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72A -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 Google Patents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72A
KR20090003572A KR1020070066321A KR20070066321A KR20090003572A KR 20090003572 A KR20090003572 A KR 20090003572A KR 1020070066321 A KR1020070066321 A KR 1020070066321A KR 20070066321 A KR20070066321 A KR 20070066321A KR 20090003572 A KR20090003572 A KR 2009000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orming
water collecting
composite bottom
collecting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7006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572A/ko
Publication of KR2009000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및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는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상측의 제1바닥부와 하측의 제2바닥부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바닥부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는, 집수정의 바닥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보강부재 또는 보강빔을 구비함으로써, 바닥부를 경량화하면서도 하측으로부터의 강한 압력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대량생산되는 복합바닥부재를 사용하여 집수정의 바닥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작업환경에 맞도록 집수정의 크기를 현장에서 조절하여 호환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집수정의 바닥부를 대량생산되는 제1,2바닥부, 복합바닥부재, 보강부재 및 보강빔 등을 사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운반 및 시공,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집수정, 바닥, 측벽, 복합구조

Description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Composite Floor Structure for sump system}
도1은 종래의 집수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에 측벽부가 결합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에 추가바닥부가 구비되는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바닥부재에 측벽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결합부에 철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측벽부 및 형틀에 방수패널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결합부에 측벽부 및 부가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결합부재에 측벽부 및 철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에 형틀 또는 형틀 및 측벽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측벽부 또는 형틀의 상부에 덮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보강부재 사이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의 내측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에 추가바닥부가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집수정 2: 바닥콘크리트층
10: 바닥부 20: 측벽부
30: 집수부 100,101,102,400: 복합바닥부재
110: 제1바닥부 120: 제2바닥부
200,201: 보강부재 202: 스터드볼트
210: 보강리브 300: 추가바닥부
410: 결합부 420: 결합부재
430: 체결부재 500: 보강빔
600: 형틀 700: 방수패널
800: 부가플레이트 900: 덮개부
S: 내부 철근
본 발명은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수정의 하방 강도를 확보면서, 작업환경에 맞도록 집수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도록 집수정의 하방을 복합바닥 구조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집수정은 건물지하층 하부의 지하수 또는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건축되는 모든 건물에는 집수정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집수정은 공사가 진행 중일 경우에는 공사현장의 빗물과 지하수를 모아 양수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모여진 물을 펌프로 배출하기 전까지 수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집수정은 건물의 최하층 슬래브보다 낮아야 하므로, 집수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파기 및 집수정 구조 형성을 위한 철근콘크리트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별도의 공기가 소요된다. 아울러 물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요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종래의 집수정은 바닥면의 일부로서 지내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목적과 지하수 또는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정이라는 기능상의 목적을 만족해야 하므로, 설계시에 집수정을 바닥콘크리트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집수정은 기능상의 목적을 달성하는 일과 시공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운 점이 있는데, 집수정이 설치되는 부분은 가장 깊은 위치가 되어야 하다 보니, 이 부분에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어 이 부분에서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운 난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정과 연결되기 위한 기타 복잡한 구성들이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사후 보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일체형 집수정이 안출되었다. 도1은 종래의 집수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체형 집수정(1)은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서, 굴토마감면을 터파기하고, 지하 마감층 바닥에 매설, 고정되어, 그 내부로 지하수, 빗물 등이 배수되어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재 집수정(1)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사전에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다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제작하거나, 정밀한 터파기 및 설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금속으로 해당 집수정(1)을 구성하는데 있어 바닥부(10)의 두께를 무한정으로 두껍게 할 수 없으며, 재료비나 운송비 역시 부담되기 때문에 적당한 선에서 두께를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집수정(1)을 형성한 것에 비해 강도가 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높은 상향수압이나, 상방 가압력에 의해 집수정(1)이 하측에서 힘을 받아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사전에 크기가 정해져서 일체로 제작되므로 시공현장으로 운반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동되는 건물의 규모 및 시공현장 여건에 따라 크기 변경이 불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집수정(1)이 각각 사전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집수정(1) 하측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보다 강도가 향상되면서도 설치, 운반이 간편하고, 크기의 변형이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집수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는, 집수정의 바닥부를 대량생산되는 제1,2바닥부, 복합바닥부재, 보강부재 및 보강빔 등을 사용하여 집수정의 바닥부를 이중구조로 제작하여,
