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597A -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597A
KR20080045597A KR1020070053520A KR20070053520A KR20080045597A KR 20080045597 A KR20080045597 A KR 20080045597A KR 1020070053520 A KR1020070053520 A KR 1020070053520A KR 20070053520 A KR20070053520 A KR 20070053520A KR 20080045597 A KR20080045597 A KR 2008004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double
wall
side wall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교
Original Assignee
박옥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교 filed Critical 박옥교
Publication of KR2008004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수정에 사용되는 금속판을 얇게 하면서도, 강도가 향상되고, 고정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이중의 벽을 갖도록 구성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있어서, 측벽을 포함하는 외측집수부; 상기 외측집수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일정량의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벽을 포함하는 내측집수부; 및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바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내측집수부의 측벽은 이중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집수부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집수부 제작시에 얇은 두께의 금속재 판재를 사용하여 집수정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성, 운반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구성된 틈새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이중 집수부 사이의 공간으로 시멘트혼합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집수부를 얇은 재질로 사용하면서도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 시멘트혼합물이 유입, 경화되도록 하여 보강부재와 시멘트혼합물이 일체화되면서 강한 지지력과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Double wall type Sump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집수정의 외형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가 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의 다양한 변형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집수정 바닥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집수정 바닥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집수정 바닥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의 바닥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집수정의 바닥에 결합된 보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와 형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형틀에 홀이 형성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의 형틀 외측으로 보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측집수부 10a: 절곡부
11 : 보강부재 12 : 보강부재
13 : 수용면 14 : 리브
15 : 수직보강부재 16 : 유입구
17 : 내방절곡부 18 : 측방유입구
19 : 보강부재 20 : 캡부
22 : 홀 24 : 수직개구
26 : 마개 30 : 철근
40: 형틀 50: 공간부
60: 보강부재 70: 바닥형틀
80: 차단부재 90: 유입장치
100 : 내측집수부 110 : 측방절곡단부
112 : 수직절곡부 120 : 상방연장단부
122 : 수평절곡부 130 : 방수재
140 : 보강부재 200 : 복합바닥부
210 : 제 1 바닥부 220: 제 2 바닥부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수정에 사용되는 금속판을 얇게 하면서도, 강도가 향상되고, 고정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이중의 벽을 갖도록 구성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집수정은 건물지하층 하부의 지하수 또는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건축되는 거의 모든 건물에는 집수정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집수정은 공사 가 진행 중일 경우에는 공사현장의 빗물과 지하수를 모아 양수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모여진 물을 펌프로 배출하기 전까지 수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집수정은 건물의 최하층 슬래브보다 낮아야 하므로, 집수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파기 및 집수정 구조 형성을 위한 철근콘크리트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별도의 공기가 소요된다. 아울러 물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요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종래의 집수정은 바닥면의 일부로서 지내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목적과 지하수 또는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정이라는 기능상의 목적을 만족해야 하므로, 설계시에 집수정을 바닥콘크리트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집수정은 기능상의 목적을 달성하고, 시공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운 점이 있는데, 집수정이 설치되는 부분은 가장 깊은 위치가 되어야 하다 보니, 이 부분에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어 이 부분에서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난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정과 연결되기 위한 기타 복잡한 구성들이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사후 보정이 어려운 문제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의 일체형 집수정이 안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체형 집수정은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굴토마감면을 터파기하고, 지하 마감층 바닥에 매설, 고정되어, 그 내부로 지하수, 빗물 등이 배수되어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재 집수정 구조의 집수부(10)는 사전에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다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제작하거나, 정밀한 터파기 및 설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 부호는 보강부재(12), 리브(14), 유입구(16), 측방유입구(16), 캡부(20), 홀(22), 수직개구(24) 및 마개(26)이다.
