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235B1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235B1
KR100973235B1 KR1020070112027A KR20070112027A KR100973235B1 KR 100973235 B1 KR100973235 B1 KR 100973235B1 KR 1020070112027 A KR1020070112027 A KR 1020070112027A KR 20070112027 A KR20070112027 A KR 20070112027A KR 100973235 B1 KR100973235 B1 KR 10097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it
mold
coupling
elevator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084A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560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732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7011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4Placing concrete in mould-pipes, pile tubes, bore-holes or narrow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통한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운반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ELEVATOR PIT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을 형성할 때,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사운반이 간편하며,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하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의 피 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 구조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지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바닥면으로 유수가 침투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유수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하거나, 균열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시공 시, 유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나,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이러한 배수 공법 없이 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리브와 같은 복잡한 구성의 강재 구조가 필요 없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구조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하거나, 균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 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호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결합부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형틀의 결합부는 수평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은 다수 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형틀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 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호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형틀의 결합부는 수평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는 상기 바닥부의 외벽을 통해 흐르는 유수를 차단시키도록 차수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을 연결시키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콘크리트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방향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부 내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에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부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의 내주면 및 상기 형틀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 최하층 바닥을 형성시키는 피트지지바닥부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는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피트지지벽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의 외측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는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측벽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지지리브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장형의 빔 형태이고, 그 단면은 삼각, 사각, 원, 'H', 'I' 'ㄷ', 'ㄴ' 또는 '
Figure 112007079264436-pat00001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 중 각 보강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천공되고, 시멘트혼합물이 상기 주입홀을 통하여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2 이상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각 바닥부의 서로 마주보 는 측부는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집수정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의 하측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굴토면이 상호 이격 위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부를 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의 외측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는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도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측으로 더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하측으로 콘크리트층이 위치되며,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그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 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외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측방으로는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근은 종, 횡으로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시멘트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철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측벽부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측벽부 외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통한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강재 리브 없이도, 입체형 바닥부를 통해 하부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 생산, 현장 조립이 가능한 바닥부 및 측면부를 사용하도록 하여, 운반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강도를 확보하며,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으로 유입되는 유수 또는 빗물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집수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철근에 의하여 피트지지벽체부의 하중이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되도록 하고, 바닥부의 견고한 구조로 인하여, 과도한 건물 하중이나, 지내력을 부담함 없이, 상향 수압에 대한 부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하중, 지내력만을 부담하게 되므로, 바닥 콘크리트층을 얇게 구성하여, 시공비 절감 및 공기 를 단축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평평한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판형의 바닥부(100)가 위치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바닥설치홈(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1a)에 바닥부(1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현장 조건에 따라 버림콘크리트층(2)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200)이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형틀(200) 외측으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바닥부(10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바닥부(1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형틀(200)은 바닥부(10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형틀(20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바닥부(100) 및 형틀(2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형틀(20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산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으며,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형틀(200)은 바닥부(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도 2a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건축물(B)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종래 하단구조물(5)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하단구조물(5)이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바닥설치홈(1a')에 하단구조물(5)이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의 두께(d)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종래 하단구조물(5)이 견고한 구조 강도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설치홈(1a')에는 하단구조물(5) 하부로 유입되 는 습기나 빗물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집수정(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바닥설치홈(1a)의 하단에서 집수정 크기의 집수정홈(미도시)을 타설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단구조물을 사용하게 되면, 이 바닥설치홈(1a: 도 2b 도시)의 깊이를 콘크리트층(3)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고, 집수정홈(미도시)과 집수정을 상호 이격 위치시킬 수 있어서, 집수정홈을 집수정의 크기에 맞도록 정밀하게 공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건축물(B)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바닥설치홈(1a)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가 견고한 구조 강도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을 사용하게 되면, 이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를 콘크리트층(3)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고, 집수정(미도시)을 집수정 홈(미도시)에서 이격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그만큼의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의 바닥부(100)는 그 상부에 측벽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부(100)는 바닥설치홈(1a)을 갖는 바닥판(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상방에 위치되고,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측벽부(120)가 세워진다. 그리고 측벽부(120)는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12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상단에 형틀(200)이 결합되며, 이러한 바닥부(100), 측벽부(120) 및 형틀(2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바닥부(100)의 외곽에 테두리부(102)가 상부 방향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부(102)의 상단에는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꺾인 형태라 함은 절곡 또는 용접에 의하여 꺾이도록 형성되 는 것을 말한다. 