바닥부를 경량화하면서 집수정의 하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작업환경에 맞도록 집수정의 크기를 현장에서 조절하여 호환적용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상측의 제1바닥부와 하측의 제2바닥부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바닥부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닥부와 제2바닥부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형성 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제1, 2바닥부에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바닥부의 하면 또는 제2바닥부의 상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닥부의 상측 또는 제2바닥부의 하측에 덧붙여져 결합되는 추가바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측벽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바닥부 및 보강부재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바닥부 및 보강부재의 절곡부는 각각 용접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닥부 또는 제2바닥부에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볼트;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바닥부벽체가 결합 또는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콘크리트혼합물이 채워져서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바닥면 내측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볼트가 구비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바닥부벽체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상측 내부공간에 콘크리트혼합물이 채워져서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에는 그 내부에 수용가능한 넓이의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구조는 내부가 빈 입체형태의 복합바닥부재이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는 다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상호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는 단면이 '□'형상으로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는 사각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는, '□'형상의 단면상 어느 일방 이상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덧붙여져 결합되는 추가바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추가바닥부와 상기 집수정의 측 벽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복합바닥부재들은 상호 간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부 빈공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장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방에서 상기 복합바닥부재 내의 빈공간에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장형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측벽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복합바닥부재에 연결된 측벽부의 상단에는,상기 측벽부의 상방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연결되는 형틀;이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외곽측 또는 측벽부의 상단 또는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외곽측 또는 측벽부의 상단 또는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는 형틀이 더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상측에는 형틀이 더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보강부재들 사이사이를 연결하면서, 병렬배치되는 보강리 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재들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보강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보강부재의 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및 보강리브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부에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 및 보강리브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표면부에 코팅재가 도포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또는 형틀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벽부 또는 형틀의 상부를 덮게 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 내의 공간에는 시멘트혼합물이 채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바닥부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며, 서로 합쳐져서 상기 복합바닥부재 면적에 상응하게 연결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리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추가바닥부 각각의 단부가 절곡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바닥부는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복합바닥부재 상측의 상기 추가바닥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복합바닥부재 하측의 상기 추가바닥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게 이격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바닥부 및 복합바닥부재에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그에 상응하는 길이의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동시에 관통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에 측벽부가 결합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에 추가바닥부가 구비되는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복합바닥부의 단면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3,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100) 제1, 2바닥부(110,120)로 구성되고, 사이에 보강부재(2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100)의 상측으로는 측벽부(20)가 형성되어 내부에 집수부(30)를 가지게 된다.
제1, 2바닥부(110,120)는 집수정(1)의 측벽부(20)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호간에 일정높이 이격되어서, 평행하도록 한 쌍을 이루게 된다.
