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154A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0154A KR20160120154A KR1020150089957A KR20150089957A KR20160120154A KR 20160120154 A KR20160120154 A KR 20160120154A KR 1020150089957 A KR1020150089957 A KR 1020150089957A KR 20150089957 A KR20150089957 A KR 20150089957A KR 20160120154 A KR20160120154 A KR 201601201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portion
- reinforcing
- reinforcing frame
- concrete
- p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부의 강도를 별도로 보강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 피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피트지지부의 제 2 바닥면부가 측벽부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므로,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측벽부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콘크리트층의 하중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바닥면부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일정 부분 상쇄된 상태로 측벽부로 전달되어, 측벽부의 강도를 별도로 보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벽부의 강도를 별도로 보강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 피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는 설치면인 굴토바닥부(1)에 바닥부(10)를 배치하고, 그 측방 테두리 부분에 측벽부(20)를 배치시킨다. 그 후, 측벽부(20)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20)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한다.
한편, 건축물 하부에는 건축물 자중에 의한 토압 또는 지하수의 상향 수압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10)에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압력은 바닥부(10)와 연결된 측벽부(20)를 통하여 측벽부(20) 주변의 지지콘크리트층(7)으로 전달된다. 이처럼 건축물 자중에 의한 토압 또는 지하수의 상향 수압이 바닥부(10)를 통하여 측벽부(20)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측벽부(20)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별도의 리브를 보강하는 등 측벽부(20)의 강도를 보강해야 하며, 이에 따라 전체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벽부의 강도를 별도로 보강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 피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는 피트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트지지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트지지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강도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강도보강부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철근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I"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면에서 그 상부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하면에서 그 하부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바닥면부에 접촉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바닥면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 2 바닥면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바닥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면부에는 오목하게 집수정이 형성되되, 상기 집수정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차단벽이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강도보강부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집수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의 상단에 측방유입차단벽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수평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측방유입차단벽부는 상기 차단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수평 높이보다 그 상부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면에 집수정이 구비되되, 상기 집수정의 상측은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집수정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집수정은 각각 별도로 형성되되,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바닥면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피트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연결부가 연장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 및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트지지부의 제 2 바닥면부가 측벽부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므로,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측벽부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콘크리트층의 하중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바닥면부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일정 부분 상쇄된 상태로 측벽부로 전달되어, 측벽부의 강도를 별도로 보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트지지부의 제 2 바닥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므로, 제 2 바닥면부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관통홀을 통하여 피트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면서 경화되어, 지지콘크리트층과 피트지지부 내부의 강도보강부가 상호 견고하게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트지지부 내부에 보강프레임이 구비되되, 그 양 단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제 2 바닥면부를 지지하게 되어, 제 1 바닥면부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제 1 바닥면부로 가해지거나, 지지콘크리트층의 하중에 의한 하방 압력이 제 2 바닥면부로 인가될 때, 제 1 바닥면부와 제 2 바닥면부가 이들 상방 압력 및 하방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이 제 1 바닥면부 또는 제 2 바닥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후, 피트지지부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보강부가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와 보강프레임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피트지지부의 강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트지지부의 제 1 바닥면부에 집수정이 구비되므로, 피트지지부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은 상기 집수정으로 용이하게 집수되며, 이렇게 집수된 물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트지지부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피트지지부의 제 2 바닥면부의 수평 높이만큼 타설되므로, 차단벽에서 제 2 바닥면부의 수평 높이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측방유입차단벽부는 상기 콘크리트가 집수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정의 상부로 돌출되는 차단벽이 제 1 바닥면부 또는 제 2 바닥면부에 일체로 결합되므로, 피트지지부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보강부가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와 차닥벽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피트지지부의 강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보강프레임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보강프레임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피트지지부(110) 및 측벽부(120)를 포함하며, 보조측벽(150: 도 4 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피트지지부(1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117)가 형성된다. 