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904B1 -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904B1
KR0140904B1 KR1019940036609A KR19940036609A KR0140904B1 KR 0140904 B1 KR0140904 B1 KR 0140904B1 KR 1019940036609 A KR1019940036609 A KR 1019940036609A KR 19940036609 A KR19940036609 A KR 19940036609A KR 0140904 B1 KR0140904 B1 KR 014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rods
elevator
rod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226A (ko
Inventor
서종해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이호년
주식회사의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이호년, 주식회사의성개발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4003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904B1/ko
Publication of KR96002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제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주는 엘리베니터 피트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을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편(11)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음부(12)가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봉(10)들과, 상기 연결편(11)들에 연결촉(21)들이 끼워져서 상기 수직봉들을 지지시켜 주는 수평봉(20)들과, 상기 연결촉(21)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30)과, 상기 수평봉과 가동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40)로 구성하되, 상기 가동봉(30)은 연결편(11)에 고정되는 외관(31)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으로 기둥이 되며 그 외축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32)과, 상기 내관의 가동길이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밸브(33)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 타설시 내부거푸집판넬을 지지하여 주면서도 제반작업 수행시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를 도시한 입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발판부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수직봉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수평봉을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가동봉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봉 11 : 연결편
12 : 이음부 13 : 연결구멍
14 : 고정핀 20 : 수평봉
21 : 연결촉 30 : 가동봉
31 : 외관 31a : 보강편
32 : 내관 32a : 삽입부
33 : 가동조절밸브 34 : 지지판
34a : 고정구멍 40 : 발판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제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주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시공할 때 안전사고 위험이 많지만, 특히 가장 많은 곳중의 하나가 엘리베이터 피트이다. 엘리베이터 피트는 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할 때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한 후에 엘리베이터 설치까지는 바닥에서 상층부까지 통공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한 번 실족으로 귀중한 생명을 잃게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서 수행되는 제반작업 뿐만 아니라 그 콘크리트벽체작업 등을 안정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는 비게는 제 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강관파이프들을 수직으로 세워 그 연결되는 부위마다 클림프(2)로 결속되는 수직봉(10)과, 상기 수직봉의 소정의 높이마다 수평으로 설치하되 각 양단부가 콘크리트벽체면고의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설치되며 그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도 역시 클림프(2)로 연결되는 수평봉(20)고, 상기 수평봉(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발판부(40)로 구성되어, 발판부의 상단에서 작업자들이 올라서서 제반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것은 첫째, 수평봉(20)들의 각 단부들이 콘크리트벽체(50)내면에 지지되지 못하고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를 갖지 못하고 수직봉이 모든 하중을 지탱해야하므로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출물에서는 그 구조가 매우 불안정할 뿐아니라 간격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발판을 설치못하여 작업자 및 자재들 골재들이 아래로 추락되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평봉(20)들의 각 단부들이 콘크리트벽체내면에 지지되지 못하는 이유는 수평봉의 외측부가 콘크리트벽체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지지구조부가 없으므로 외측으로 뻗어나갈수 없었다.