상기 결합부(110)는 테두리부(102)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꺾이면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결합부(110)에 상응하도록 형틀(200)의 하단 또한, 꺾이면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바닥부(100)의 결합부(110) 및 형틀(200)의 결합부(210)는 서로 포개어지면서 면결합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결합부(110, 210)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볼트나 쇄기 등의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각 결합부(110, 21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들 결합부(110, 2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와 형틀(20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이 타설되고, 바닥부(100) 및 형틀(200)로 인해 상방으로 엘리베이터 이동용 개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층(3) 즉, 시멘트 혼합물이 바닥부(100) 중앙 측 상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바닥부(100)는 그 외곽에서 상부 방향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테두리부(102)를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부(102)의 상단부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수평하게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112)의 내측으로 형틀(200)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된 결합부(212)가 바닥부(100)의 결합부(112)에 포개어지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각 결합부(112, 212)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볼트나 쇄기 등의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각 결합부(112, 212)를 견고하 게 결합시키며, 이들 결합부(112, 212)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결합부(112)의 외측으로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300)이 결합부(112)에 관통 결합되면서, 바닥부(100) 또는 형틀(200)이 콘크리트층(3) 내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바닥부(100)는 그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테두리부(102)를 구비하며, 이 테두리부(102)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결합부(114)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114)에 형틀(200)의 결합부(210)가 직접 맞대어지면서 결합되거나, 또는, 바닥부(100)의 결합부(114) 및 형틀(200)의 결합부(210) 사이에 별도의 결합부재(400)가 개재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바닥부(100)의 결합부(114) 및 형틀(200)의 결합부(210)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 결합부(114, 21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외측으로는 철근(300)이 관통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홀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부재(40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부(114, 210)와 결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400)는 바닥부(100)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판 형태이므로, 콘크리트층(3) 과 강재 하부 구조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차수키 역할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3의 바닥부(100)의 측벽부(120) 및 형틀(200)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122, 21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22)는 바닥부(100)의 측벽부(120)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면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결합부(122)에 상응하도록 형틀(200)의 하단 또한,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결합부(122, 210)에 형성되는 홀에 볼트나 쇄기 등의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들 결합부(122, 2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결합부(122)의 외측, 및 형틀(200)의 결합부(210)의 외측으로는 콘크리트층(3) 내에 배치되는 철근(300)이 관통 연결되어, 바닥부(100) 또는 측벽부(120)가 콘크리트층(3) 내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바닥부에 차수벽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바닥부(100)는 그 테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테두리부(102)를 구비하며, 이 테두리부(102)의 선단부에는 결합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테두리부(102)의 외측 또는, 결합부(112)의 상면에서 그 외측방으로 차수벽(130a, 130b)이 돌출 형성되어, 콘크리트 층(3)과 바닥부(100) 외벽의 미세한 틈으로 흐르는 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측벽부(120)가 형성되며, 측벽부(120)의 상단에 결합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20)의 외측방으로 차수벽(130c)이 돌출 형성되어, 콘크리트층(3)과 바닥부(100) 및 측벽부(120)의 외벽의 미세한 틈으로 흐르는 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집수정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바닥부(100) 및 형틀(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바닥부(100)에 구비되는 결합부(10)와 형틀(200)에 구비되는 결합부(210)가 상호 면 결합된다.
이처럼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틀(200)이 바닥부(100)와 견고하게 결합되고, 바닥부(100) 및 형틀(2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피트는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층에 위치하게 되는바, 유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물이 유입되곤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유입된 물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배수공(104), 집수정(145) 및 배수로(1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배수공(104)은 바닥부(100)의 테두리부(102)를 관통 형성되는 통공으로서, 상기 통공을 통하여 바닥부(100)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이 외부로 방출된다.
집수정(145)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위치되며,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집수정(145)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집수정(145)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마련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로(140)는 일측은 배수공(104)에 연결되고 타측은 집수정(145)에 연결되어, 배수공(104)을 통하여 방출되는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을 집수정(145)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집수정(145)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집수정(145)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바닥부(100), 측벽부(120) 및 형틀(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유입된 세척수나 빗물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바닥부(100)에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120)의 하측에 배수공(124)이 위치되고, 배수공(124)에 배수로(140)가 연결되며, 배수로(140)를 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집수정(145)으로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이 배수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닥부(100)의 외측 상부로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2)의 상부에 형틀(200)이 위치되며, 상기 형틀(200)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기 위하여, 또는 공사 현장 조건에 따라, 다수 개의 작은 형태로 나누어져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형틀(200)는 상하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결합부(210)를 형성하고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상하의 형틀(200)의 결합부(210)와 포개어지며 상호 면결합된다. 이때, 각 결합부(112, 21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수 개로 구성되는 형틀(200)은 하나의 형틀(200)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콘크리트층(3)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구조적 강성과 지지력을 갖게 된다. 또한, 형틀(200)이 작은 형태로 구성되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운반 및 현장 제작이 간편하며, 크기와 강도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결합돌출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바닥부(100) 및 형틀(200)이 구비되며, 바닥부(100)의 테두리부(102) 또는 형틀(200)의 외측으로 결합돌출부재(160)가 돌출 형성된다. 결 합돌출부재(160)는 바닥부(100)와 형틀(20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될 때,콘크리트층(3)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바닥부(100) 측벽부(120) 및 형틀(200)이 구비되며, 측벽부(120) 또는 형틀(200)의 외측으로 결합돌출부재(160)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출부재(160)는 측벽부(120)와 형틀(20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층(3)이 타설될 때,콘크리트층(3)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도 10a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엘리베이터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에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1a')의 상부에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5)이 배치되며, 바닥설치홈(1a') 및 구조물(5)의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피트지지바닥부(20)는 엘리베이 터가 도달할 수 있는 최하층의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피트(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벽체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10)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에서 하방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에 상응하는 깊이 이상으로 터파기를 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에 상응하도록 굴토하는 것은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0)을 형성시킨 후, 상기 바닥설치홈(10)에 본 발명의 바닥부(500) 및 형틀(700)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500) 및 상기 형틀(700)은 하기 도 1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바닥설치홈(10) 및 형틀(700)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피트지지바닥부(20)는 엘리베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최하층의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피트(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형틀(70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벽체부(30)가 형성된다.
