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171A -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171A
KR20070084171A KR1020077010677A KR20077010677A KR20070084171A KR 20070084171 A KR20070084171 A KR 20070084171A KR 1020077010677 A KR1020077010677 A KR 1020077010677A KR 20077010677 A KR20077010677 A KR 20077010677A KR 20070084171 A KR20070084171 A KR 2007008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binding
heat insulating
insul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치 히자키
유키히로 하마키
도시노리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히자키 켄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자키 켄세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자키 켄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축용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로서, 패널 본체(1)와, 그 상면에 연결되는 결속바(20)로 이루어지며, 패널 본체(1)는 그 하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어셈블리 타이(40)용 삽입 구멍(2)이 마련되고, 또한 그 타설 콘크리트에 접하는 측의 면에는, 삽입 구멍(2)을 덮고 부숴지기 쉬운 얇은 벽(4)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얇은 벽(4)의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제1 보강재(6)가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병설되며, 결속바(20)에는, 얇은 벽(4)을 압박 파괴하여 어셈블리 타이(40)를 끼워 넣어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 구멍(24)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건축용 거푸집의 설치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또한 단열성이 높은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HEAT INSULATING PANEL CONCURRENTLY SERVED IN FORM AND FORM FO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구체(軀體)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구체를 성형하기 위한 건축용 거푸집의 거푸집 패널로서, 지금까지의 합판제 콘크리트 패널(콘파네) 대신에, 합성 수지제의 경질(硬質) 단열재로 이루어진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체의 구축 후에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그 콘크리트 구체로부터 떼어 내지 않고, 그대로 건물의 단열벽으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은 이미 공지(특허 문헌 1 참조)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6396호 공보
발명의 개시
그런데, 상기 종래의 건축용 거푸집에서는,
콘크리트의 타설(打設) 공간을 사이에 두고 외측 및 내측의 벽 거푸집을 구축하도록 복수장의 단열 패널을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 설치할 때에, 한단마다 내ㆍ외측의 단열 패널끼리를 어셈블리 타이(assembly ties)에 의해 결속하지 않으면, 다음 단의 단열 패널의 설치를 행할 수 없고, 따라서 단열 패널을 쌓아 올리는 것과 어셈블리 타이에 의해 단열 패널을 결속하는 것을 각 단마다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열 패널의 설치 방법으로는,
(1) 내ㆍ외측의 거푸집 단열 패널의 설치 작업을, 설치되는 내ㆍ외측의 단열 패널의 양측에 있는 2명의 작업원에 의해 행하거나, 혹은 1명의 작업원이 설치 중인 내ㆍ외측 단열 패널의 양측을 교대로 이동하면서 설치 작업을 행하여야 하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비능률적이다.
(2) 설치된 단열 패널의 내면,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측의 면에는, 어셈블리 타이를 끼워 넣어 연결한 후의 공극이나, 어셈블리 타이를 끼워 넣어 연결하지 않는 공극이 남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이들 공극에 시멘트풀(cement paste)이 들어가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의 단열 성능이 저하한다.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단열 패널을 적재한 후에, 그곳에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를 통합 연결함으로써, 내ㆍ외측의 단열 패널의 편적(片積)을 선행(先行)할 수 있게 하고, 단열 패널의 설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열 패널의 삽입 구멍 안으로 콘크리트의 시멘트풀이 들어가는 것을 크게 줄여서, 단열 패널의 단열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신규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능률적으로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상기 단열 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건축용 거푸집을 구축하도록, 설치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 설치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로서, 경질의 단열재에 의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널 본체와, 이 패널 본체의 상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 본체는 그 하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용 삽입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패널 본체의 타설 콘크리트에 접하는 측의 면에는, 상기 삽입 구멍의 삽입구를 덮고 부숴지기 쉬운 얇은 벽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얇은 벽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복수 라인의 제1 보강재가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병설되며, 또한 상기 결속바에는, 상기 얇은 벽을 압박 파괴하여 어셈블리 타이의 결속단을 선택적으로 끼워 넣어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 구멍이 줄지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이 제안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에 덧붙여, 상기 복수의 제1 보강재 사이에는 복수의 제2 보강재가 상기 제1 보강재와 평행하게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이 