그러나 수직봉들을 콘크리트벽체(50)에 가깝도록 세워서 수평봉들의 양단부들이 콘크리트벽체에 맞닿게 할 수 있지만 수직봉들을 콘크리트벽체 가까이 설치할 수 없다. 왜냐하면 콘크리트벽체시공이 완료된후 엘리베이터 레일설치작업을 해야하는 데, 이때 엘리베이터 레일이 설치되는 위치가 콘크리트벽체쪽에 설치되므로 가설구조물로 설치된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를 철고하고 또 다시 엘리베이트 레일용 비계를 상층부까지 설치해야하므로 이중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직봉을 콘크리트벽체쪽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해야 하고 이에 수평봉도 콘크리트벽체로부터 간격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시공형장상, 수평봉의 양잔부들이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정확하게 맞도록 지지되는 것은 곤란하다. 이는 현장마다 엘리베이터 실의 넓이가 틀릴 뿐만 아니라 각 현장마다 엘리베이터의 치수에 맞게 수평봉을 절단 용접하여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둘째, 각 부재들이 연결되는 부위마다 클램프로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 및 철거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클램프는 각 부재의 연결부위에 즉 수직봉에는 수직고리를 수평봉에는 수평고리를 각가 끼워서 부재들이 탈리되지 않도록 각 고리의 입구부를 볼트와 너트로 나사돌림하여 조여주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도록하여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주면서도 안전한 구조를 가지도록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주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를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핀(11)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음부(12)가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봉(10)들과, 상기 연결핀(11)들에 연결촉(21)들이 끼워져서 상기 수직봉들을 지지시켜 주는 수평봉(20)들과, 상기 연결촉(21)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30)과, 상기 수평봉과 가동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40)로 구성하되, 상기 가동봉(30)은 연결핀(11)에 고정되는 외관(31)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으로 가동이 되며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50)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32)과, 상기 내관의 가동길이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밸브(33)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50) 타설시 내부거푸집판넬을 지지하여 주면서도 제반작업 수행시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줌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동봉(30)들이 외측으로 가동되어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50) 내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이유는 수직봉(1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하중을 가동봉(30)을 통하여 수평하중으로 변환시켜 콘크리트벽체에 골고루 분산 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며, 수직봉(10)의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를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핀(11)들이 형성되는 이유는 수평봉(20)과 가동봉(30)의 연결촉(21)과 결합하도록하여 조립분해가 용이하도록하기 위함이며, 또한 수직봉(10)의 상부에 이음부(12)각 일체로 부착되는 이유는 연결되는 수직봉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 2도 및 제 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설치하도록하되 먼저 수직봉(10)들을 바닥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상기 수직봉의 연결핀(11)들에 수평봉(20)들의 수평으로 연결하여 수직봉(10)과 수직봉(10)을 상호 지지하도록 한 후,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30)들을 연결한다. 이때 가동봉(30)의 일측은 연결핀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그 외측연장부는 콘크리트벽체(50) 내면부에 견고히 밀착되도록하여 수평하중을 콘크리트벽체(5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봉(20)과 가동봉(30)의 상부에 발판부(40)를 설치하요 그 위에서 작업자들이 거푸집 설치작업등 제반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면서도 낙하물 추락방지를 하며, 또 엘리베이터 콘크리트벽체시공과 함께 연속적으로 상부로 설치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봉(10)은 제 2도 및 제 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금속재로 제작되는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였으며, 그 상부에는 연결되는 수직봉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연결되는 수직봉의 하부에 끼워지도록 직경이 보다 작은 이음부(12)가 일체로 부착되었다. 한편, 제 4도에서 수직봉(10)은 하부와 상부의 이음부(12)에 연결구멍(13)이 뚫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봉(10)의 하부를 이음부(12)에 끼우고 상호 연결구멍(13)을 일치시키고 고정핀(14)을 끼우면 연결구조가 더욱 견고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처럼 수직봉의 연결부위가 견고할 필요가 있는 데 이는 본 발명이 고층건축물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여러개의 수직봉이 상부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므로 비계의 하부는 수직하중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수직봉(10)은 제 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을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핀(11)들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연결촉(21)과 결합항 수평봉(20)과 가동봉(3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연결핀(11)이 여러개로 한 조를 이룰 수 있으나, 제 2도 내지 제 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 발며에서는 연결핀(11)이 90도 방향으로 4개씩 한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도시해 보여준다. 