이때,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900)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배치되고, 이렇게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에 매설 배치되는 지지철근(900)에 의해 피트지지벽체부(3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외측으로 유도된다.
한편, 상기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는 바닥면(10)의 저면에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에서 하방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깊이(d) 이상으로 터파기를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체를 사용하게 되면, 지지철근(900)에 의하여 상기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시키면서도, 상기 바닥면(1)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지지 강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바닥부(500), 콘크리트부(600) 및 형틀(700)이 위치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바닥설치홈(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10)에 바닥부(5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현장 조건에 따라 버림콘크리트층(2)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림콘크리트층(2)이 보다 강한 강도를 지니도록 버림콘크리트층(2)의 내부에는 철근(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바닥부(50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금속 또는 시멘트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500)가 시멘트혼합물로 구성되는 경우, 그 내부에 종, 횡으로 철근(미도시)이 배치되어, 바닥부(500)를 보다 견고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바닥부(500)를 다수 개 구비하고, 각각의 바닥부(500)를 서로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500)의 외곽을 따라 테두리부(501)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테두리부(501)의 상단에는 결합부(50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02)는 테두리부(501)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면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500)의 결합부(502)에 상응하도록 후술하는 형틀(700)의 하단 또한,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702)가 형성되며, 각 결합부(502, 702)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500)가 위치된 바닥설치홈(10)의 내주면 및 형틀(700)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되는데, 이때, 피트지지바닥부(2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900)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배치되고, 이렇게 피트지지바닥부(20)에 매설 배치되는 지지철근(900)에 의해 피트지지벽체부(3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외측으로 유도된다.
이처럼 피트지지바닥부(20)의 하중이 상기 도 10a의 종래구조와 같이, 바닥설치홈(10)으로 가해지지 않게 되고, 피트하단부(100) 외측으로 유도되게 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홈(10)은 상기 피트하단부(100)의 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상향 부력만을 감당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를 상기 도 10a에 도시된 종래구조의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보다 작게 굴토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콘크리트부(600)는 바닥부(500)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바닥부(500)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부(600)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부(600) 내부에는 장형의 보강리브(610) 다수 개가 연속 배열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상기 보강리브(610)에는 보강리브(610)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철근(620)이 일체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바닥부(5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콘크리트부(600)에 의하여, 바닥부(500)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철근(620)에 의하여 피트지지벽 체부(30)의 하중이 피트지지바닥부(20)의 외측으로 유도될 때, 피트지지벽체부(30) 및 피트지지바닥부(20)의 일부 하중이 바닥설치홈(10)에 가해진다 하더라도, 견고하게 구성되어 강한 지내력을 가지는 콘크리트부(600)가 바닥설치홈(10)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를 작게 굴토 형성하여도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형틀(700)은 바닥부(50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부(5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형틀(700)에 의하여 바닥부(5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바닥부(500) 및 형틀(7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형틀(70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산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 개를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고,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형틀(700)은 바닥부(50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의 바닥부(500)는 그 상부에 측벽부(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부(500)는 바닥설치홈(10)의 상면에 위치되고, 바닥부(500)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부(600)가 형성되며, 콘크리트부(600)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보강리브(610)가 연속 배열되어, 콘크리트부(600)를 견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5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측벽부(550)가 세워진다. 측벽부(550)는 바닥부(5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550)에 의하여 바닥부(5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550)의 상단에 형틀(700)이 결합부(552, 702)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바닥부(500), 측벽부(550) 및 형틀(7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2에서 콘크리트부(600)가 바닥부(500)의 하부에 위치되고, 결합돌출부재(910) 및 완충스프링(8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바닥설치홈(10)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부(600)가 형성되며, 콘크리트부(600)의 내부에는 철근(620)이 관통 결합된 다수 개의 보강리브(610)가 연속 배열되어, 콘크리트부(600)를 견고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부(600)의 상부에 바닥부(500) 및 형틀(700)이 차례로 위치된다. 