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865B1 -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865B1 KR101483865B1 KR20130078028A KR20130078028A KR101483865B1 KR 101483865 B1 KR101483865 B1 KR 101483865B1 KR 20130078028 A KR20130078028 A KR 20130078028A KR 20130078028 A KR20130078028 A KR 20130078028A KR 101483865 B1 KR101483865 B1 KR 101483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earth retaining
- underground
- installing
- wa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408529 Lib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63 cu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62 soil e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은 대지경계선을 따라 흙막이 벽을 시공하는 단계; 흙막이 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지하 구조물의 평면계획에 따라 기둥이 설치될 위치에 지하 본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일정 깊이로 굴착하고, 노출된 흙막이 벽에 수직하게 브래킷의 일단을 설치하는 단계; 브래킷 상면에서 브래킷 양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흙막이 벽과 평행하도록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지하 본 기둥 사이 및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과 본 기둥 사이에 내부 보를 설치하는 단계; 내부 보 사이에 데크를 설치하고, 흙막이 벽과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사이에 리브라스를 설치하는 단계; 데크 상부와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내부 및 흙막이 벽과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사이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합성구조의 띠장과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하되 슬래브를 구성할 때 지하외벽 콘크리트 타설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을 최하층 레벨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 최하층 바닥을 구축하는 단계; 최상층에서 최하층을 향해 순차적으로 앞 단계에서 형성한 타설홀을 통하여 지하외벽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지하외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의 시공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의 시공 단계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구조의 띠장 접합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 도 4b는 지하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구조의 띠장 접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구조의 띠장 접합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 도 6b는 지하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0: 지하 본 기둥 30: 브래킷
40: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41: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상부부재
42: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하부부재
411: 상부부재의 상부판 412: 상부부재의 측면판
412a: 상부판의 개구부 413: 상부부재의 하부판
43: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 단면구속부재
50: 내부 보 51: 접합판
60: 슬래브 콘크리트 61: 타설홀
62: 슬래브 제1 시어커넥터 63: 슬래브 제2 시어커넥터
64: 리브라스 65: 리브라스 지지앵글
70: 지하외벽 콘크리트 71: 지하외벽 보강철근
72: 지하외벽 시어커넥터 60a: 완충 콘크리트
60b: 합성보 콘크리트
Claims (4)
- (a) 대지경계선을 따라 흙막이 벽(10)을 시공하는 단계;
(b) 흙막이 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지하 구조물의 평면계획에 따라 기둥이 설치될 위치에 지하 본 기둥(20)을 설치하는 단계;
(c) 일정 깊이로 굴착하고, 노출된 흙막이 벽(10)에 수직하게 브래킷(30)의 일단을 설치하는 단계;
(d) 브래킷(30) 상면에서 브래킷(30) 양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흙막이 벽(10)과 평행하도록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을 설치하는 단계;
(e) 지하 본 기둥(20) 사이 및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과 본 기둥(20) 사이에 내부 보(50)를 설치하는 단계;
(f) 내부 보(50) 사이에 데크를 설치하고, 흙막이 벽(10)과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 사이에 리브라스(64)를 설치하는 단계;
(g) 데크 상부와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 내부 및 흙막이 벽(10)과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 사이공간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합성구조의 띠장과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하되 슬래브를 구성할 때 지하외벽 콘크리트 타설홀(61)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h) 상기 (c)단계 내지 (g)단계를 최하층 레벨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
(i) 최하층 바닥을 구축하는 단계;
(j) 최상층에서 최하층을 향해 순차적으로 (g)단계에서 형성한 타설홀(61)을 통하여 지하외벽 콘크리트(70)를 타설 양생하여 지하외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은,
상부판(411)과 상부판(41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개구부(412a)가 천공된 측면판(412) 및 측면판(412)의 하단에서 상부판(411)과 반대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하부판(413)으로 구성되는 상부부재(41) 한 쌍과;
한 쌍의 상부부재(41,41)를 서로 대칭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부재 하부판(413)에 양단이 접합되는 판 형상의 하부부재(42)를 포함하여;
립달린 U자형 단면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영구거푸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합성구조 띠장의 구조부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a) 대지경계선을 따라 흙막이 벽(10)을 시공하는 단계;
(b) 흙막이 벽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지하 구조물의 평면계획에 따라 기둥이 설치될 위치에 지하 본 기둥(20)을 설치하는 단계;
(c) 일정 깊이로 굴착하고, 노출된 흙막이 벽(10)에 수직하게 브래킷(30)의 일단을 설치하는 단계;
(d) 브래킷(30) 상면에서 브래킷(30) 양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흙막이 벽(10)과 평행하도록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을 설치하는 단계;
(e) 지하 본 기둥(20) 사이 및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과 본 기둥(20) 사이에 내부 보(50)를 설치하는 단계;