한편, 연결핀(11)은 가운데 뚫린 구멍이 상광하협하게 뚫렸는데 이는 연결촉이 상부에서 하부로 밀착하게 끼워지도록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핀(11)들은 수직봉(10)의 둘레를 따라 각각 일체로 용접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평봉(20)은 수직봉과 동일한 금속파이프로 제작되며 제 2도, 제 3도 및 제 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수직봉과 연결되는 부분마다 하부로 향하고 끝이 뾰족한 연결촉(21)이 용접되어 있으므로 수직봉의 연결핀(11)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연결되는 수평봉(20)은 수직봉(10)들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수직봉들을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동봉(30)은 제 2도, 제 3도 및 제 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일측이 연결핀(11)에 고정되는 외관(31)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으로 가동이 되고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50)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32)과, 상기 내관의 가동길이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밸브(3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관(31)은 제 2도, 제 3도 및 제 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그 외측부의 하부에 일측이 부착되고 그 타측은 수직봉(10)에 지지되는 보강핀(31a)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이 일측은 수직봉(10)에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구조부가 없는 캔틸레버구조가 되어 구조적으로 보강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관(31)의 타측하부에 일측이 부착되고 그 타측은 수직봉(10)에 지지되는 보강핀(31a)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내관(32)은 제 2도, 제 3도 및 제 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외관에 끼워지는 삽입부(32a)의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서 내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한 가동조절밸브(33)와 나사결합되어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동조절밸브를 회전시켜 내관(32)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50) 내면부에 밀착지지시킬 수 있다. 즉, 내관의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어 수직봉(1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하중을 가동봉(30)을 통하여 수평하중으로 변환시켜 벽체에 골고루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동봉(30)은 제 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연장부에 다수개의 고정구멍(34a)들이 뚫리는 지지판(34)이 부착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벽체내면부와 접지면적을 넓게하여 어느 일부분에 집중하중을 방지하고 하중이 콘크리트벽체(50)에 골고루 전달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지판(34)에 고정구멍(34a)들이 뚫리는 것은 가동봉(30)이 설치 또는 철거시에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발판부(40)는 수평봉(20)과 가동봉(30)의 상부에 설치되며, 특히, 콘크리트벽체(50)와 발판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가동봉(30)의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에 지지되므로 발판부(40)르 콘크리트벽체에 밀착되게 설치하므로 작업자나 기타부재 골재들이 아래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발판부(40)가 수평봉(20)과 가동봉(30)으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수평봉(20)과 가동봉(30)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조립식 유공발판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예시해 보여준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수평하중으로 지지하여 주는 구조부가 없어서 전체적인 구조물이 불안정하였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수평봉의 외측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자유로이 가동이 되며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는 가동봉이 추가로 구성되므로 수직봉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하중을 가동봉을 통하여 수평하중으로 변환시켜 콘크리트벽체에 골고루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물을 유지시켜 주는 자용효과를 가지며, 또한 수직봉의 상부에 이음부가 일체로 부착되어 수직봉의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수직봉의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을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핀들에 수평봉과 가동봉의 연결촉들이 끼워지므로 수평봉과 가동봉의 연결작업이 용이하여 전체적인 설치 및 철거작업시간을 단축하여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동봉의 상부에 발판부가 콘크리트벽체에까지 밀착되게 설치되므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은 물론 기타 물체들이 아래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는 가동봉을 수평봉에 추가로 구성하므로 수평하중을 콘크리트벽체에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물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각 부재들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므로 현장에서 설치 및 철거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높이마다 둘레를 따라 가운데 구멍이 수직하게 뚫린 연결핀(11)들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이음부(12)가 일체로 부착되는 수직봉(10)들과, 상기 연결핀(11)들에 연결촉(21)들이 끼워져서 상기 수직봉들을 지지시켜 주는 수평봉(20)들과, 상기 연결촉(21)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동봉(30)과, 상기 수평봉과 가동봉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40)로 구성하되, 상기 가동봉(30)은 연결핀(11)에 고정되는 외관(31)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며 수평으로 가동이 되며 그 외측연장부가 콘크리트벽체 내면부에 지지되는 내관(32)과, 상기 내관의 가동길이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밸브(33)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 