제안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에 덧붙여, 상기 패널 본체 중 타설 콘크리트와 접하지 않는 외면에는, 상기 어셈블리 타이용 삽입 구멍을 지시하기 위한 복수의 다른 제1 보강재가 상기 복수의 제1 보강재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이 제안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건축용 거푸집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갖도록 대향 설치되는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을 포함하고, 이들 내ㆍ외측의 거푸집은 모두 설치면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로 이루어지며,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 중 어느 한쪽의 거푸집(외측 거푸집 혹은 내측 거푸집)은, 이들 중 다른 한쪽 거푸집(내측 거푸집 혹은 외측 거푸집)에 선행하여 구축되는 동시에 각 단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의 콘크리트 타설측의 면에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 중 한쪽 결속단이 통합 연결되고, 또한 다른 한쪽의 거푸집은, 각 단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 중 다른 한쪽의 결속단에 연결하면서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이 제안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제3 특징에 의하면, 거푸집의 설치성이 대폭 향상되고, 또한 단열성이 높은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설치성이 좋고, 또한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의 설치 도 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제1 실시예).
도 2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내측(콘크리트 타설측)에서 본 사시도(제1 실시예).
도 3은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외측(콘크리트 타설측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제1 실시예).
도 4는 도 2의 화살표 4의 방향에서 본 도면(제1 실시예).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제1 실시예).
도 6은 도 5의 화살표 6의 방향에서 본 가상원을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제1 실시예).
도 7은 단열 패널에 결속바를 끼워 넣어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6과 동일한 단면도(제1 실시예).
도 8은 도 7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제1 실시예).
도 9는 도 5의 가상원을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제1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단면도(제1 실시예).
도 11은 도 4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제1 실시예).
도 12는 패널 본체에 결속바를 끼워 넣어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11과 동일한 단면도(제1 실시예).
도 13은 도 1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제1 실시예).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14의 방향에서 본 가상원을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제1 실시예).
도 15는 단열 패널에 어셈블리 타이를 끼워 넣어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14와 동일한 단면도(제1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본체
2 : 삽입 구멍
4 : 얇은 벽
5 : 삽입구
6, 6' : 제1 보강재
8 : 제2 보강재
20 : 결속바
24 : 결속 구멍
40 : 어셈블리 타이
41 : 결속단
Mo : 외측 거푸집
Mi : 내측 거푸집
P :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S : 콘크리트 타설 공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콘크리트 구체를 성형하기 위한 벽의 거푸집(M)을 구성하는 외측 거푸집(Mo) 및 내측 거푸집(Mi)은 모두 본 발명에 관한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 …)의 설치에 의해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은 패널 본체(1)와, 이 패널 본체(1)의 상단면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부착되는 결속바(20)로 구성된다.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주된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가로가 긴 직사각형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고단열성이며, 또한 경량인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경질의 발포 합성 수지재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 패널 본체(1)는 상기 치수로 측정 가공되고, 그 내면(1i)(타설 콘크리트가 접합하는 측의 면) 및 외면(1o)은 모두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도 2, 도 4, 도 5,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의 하부 내면(1i) 근처의 부분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40)(후술함)의 한쪽 결속단(41)이 끼워 넣어 연결되는 한쪽이 막힌 삽입 구멍(2 …)이 형성된다. 각 삽입 구멍(2)은 도 5,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면이 개구(3)되는 동시에 그 내면에 부숴지기 쉬운 얇은 벽(4)에 의해 덮이는 삽입구(5)가 마련되고, 이 얇은 벽(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 타이(40)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부숴지도록 되어 있다(도 15 참조).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의 내면(1i)(콘크리트가 접하는 측의 면)에는, 상기 삽입 구멍(2 …)의 위치를 지시하도록 상기 삽입 구멍(2 …)의 중심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는 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보강재(6 …)가 패널 본체(1)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되고, 또한 패널 본체(1)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보강재(6 …)와 평행하게 복수의 가는 홈(상기 보강제보다도 좁음)으로 이루어진 제2 보강재(8 …)가 병설되어 있으며, 이들 제2 보강재(8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적층 설치할 때에 위치 결정에 이용된다.