이러한 피트지지부(110)는 평평한 기초바닥부(2: 도 4 도시) 또는, 기초바닥부(2)를 굴토하여 형성된 굴토바닥부(1: 도 4 도시)에 설치된다. 현장 조건에 따라 굴토바닥부(1)에는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이 타설될 수도 있다. 피트지지부(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6)와, 연결측부(114)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면부(112)는 굴토바닥부(1)에 밀착되는 것으로,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바닥면부(116)는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부로 이격되는 것으로, 제 1 바닥면부(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6)의 중앙에는 개구부(117)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측부(114)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6)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측벽부(120)는 피트지지부(110)의 개구부(117)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20)에 의하여 피트지지부(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 피트지지부(110) 및 측벽부(120)는 엘리베이터 피트(1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상부에는 그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22)에는 후술하는 기초철근(8: 도 4 도시)이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홀(122b) 및 후술하는 보조측벽(150)이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벽부(12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피트지지부(110)의 개구부(117)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기초바닥부(2) 또는 굴토바닥부(1)에 피트지지부(110)가 설치되고, 피트지지부(110)의 상부에 측벽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상부에는 보조측벽(1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측벽(150)은 측벽부(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측벽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측벽(150)의 하단에는 측벽부(120)의 연결부(122)와 면 접촉되도록 테두리부(152)가 형성되며, 볼트, 웨지, 쇄기 등의 결합부가 연결부(122)의 제 2 연결홀(122a)과 테두리부(152)에 일체로 삽입되면서 이들을 상호 결합시킨다. 또한, 연결부(122)와 테두리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용접 작업을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측벽(150)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 사용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와 보조측벽(150)의 외측에 콘크리트 즉,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콘크리트층(5)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5)은 기초바닥부(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는 기초콘크리트층(6)과, 측벽부(120)와 보조측벽(150)의 외측을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층(7)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층(6)과 지지콘크리트층(7)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초철근(8)이 종, 횡으로 교차 배치되도록 매설될 수 있으며, 기초철근(8)은 측벽부(120)의 연결부(122) 및 보조측벽(150)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측벽부(120)와 보조측벽(150)은 콘크리트층(5)과 함께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피트지지부(110)의 제 2 바닥면부(116)는 측벽부(120)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므로, 지지콘크리트층(7)의 하중은 제 2 바닥면부(116)로 인가되어 제 2 바닥면부(116)는 지지콘크리트층(7)에 의한 하방 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상기 하방 압력에 의하여 일정 부분 상쇄된 상태로 측벽부(120)로 전달되므로, 측벽부(120)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리브를 덧대는 등의 보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4의 피트지지부(110)에 집수정(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피트지지부(110)는 건물 지하층에 위치하게 되는바, 유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피트지지부(110)에 물이 유입되곤 한다. 집수정(113)은 피트지지부(110)로 유입되는 물을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트지지부(110)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은 상기 집수정(113)으로 용이하게 집수되며, 이렇게 집수된 물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5의 피트지지부(110) 내부의 공간에 강도보강부(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130)는 개구부(117)를 통하여 피트지지부(11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강도보강부(130)로 인하여 피트지지부(110)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강도보강부(130)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140)이 매설되어, 강도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철근으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집수정(113)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차단벽(13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차단벽(132)의 상단에는 측방유입차단벽부(13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132)의 상단은 제 2 바닥면부(116)의 수평 높이에 위치하도록 집수정(113)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측방유입차단벽부(132a)는 상기 차단벽(132)의 상단에서 제 2 바닥면부(116)의 수평 높이보다 그 상부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트지지부(11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보강부(130)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는 제 2 바닥면부(116)의 수평 높이만큼 타설되는 반면, 측방유입차단벽부(132a)는 제 2 바닥면부(116)의 수평 높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가 집수정(11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의 보강프레임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강도보강부(130)에 매설되는 보강프레임(142)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42)은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142)은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면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강도보강부(130)에 매설되는 보강프레임(144)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I"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44)은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144)은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면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보강프레임(144)의 단면은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8의 강도보강부(130)에 보강프레임(145)이 매설되고, 집수정(113: 도 8 도시)이 삭제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145)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I"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45)은 제 1 바닥면부(112)와 제 2 바닥면부(116) 사이에 배치되되, 보강프레임(145)의 하단부는 제 1 바닥면부(112)에 접촉되고, 보강프레임(145)의 상단부는 제 2 바닥면부(116)에 접촉된다. 