이처럼 바닥부(500)의 하부에 견고한 콘크리트부(600)가 위치됨으로써, 바닥설치홈(10)에서 올라오는 상향 부력을 견딜 수 있으며,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합돌출부재(910)는 바닥부(500) 또는 형틀(7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터드 볼트(Stud Bol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돌출부재(910)는 바닥부(500) 또는 형틀(70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될 때,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스프링(860)은 엘리베이터 피트 상부에서 상하운동하는 엘리베이터가 사고나 점검 등으로 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하면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500)로 낙하될 때, 충격 강도를 최대한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부(500)의 상면에 다수 개가 위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보강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2에서 바닥부(500)의 상부에 콘크리트부(600) 대신, 보강부재(800)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보강부재(80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며, 내측의 지지 구조로 인해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부재(800)는 장형의 빔 형태로서, 바닥부(500)의 상부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그 단면은 삼각 또는 사각 또는 원 또는 'H' 또는 'I' 또는 'ㄷ'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800)의 단면 형상을 이들로 한정 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시공 환경에 따라 입체형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800)는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 빈 공간에는 모르타르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거나, 또는 현장 등에서 시멘트 혼합물 자체를 보강부재(800) 형상의 형틀에 채워지도록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80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리브와 같은 보조 지지구조물을 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부재(800)는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제품을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현장으로 운반된 보강부재(800)는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강부재(80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보강부재(800) 형상의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서, 현장에서 보강부재(8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강부재(800)는 볼트부 등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고 수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부재(800)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면, 건물 바닥면(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보강부재(800)의 외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800) 중 각 보강부재(800) 사이사이에 위치 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602)가 타설되도록 한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602)는 보강부재(800)와 견고하게 연결되므로, 보강부재(800) 및 콘크리트(602)에 의하여 바닥부(500)는 강한 지내력을 가지게 되어, 바닥설치홈(10)에서 올라오는 상향 부력 및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버틸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5에서 다수 개의 보강부재(800)에 철근(620)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바닥부(500)의 테두리부(501) 및 보강부재(800)에는 철근(620)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철근(620)이 테두리부(501)를 통하여 보강부재(800)로 관통 결합된 후에는 용접 등에 의하여 철근(620)과 보강부재(8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철근(620)이 관통 결합된 보강부재(800)에 콘크리트(602)가 타설됨으로써, 보강부재(800)는 보다 강한 지내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철근(620)은 바닥부(500)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기 도 18에서와 같이, 바닥부(500)의 너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철근(620)의 양 단부가 바닥부(500)의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5에서 바닥부(510)가 다수 개 구성되고, 바닥부(510)의 테두리부(511)에 결합돌출부재(910)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즉, 바닥부(510)는 일정한 길이로 분할되고, 이렇게 분할된 바닥부(510)는 바닥면(1)의 바닥설치홈(10)에 연속적으로 위치된 후, 각각 볼트 등의 결합부재(85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이는, 바닥부(510)의 크기나 무게 등으로 인하여, 대형 바닥부(510)를 바닥설치홈(10)에 위치시키기가 어려울 경우, 바닥부(510)를 다수 개로 분할한 후, 운반,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바닥부(510)를 바닥설치홈(10)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바닥부(510)의 상면에는 보강부재(800)가 위치되며, 보강부재(800) 사이 사이에는 콘크리트(602)가 타설된다. 그리고 바닥부(510)의 외곽 상부에는 형틀(700)이 위치되며, 이들 바닥부(510)와 형틀(700)은 결합부(512, 702)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재(910)는 바닥부(510)의 외곽에 위치되는 테두리부(511)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되며, 바닥부(5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6에서 바닥부(500)와 형틀(700) 사이에 측벽부(550)가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측벽부(550)는 바닥부(500)의 외곽 즉, 바닥부(500)의 테두리부(501)의 상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세워진다. 상기 측벽부(55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550)에 의하여 바닥부(5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550)의 상단에 형틀(700)이 결합되며, 이러한 바닥부(500), 측벽부(550) 및 형틀(7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550)가 보다 견고하게 구성되도록 측벽부(550)의 외벽을 따라 지지리브(56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리브(560)는 측벽부(550)를 보조해 주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리브(560)에 의하여 측벽부(550)의 구조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바닥부(500)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강부재(800)에는 철근(625)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철근(625)은 바닥부(500)의 너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철근(625)의 양 단부가 바닥부(500)의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철근(625)이 관통된 보강부재(800)에 의하여 바닥부(500)는 보다 강한 지내력을 가지게 되며, 철근(625)의 양단부가 바닥부(500)의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위치됨으로써, 바닥부(500)가 위치된 바닥설치홈(10)으로 콘크 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될 때, 결합돌출부재(910) 없이도 바닥부(500)와 피트지지바닥부(2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5에서 보강부재(810)가 바닥설치홈(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바닥설치홈(10)의 상면에 장형의 보강부재(810)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그 단면은 'H'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810)의 상부에 바닥부(500) 및 형틀(700)이 차례로 위치된다. 이처럼 현장에서 수월하게 구할 수 있는 'H' 빔 형상의 보강부재(810)가 바닥설치홈(10)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바닥설치홈(10)에서 올라오는 상향 부력을 견딜 수 있으며,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9에서 보강부재(800)의 단면이 'I' 형상으로 구성되고, 철근(620), 주입홀(505), 측벽부(550) 및 결합돌출부재(9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강부재(800)는 바닥설치홈(10)의 상면에 다수 개 위치되며, 보강부재(800)와 수직으로 철근(620)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보강부재(800)에 철근(620)이 관통 결합되므로, 보강부재(800)는 보다 강한 지내력을 가지게 된 다.
