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110B1 -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110B1
KR100246110B1 KR1019970047225A KR19970047225A KR100246110B1 KR 100246110 B1 KR100246110 B1 KR 100246110B1 KR 1019970047225 A KR1019970047225 A KR 1019970047225A KR 19970047225 A KR19970047225 A KR 19970047225A KR 100246110 B1 KR100246110 B1 KR 100246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connecting hardwar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559A (ko
Inventor
서영택
류중구
박덕규
이한진
나승일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101997004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1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2001/4192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attached to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rods or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조의 장점을 동시에 살려서 R.C기둥의 일정높이마다 P.C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결된 P.C보의 하중이 기둥보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둥부(41)의 소정높이에서 연결철물(43)이 부착되는 R.C기둥(40)을 수직하게 설치한 후, 상기 연결철물(43)에 그 중간부에는 철근콘크리트부(20)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에는 철골부(30)로 이루어지는 P.C보(10)의 철골부(30)를 겹쳐서 볼팅하고, 상기 R.C기둥(40)과 P.C보(10)의 접합부에 거푸집(50)을 설치한 후 충전몰탈(60)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몰탈이 굳은 후 거푸집(50)을 해체함으로써 완료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43)은 기둥부(41)의 주철근(42)에 정착되어 매립되는 정착철근(43a)들과, 상기 정착철근들에 용접되어 기둥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판(43b)과, 상기 부착판의 외면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하 일직선상으로 볼트구멍(43c)들이 뚫려지는 연결판(43d)으로 이루어져서, 연결된 P.C보(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둥부(41)로 원활히 전달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조의 장점을 동시에 살려서 R.C기둥의 일정높이마다 P.C보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연결된 P.C보의 하중이 기둥부로 원할하게 전달되도록 한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부재로 시공하는 건축물은 철골조에 비하여 공사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슬라브상에 지지대를 세워서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입히는 피복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P.C부재는 각 부재들간의 연결되는 접합부들의 접합이 용이한 철골조와는 달리, 부재들간의 접합이 그리 간단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제1(a)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P.C부재로 시공되는 건축물의 골조부에서 R.C기둥에 P.C보를 연결하여 시공할 경우 R.C기둥(40)의 머리상단(41a)에 층간용 P.C보(10b)를 얹어서 연결함으로써 어느 정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나, 제1(b)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R.C기둥(40)의 머리상단이 아닌 중간높이에 중층용 P.C보(10a)를 연결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R.C기둥(40)에 중층용 P.C보(10a)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P.C건축물에서는 R.C기둥(40)의 중간높이 또는 일정높이마다 중층용 P.C보(10a)의 연결이 곤란하여 제1(a)도에서와 같이, 단일층의 높이로 제작되는 단일층기둥(40)을 제작하여 그 단일층기둥의 머리상단(41a)에 층간용 P.C보(10b)를 얹어서 시공하는 단일층공법으로 시공할 수 밖에 없으므로 자연히 공사기간이 길어지면서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중층용 P.C보’라는 용어는 R.C기둥의 머리상단에 얹혀지는‘층간용 P.C보’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R.C기둥의 중간높이 또는 일정위치에 연결되는 보를 지칭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P.C보’는 곧‘중층용 P.C보’에 해당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R.C기둥의 높이에 따라 중간높이 또는 일정높이마다 P.C보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 2개층 이상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며, 연결된 P.C의 하중이 기둥부에 원할하게 전달되도록 하여서 안정적인 구조의 골조부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는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a)도, 제1(b)도는 종래의 골조부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임.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는 본 발명의 골조부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임.
제3도는 본 발명의 R.C기둥과 P.C보의 접합부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R.C기둥과 P.C보가 접합되는 일부절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P.C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P.C보의 일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일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C보 10a : 중층용 P.C보
10b : 층간용 P.C보 20 : 철근콘크리트부
21 : 주근용 상하부철근 22 : 늑근
30 : 철골부 31 : 볼트구멍
32 : 매립부 40 : R.C기둥
41 : 기둥부 41a : 머리상단
42 : 주철근 43 : 연결철물
43a : 정착철근 43b : 부착판
43c : 볼트구멍 43d : 연결판
50 : 거푸집 60 : 충전몰탈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P.C보(10)를 R.C기둥에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둥부(41)의 소정높이에서 연결철물(43)이 부착되는 R.C기둥(40)을 수직하게 설치한 후, 상기 연결철물(43)에 그 중간부에는 철근콘크리트부(20)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에는 철골부(30)로 이루어지는 P.C보(10)의 철골부(30)를 겹쳐서 볼팅하고, 상기 R.C기둥(40)과 P.C보(10)의 접합부에 거푸집(50)을 설치한 후 충전몰탈(60)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몰탈이 굳은 후 거푸집(50)을 해체함으로써 완료된다.
본 발명은 그 중간부에 P.C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철근콘크리트부(20)와, 그 양단부의 접합부에 철골조의 장점을 가지는 철골부(30)로 이루어진 P.C보(10)를 이용하여서, 소정높이에 연결철물(43)이 부착된 R.C기둥(40)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C보를 R.C기둥의 머리상단이 아닌 소정높이마다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됨으로써, R.C기둥의 소정높이에 설치되는 중층용 P.C보(10a)와 함께 R.C기둥 머리상단에 설치하는 층간용 P.C보(10b)를 동시에 시공해 나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철물(43)은 P.C보의 철골부(30)와 접합되어 P.C보(10)를 지지하는 구조부로서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부(41)의 주철근(42)에 정착되어 매립되는 정착철근(43a)들과, 상기 정착철근들에 용접되어 기둥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판(43b)과, 상기 부착판의 외면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하 일직선상으로 볼트구멍(43c)들이 뚫려지는 연결판(43d)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연결철물(43)은 그 정착철근(43a)들이 기둥부(41)의 주철근(42)에 정착된 채 일체로 매립되므로 P.C보(10)로부터 절단되는 하중을 기둥부(41)로 원활히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P.C보(10)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중간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단면과 길이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부(20)와, 상기 철근콘크리트부(20)의 양단부에 접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부에 볼트구멍(31)들이 뚫려지는 철골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P.C보(10)를 R.C기둥(40)의 소정높이마다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됨으로써 R.C기둥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층수도 증가된다.