다만, 금속으로 해당 집수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바닥 외부의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를 지탱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 강도를 갖고 있어야 하는데, 금속재 집수정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집수정을 형성한 것에 비해 강도가 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높은 상향수압이나, 상방, 측방 가압력에 의해 집수정이 외부 힘을 버티지 못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요구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집수정 구성 재료의 두께를 과도히 두껍게 하는 경우, 재료비, 제작비 및 운반, 시공비의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무작정 두께를 늘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따라서 집수부를 형성하는 금속판넬의 두께를 과도히 두껍게 하지 않도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원하는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집수정이 이중 벽을 갖도록 구성하여, 얇은 금속재 판넬을 사용하 여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의 집수부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조 강도를 확보하고,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있어서, 측벽을 포함하는 외측집수부; 상기 외측집수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일정량의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벽을 포함하는 내측집수부; 및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바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내측집수부의 측벽은 이중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상기 외측집수부는 강재, 합성수지 재질, 우레탄재질, 메탈라스, 와이어매쉬, 본드합성재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시멘트혼합물을 유입시켜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내측에는 판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상단은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상단 바깥쪽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상단은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보다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상기 내측집수부의 단부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내측집수부의 단부는 측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 측벽의 상부에는 형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 또는 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방수재를 바르거나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집수부의 외측 또는 바닥의 하측에는 시멘트혼합물을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입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집수부의 바닥 상측에는 상방으로 돌출연장되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또는 바닥 하측에는 외측으로 돌출연장되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또는 바닥 하측에는 외측으로 돌출연장되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는 방수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집수부의 내측 또는 상기 외측집수부의 외측 또는 상기 바닥의 하측에는 스테인리스스틸을 덧대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된 상기 시멘트 혼합물이 경화된 후에, 상기 내측집수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두 겹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의 하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형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1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병렬로 접합연결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ㄷ" 또는 "I" 또는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2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3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집수부와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또는 상기 바닥에는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집수정으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에는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홀의 테두리에 차단부재가 삽입되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에는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을 밀착시켜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홀보다 크도록 측방 돌출 형성되고, 내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를 상기 측벽 또는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장치는: 내측이 관통되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부; 및 상기 홀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은 상기 외측집수부 또는 내측집수부의 측벽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바닥부; 및 상기 제 1 바닥부의 하측에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병렬로 접합연결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바닥부; 를 포함하는 복합바닥부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바닥부가 집수부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바닥부의 보강부재는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4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집수부 또는 내측집수부의 측벽 하단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바닥부의 상단은 상기 절곡부와 상응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측집수부 또는 내측집수부에 형성된 절곡부가 제 1 바닥부와 상호 간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틀에는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집수정으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가 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수정 구조는 외측집수부(10)와 그 내부에 안착되는 내부집수부(100)를 포함한다. 외측집수부(10)와 내측집수부(100)는 용접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며, 하나의 측벽으로 구성될 때보다 비교적 얇은 측벽을 2개 덧대어 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두꺼운 하나의 철판으로 집수부를 형성하는 것보다, 얇은 철판으로 형성된 외측집수부(10)와 내측집수부(100)를 각각 제조하여, 하나로 병합시키는 작업이 훨씬 용이하다.
내측집수부(100)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하여, 내측에 고인 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꺼운 집수부 전체를 비싼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하지 않고, 내측집수부만 얇게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하더라도, 부식 방지의 원목적을 적은 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상기 외측집수부는 강재, 합성수지 재질, 우레탄재질, 방수액재질, 프라이머 재질, 메탈라스, 와이어매쉬, 본드합성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첨가, 부착,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측집수부(100)의 상단부는 외측집수부(10)보다 바깥측 또는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집수부(100)의 상단부를 외측집수부(10)의 상단보다 바깥쪽으로 꺾어 측방절곡단부(110)를 형성하거나,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방연장단부(120)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크리트가 집수정 외측으로 타설되는 경우, 측방절곡단부(110) 또는 상방연장단부(120)가 외측집수부(10)와 함께 콘크리트층(C)에 묻히게 되므로, 외측집수부(10)와 내측집수부(100) 사이의 틈새(A)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 부분으로 물이 스며들거나 습기가 차지 않게 된다. 또한 동시에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의 다양한 변형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측집수부(100)의 상단 측방절곡단부(110) 또는 상방연장단부(120)는 다시 한 번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철근(30)이 측방절곡단부(110)의 단부에서 상방으 로 절곡된 수직절곡부(112)에 지지되어 걸쳐지거나, 수직절곡부(112)를 관통(점선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방연장단부(120)에서 측방으로 절곡된 수평절곡부(122)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꺾인 철근(30)이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방절곡단부(110)의 상방으로는 형틀(40)을 결합하여, 바닥콘크리트층의 두께가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형틀(40)을 사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집수부(10)와 내측집수부(100)의 사이 공간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14)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집수부(100)는 리브(14)의 상부에 얹혀지거나, 리브(14) 사이사이의 공간을 채워며 결합될 수도 있다(확대도 표시). 리브(14)가 외측집수부(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외측집수부(10)의 측벽 외측에는 별도의 보강부재(12)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바닥에는 유입구(16)를 형성하여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내측집수부(100) 안으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측집수부(10)의 하방으로는 보강부재(11)와 수용면(13)을 구비하여, 수용면(13)의 상측과 보강부재(11)의 사이사이로 시멘트혼합물 (1a)이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시멘트혼합물은 시멘트풀,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콘크리트이다(이하 콘크리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유입되는 콘크리트는 사전에 미리 타설하여 경화시킨 것이거나, 설치 위치에 설치한 후 현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덜 경화된 버림콘크리트나 바닥콘크리트에 가압 위치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굴토마감면(1) 내에 위치되는 집수정 구조체는 버림콘크리트(2) 또는 바닥콘크리트(3) 타설시 콘크리트층과 일체가 되면서 경화된다. 이 때 외측집수부(10)의 바깥쪽으로는 수직형 보강부재(15)가 형성되어 수직 방향의 힘을 버티는 동시에, 콘크리트층 내에 굳건하게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외측집수부(10)의 측방 보강부재(12)에는 콘크리트층 내의 철근(30)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상방으로는 형틀(40)이 결합될 수 있다. 내측집수부(100)는 외측집수부(10)의 내측에 위치, 용접 결합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면서,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측집수부(10)의 바깥쪽으로 보강부재(12)가 형성되며, 이 보강부재(12)에는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30)이 결합된다.