한편, 상기 도 19에는 보강부재(800)에 콘크리트(602)가 타설되지 않아서, 보강부재(800)의 강도가 공사 현장에서 요구하는 강도 이하일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보강부재(800)의 상부에 위치한 바닥부(500)에 다수 개의 주입홀(505)을 형성시키고, 주입홀(505)에 주입관(507)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주입홀(505) 및 주입관(507)을 통하여 보강부재(800)에 콘크리트(602)를 타설, 그라우팅(Grouting)시켜서, 보강부재(800)의 강도를 보다 강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500)의 상부에 콘크리트(605)를 타설하여 주입관(507)을 덮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주입홀(505)은 바닥부(500)를 제조할 때, 통공 형상으로 미리 형성시킬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드릴 등으로 바닥부(500)를 천공시켜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그라우팅 공법은 바닥부(500) 등에 형성된 공간에 시멘트 혼합물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는 것으로서, 누수방지 또는 지반 보강을 목적으로 한다.
측벽부(550)는 바닥부(5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세워진다. 상기 측벽부(55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550)에 의하여 바닥부(5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550)의 상단에 형틀(700)이 결합되며, 이러한 바닥부(500), 측벽부(550) 및 형틀(7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누수방지 또는 지반 보강을 위하여, 측벽부(550)의 외측으로도 시멘트 몰탈 등의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 처리할 수 있다.
결합돌출부재(910)는 측벽부(550)의 외측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되며, 측벽부(55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될 때,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19에서 보강부재(800)의 단면이 'I' 형상으로 구성되고, 집수정(9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800)는 바닥설치홈(10)의 상면에 다수 개 위치되며, 각 보강부재(800) 사이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602)가 타설되도록 하여, 보강부재(800)가 공사 현장에서 요구하는 강한 지내력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보강부재(800)의 상부에 바닥부(500) 및 형틀(700)이 차례로 위치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 지하층에 위치하게 되는바, 유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물이 유입되곤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유입된 물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배수공(922), 집수정(924) 및 배수로(9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배수공(922)은 바닥부(500)의 테두리부(501)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으로서, 상기 배수공(922)을 통하여 바닥부(500)의 내부에 유입된 유수 또는 빗물 등이 외 부로 방출된다.
집수정(924)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위치되며, 유수 또는 빗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집수정(924)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집수정(924)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마련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약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집수정(924)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위치된다.
배수로(920)는 일측은 배수공(922)에 연결되고 타측은 집수정(924)에 연결되어, 배수공(922)을 통하여 방출되는 빗물 등을 집수정(924)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집수정(924)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집수정(924)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은 상기 도 21에서 집수정(926)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고, 바닥부(500)의 외측에 수직 상방으로 세워지는 측벽부(550) 및 상기 측벽부(550)의 외측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9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1에서는 집수정(926)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면,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될 수도 있으므로, 집수정(926)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 에 위치되었으나, 도 22에서는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보강부재(800)가 바닥설치홈(10)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바닥설치홈(10)에서 올라오는 상향 부력을 견딜 수 있고,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집수정(926)이 위치된다 하더라도, 집수정(926)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집수정(926)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면, 집수정(926)을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부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집수정(926)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의 바닥설치홈(10)에는 집수정(926)이 삽입되기 위한 집수정홈(12)이 형성된다. 집수정홈(12)의 크기는 집수정(926)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집수정(926)과 집수정홈(12)의 저면이 서로 이격 위치되면서 공간부(9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940)는 바닥설치홈(10)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부를 채우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집수정(926)을 설치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공간부(940)를 채울 수도 있다.
이처럼 집수정(926)의 하부에 공간부(940)를 형성시키게 되면, 집수정홈(12)을 형성시킬 때, 집수정홈(12)을 집수정(926)의 크기에 맞도록 시간과 전문 장비를 가지고 정밀하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23은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5)은 건축물이 지어지는 바닥면(1) 위에 배치되는데, 바닥면(1)에는 상기 구조물(5)의 하단부가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설치홈(1a'')의 상측으로 상기 구조물(5)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는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피트지지바닥부(20)는 바닥설치홈(1a'')에 타설되는 제 1 피트지지바닥부(22)와, 구조물(5)의 외측 하부 및 그 주위에 타설되는 제 2 피트지지바닥부(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구조물(5)를 지지하도록 상기 구조물(5)의 측 둘레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피트지지벽체부(3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구조물(5)의 하단부는 바닥설치홈(1a'')의 저면과 일정 깊이(d1) 이격되도록 위치되는데, 그 깊이(d1)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피트지지바닥부(24)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2)로 굴토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는, 상기 구조물(5) 하단부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설치홈(1a'')은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닥설치홈(1a'')의 두께를 하방에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방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모두 견디도록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피트지지바닥부(24)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체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를 상기 제 2 피트지지바닥부(24)의 두께(d1)보다 현저히 작게 형성시키면서도, 상기 구조물(5)의 하단부 저면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수 있는 지지 강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바닥부(930),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를 포함한다.
