310)는 유압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 원형강관 구조물 J : 용접부
P : 선행하중 100 : 원형강관
110 : 절개부 200 : 보강플레이트
300 : 받침장치 310 : 받침부
320 : 결합부 321 : 트임부
330 : 볼트

Claims (9)

  1. 원형강관(100);
    상기 원형강관(100)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원형강관(100)의 상면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10)에 상기 보강플레이트(200)가 끼워진 후 상기 절개부(110)를 따라 용접부(J)를 형성하여 상기 원형강관(100)과 상기 보강플레이트(200)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원형강관(100)은
    상향으로 만곡지도록 벤딩되어 제작되고, 하향의 선행하중(P)이 재하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상기 원형강관(100)에 기립구조로 결합되되, 상면은 상기 절개부(110)에 위치되어 상기 원형강관(100)에 용접결합되고,
    하면은 상기 원형강관(100)의 하측부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원형강관(100)은 받침장치(300)에 거치되어 상기 선행하중(P)이 재하되되,
    상기 받침장치(300)는
    받침부(310);
    상기 받침부(3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원형강관(100)이 끼워지는 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20)는 중공구조의 원형 단면이고, 상측에 상기 원형강관(100)의 상기 절개부(110)가 노출되도록 트임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0)의 측방에는 한 쌍의 볼트(330)가 체결되어 상기 원형강관(100)을 고정시키며,
    상기 받침부(310)는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로서,
    높이조절에 의해 상기 결합부(3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관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원형강관 구조물(A) 제작방법으로서,
    상기 원형강관(100)이 벤딩되도록 제작하는 원형강관제작단계;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 상기 받침장치(300)에 벤딩된 상기 원형강관(100)을 결합하는 원형강관고정단계;
    상기 원형강관(100)이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워 지도록 상기 받침장치(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원형강관(100)에 상기 선행하중(P)을 도입하는 선행하중 도입단계;
    상기 원형강관(100)의 상기 절개부(110)에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를 삽입하는 보강플레이트 삽입단계;
    상기 절개부(110)와 상기 보강플레이트(200)가 결합되도록 용접하는 용접단계;
    상기 받침장치(300)를 제거하여 상기 선행하중(P)을 제거하는 선행하중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관 구조물 제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의 하면 양 단부를 용접하여 상기 보강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원형강관(100)의 내측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관 구조물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장치(300)의 상기 받침부(310)는 유압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관 구조물 제작방법.
KR1020190055217A 2019-05-10 2019-05-10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211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217A KR102113595B1 (ko) 2019-05-10 2019-05-10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217A KR102113595B1 (ko) 2019-05-10 2019-05-10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595B1 true KR102113595B1 (ko) 2020-05-21

Family

ID=7091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217A KR102113595B1 (ko) 2019-05-10 2019-05-10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626B1 (ko) 2020-06-25 2021-02-16 김동우 벤딩 보강 강관 구조물의 제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090B1 (ko) * 2007-03-22 2007-10-0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건축용 동바리
KR20110097660A (ko) * 2010-02-25 2011-08-31 임관빈 스프링클러 클램프
KR101141685B1 (ko) * 2011-12-09 2012-05-04 이경표 프리스트레스 강관 구조재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변단면 강관 거더
KR101198116B1 (ko) * 2012-03-12 2012-11-12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교량용 강재 거더
KR101889791B1 (ko) * 2017-09-29 2018-08-20 (주)백경종합건설 교량용 조립형 강관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강관거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090B1 (ko) * 2007-03-22 2007-10-0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건축용 동바리
KR20110097660A (ko) * 2010-02-25 2011-08-31 임관빈 스프링클러 클램프
KR101141685B1 (ko) * 2011-12-09 2012-05-04 이경표 프리스트레스 강관 구조재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변단면 강관 거더
KR101198116B1 (ko) * 2012-03-12 2012-11-12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교량용 강재 거더
KR101889791B1 (ko) * 2017-09-29 2018-08-20 (주)백경종합건설 교량용 조립형 강관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강관거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626B1 (ko) 2020-06-25 2021-02-16 김동우 벤딩 보강 강관 구조물의 제작 방법
KR20220000788A (ko) 2020-06-25 2022-01-04 김동우 벤딩 보강 강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331B2 (en) Tubular axle beam
KR100863974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101933989B1 (ko) 교각 지점부 강재 i빔 겹보 제작방법
KR10211992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113595B1 (ko) 원형강관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2358872B1 (ko)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US6935025B1 (en) Tower reinforcement apparatus and methods
KR20090027075A (ko) 빔, 이를 포함하는 무주 구조물, 무주 주차 구조물 및 빔의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제조방법
JPH02151577A (ja) 構造用ビーム及び車両フレーム・アセンブリ
CN212288134U (zh) 一种预制箱梁底腹板钢筋绑扎胎架
JP3143339U (ja) 足場補助材取付け金具
JP2016216905A (ja) 柱梁架構
KR20210151970A (ko) 브레이스재
JP2018145715A (ja) 足場用梁枠および仮設足場の開口部構造
JP3147148U (ja) 組立て足場用フレーム
US20220325523A1 (en) Column formwork improvements
JPH0624009U (ja) 落石防止柵のコーナー部構造
CN221589913U (zh) 牛腿节点结构
CN212201374U (zh) 一种提高钢结构安装精度的调节工具
KR102222018B1 (ko) 절곡 거더의 솟음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JP3125895U (ja) 島台の支持構造
JP2587379B2 (ja) 仮設支柱
JP3111725U (ja) ステージデッキ
JP6366213B1 (ja) 門型構造体
JP4652926B2 (ja) 建枠及び枠組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