보강부재(200)는 상기 제1, 2바닥부(110,120)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병렬배치되어서, 상기 제1, 2바닥부(110,12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제1, 2바닥부(110,120)에 볼트결합되거나, 용접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제1바닥부(110)의 하면 또는 제2바닥부(120)의 상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201)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거나, 일측 단부만이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 강부재(201)의 절곡부가 상기 제1, 2바닥부(110,1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00)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복합바닥부재(100)은 상기 제1바닥부(110) 또는 제2바닥부(120)에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볼트(202)가 더 포함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바닥부재(100)가 바닥면을 이루는 집수정이 바닥콘크리트층에 매설될 때, 상기 복합바닥부재(100)의 제1,2바닥부(110,120) 사이로 콘크리트 혼합물이 채워지게 되고 이때, 상기 스터드볼트(202)가 구비되어 상기 복합바닥부재(100)와 콘크리트 혼합물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바닥부(110)의 상측 또는 제2바닥부(120)의 하측으로 덧붙여져 결합되는 추가바닥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2바닥부(110,120) 및 추가바닥부(300)는 상기 보강부재(200,201)의 전체를 덮거나 또는 일부분만을 덮도록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2바닥부(110,120)와 상기 집수정(1)의 측벽부(20)의 연결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2바닥부(110,120) 및 보강부재(201)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례에 따른 복합바닥부재(101)는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바닥부벽체가 결합 또는 형성되게 되고, 그 바닥면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스터드볼트(202)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101)의 바닥면에 결합 또는 형성되는 바닥부벽체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바닥부재(101)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혼합물이 채워지게 되고, 상기 스터드볼트(202)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양생되어 고정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101)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600) 또는 측벽부(20)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30)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복합바닥부재(102)의 구조는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바닥부벽체가 결합 또는 형성되게 되고, 그 바닥면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보강부재(20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바닥면에 결합 또는 형성되는 바닥부벽체는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혼합물이 채워지게 되는데,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부재(200)가 포함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상측에는 그 내부에 수용가능한 넓이의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형틀(600) 및 측벽부(20)의 폭은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좁게 형성되고, 상기 형틀(600) 및 측벽부(20)와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틈사이로 콘크리트 혼합물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102)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600) 또는 측벽부(20)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30)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바닥부재에 측벽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는 입체형태의 복합바닥부재(400)가 다수개 연결되어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한다.
복합바닥부재(400)는 다수개가 병렬로 상호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바닥부재(400)는 단면이 '□'형상으로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는 사각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다수 개가 병렬로 접합연결되고, 연결된 다수의 상기 복합바닥부재(400)들은 상기 집수정(1)의 측벽부(20)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상측단에는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이 올려져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외곽측에 연장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420)가 더 구비되고, 그 결합부재(420)와 상기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이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는 '□'형상의 단면상 일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덧붙여져 결합되는 추가바닥부(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복합바닥부재(400)들은 상호 간에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례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추가바닥부(300)와 상기 집수정(1)의 측벽부의 연결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에는 보강빔(50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져, 상기 집수부(30)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400)는 집수정(1)의 측벽부(20)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단면상 가로변은 상기 집수부(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는 사각빔 형태로 형성된다.
보강빔(500)은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부 빈공간에 상응하는 높이의 단면이 사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빔(500)은 측방에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의 빈공간으로 끼워져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병렬배치되어, 상기 집수부(30)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와 상기 집수정(1)의 측벽부(20)의 연결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결합부에 철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측벽부 및 형틀에 방수패널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결합부에 측벽부 및 부가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결합부재에 측벽부 및 철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에 형틀 또는 형틀 및 측벽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10,11,12,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1)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100,400)의 상측에는 측벽부(20), 형틀(600) 또는 측벽부(20) 및 형틀(600)이 연결될 수 있다.