(f) 내부 보(50) 사이에 데크를 설치하고, 흙막이 벽(10)과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 사이에 리브라스(64)를 설치하는 단계;
(g) 데크 상부와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 내부 및 흙막이 벽(10)과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 사이공간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합성구조의 띠장과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하되 슬래브를 구성할 때 지하외벽 콘크리트 타설홀(61)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h) 상기 (c)단계 내지 (g)단계를 최하층 레벨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
(i) 최하층 바닥을 구축하는 단계;
(j) 최하층에서 최상층을 향해 순차적으로 (g)단계에서 형성한 타설홀(61)을 통하여 지하외벽 콘크리트(70)를 타설 양생하여 지하외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띠장 형성 영구거푸집(40)은,
상부판(411)과 상부판(41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며 일정 간격으로 개구부(412a)가 천공된 측면판(412) 및 측면판(412)의 하단에서 상부판(411)과 반대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하부판(413)으로 구성되는 상부부재(41) 한 쌍과;
한 쌍의 상부부재(41,41)를 서로 대칭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부재 하부판(413)에 양단이 접합되는 판 형상의 하부부재(42)를 포함하여;
립달린 U자형 단면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영구거푸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합성구조 띠장의 구조부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8028A KR101483865B1 (ko) | 2013-07-03 | 2013-07-03 |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8028A KR101483865B1 (ko) | 2013-07-03 | 2013-07-03 |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996A KR20150004996A (ko) | 2015-01-14 |
KR101483865B1 true KR101483865B1 (ko) | 2015-01-19 |
Family
ID=5247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78028A KR101483865B1 (ko) | 2013-07-03 | 2013-07-03 |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8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0477B1 (ko) * | 2015-07-03 | 2016-03-07 | 광일종합건설 주식회사 | 개선된 강관말뚝 매립 공정을 통해 안정성을 향상시킨 탑다운 공법 |
WO2020165877A1 (en) | 2019-02-15 | 2020-08-20 | Quickset Limited | Improved formwork for foundation constru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726B1 (ko) | 2005-04-19 | 2006-10-16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
KR100982827B1 (ko) * | 2007-12-17 | 2010-09-16 | 이창남 | 바닥슬래브에 가설 흙막이 벽의 토압을 지지시키면서지하실 합벽을 후시공하는 공법 |
KR20100113957A (ko) * | 2009-04-14 | 2010-10-22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
KR20100118482A (ko) * | 2009-04-28 | 2010-11-05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
-
2013
- 2013-07-03 KR KR20130078028A patent/KR1014838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726B1 (ko) | 2005-04-19 | 2006-10-16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
KR100982827B1 (ko) * | 2007-12-17 | 2010-09-16 | 이창남 | 바닥슬래브에 가설 흙막이 벽의 토압을 지지시키면서지하실 합벽을 후시공하는 공법 |
KR20100113957A (ko) * | 2009-04-14 | 2010-10-22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
KR20100118482A (ko) * | 2009-04-28 | 2010-11-05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996A (ko) | 2015-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1097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 |
KR100927344B1 (ko) |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 |
KR102035995B1 (ko) |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6855296B2 (ja) |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KR20090094971A (ko) |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 |
KR20130085353A (ko) | 흙막이 벽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장치 및 흙막이 벽 구조물 | |
KR102269141B1 (ko) |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 |
KR20150043913A (ko) |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286225B1 (ko) |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 |
KR100775359B1 (ko) |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0634726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 |
KR101072958B1 (ko) | 마이크로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 기초구조, 및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이의 시공방법 | |
KR101483865B1 (ko) |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 |
KR101521946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 |
KR20080025219A (ko) |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 |
JP7386095B2 (ja) | 地下構造体施工方法 | |
KR100640244B1 (ko) |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 |
JP2015183366A (ja) |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 |
KR101587062B1 (ko) | 강재합성 지중토류벽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70135Y1 (ko) |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100626326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 |
KR200385376Y1 (ko) |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101482523B1 (ko) |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89041B1 (ko) | 말뚝 일체형 방음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