이때, 보강프레임(145)의 하단부와 제 1 바닥면부(112)는 볼트 등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거나,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145)의 상단부와 제 2 바닥면부(116)는 볼트 등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거나,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닥면부(116)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된 보강프레임(145)의 상단부는 제 2 바닥면부(116)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그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프레임(145)의 상단부가 제 2 바닥면부(116)를 지지하게 되므로, 제 2 바닥면부(116)는 그 하부로 휘어지지 않아, 그 지지 강도가 보강된다. 이에 따라 지지콘크리트층(7)의 하중에 의한 하방 압력이 제 2 바닥면부(116)로 인가된다 하더라도, 제 2 바닥면부(116)는 상기 하방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프레임(145)의 하단부가 제 1 바닥면부(112)를 지지하게 되므로, 피트지지부(110)의 제 1 바닥면부(112)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이 제 1 바닥면부(112)로 가해질 때, 제 1 바닥면부(112)는 보강프레임(145)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인 바, 제 1 바닥면부(112)가 상기 상방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9의 강도보강부(130)에 보강프레임(146, 147)이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46, 147)은 제 1 바닥면부(112)에서 그 상부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보강프레임(146) 또는, 제 2 바닥면부(116)에서 그 하부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보강프레임(14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보강프레임(146)의 상단부는 제 2 바닥면부(116)와 연결되도록 돌출될 수도 있고, 제 2 보강프레임(147)의 하단부는 제 1 바닥면부(112)와 연결되도록 돌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 1,2 보강프레임(146, 147)이 제 1, 2 바닥면부(112, 116)와 일체로 형성된 후, 개구부(117)를 통하여 피트지지부(11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보강부(130)가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와 제 1, 2 보강프레임(145)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피트지지부(110)의 강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8의 제 1 바닥면부(112)에 집수정(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집수정(113)은 제 1 바닥면부(112)에서 그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 1 바닥면부(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바닥면부(112)에 별도의 연결부(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집수정(113)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차단벽(133)이 구비될 수 있다. 차단벽(133)의 하단부는 집수정(113)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부(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벽(133)의 상단부는 제 2 바닥면부(116)와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부(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집수정(113) 및 차단벽(133)은 제 1 바닥면부(112) 및 제 2 바닥면부(116)와 일체로 연결되거나 별도로 연결되므로, 보강프레임(145)과 마찬가지로 제 1 바닥면부(112) 및 제 2 바닥면부(116)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구부(117)를 통하여 피트지지부(11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보강부(130)가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와 차단벽(133)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피트지지부(110)의 강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11에서 집수정(118)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집수정(118)은 제 1 바닥면부(112)의 상면에 구비되되 그 상측은 개구부(117)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집수정(118)과 제 1 바닥면부(112)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가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는 상기 도 6의 피트지지부(110)에 관통홀(116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6a)은 피트지지부(110)의 제 2 바닥면부(116)에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닥면부(116)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지지콘크리트층(7)이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관통홀(116a)을 통하여 피트지지부(110) 내부로 유입되면서 경화되어, 지지콘크리트층(7)과 피트지지부(110) 내부의 강도보강부(130)는 상호 견고하게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피트지지부(110)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도보강부(130)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관통홀(116a)을 통하여 지지콘크리트층(7) 방향으로 유출되면서 경화되어, 지지콘크리트층(7)과 피트지지부(110) 내부의 강도보강부(130)는 상호 견고하게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굴토바닥부
2: 기초바닥부
5: 콘크리트층 6: 기초콘크리트층
7: 지지콘크리트층 8: 기초철근
100: 엘리베이터 피트 110: 피트지지부
112: 제 1 바닥면부 113: 집수정
114: 연결측부 116: 제 2 바닥면부
116a: 관통홀 117: 개구부
120: 측벽부 122: 연결부
122b: 제 2 연결홀 122a: 제 1 연결홀
130: 강도보강부 132, 차단벽
132a:측방유입차단벽부 133: 차단벽
140, 142, 144, 145: 보강프레임 146: 제 1 보강프레임
147: 제 2 보강프레임 150: 보조측벽
152: 테두리부
5: 콘크리트층 6: 기초콘크리트층
7: 지지콘크리트층 8: 기초철근
100: 엘리베이터 피트 110: 피트지지부
112: 제 1 바닥면부 113: 집수정
114: 연결측부 116: 제 2 바닥면부
116a: 관통홀 117: 개구부
120: 측벽부 122: 연결부
122b: 제 2 연결홀 122a: 제 1 연결홀
130: 강도보강부 132, 차단벽
132a:측방유입차단벽부 133: 차단벽
140, 142, 144, 145: 보강프레임 146: 제 1 보강프레임
147: 제 2 보강프레임 150: 보조측벽
152: 테두리부