바닥부(93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를 이루게 되는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과 그 외측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형틀(970)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930)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닥설치홈(10)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바닥면(1)에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930)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굴토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닥설치홈(10)의 상측으로 상기 바닥부(930)가 배치되며, 그 외측으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를 형성하게 된다.
피트지지바닥부(20)는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둘레를 감싸면서, 바닥면(1)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의 최하층 바닥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피트지지바닥부(20)는 바닥설치홈(10)에 타설되는 제 1 피트지지바닥부(22)와, 구조물(5)의 외측 하부 및 그 주위에 타설되는 제 2 피트지지바닥부(24)로 구성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수직 상방으로는 피트지지벽체부(3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는 상기 형틀(970)을 지지하도록 상기 형틀(970)의 측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S)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배치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내부에 배치되는 지지철근(S)에 의해 상호 간에 견고하게 연결결합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철근(S)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 및 피트지지벽체부(30)의 내부에 치밀하게 연결되도록 매설되어 지지함으로써,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에서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바닥설치홈(10)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의 하중이 종래구조와 같이 상기 바닥설치홈(10)로 가해지지 않게 되고,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에 인접되는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로 유도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설치홈(10)은 상기 바닥설치홈(10)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만을 감당하게 되므로, 상기 도 23에 도시된 종래구조의 바닥설치홈(1'')의 깊이(d1)보다, 도 2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닥설치홈(10)의 깊이(d2)를 작게 굴토형성할 수 있어,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닥부(930), 측벽부(960) 및 형틀(97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부(930) 및 형틀(970)의 결합구조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닥부(93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970)이 바닥부(93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형틀(97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바닥부(93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바닥부(93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93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형틀(970)은 상기 바닥부(93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93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형틀(970)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93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상기 바닥부(930) 및 형틀(97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형틀(97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으며,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형틀(970)은 상기 바닥부(93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930) 및 상기 형틀(97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930)의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형틀(97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930) 및 상기 형틀(970)이 결합되는 결합부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바닥부(930) 또는 상기 형틀(97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930) 및 상기 형틀(97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930)와 형틀(970) 사이에 측벽부(960)를 더 포함하여, 바닥부(930), 측벽부(960) 및 형틀(970)의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부(930)는 바닥면(1)의 바닥설치홈(10) 또는 콘크리트층 상방 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부(93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측벽부(960)가 세워진다. 그리고 측벽부(960)는 바닥부(93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960)에 의하여 바닥부(93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960)의 상단에 형틀(970)이 결합되며, 이러한 바닥부(930), 측벽부(960) 및 형틀(97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측벽부(960) 와 상기 형틀(97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960)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97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측벽부(960) 및 상기 형틀(970)이 결합되는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형틀(970) 또는 상기 측벽부(96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960) 및 상기 형틀(97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강부재(940), 바닥부(930), 측벽부(960) 및 형틀(9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닥설치홈(10) 하단에는 다수 개의 보강부재(940)가 연속 배열되고, 보강부재(94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며, 판형의 바닥부(930)가 상기 보강부재(9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되고, 측벽부(960)가 보강부재(940)의 외곽 상측에 구비된다.