상기 복수의 제2 보강재(8 …)의 중심선(8c …)은, 인접하는 2개의 제1 보강재(6, 6)의 중심선(6c, 6c) 사이를 각각 등분하여 분할한 위치에 있으며, 인접하는 제1 보강재(6)의 중심선(6c)과 제2 보강재(8)의 중심선(8c) 사이의 간격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 보강재(8, 8)의 중심선(8c, 8c)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하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에 외면(1o)(콘크리트가 접하는 측의 반대측의 면)에도, 패널 본체(1) 내면측의 제1 보강재(6 …) 및 제2 보강재(8 …)에 대응하는 다른 제1 보강재(6′…) 및 다른 제2 보강재(8′…)가 병설되어 있지만, 제1 보강재(6′…)의 하부에는 부숴지기 쉬운 얇은 벽(4)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1 보강재(6 …, 6′…)와 제2 보강재(8 …, 8′…)는 외부로부터 구별하기 쉽도록 제1 보강재(6…, 6′…)의 쪽이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의 상면에는, 상기 패널 본 체(1)의 외면(1o)측으로 치우쳐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면 세로 슬릿(10)이 마련되고, 이 상면 세로 슬릿(1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라인의 이탈 방지용 돌기(11 …)(도 8 참조)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면 세로 슬릿 내에는 후술하는 결속바(20)의 하측 삽입 부분(23)이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넣어지고, 복수의 돌기(11 …)는 결속바(20)의 하측 삽입 부분(23)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속바(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패널 본체(1) 상면의 내측단 가장자리에는 걸림 볼록부(12)가 형성되고, 이 걸림 볼록부(12)는 결속바(20)가 상면 세로 슬릿(10)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결속바(20)의 위치 결정을 한다.
도 5,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의 하면에도 상기 상면 세로 슬릿(10)에 대응하는 하면 세로 슬릿(15)이 마련되고, 이 하면 세로 슬릿(15)에도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라인의 이탈 방지용 돌기(16 …)(도 10 참조)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면 세로 슬릿(15) 안에는 후술하는 결속바(20)의 상측 삽입 부분(22)이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넣어지고, 복수의 돌기(16 …)는 결속바(20)의 상측 삽입 부분(22)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속바(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의 좌우 양단면에는 그 외측 근처에 치우쳐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 세로 슬릿(18, 18)이 마련되고, 이 단면 세로 슬릿(18, 18)에도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라인의 이탈 방지용 돌기(19 …)(도 11, 도 12 참조)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면 세로 슬릿(18, 18)에는 패널 본체(1, 1)끼리를 일체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바(30)의 좌, 우 삽입 부분(32, 33)이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넣어진다.