타설시 내부거푸집 패널을 지지하여 주면서도 제반작업 수행시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10)은 하부와 상부의 이음부(12)에 각각 연결구멍(13)이 뚫려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31)은 그 외측부의 하부에 일측이 부착되고 그 타측은 수직봉(10)에 지지되는 보강핀(31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2)은 외관에 끼워지는 삽입부(32a)의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서 내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한 가동조절밸브(33)와 나사결합되어 가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봉(30)의 연장부에 다수개의 고정구멍(34a)이 형성되는 지지판(34)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1019940036609A 1994-12-24 1994-12-24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014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609A KR0140904B1 (ko) 1994-12-24 1994-12-24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609A KR0140904B1 (ko) 1994-12-24 1994-12-24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226A KR960022226A (ko) 1996-07-18
KR0140904B1 true KR0140904B1 (ko) 1999-02-18

Family

ID=1940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609A KR0140904B1 (ko) 1994-12-24 1994-12-24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9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36B1 (ko) *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101991397B1 (ko) * 2018-11-15 2019-06-20 주식회사 삼신 보일러 노내 비계용 가설 작업대
WO2021209931A1 (en) * 2020-04-15 2021-10-21 Wls Intellectual Property Limited Lift shaft scaffolding and related safety rail installation
KR20220074010A (ko) * 2020-11-27 2022-06-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원통형 설비 내벽에 근접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착탈식 거치대가 구비된 탈황설비용 비계 장치
KR20230045374A (ko) 2021-09-28 2023-04-04 서보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및 조립식 데크 유닛
KR102585356B1 (ko) 2023-01-31 2023-10-06 주식회사 대산씨에스에이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2659597B1 (ko) * 2023-07-18 2024-04-22 주식회사 충력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비계의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1Y1 (ko) * 2007-07-03 2010-06-23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101589079B1 (ko) * 2015-07-15 2016-01-28 케이블텍 주식회사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작업대
KR102291939B1 (ko) * 2021-01-25 2021-09-28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방호 선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36B1 (ko) * 2002-08-26 2005-05-12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101991397B1 (ko) * 2018-11-15 2019-06-20 주식회사 삼신 보일러 노내 비계용 가설 작업대
WO2021209931A1 (en) * 2020-04-15 2021-10-21 Wls Intellectual Property Limited Lift shaft scaffolding and related safety rail installation
KR20220074010A (ko) * 2020-11-27 2022-06-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원통형 설비 내벽에 근접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착탈식 거치대가 구비된 탈황설비용 비계 장치
KR20230045374A (ko) 2021-09-28 2023-04-04 서보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및 조립식 데크 유닛
KR102585356B1 (ko) 2023-01-31 2023-10-06 주식회사 대산씨에스에이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2659597B1 (ko) * 2023-07-18 2024-04-22 주식회사 충력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비계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226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851A (en) Stackable support colum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CN111663457A (zh) 拼装模块、模块化施工平台及方法、桥梁墩台施工方法
JPS6348753Y2 (ko)
CN215253499U (zh) 脚手架装置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JPS61290164A (ja) 梁及びスラブの支持方法及び装置
CN214658655U (zh) 一种可调节的悬挑式脚手架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CN111622347A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十字型节点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JPH0536042Y2 (ko)
KR200294830Y1 (ko)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CN212926974U (zh) 一种外挂架结构
KR200175311Y1 (ko) 고하중용 비계
KR20000018037A (ko) 현수 거푸집공법
CN212405472U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十字型节点连接结构
CN220226237U (zh) 一种花篮式悬挑工字钢支撑体系
CN111980173B (zh) 一种模块装配式建筑梁柱节点连接结构
CN218893957U (zh) 一种钢梁对接临时支撑固定装置
CN220133667U (zh) 一种一体通用围挡基座
KR102362063B1 (ko)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CN218292736U (zh) 一种花篮拉杆式内悬挑二次结构操作平台
KR19980012036U (ko) 철골구조물의 안전로프걸이
RU2199638C1 (ru) Комплект элементов для инвентарных подмостей ручной сборки
JPH01157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