외측집수부(10)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내방절곡부(17)를 형성하고, 그 상방에 누름콘크리트층(4)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것 이 가능하다. 이 부분에는 별도의 홀(17a)(17b)을 형성하고 물관(P)을 연결하여, 상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흐르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각 실시례를 좌우측에 다양하게 표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좌측 부분을 참조하면, 외측집수부(10)의 상단 바깥쪽으로 내측집수부(100)가 연장되고, 이 부분이 바닥콘크리트층(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며, 그 상방에는 형틀(4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부분을 참조하면, 외측집수부(10)의 측방이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며, 그 내부의 철근(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부는 누름콘크리트층(4)과 그 내부의 누름철근(32)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서 유입되는 드레인보드, 관 등의 배수재(D)는 버림콘크리트층(2) 내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h)만큼 올려서 측방유입구(18)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방의 유입구(16)와 와이어망(16a)은 하방에서 유입되는 지하수가 수용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며, 와이어망(16a)은 지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하방으로부터 차오르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이중벽 구조의 집수부 외측에는 콘크리트(5)나 방수재(130)를 바르거나, 타설하거나, 도포할 수 있다.
콘크리트(5)를 외측에 바르는 경우, 습기, 물로 인한 외측으로부터의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방수재(130)를 바르는 경우, 부식을 방지하고, 물이 새거나 스며드는 것을 막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방수재는 도포하거나, 부착시킬 수 있는데, 방수재로는 아스팔트 루핑, 아스팔트 펠트, 각종 방수시트(아스팔트시트, ECB시트, EVA시트, HDPE시트), 도막방수재, 방수액재질, 프라이머 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방수재를 내측집수부로 구성하며, 외측집수부의 내측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측, 외측 또는 바닥면 상하측에 스테인리스스틸을 덧대어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중으로 형성된 집수부는 그 내외부에 강도를 보강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도입한다.
먼저 외측집수부(10)의 외측 측방 또는 하방에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12)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로 돌출되는 이러한 보강부재(12)로 인해 강도가 향상되면서, 측벽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강부재(12)는 외측으로 수평 보강부재, 수직 보강부재를 형성하거나, 스터드 볼트(12b), T자형 부재(12c), L자형 부재(미도시), ㄷ자형 부재(미도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12)는 측방에서 콘크리트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집수부 측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되도록 한다.
외측집수부(10)의 외측 하방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가 형성될 수 있는데, T자형 부재(11a), L자형 부재(11b), 스터드 볼트(12b), ㄷ자형 부재(미도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측에서의 콘크리트 결합력이 향상되고,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외측집수부(10)의 내측으로도 내측 보강부재(12a)를 형성할 수 있으며, 수직형 리브(14)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측집수부(10)의 바닥 상측부에 수직형 보강부재(19)를 구비하여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내측집수부(100)에도 측방 또는 하방에 보강부재(140)를 형성할 수 있다.
