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181Y1 -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181Y1
KR200449181Y1 KR2020070016082U KR20070016082U KR200449181Y1 KR 200449181 Y1 KR200449181 Y1 KR 200449181Y1 KR 2020070016082 U KR2020070016082 U KR 2020070016082U KR 20070016082 U KR20070016082 U KR 20070016082U KR 200449181 Y1 KR200449181 Y1 KR 200449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vator pit
pit
coupl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248U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791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918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202007001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18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기 결합부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형틀;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아치형 피트의 상단부에 형틀을 결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측방으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를 유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 피트, 형틀, 철근, 결합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Low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아치형 피트 12: 플랜지
14: 결합부 14a: 홀
14b: 결합공 14c: 관통홈
20: 리브 30: 형틀
40: 결합부재 42: 홀
44: 결합공 46: 관통홈
50: 판재 52: 절곡부
54: 연장단부 60: 스터드볼트
70: 핀 72: 고정구
100: 철근 B: 볼트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상단부에 형틀을 결합하여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를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이 제공되며,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최하층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로 더 내려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각 층의 하중들이 엘리베이터 벽체를 통해서 하부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최하부는 상부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초 구조물이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갖는 판재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는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변화하는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높이와 크기를 변화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아울러 콘크리트층 내에 완전한 결합이 가능케 하기 위한 수단과 결합구조가 제공되지 않아 설치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는 다양한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상단부에 형틀을 결합하여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를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기 결합부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형틀;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판재 형태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형틀;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 기 결합부재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부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하단부가 절곡 형성된 다수개의 판재가 상호 맞대음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분할형 형틀; 상기 분할형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판재의 절곡부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판재의 상하단부 절곡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철근이 관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장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분할형 형틀의 판재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분할형 형틀의 판재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형틀의 외측 측방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할형 형틀의 외측 측방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 강부재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치형 피트의 외측 측방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형틀은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추후에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분할형 형틀은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추후에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아치형 피트(10) 상방으로 형틀(30)이 결합되고, 외측 측방으로 철근(100)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아치형 피트(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14)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4)의 중앙 외측으로는 결합공(14b)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4b)을 통해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100)이 관통연결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은 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며, 이 절곡부가 상기 결합공(14b)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트(10)는 철근(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철근(100)의 절곡부를 따라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피트(10)의 설치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치형 피트(10) 외주연에는 리브(20)를 설치하여 아치형 피트(10)를 보강하고 상부 벽체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리브(20)는 바닥면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아치형 피트(1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즉, 아치형 피트(10)가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 피트(10)는 제작, 운반 설치가 편리하도록 하고 다수개로 분할하되, 경계면에는 접합용 플랜지(12)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2)에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볼트(B)나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분할된 아치형 피트(10)를 하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형틀(30)은 도 2와 같이, 상기 결합부(14)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콘크리트층이 상기 결합부(14) 상방으로 유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14)의 중앙 내측에 위치되어 볼트(B)로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4)와 상기 형틀(30)이 볼트(B)로 체결되기 위해서 상기 형틀(30)과 상기 결합부(14)에는 볼트(B)가 관통되기 위한 홀(1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틀(30)이 상기 결합부(14) 상부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하단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형틀(30)은 도 3과 같이, 상기 결합부(14)와 핀(70: 도 6 참조)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형틀(30)과 상기 결합부(14)에는 핀(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70)과 대응되는 관통홈(14c)이 형성되며, 상기 핀(70)의 단부에는 상기 핀(70)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핀(70)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고정구(72: 도 6 참조)가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형틀(30)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형틀(30)의 결합으로 인해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콘크리트층 타설 후 경화되면, 콘크리트층 에 의해 자연스럽게 지지되어 저항력과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치형 피트(10)와 상기 형틀(30)의 외측 측방으로 다수개의 보강부재(미도시)가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미도시)가 결합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상기 아치형 피트(10) 상방으로 결합부재(40)가 결합되고, 상 기 결합부재(40) 상방으로 형틀(30)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40) 외측 측방으로 철근(100)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결합부재(40)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아치형 피트(10)의 결합부(14)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14)의 중앙에서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40)는 결합부(14)와 볼트(B) 또는 용접으로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결합부(14)가 상호 볼트(B)로 체결되기 위해서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결합부(14)에는 볼트(B)가 관통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40)의 중앙 내측에는 상기 형틀(30)이 결합되어 콘크리트층(1)이 결합부재(40)의 상방으로 유입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40)의 중앙 외측에는 콘크리트층(1)에 배치되는 철근(100)과 관통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형틀(30)의 결합은 도 3a와 같이, 볼트(B)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B)로 체결시에는 볼트(B)가 관통되기 위한 홀(42: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40)의 중앙 외측에는 상기 철근(100)이 연결되기 위한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44)을 통해 콘크리트층(1)에 배치되는 철근(100)과 관통연결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은 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며, 이 절곡부가 상기 결합공(44)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40)는 철근(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철근(100)의 절곡부를 따라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부재(40)와 함께 결합되는 상기 피트(10)의 설치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치형 피트(10)와 상기 형틀(30)의 외측 측방으로 다수개의 보강부재(미도시)가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미도시)가 결합되어 콘크리트층(1) 내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틀(30)이 상기 아치형 피트(10) 상단에 결합고정되어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매립형 형틀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콘크리트 경화시 추후에 제거가 가능한 거푸집 형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도 6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상기 아치형 피트(10) 상방으로 결합부재(40)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40) 상방으로 형틀(30)이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40) 외측 측방으로 철근(100)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와 유사한 형태이나, 상기 결합부재(40) 상측에 위치되는 형틀(30) 및 상기 결합부재(40) 하측에 위치되는 결합부(14)의 결합이 볼트가 아닌, 핀(70)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서로 다른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결합부(14) 및 상기 결합부재(40)와 상기 형틀(30)에는 각각 핀(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70)과 대응되는 관통홈(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핀(70)의 단부에는 끼움홈(70a)이 형성되어 상기 핀(70)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핀(70)과 직각으로 교차되어 상기 끼움홈(70a)으 로 끼워지는 고정구(7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형틀(30)과 상기 결합부재(40)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상기 아치형 피트(10) 상방으로 상하단부가 절곡된 다수개의 판재(50)가 서로 맞대어 조립된 분할형 형틀이 결합되고, 상기 판재(50)의 절곡부(52)에는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100)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분할형 형틀은 상하단부가 절곡 형성된 다수의 판재(50)가 상호 맞대음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치형 피트(10)의 결합부(14)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14)의 상단부와 볼트(B) 또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도 6과 같이 핀(70)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판재(50)는 그 단면이 'I형, ㄷ형,
Figure 112007070955018-utm00001
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치형 피트(10)와 상기 분할형 형틀의 외측 측방으로 별도의 보강부재(미도시) 또는 스터드볼트(60)를 결합시켜 상기 아치형 피트(10)의 결합부(14)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 상기 분할형 형틀과 일체로 경화되면, 콘크리트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의 지지강도,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철근(100)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분할형 형틀의 판재(50)의 절곡부(5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부(14)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연장단부(54)를 통해 상기 철근(100)이 관통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장단부(54)에는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결합공(미도시)을 통해 철근(100)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은 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며, 이 절곡부가 상기 결합공(미도시)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판재(50)는 철근(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철근(100)의 절곡부를 따라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형틀과 함께 결합되는 상기 피트(10)의 설치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할형 형틀의 판재(50)가 상호 맞대음 조립될 때, 볼트(B) 또는 용접 또는 핀(70)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형 형틀은 상기 아치형 피트(10)와 결합하여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상기 분할형 형틀만 제거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아치형 피트의 상단부에 형틀을 결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측방으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또한 아치형 피트와 형틀의 측방으로 보강부재 또는 스터드볼트를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층과 일체로 경화되어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아치형 피트의 상단부에 형틀을 결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측방으로 콘크리트층이 타설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를 유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가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아치형 피트와 형틀의 측방으로 보강부재 또는 스터드볼트를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층과 일체로 경화되어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기 결합부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형틀;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5.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판재 형태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형틀;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형틀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1.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가 연장형성되는 아치형 피트;
    상하단부가 절곡 형성된 다수개의 판재가 상호 맞대음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상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분할형 형틀;
    상기 분할형 형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판재의 절곡부에 관통연결되는 철근;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 외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상하단부 절곡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철근이 관통연 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철근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분할형 형틀의 판재 결합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결합부와 상기 분할형 형틀의 판재 결합은 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외측 측방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돌출 형성되거 나 또는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형틀의 외측 측방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8. 제 1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피트의 외측 측방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1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추후에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형틀은 콘크리트층에 매립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층 경화시 추후에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2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철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2020070016082U 2007-07-03 2007-10-02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200449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082U KR200449181Y1 (ko) 2007-07-03 2007-10-02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920 2007-07-03
KR2020070016082U KR200449181Y1 (ko) 2007-07-03 2007-10-02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48U KR20090000248U (ko) 2009-01-08
KR200449181Y1 true KR200449181Y1 (ko) 2010-06-23