보강부재(94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며, 내측의 지지 구조로 인해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940)의 형상은 단면이 삼각, 사각, 원 또는 'H', 'I', 'ㄴ', 'ㄷ', '
Figure 112007079264436-pat00002
' 형상 중 어느 하나인 빔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940)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빔 형태로 형성되되, 4면 중 어느 한 면의 중앙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보강부재(940)는 접착제 등의 실링부재를 통하여 수밀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보강부재(940)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면, 바닥면(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보강부재(940)의 외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940)는 내측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모르타르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거나, 또는 현장 등에서 시멘트 혼합물 자체를 보강부재(940) 형상의 성형틀에 채워지도록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94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리브와 같은 보조 지지구조물을 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부재(940)는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제품을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현장으로 운반된 보강부재(940)는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닥부(93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보강부재(9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 위치되며, 이렇게 형성된 바닥부(93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26에서는 일 실시례로 보강부재(940), 바닥부(930) 및 측벽부(960)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보강부재(940), 바닥부(930) 및 형틀(97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보강부재(940), 바닥부(930), 측벽부(960) 및 형틀(97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측벽부(960)는 바닥부(930) 또는 보강부재(94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벽부(960)에 의하여 바닥부(930) 또는 보강부재(94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보강부재(940), 바닥부(930) 및 측벽부(96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측벽부(960)는 바닥부(930)와 일체형 또는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바닥부(930) 또는 측벽부(960)는 그 표면에 아연도금층(미도시)이 형성되어, 물이나 기타 이물질로부터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940) 또는 상기 바닥부(930)가 결합되어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바닥면을 이루고 그 바닥면과 상기 측벽부(96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940)와 상기 바닥부(930)가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바닥면의 상부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측벽부(96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재(940) 또는 상기 바닥부(9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바닥부(930)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바닥부(930)와 상기 측벽부(96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930) 및 상기 측벽부(96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형틀(970)은 상기 보강부재(940)와 바닥부(930)의 외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바닥부(930)에 연결된 상기 측벽부(96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형틀(970)은 상기 측벽부(96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설치 홈(10)의 바닥면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을 갖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재(940) 또는 상기 바닥부(9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바닥면과 상기 형틀(97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940)와 상기 바닥부가 결합되어진 상기 바닥설치홈(10) 바닥면의 상부 외측 테두리부 및 상기 형틀(97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바닥부(930)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970)이 결합되는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바닥부(930)의 결합부 또는 상기 형틀(97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930) 및 상기 형틀(97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940)와 상기 바닥부(930)가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바닥면에 상기 측벽부(960)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형틀(97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측벽부(960)와 상기 형틀(970)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960)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970)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측벽부(960) 및 상기 형틀(970)이 결합되는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각각 상기 형틀(970) 또는 상기 측벽부(960)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960) 및 상기 형틀(970)의 단부를 절곡시키거나, 용접으로 덧붙여 꺾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기 결합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관통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27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분할형 바닥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보강부재(940), 분할형 바닥부(9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930: 도26 도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도 27에서는 다수 개의 분할형 바닥부(932)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자재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는 양측단부 또는 일측단부에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되어, 설치면적 조절이 가능하다.
상호 맞대어진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의 접합부는 체결부재를 통하거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 및 보강부재(940) 사이 공간 및 상부에는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상기 바닥설치홈(10)의 저면을 평평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기 전에,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의 상측으로는 그라우팅홀(G)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으로는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의 상측에 보강부재(940)가 결합되고, 그 사이 및 상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상기 그라우팅홀(G)이 상측으로 구비되나,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의 하측으로 보강부재(940)가 결합되고, 그 사이 및 하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질 경우, 상기 그라우팅홀(G)은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의 하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팅홀(G)은 상기 분할형 바닥부(93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원통형태로, 그 내부가 상, 하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바닥면이 설치되면, 상기 그라우팅홀(G)을 통해 그 하측의 상기 바닥설치홈(10) 빈공간에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집수구조 및 완충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설치홈(10)의 일측 하방에는 집수부홈(980)이 굴토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홈(980)의 내측을 따라 집수정(982)이 설치되는데, 상기 집수정(982)은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홈(980)에 설치되는 집수정(982)으로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 빗물 등의 유수가 유입되어, 상기 집수정(982) 내에 일정량 이상이 되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집수정(982)의 저면은 상기 집수부홈(980)의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부(930)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설치홈(10)로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면, 상기 집수정(982)과 상기 집수부홈(980)의 사이에도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집수정(982)의 저면과 상기 집수부홈(980) 바닥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에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굴토된 집수부홈(980)의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집수정(982)이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930) 내측 상방으로는 한 개 이상의 완충스프링(700)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피트로 엘리베이터가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측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960)에는 스테인리스 판(962), 보강용 리브(964) 및 결합돌출부재(910)가 구비된다.
상기 측벽부(960)의 내부에는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962)이 덧붙여져서, 상기 측벽부(96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960)의 외측면 또는 상기 바닥설치홈(10)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부(930), 보강부재(940), 바닥부(930)의 외측으로 스터드볼트 등의 결합돌출부재(910)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측벽부(960)의 외측으로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굳어질 때, 결합력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960)의 외측면에는 상기 측벽부(960)의 길이방향으로 다 수 개 병렬배치되는 보강용 리브(964)가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960)의 지지강도를 높이고, 상기 바닥설치홈(10)의 외측으로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굳어질 때, 결합력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은 본 발명의 분할 측벽부 및 분할 형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960) 및 형틀(970)은 세그먼트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960)와 상기 형틀(970)은 각각 분할형 측벽부(961)와 분할형 형틀(971)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형 측벽부(961) 및 분할형 형틀(971)이 각각 결합하여, 높이 또는 너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형 측벽부(961)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된다.
상기 분할형 형틀(971)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측방으로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는 다수 개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접합부가 상호 간에 맞대음 연장결합된다.