형틀(600)은 집수부(30)의 하부를 형성하는 복합바닥부재(100,400)에 연결된 측벽부(20)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틀(600)은 상기 측벽부(20)의 상방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측벽부(20)의 상단은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형틀(600)의 하단은 상기 측벽부(20)의 상단에 상응하도록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결합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10)가 상호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와 측벽부(20)가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410) 및 상기 측벽부(20)와 형틀(600)이 연결되는 결합부(410)에는 집수정(1)이 매설되는 바닥콘크리트층(2)의 내부 철근(S)들이 관통되어 연결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콘크리트층(2)의 내부 철근(S)들이 상기 측벽부(20) 및 형틀(600)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정(1)이 바닥콘크리트층(2)에 더욱 견고하게 매설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부재(100)의 외곽측에는 철근관통용홀 및 측벽부결합용홀이 각각 2열로 형성되는 결합부재(420)가 용접결합되어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이 연결되게 되고, 집수정(1)이 매설되는 바닥콘크리트층(2)의 내부 철근(S)들이 상기 결합부재(420)의 철근관통용 홀에 삽입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30) 내측면에는 방수패널(700)이 구비되어, 상기 복합바닥부재(100,400), 측벽부(20) 및 형틀(60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정(1)의 집수부(30)를 이루는 상기 복합바닥부재(100,400)의 상면과 상기 측벽부(20)의 내측면 및 상기 형틀(600)의 내측면에는 각각 상응하는 면적의 방수패널(700)이 겹쳐지게 부착된 상태로, 상호 간에 볼트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바닥부재(400)과 상기 측벽부(20)가 상호 간에 결합될 때, 상기 측벽부(20)의 하단이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그 절곡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결합부(410) 상측면에 올려지고, 그 상측에는 안정적인 볼트결합을 위한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가지는 판형태의 부가플레이트(800)가 올려진 상태로 상기 결합부(410), 측벽부(20)의 절곡부 및 부가플레이트(800)를 볼트가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바닥의 표면부에는 지수,방수기능을 하는 코팅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측벽부 또는 형틀의 상부에 덮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바닥부재(100,400)에 연결되는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의 상단부에는 덮개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900)는 상기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의 상부를 덮게 되는데, 상기 덮개부(900)가 더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1)에서 상기 측벽부(20) 또는 형틀(600)에 양측방에서 내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는 지지강도가 높아지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5,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보강부재 사이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1)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 구조의 보강부재(200)들 사이에는 보강리브(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상기 보강부재(200)들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재(200)와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21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200)들 사이에 보강리브(210)들이 연결되어, 상기 보강부재(200)들을 측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보강부재(200)의 좌굴이나 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리브(2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보강부재(2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10)는 상기 보강부재(200)의 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내측면과 상기 보강리브(210)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의 내측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1)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 구조의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에는 보강리브(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양단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부에 연결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21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면에는 보강리브(210)들이 연결되어,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보강부재(200)의 좌굴이나 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리브(2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는 절곡되어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10)는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내측면과 상기 보강리브(210)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내의 공간에는 시멘트혼합물을 채워서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의 복합바닥부재에 추가바닥부가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추가바닥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추가바닥부(300)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며, 서로 합쳐져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면적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바닥부(300)는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상측에 분리형성되는 상기 추가바닥부(30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복합바닥부재(400) 하측에 분리형성되는 상기 추가바닥부(30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측방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집수부(30) 내의 물이 상기 추가바닥부(300)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 하방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두 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는 상기 추가바닥부(30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절곡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게 되고, 그 절곡부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상기 복합바닥부재(400)의 사이사이에 삽입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바닥부(300) 및 복합바닥부재(400)는 상호 간에 볼트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추가바닥부(300) 및 복합바닥부재(400)가 상호 접합되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일직선상의 수직 또는 수평 길이방향으로 그에 상응하는 길이의 체결부재(430)가 삽입되어, 동시에 상기 추가바닥부(300) 및 복합바닥부재(400)를 연결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는, 집수정의 바닥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보강부재 또는 보강빔을 구비함으로써, 바닥부를 경량화하면서도 하측으로부터의 강한 압력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대량생산되는 복합바닥부재를 사용하여 집수정의 바닥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작업환경에 맞도록 집수정의 크기를 현장에서 조절하여 호환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집수정의 바닥부를 대량생산되는 제1,2바닥부, 복합바닥부재, 보강부재 및 보강빔 등을 사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운반 및 시공,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0)