도 2,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부착되는 결속바(20)는, 경질의 합성 수지재에 의해 단면 T자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수평인 연결 부분(21)과, 그 연결 부분(21)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ㆍ하 삽입 부분(22, 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부분(21)에는 복수의 결속 구멍(24 …)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속 구멍(24 …)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2 보강재(6, 8) 사이의 중심선(6c, 8c)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6, 도 7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바(20)의 상ㆍ하 삽입 부분(22, 23)은 모두 선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약간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선단부 내면에는 톱니 형상의 이탈 방지 돌기(22e, 23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결속바(20)의 연결 부분(21)은 패널 본체(1)의 상면에 안착되고, 또한 그 상ㆍ하 삽입 부분(22, 23)은 상하로 적재되는 패널 본체(1, 1)의 하면, 상면 세로 슬릿(15, 10)에 각각 끼워 넣어진다. 이 때, 결속바(20)의 상ㆍ하 삽입 부분(21, 22)은 패널 본체(1)의 상면, 하면 세로 슬릿(10, 15)에 형성한 복수의 돌기(11 …, 16 …)에 밀접하게 걸려, 결속바(20)의 패널 본체(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고, 접착제 등의 고착 수단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바(20)의 길이는 패널 본체(1)의 길 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패널 본체(1)에 결속바(20)를 연결한 상태에서, 패널 본체(1)의 좌우 양단에는 결속바(20)가 존재하지 않는 접속 단부(1j, 1j)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접속 단부(1j, 1j)에는 그곳에 형성되는 단면 세로 슬릿(18, 18)에 접속바(30)의 좌, 우 삽입 부분(32, 33)이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넣어져 접속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일렬 단으로 쌓아 올려진 인접하는 패널 본체(1 …) 군의 단부끼리는 접속바(30)를 통해 일체로 접속된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바(30)는 상기 결속바(20)와 동일하게 경질의 합성 수지재에 의해 T자형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대략 수직인 접속 부분(31)과, 그 접속 부분(31)의 일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좌, 우 삽입 부분(32, 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삽입 부분(32, 33)에는 이탈 방지용 돌기(32e, 33e)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바(30)는 상기 결속바(20)와 동일 재료에 의해 동일 형태로 형성되지만, 결속 구멍(24)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결속바(20)와 다르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거푸집(Mi) 및 외측 거푸집(Mo)을 구축하도록 설치되는 내ㆍ외측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 중 동일한 레벨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것끼리는 어셈블리 타이(40)에 의해 결속된다. 이 어셈블리 타이(40)는 클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에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는 좌우 결속단(41, 41)을 갖고, 이들 결속단(41, 41)은 결속바(20)의 복수의 결속 구멍(24 …)에 선택적으로 끼워 넣어 연결된다.
이어서, 주로 도 1,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이용하여 벽의 거푸집(M)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철근(F)이 배근된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S)을 갖고 설치되는 외측 거푸집(Mo)과 내측 거푸집(Mi)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이들의 한쪽측, 이 실시예에서는 우선 외측 거푸집(Mo)의 설치를 내측 거푸집(Mi)에 선행하여 행한다. 즉, 외측 거푸집(Mo)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최하단에서부터 복수의 중간단을 거쳐 최상단으로 쌓아 올린다. 이 쌓아 올리는 작업시에 상ㆍ하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쌓아 올리는 위치는 상기 제2 보강재(8 …, 8' …)가 안표가 되고, 특히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지그재그형으로 쌓아 올릴 때에, 제2 보강재(8 …, 8' …)를 안표로 함으로써 상하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상대 위치를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하여 정확히 쌓아 올릴 수 있다.
상ㆍ하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 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바(20)를 통해 각각 접속된다. 