Claims (17)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는 피트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주연을 따라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트지지부는,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부로 이격되는 제 2 바닥면부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를 연결시키는 연결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바닥면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닥면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지지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강도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철근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I"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면에서 그 상부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하면에서 그 하부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바닥면부에 접촉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바닥면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바닥면부는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 2 바닥면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바닥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부에는 오목하게 집수정이 형성되되, 상기 집수정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차단벽이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강도보강부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집수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상단에 측방유입차단벽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수평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측방유입차단벽부는 상기 차단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수평 높이보다 그 상부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부의 상면에 집수정이 구비되되, 상기 집수정의 상측은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상기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집수정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면부와 상기 집수정은 각각 별도로 형성되되,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닥면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피트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연결부가 연장되고,
상기 제 2 바닥면부의 상부 및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층에는 기초철근이 내설되되, 상기 기초철근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48844 | 2015-04-07 | ||
KR1020150048844 | 2015-04-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0154A true KR20160120154A (ko) | 2016-10-17 |
Family
ID=572502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9957A KR20160120154A (ko) | 2015-04-07 | 2015-06-24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KR1020150096714A KR20160120155A (ko) | 2015-04-07 | 2015-07-07 |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6714A KR20160120155A (ko) | 2015-04-07 | 2015-07-07 |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6012015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518B1 (ko) * | 2016-12-06 | 2018-07-11 | 엄재현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6510B1 (ko) * | 2020-08-31 | 2022-04-13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유공관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
KR102421944B1 (ko) * | 2020-08-31 | 2022-07-19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단위부재 결합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336B1 (ko) | 2002-08-26 | 2005-05-12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138B1 (ko) | 2008-02-18 | 2010-08-31 | 엄기형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
2015
- 2015-06-24 KR KR1020150089957A patent/KR2016012015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7-07 KR KR1020150096714A patent/KR201601201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336B1 (ko) | 2002-08-26 | 2005-05-12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518B1 (ko) * | 2016-12-06 | 2018-07-11 | 엄재현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0155A (ko) | 2016-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5432B1 (ko) | 집수정 결합구조 | |
KR101203318B1 (ko) |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 |
KR20160120154A (ko)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1318957B1 (ko) |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 |
KR100979138B1 (ko)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
KR101761779B1 (ko) | 기초 매입형 강재 집수정을 시공하는 방법 | |
KR20170071643A (ko) | 터널용 측벽유공관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측벽유공관 시공방법 | |
KR100489336B1 (ko) |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 |
KR100973237B1 (ko) |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 |
KR20150073562A (ko) | 기초콘크리트 지지형 집수정 | |
KR100973235B1 (ko)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
KR100973236B1 (ko)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1808833B1 (ko) |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862567B1 (ko) |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 |
KR20080045597A (ko) |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 |
KR20090043745A (ko) |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 |
KR20080074057A (ko) |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 |
KR101877518B1 (ko) |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821742B1 (ko) |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 |
JP6474572B2 (ja) |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 |
KR200361653Y1 (ko) | 배수로 구조물 | |
KR101706134B1 (ko) |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0766850B1 (ko) |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 |
KR100883798B1 (ko) | 집수정 | |
KR100909385B1 (ko)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