외측집수부(10)와 내측집수부(100)의 사이에는 콘크리트(6)를 채워 넣는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부분, 즉 내측집수부(100)의 바닥 하부와 외측집수부(10)의 바닥 상부에만 콘크리트(6)를 채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측방 사이 공간에도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수는 있으나, 콘크리트(6)의 유입량이 많아져 다소 무거워 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측 바닥 부분 사이 공간에만 콘크리트(6)를 유입시키고, 측방 부분은 보강부재, 리브 등을 통해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집수정 바닥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집수정 바닥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집수정 바 닥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집수정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집수정 바닥에 관한 것으로, 외측집수부(10)의 바닥을 두 겹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측집수부(10)의 측벽 하단에 형성된 제 1 바닥(160)과, 상기 제 1 바닥과 일정높이로 이격된 제 2 바닥(150)으로 구성되어 두 겹으로 형성한 바닥 사이에 공간부(5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공간부(5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50) 내에 집수정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재(60)를 결합하면 지하수의 상향수압을 지지할 수 있는 강한 지지력과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60)는 장형의 봉형 또는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1), "I"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2),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5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3),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4),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6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5)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60)는 공간부(50)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접하여 볼트나 용접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4)는 중실 또는 중공의 사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내부에 보강부재(60)를 결합함으로써, 외측집수부(10)와 내측집수부(100) 사이에 콘크리트를 유입하여 집수정의 강도를 보강하는 데에 따른 시간,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높은 상향수압에 견딜 수 있는 강한 지내력과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의 바닥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집수정의 외측집수부(10)의 바닥을 두 겹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외측집수부(10) 하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형틀(70)을 결합한 것이다. 상기 바닥형틀(70)을 결합하기 전에 바닥형틀(70)의 공간부(50)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부재(60)를 결합시켜 집수정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집수정의 바닥에 결합된 보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단면이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7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보강부재(65)를 병렬로 접합연결한 후, 외측집수부(10)의 바닥의 하측과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다.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8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65)는 상호 간에 볼트나 용접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다른 보강부재(60)에 비해 보다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60)의 결합으로 인해 집수정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집수정의 상향수압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에 지하수가 유입되기 위한 배수재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배수재를 연결하기 위해서 집수정의 측벽 또는 바닥에 홀(H)이 형성된다. 이 홀(H)을 통해 지하수가 집수정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 지하수가 집수정의 외측으로 새거나, 이중 집수부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홀(H)에 차단부재(80)가 결합된다.
상기 차단부재(80)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을 상기 홀의 테두리에 삽입 결합시켜, 외측집수부(10)의 측벽과 내측집수부(1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집수정 내부로 물을 유입하면서 이중 집수부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홀(H)에 유입장치(90)를 결합시켜 이중 집수부 사이를 밀착시키며,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장치(90)는 관부(91)와 고정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부(91)는 일단부가 상기 홀(H)보다 넓어 일부만 상기 홀(H)에 끼워지고, 홀(H)에 끼워진 부분은 고정부(92)와 연동되어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이중 집수부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고, 상기 고정부(92)의 결합으로 이중 집수부 사이가 상호 밀접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92)는 너트와 같은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장치(90)의 다른 예로서, 상기 관부(91)의 측방부로 볼트, 너트 등의 결합부재(94)를 결합하여 이중 집수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결합부재(94)는 관부(91)를 상기 홀(H)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과 동시에, 이중 집수부을 강하게 밀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집수정 유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장치(90)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홀(H)에 유입관부(93)가 용접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홀의 테두리 부분에 볼트, 너트 등의 결합부재(94)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이중 집수부 사이의 틈이 감소하게 되고,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와 형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형틀에 홀이 형성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도 20의 형틀 외측으로 보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집수정의 바닥이 제 1 바닥부(210)와 제 2 바닥부(220)로 구성된 복합바닥부(200)로 이루어지며, 외측집수부(10) 또는 내측집수부(100)의 측벽의 상부로 형틀(40)이 결합된다.
복합바닥부(200)는 상기 외측집수부(10) 또는 내측집수부(100)의 측벽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바닥부(210)와 상기 제 1 바닥부(21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09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병렬로 접합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2 바닥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집수부(10)의 측벽 하단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10a)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바닥부(210)의 상단은 상기 절곡부(10a)와 상응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측집수부(10)에 형성된 절곡부(10a)가 제 1 바닥 부(210)와 상호 간에 볼트로 결합된다.