이렇게 쌓아 올리는 것에 의해, 외측 거푸집(Mo)이 설치되면, 그 외측 거푸집(Mo)의 내면, 즉 타설 콘크리트와 접하는 면에는, 도 1,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하부에 설치된 삽입 구멍(2)의 삽입구(5)를 덮는 부숴지기 쉬운 얇은 벽(4)이 외부에 노출되고, 이들 얇은 벽(4)의 위치는 제1 보강재(6)에 의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지시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얇은 벽(4)을 압박 파괴하여 어셈블리 타이(40)의 결속단(41)을 삽입 구멍(2)에 끼워 넣으며, 이것을 아래쪽으로 내리누름으로써 이들 어셈블리 타이(40)의 한쪽 결속단(41)을 결속바(20)의 결속 구멍(24)에 끼워 넣어 연결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거푸집(Mo)의 내 면(콘크리트 타설측의 면)에는 쌓아 올려진 복수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 …)에 통합하여 복수 어셈블리 타이(40 …)의 한쪽 결속단(41)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외측 거푸집(Mo)의 복수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에 통합하여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40 …)를 연결한 후, 내측 거푸집(Mo)을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결속 구멍(24)에 상기 어셈블리 타이(40)의 다른 한쪽의 결속부(41)를 연결[전술한 바와 동일한 요령으로 얇은 벽(4)을 압박 파괴하고, 어셈블리 타이(40)의 다른 한쪽의 결속부(41)를 삽입 구멍(2)을 통과시켜 결속 구멍(24)에 연결]하면서 내측 거푸집(Mo)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한단씩 하단에서 상단으로 순서대로 설치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된 외측 거푸집(Mo) 및 내측 거푸집(Mi)의 외면[콘크리트 타설 공간(S)의 반대측의 면]에는 제1 보강재(6')가 설치됨으로써, 이들 거푸집(Mo, Mi)의 외측으로부터, 이들을 결속하고 있는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ㆍ외측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이들 단열 패널을 한단 쌓아 올릴 때마다 양 패널을 어셈블리 타이로 연결하면서 상기 단열 패널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내ㆍ외측의 단열 패널의 양측에 있는 2명의 작업원이 설치 작업을 행하거나, 혹은 1명의 작업원이 내, 외 단열 패널의 양측을 교대로 이동하면서 설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능률적이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즉 내ㆍ외측 거푸집(Mo, Mi) 중 어느 한쪽을 선행하여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한 일측의 거푸집[외측 거푸집(Mo) 혹은 내측 거푸집(Mi)]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 …)에 통합하여 다수의 어셈블리 타이(40 …)를 결속하며, 그 후에는 타측의 거푸집[내측 거푸집(Mi) 혹은 외측 거푸집(Mo)]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 …)을 어셈블리 타이(40 …)로 결속하면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1명의 작업원이 거푸집의 내외를 이동하지 않고, 이들 거푸집(Mo, Mi)의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그 작업 능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외측, 내측의 거푸집(Mo, Mi)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들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S)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 때,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삽입 구멍(2)의 얇은 벽(4)은 어셈블리 타이(40)의 결속단(41)에 의해 압박 파괴되거나, 또한 그 삽입구(5)의 대부분은 얇은 벽(4)에 의해 덮여 있으며, 그 삽입구(5)의 간극은 매우 작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어셈블리 타이(40)가 끼워 넣어진 삽입 구멍(2) 안에 시멘트풀이 침입하는 것을 극력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어셈블리 타이(40)가 끼워 넣어지지 않은 삽입 구멍(2)에는 시멘트풀이 들어가는 일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시멘트풀의 침입에 의해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단열 성능의 저하가 초래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하여, 외측 및 내측 거푸집(Mo, Mi) 사이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S)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구체가 구축되지만, 콘크리트 구체의 구축 후에는 상기 외측 및 내측 거푸집(Mo, Mi)은 떼어 내지 않고, 그대로 건물의 단열벽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내측 거푸집(Mo, Mi)의 내면은 평탄면이 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 공간(S)에는 결속 부재인 어셈블리 타이(40)의 막대 형상 부분밖에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결속 부재의 볼륨을 저감하여 콘크리트 구체의 단면 결손을 억제하고, 따라서 콘크리트의 타설성이 우수하며, 또한 곰보(rock pocket) 등이 발생하지 않는 고강도 콘크리트 구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내ㆍ외측의 거푸집(Mi, Mo)의 종래와 같은 설치 방법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측 거푸집(Mo)을 내측 거푸집(Mi)에 선행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내측 거푸집(Mi)을 외측 거푸집(Mo)에 선행하여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4)

  1. 건축용 거푸집을 구축하도록, 설치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 설치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로서,
    경질(硬質)의 단열재에 의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널 본체(1)와, 이 패널 본체(1)의 상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속바(20)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본체(1)는 그 하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40)용 삽입 구멍(2)이 마련되고, 패널 본체(1) 중 타설 콘크리트에 접하는 측의 면에는, 상기 삽입 구멍(2)의 삽입구(5)를 덮고 부숴지기 쉬운 얇은 벽(4)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얇은 벽(4)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복수 라인의 제1 보강재(6)가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결속바(20)에는, 상기 얇은 벽(4)을 압박 파괴하여 어셈블리 타이(40)의 결속단(41)을 선택적으로 끼워 넣어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 구멍(24)이 줄지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보강재(6) 