참고적으로, R.C기둥(40)을 양중, 운반등의 제한을 받게 됨으로 무한정 길게 할수는 없으나, 최대 9M까지 제작이 가능할 경우에는 단위층고를 3m로 본다면 중층용 P.C보를 2개층에 설치할 수 있고, 최상단에 층간용 P.C보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3개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6(a)도 및 제6(b)도는 철근콘크리트부(20)와 철골부(30)간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철골부의 일측이 철근콘크리트부(20)에 매립되는 매립부(32)와, 상기 매립부의 상하부에 배근되어 용접되는 주근용 상하부철근(21)들과, 상기 주근용 상하철근 둘레에 배근되는 늑근(22)들로 이루어짐을 예시해 보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P.C보(10)는 상하부철근(21)들이 철골부(30)에 일체로 용접된 상태에서 늑근(22)들이 그 둘레에 감겨지듯 배근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부(20)에 전달된 하중을 철골부(30)를 통하여 R.C기둥에 원활히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부의 양단부에 볼트구멍들이 뚫린 철골부들을 형성하여서 된 P.C보를 중간높이 또는 일정높이마다 부착되는 연결철물을 통하여 R.C기둥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게 하여 주며, 연결철물을 통하여 연결된 P.C보의 하중이 기둥보에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구조로서 시공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둥부(41)의 소정높이에서 연결철물(43)이 부착되는 R.C기둥(40)을 수직하게 설치한 후, 상기 연결철물(43)에 그 중간부에는 철근콘크리트부(20)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에는 철골부(30)로 이루어지는 P.C보(10)의 철골부(30)를 겹쳐서 볼팅하고, 상기 R.C기둥(40)과 P.C보(10)의 접합부에 거푸집(50)을 설치한 후 충전몰탈(60)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몰탈이 굳은 후 거푸집(50)을 해체함으로써 완료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43)은 기둥부(41)의 주철근(42)에 정착되어 매립되는 정착철근(43a)들과, 상기 정착철근들에 용접되어 기둥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판(43b)과, 상기 부착판의 외면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하 일직선상으로 볼트구멍(43c)들이 뚫려지는 연결판(43d)으로 이루어져서, 연결된 P.C보(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둥부(41)로 원활히 전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KR1019970047225A 1997-09-12 1997-09-12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KR10024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25A KR100246110B1 (ko) 1997-09-12 1997-09-12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25A KR100246110B1 (ko) 1997-09-12 1997-09-12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59A KR19990025559A (ko) 1999-04-06
KR100246110B1 true KR100246110B1 (ko) 2000-03-15

Family

ID=1952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25A KR100246110B1 (ko) 1997-09-12 1997-09-12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75B1 (ko) 2005-05-13 2007-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63106B1 (ko) * 2013-08-05 2014-11-20 이인규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748B2 (ja) * 1998-06-15 2000-05-15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Mri用垂直マグネット装置およびmri装置
KR100496196B1 (ko) * 2002-11-18 2005-06-17 주식회사 노빌테크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합성빔 및 그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
KR101324884B1 (ko) * 2011-08-26 2013-11-01 현대건설주식회사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CN107605044B (zh) * 2017-09-25 2023-08-01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装配式外包型钢链式组合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149A (ja) * 1991-05-31 1992-12-08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およびその接合工法
KR930000896Y1 (ko) * 1990-04-18 1993-02-27 장원환 쥐치포 건조용 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896Y1 (ko) * 1990-04-18 1993-02-27 장원환 쥐치포 건조용 채반
JPH04353149A (ja) * 1991-05-31 1992-12-08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およびその接合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75B1 (ko) 2005-05-13 2007-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63106B1 (ko) * 2013-08-05 2014-11-20 이인규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59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140B1 (ko) Pc부재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42577B1 (ko) 복합 구조 프레임 시스템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0211534B1 (ko) 건축물의 pc벽체와 pc슬라브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0626544B1 (ko)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합성구조시스템
KR100246110B1 (ko) P.c보를 이용한 골조부의 시공방법
JP2522714B2 (ja) 建築物躯体の施工法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JP2000104336A (ja) 構造物における杭と上部構造躯体との接合構造および杭の上方に上部構造躯体を構築する工法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055434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70160B1 (ko) Pc 벽체를 이용한 램프 시공 구조
JP252035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梁及び柱並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耐震壁の構築工法
KR102177745B1 (ko) 기둥식 옥탑 pc 프레임
KR20060028828A (ko) 슬래브 일체형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153041Y1 (ko) 하프pc 콘크리트 슬라브판넬
CN112359966A (zh) 一种叠合梁与混凝土柱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JP2754377B2 (ja) 建築構造
JPH0742721B2 (ja) プレキャスト梁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柱・梁構築法
JP3322701B2 (ja) 橋脚のプレハブ工法及び橋脚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KR102585526B1 (ko) 단부 매립형 거더 접합 구조를 갖는 합성 프레임
KR100380907B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