  1.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상측의 제1바닥부와 하측의 제2바닥부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바닥부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와 제2바닥부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제1, 2바닥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바닥부의 하면 또는 제2바닥부의 상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의 상측 또는 제2바닥부의 하측에 덧붙여져 결합되는 추가바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측벽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바닥부 및 보강부재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바닥부 및 보강부재의 절곡부는 각각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 또는 제2바닥부에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볼트;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0.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바닥부벽체가 결합 또는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콘크리트혼합물이 채워져서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바닥면 내측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볼트가 구비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1.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구조는,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바닥부벽체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상측 내부공간에 콘크리트혼합물이 채워져서 복합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에는 그 내부에 수용가능한 넓이의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2.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구조는 내부가 빈 입체형태의 복합바닥부재이고,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결합부 상측에는 형틀 또는 측벽부가 결합 또는 형성되 어,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집수부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는 다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상호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는 단면이 '□'형상으로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는 사각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는,
    '□'형상의 단면상 어느 일방 이상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덧붙여져 결합되는 추가바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추가바닥부와 상기 집수정의 측벽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8. 제 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합바닥부재들은 상호 간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부 빈공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장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방에서 상기 복합바닥부재 내의 빈공간에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장형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측벽부는 일체로 이루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1. 제 1항, 제 10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복합바닥부재에 연결된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측벽부의 상방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연결되는 형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2. 제 1항, 제 10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외곽측 또는 측벽부의 상단 또는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3. 제 1항, 제 10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외곽측 또는 측벽부의 상단 또는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는 형틀이 더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측에는 형틀이 더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6. 제 2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보강부재들 사이사이를 연결하면서, 병렬배치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재들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절곡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보강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보강부재의 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및 보강리브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부에 연결되면서,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 및 보강리브의 절곡부는 각각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4. 제 1항, 10항, 11항 또는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표면부에 코팅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5. 제 1항, 10항, 11항 또는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또는 형틀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벽부 또는 형틀의 상부를 덮게 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6. 제 1항, 10항, 11항 또는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닥부재 내의 공간에는 시멘트혼합물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바닥부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며, 서로 합쳐져서 상기 복합바닥부재 면적에 상응하게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8. 제 37항에 있어서,
    분리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추가바닥부 각각의 단부가 절곡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절곡부가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고정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바닥부는 상기 복합바닥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복합바닥부재 상측의 상기 추가바닥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복합바닥부재 하측의 상기 추가바닥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게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바닥부 및 복합바닥부재에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그에 상응하는 길이의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동시에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KR1020070066321A 2007-07-03 2007-07-03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KR20090003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321A KR20090003572A (ko) 2007-07-03 2007-07-03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321A KR20090003572A (ko) 2007-07-03 2007-07-03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72A true KR20090003572A (ko) 2009-01-12

Family

ID=4048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321A KR20090003572A (ko) 2007-07-03 2007-07-03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5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8B1 (ko) * 2010-11-09 2011-04-19 주식회사 복주 이중바닥 구조를 갖는 저수조
CN109098425A (zh) * 2018-09-21 2018-12-2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操作台连接结构
CN110359485A (zh) * 2019-07-05 2019-10-2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模板预埋槽固定装置及其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8B1 (ko) * 2010-11-09 2011-04-19 주식회사 복주 이중바닥 구조를 갖는 저수조
CN109098425A (zh) * 2018-09-21 2018-12-2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操作台连接结构
CN109098425B (zh) * 2018-09-21 2023-10-13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梁操作台连接结构
CN110359485A (zh) * 2019-07-05 2019-10-2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模板预埋槽固定装置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US20110011018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2171825B1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101225661B1 (ko) 강재 플레이트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키와 연결부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48272B1 (ko)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CN101939492B (zh) 预浇制临时设施结构及其建造方法
WO2012096639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US20180223520A1 (en) Prefabricated Modular Constructive System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CN111794421B (zh) 一种预制混凝土楼板装配方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CN209958393U (zh) 挤压套筒连接的叠合管廊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090938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
KR2008007405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RU2380494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бор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лонн с монолитным перекрыт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