형틀(40)은 상기 내측집수부(100)의 측방절곡단부(110)의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고, 상기 형틀(40)의 내측으로는 상기 내측집수부(100)의 상방연장단부(120)가 상기 형틀(40)의 상단까지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틀(40) 및 상기 외측집수부(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집수부(100)는 물이 새거나 스며드는 것을 막게 하는 방수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형틀(40)과 상기 상방연장단부(120)의 외측으로는 측방으로부터 흐르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홀(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드레인보드, 관 등의 배수재(D)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틀(40)과 상기 외측집수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12b, 12c)가 결합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되고, 측벽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는 집수부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내외부에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콘크리트층이 일부로 경화되도록 하여, 집수정의 두께를 키우지 않더라도 원하는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집수부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집수부 제작시에 얇은 두께의 금속재 판재를 사용하여 집수정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성, 운반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구성된 틈새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이중 집수부 사이의 공간으로 시멘트혼합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집수부를 얇은 재질로 사용하면서도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 경화되도록 하여 보강부재와 시멘트혼합물이 일체화되면서 강한 지지력과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의 바닥 내부에 보강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집수정 구조체의 제조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집수정의 상향수압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의 측벽 또는 바닥에 유입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집수정 내로 물이 유입될 때 이중 집수부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5)

  1.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있어서,
    측벽을 포함하는 외측집수부;
    상기 외측집수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일정량의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벽을 포함하는 내측집수부; 및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바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내측집수부의 측벽은 이중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상기 외측집수부는 강재, 합성수지 재질, 우레탄재질, 메탈라스, 와이어매쉬, 본드합성재질, 아스팔트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시멘트혼합물을 유입시켜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내측에는 판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상단은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상단 바깥쪽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상단은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보다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8. 제 6 항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상기 내측집수부의 단부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내측집수부의 단부는 측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 측벽의 상부에는 형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 또는 외측집수부 또는 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방수재를 바르거나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집수부의 외측 또는 바닥의 하측에는 시멘트혼합물을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입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집수부의 바닥 상측에는 상방으로 돌출연장되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또는 바닥 하측에는 외측으로 돌출연장되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 또는 바닥 하측에는 외측으로 돌출연장되는 보강부 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는 방수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집수부의 내측 또는 상기 외측집수부의 외측 또는 상기 바닥의 하측에는 스테인리스스틸을 덧대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18. 제 4 항에 있어서,
    유입된 상기 시멘트 혼합물이 경화된 후에, 상기 내측집수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제 집수정 구조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두 겹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의 하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형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10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병렬로 접합연결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2.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ㄷ" 또는 "I" 또는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11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12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또는 상기 바닥에는 관통 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집수정으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는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홀의 테두리에 차단부재가 삽입되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는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을 밀착시켜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홀보다 크도록 측방 돌출 형성되고, 내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를 상기 측벽 또는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장치는:
    내측이 관통되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부; 및
    상기 홀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외측집수부의 측벽과 상기 내측집수부의 측벽을 밀착시키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상기 외측집수부 또는 내측집수부의 측벽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바닥부; 및
    상기 제 1 바닥부의 하측에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병렬로 접합연결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바닥부; 를 포함하는 복합바닥부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바닥부 가 집수부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닥부의 보강부재는 "
    Figure 112007040184884-PAT00013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집수부 또는 내측집수부의 측벽 하단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바닥부의 상단은 상기 절곡부와 상응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측집수부 또는 내측집수부에 형성된 절곡부가 제 1 바닥부와 상호 간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에는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집수정으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3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1020070053520A 2006-11-20 2007-05-31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20080045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4407 2006-11-20
KR1020060114407 2006-11-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78A Division KR20080074057A (ko) 2008-06-30 2008-06-30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597A true KR20080045597A (ko) 2008-05-23

Family

ID=3966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520A KR20080045597A (ko) 2006-11-20 2007-05-31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55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360B1 (ko) *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횡단보도 환경개선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213359B1 (ko) *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급속 시공이 가능한 빗물받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25566B1 (ko) * 2022-09-23 2024-01-16 강태관 원료 절감 및 시공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 구조의 집수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360B1 (ko) *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횡단보도 환경개선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213359B1 (ko) * 2020-06-02 2021-02-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급속 시공이 가능한 빗물받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25566B1 (ko) * 2022-09-23 2024-01-16 강태관 원료 절감 및 시공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 구조의 집수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CN110761322B (zh) 一种现浇管廊侧墙水平施工缝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93896B1 (ko) 토사 일체화 합벽구조를 갖는 구조물용 피씨 월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2008004559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2008007405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101469603B1 (ko) 다목적 결속관을 구비한 루프용 강관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2011005584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저수조의 구조
KR101761779B1 (ko) 기초 매입형 강재 집수정을 시공하는 방법
KR101066198B1 (ko) 슬러리 월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 시공 방법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0291960Y1 (ko) 금속재 집수정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756664B1 (ko) 터널배수공법
KR20090043745A (ko)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CN210421374U (zh) 一种混凝土泵管清洗及渣、水分离回收利用系统
KR20090029531A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KR100823033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20090000334A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83798B1 (ko)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