상기 분할형 측벽부(961) 또는 분할형 형틀(971)의 접합부는 각각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분할형 측벽부(961) 또는 분할형 형틀(971)은 그 단면이 'I', 'ㄴ', 'ㄷ', '
Figure 112007079264436-pat00003
' 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리브와 같은 복잡한 보강 구성 없이도, 지지 강도,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입체형의 바닥부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는 제작, 조립, 설치, 운반이 용이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를 절감시키고, 공기를 앞당기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바닥부에 차수벽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집수정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 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결합돌출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보강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는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분할형 바닥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 하단부의 집수구조 및 완충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측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분할 측벽부 및 분할 형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설치홈 12: 집수정홈
20: 피트지지바닥부 22: 제 1 피트지지바닥부
24: 제 2 피트지지바닥부 30: 피트지지벽체부
100: 바닥부 102: 테두리부
104: 배수공 110, 112, 114 : 결합부
120: 측벽부 122: 결합부
130a, 130b, 130c: 차수벽 140: 배수로
145: 집수정 160: 결합돌출부재
200: 형틀 210, 212: 결합부
300: 철근 400: 결합부재
500: 바닥부 501: 테두리부
502: 결합부 505: 주입홀
507: 주입관 510: 바닥부
512: 결합부 550: 측벽부
552: 결합부 560: 지지리브
600: 콘크리트부 602: 콘크리트
610: 보강리브 620, 625: 철근
700: 형틀 702: 결합부
800, 810: 보강부재 850: 결합부재
860: 완충스프링 900: 지지철근
910: 결합돌출부재 920: 집수정
922: 배수공 924: 배수로
926: 집수정 930: 바닥부
932: 분할형 바닥부 940: 보강부재
960:측벽부 962: 스테인리스 판
964: 보강용 리브 970: 형틀
971: 분할형 형틀 980: 집수부홈
982: 집수정

Claims (57)

  1.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는 상기 바닥부의 외벽을 통해 흐르는 유수를 차단시키도록 차수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는 상기 바닥부의 외벽을 통해 흐르는 유수를 차단시키도록 차수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을 연결시키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4.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외곽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측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이 결합되고,
    시멘트 혼합물은 상기 형틀로 인해 상기 바닥부 중앙측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을 연결시키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 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결합부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형틀의 결합부는 수평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다수 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형틀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3.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형틀에 대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결합부 사이는 상호 포개어지거나 맞대어 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5. 삭제
  16. 삭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 및 상기 형틀의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철근이 관통되기 위한 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결합부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형틀의 결합부는 수평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1.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2. 삭제
  23. 삭제
  24.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부 내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리브에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5.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6.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집수정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하측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굴토면이 상호 이격 위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부를 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8.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9.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외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0.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1.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측벽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또는 측벽부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2.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측벽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또는 측벽부 외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3.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부 또는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측벽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KR1020070112027A 2007-11-05 2007-11-05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97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27A KR100973235B1 (ko) 2007-11-05 2007-11-05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27A KR100973235B1 (ko) 2007-11-05 2007-11-05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84A KR20090046084A (ko) 2009-05-11
KR100973235B1 true KR100973235B1 (ko) 2010-07-30

Family

ID=4085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027A KR100973235B1 (ko) 2007-11-05 2007-11-05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2B1 (ko) * 2011-07-21 2013-10-07 주식회사 디엠 저면 이격형 엘리베이터 피트
KR101508898B1 (ko) * 2014-10-17 2015-04-08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CN108560556A (zh) * 2018-05-22 2018-09-21 北京六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深基坑混凝土泵送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386510B1 (ko) * 2020-08-31 2022-04-13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유공관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강재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5A (ja) *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KR200169528Y1 (ko) * 1997-12-22 2000-02-01 이상업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JP2000087354A (ja) * 1998-09-11 2000-03-28 Tokyo Koatsu Kk ピット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10069528A (ko) * 2001-04-13 2001-07-25 신기범 롤 스크린의 축 이음
JP2002235369A (ja) * 2001-02-09 2002-08-23 Hitachi Chem Co Ltd 地下タンク埋設工法及び地下タンク埋設用コンクリートピ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5A (ja) *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KR200169528Y1 (ko) * 1997-12-22 2000-02-01 이상업 승강기용 블럭 조립식 승강로
JP2000087354A (ja) * 1998-09-11 2000-03-28 Tokyo Koatsu Kk ピット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2235369A (ja) * 2001-02-09 2002-08-23 Hitachi Chem Co Ltd 地下タンク埋設工法及び地下タンク埋設用コンクリートピット
KR20010069528A (ko) * 2001-04-13 2001-07-25 신기범 롤 스크린의 축 이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84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0932468B1 (ko) 원심 성형 중공 피씨 기둥 및 이것과 함께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철골 기둥을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148272B1 (ko)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84829B1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JP2018141341A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051978B1 (ko) 피씨부재를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066198B1 (ko) 슬러리 월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 시공 방법
KR20110052360A (ko) 띠장을 설치하지 않고 슬래브의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향 시공방법
JP4798203B2 (ja) 既設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KR101215764B1 (ko) 지하 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 구조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JP4159148B2 (ja) 立坑の築造方法
JP4821713B2 (ja) 合成壁構造および合成壁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01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0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01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26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79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09

Effective date: 201704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