Family

ID=4127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082U KR200449181Y1 (ko) 2007-07-03 2007-10-02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86A (ko) * 2015-07-03 2017-01-11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6B1 (ko) * 2008-01-11 2010-09-01 엄기형 리브형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26A (ko) * 1994-12-24 1996-07-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JPH0941666A (ja) * 1995-08-02 1997-02-10 Sato Kogyo Co Ltd 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20040019148A (ko) * 2002-08-26 2004-03-05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070084171A (ko) * 2005-05-31 2007-08-24 히자키 켄세츠 가부시키가이샤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26A (ko) * 1994-12-24 1996-07-18 최훈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JPH0941666A (ja) * 1995-08-02 1997-02-10 Sato Kogyo Co Ltd 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20040019148A (ko) * 2002-08-26 2004-03-05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070084171A (ko) * 2005-05-31 2007-08-24 히자키 켄세츠 가부시키가이샤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86A (ko) * 2015-07-03 2017-01-11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KR101705264B1 (ko) * 2015-07-03 2017-02-09 우광티엔씨(주)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48U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086222B1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1637451B1 (ko) 접합부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의 접합방법
EP1966445A1 (en) Column shoe
KR200449181Y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20160079458A (ko) 복합 교각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1730569B1 (ko) 하이브리드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2013501169A (ja) L字形薄板部材からなる補強部を備える鉄筋コンクリート構成材
KR20140110491A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736594B1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KR20090043745A (ko)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100246110B1 (ko)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JP697890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100664965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080649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79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09

Effective date: 201704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