사이에는, 복수의 제2 보강재(8)가 상기 제1 보강재(6)와 평행하게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1) 중 타설 콘크리트와 접하지 않는 외면에 는, 상기 어셈블리 타이(40)용 삽입 구멍(2)을 지시하기 위한 복수의 다른 제1 보강재(6')가 상기 복수의 제1 보강재(6)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건축용 거푸집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공간(S)을 갖도록 대향 설치되는 내측 거푸집(Mi) 및 외측 거푸집(Mo)을 포함하고, 이들 내ㆍ외측의 거푸집(Mi, Mo)은 모두 설치면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로 이루어지며, 내측 거푸집(Mi) 및 외측 거푸집(Mo) 중 어느 한쪽의 거푸집은 이들 중 다른 한쪽의 거푸집에 선행하여 구축되는 동시에 각 단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의 콘크리트 타설측의 면에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40)의 한쪽 결속단(41)이 통합 연결되고, 다른 한쪽의 거푸집은 각 단의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P)을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 타이(40)의 다른 한쪽의 연결단에 연결하면서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
KR1020077010677A 2005-05-31 2005-12-09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KR200700841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9861A JP4283249B2 (ja) 2005-05-31 2005-05-31 型枠兼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築用型枠
JPJP-P-2005-00159861 2005-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171A true KR20070084171A (ko) 2007-08-24

Family

ID=3748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677A KR20070084171A (ko) 2005-05-31 2005-12-09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83249B2 (ko)
KR (1) KR20070084171A (ko)
WO (1) WO20061293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1Y1 (ko) * 2007-07-03 2010-06-23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102031050B1 (ko) * 2019-04-02 2019-10-11 노승철 블록형 단열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08B1 (ko) 2011-09-16 2012-03-12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콘크리트 표면 정착판석 설치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11648488B (zh) * 2020-04-26 2022-03-25 浙江晶天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墙板及其施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943Y2 (ko) * 1975-05-26 1979-06-25
JP3085852B2 (ja) * 1994-05-09 2000-09-1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クリート工事用無機質打込型枠材
JP3750093B2 (ja) * 1997-02-10 2006-03-01 株式会社ハウステック コンクリート壁構築用型枠装置
JP4057946B2 (ja) * 2003-04-28 2008-03-05 株式会社スターハウ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型枠兼断熱建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1Y1 (ko) * 2007-07-03 2010-06-23 엄기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결합구조
KR102031050B1 (ko) * 2019-04-02 2019-10-11 노승철 블록형 단열 거푸집
WO2020204515A1 (ko) * 2019-04-02 2020-10-08 노승철 블록형 단열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36238A (ja) 2006-12-14
JP4283249B2 (ja) 2009-06-24
WO2006129394A1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98B1 (ko) 프리캐스트 섬유보강 와이어매쉬 슬래브
EA018961B1 (ru) Складной 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JP2010502869A (ja) 建築用ブロック、並びにこれを用いた建築構造物及び壁面組積方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200440000Y1 (ko) 벽체 구성용 조립식 단열 블록
JP4898591B2 (ja) コンクリート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構造
KR20070084171A (ko)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거푸집
US5992102A (en) Cellular resin block and structural unit for an exterior structure using such block
KR10150662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CN211523629U (zh) 叠合剪力墙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IES20070795A2 (en) A cladding panel
KR20070072911A (ko)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101492066B1 (ko) 기둥의 기초공법
CN113202023A (zh) 一种带混凝土竖向拼接缝的预制拼装空心墩及施工方法
CN110924560A (zh) 预制墙体、后插筋连接结构、连接方法和墙体模具
KR20080050213A (ko) 건축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단열 거푸집 및 어셈블리 타이
CN218622774U (zh) 一种叠合剪力墙体系
KR102229182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CN102251611B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CN212103641U (zh) 一种带混凝土竖向拼接缝的预制拼装空心墩
CN214272528U (zh) 一种预制内隔墙连接节点
JP2000038796A (ja) 床版及び床版施工方法
CN210658733U (zh) 一种建筑装配式预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